BAFFLE PIPE AND CORE-COOLING DEVICE FOR AN INJECTION MOLD
본 발명은 플라스틱 사출물을 성형하는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코어의 냉각수로를 순환하는 냉각수의 효율적인 공급으로 코어를 균일하고 급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배플관 및 사출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은 프라스틱 제품을 생산하는 사출 금형, 철판을 이용하여 제품을 만들어 내는 프레스 금형, 금속을 녹여 플라스틱과 같이 만들어 내는 다이캐스팅 금형등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중, 사출 금형은 고온으로 용융된 재료가 높은 압력에 의하여 각각의 금형 사이로 충진됨으로써 금형의 내부 형상을 따라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하는 것으로서, 크게 원재료 투입공정과, 건조공정, 사출기 원료 투입공정, 사출 성형공정, 제품 취출공정, 그리고 후가공 및 포장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사출 성형의 공정은 금형내의 용융된 수지(Resin)를 충진시키는 사출(Injection)공정 이후에 수지를 고화시키기 위한 냉각(Cooling)공정을 필수적으로 거치게 된다. 사출금형의 냉각공정은 제품을 사출해 내기 위한 금형의 코어 내부에 냉각수관을 배관하고 이 냉각수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냉각수에 의하여 사출물이 냉각, 경화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금형의 열전도를 균일하게 하고 제품의 모양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냉각수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부품인 배플판(61)을 냉각수관 내부에 설치한 사출 금형의 코어 냉각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플판이 설치된 사출 금형의 코어 냉각장치를 살펴본다. 먼저, 사출성형을 하기 위한 금형은 금형의 틀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상부원판(10)과 하부원판(20), 주형물의 형상 가공을 위해 상부원판(10)과 하부원판(20) 사이에 설치된 하부코어(30), 주형물이 주입을 위해 상기 상부원판(10)과 하부코어(30)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40)로 구성된다. 그리고 하부코어(30)의 내측에는 캐비티(40) 내의 주형물을 냉각하기 위하여 냉각수관이 배관된다. 상기 냉각수관은 하부원판(20)에 형성되어 냉각수 유입구(51) 및 냉각수 배출구(52)로 이루어지는 기초 냉각수관과, 상기 기초 냉각수관의 유입구(51) 및 배출구(52)와 연통되어 하부코어(30)의 내측을 순환하며 중앙에 배플판(61)이 형성되는 코어 냉각수관(6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출 성형시 기초 냉각수관의 유입구(51)로 공급된 냉각수는 코어 냉각수관(60) 내부에 설치된 배플판(61)에 의해 안내되는 방식으로 하부코어(30)를 상하로 순환하면서 하부코어(30)를 냉각시킨 다음 냉각수 배출구(5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출 금형의 코어냉각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종래의 사출 금형의 코어냉각장치는 냉각수의 유동거리가 길다. 따라서 냉각수가 순환하는 과정에서 온도가 크게 상승되며 냉각수의 흐름 저항이 커지면서 냉각수가 일정한 속도로 순환되지 못해 냉각효율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둘째, 냉각수가 순환하는 과정에서 냉각효율이 떨어지므로 하부코어(30)의 일측과 타측에서의 온도가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하부코어(30)의 냉각온도가 불균일해지면 제품의 변형을 유발시키고 냉각지연으로 인한 금형 전체의 냉각시간이 지연되어 취출 싸이클 시간이 길어지면서 사출물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셋째, 코어 냉각수관(60) 내부의 배플판(61)은 양측부가 코어 냉각수관(60)의 내주면에 단순 지지되도록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수가 코어 냉각수관(60)의 내부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유동되기 쉽고 코어 냉각수관(60)과의 밀착면 사이로는 냉각수가 새어나가면서 냉각수의 흐름저항을 크게 증가시킨다. 뿐만 아니라, 정비를 위하여 하부코어(30)와 하부원판(20)을 분리시킬 경우, 모든 배플판(61)이 낙하하게 되므로 정비시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어 냉각수관(60)의 내주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배플판(61)을 억지끼움 방식으로 조립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는 있으나, 조립과정에서 배플판(61)이 코어 냉각수관(60) 내부로 쉽게 삽입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삽입과정에서 배플판(61)이 휘어져 버리는 사고도 잦으며 정비시에는 배플판(61)이 분리되지 않는 등 조립과 정비상에 있어서 큰 문제를 노출시키게 되므로 바람직한 방법으로 채택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코어가 균일하게 냉각되며, 냉각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사출금형 코어의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플판의 조립이 용이하면서 냉각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사출금형 코어의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사출 금형의 코어 냉각장치는 하부원판에 형성되어 냉각수 유입구 및 냉각수 배출구로 이루어지는 기초 냉각수관과, 상기 기초 냉각수관의 유입구 및 배출구와 연통되어 코어 내측을 순환하도록 배관된 코어 냉각수관을 구비한 사출 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어 냉각수관내에는 좌우로 분할형성된 배플관이 결합되고, 상기 기초냉각수관의 냉각수 유입구는 각 배플관의 하단으로 연결되는 분배관들을 통해 각각의 코어 냉각수관에 냉각수가 동시에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기초냉각수관의 냉각수 배출구는 일측의 코어 냉각수관의 하부에 연결되어 배플관의 하단으로 유입되어 코어 냉각수관의 상부에서 분출된 후 코어 냉각수관의 하부로 낙하하면서 하부코어를 냉각시킨 냉각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배플관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방열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배플관의 외주면을 따라 길게 형성된 방열날개편이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배플관의 외주면을 따라 방열나선편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플관의 하단을 따라 외향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관의 하단에는 배플관의 외향플랜지를 지지하는 제1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외향플랜지의 하단에는 냉각수관의 하단에 밀착되게 오링캡이 더 끼워지고, 상기 냉각수관의 하단에는 오링캡을 지지하는 제2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오링캡과 냉각수관 사이와, 오링캡과 하부원판 사이에는 각각 오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각 냉각수관으로 냉각수가 동시에 공급되는 흐름구조를 갖게 되므로 하부코어의 모든 부위가 골고루 냉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종래보다 냉각수의 유동거리가 대단히 짧기 때문에 냉각수가 순환하는 과정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크게 상승되지 않게 되며, 냉각수의 흐름 저항도 작아 냉각효율이 크게 향상되고, 이로 인해 취출싸이클이 짧아지므로 생산성도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냉각수가 배플관의 상단으로 분출된 후 배플관과 냉각수관의 내주면 사이로 흘러 내리도록 하는 방식을 따르고 있으므로 종래와는 달리 배플관을 냉각수관의 내주면에 긴밀히 밀착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배플관의 조립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냉각수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방열돌기들이 불규칙하게 형성될 경우에는 냉각수에 난류를 형성시켜 냉각수의 열교환율을 극대화시키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냉각수에 신속한 흐름성을 유도하여 취출싸이클을 더욱 단축시킴과 아울러 냉각수관과 배플관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냉각수관 내부에서 배플관이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해 주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배플관 하부에 외향플랜지를 형성시키고 오링캡을 설치할 경우, 냉각수관 내에 배플관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므로 냉각시 배플관이 유동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오링캡 및 오링캡에 설치된 오링을 통해 완벽한 수밀이 유지되므로 냉각수의 공급 또는 배출과정에서의 냉각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정비를 위해 하부코어와 하부원판을 이격시키더라도 오링캡이 오링을 통해 냉각수관의 하부에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이므로 배풀관이 낙하되지 않아 정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사출 금형의 코어 냉각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사출금형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 금형의 코어 냉각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사출금형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배플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배플관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배플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배플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하부원판 30...코어 110...냉각수 유입구 111...분배관 120...냉각수 배출구 200...코어 냉각수관 210...배플관 211...방열돌기 212...외향플랜지 213...제1지지턱 214...오링캡 215...제2지지턱 216,217...오링 218...방열날개편 219...방열나선편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원판(20)에 형성되어 냉각수 유입구(110) 및 냉각수 배출구(120)로 이루어지는 기초 냉각수관과, 상기 기초 냉각수관의 유입구(110) 및 배출구(120)와 연통되어 하부코어(30)의 내측을 순환하도록 배관된 코어 냉각수관(200)을 구비한 사출 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코어 냉각수관(200) 내에 배플관(210)이 결합되고, 기초냉각수관의 냉각수 유입구(110)는 각 배플관(210)의 하단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기초냉각수관의 냉각수 배출구(120)는 일측의 코어 냉각수관(200)의 하부에 연결된다. 상기 배플관(210)은 스테인레스강판, 동판 또는 알루미늄판 등을 기계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으나, 제작 공정이 복잡하고 단가도 높기 때문에 플라스틱으로 사출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내구성과 내열,내식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PC)와 유리섬유(GF)가 함유되도록 하며, 유리섬유는 폴리카보네이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의 조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GF는 레진상태의 유리섬유를 뜻한다. 그리고 상기 배플관(210)은 좌우로 분할된 몸체(210a,210b)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할된 몸체(210a,210b)가 합치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배플관(210)이 좌우로 분할형성되면, 배플관(210)의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냉각수가 배플관(210) 내부를 흐르는 때 좌,우배플관(210a,210b)이 좌우로 미세하게 이격되면서 배플관(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방열돌기(211)가 코어 냉각수관(200)의 내주면에 밀착되므로 배플관(21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배플관(210)이 코어 냉각수관(200) 내에서 안정적으로 중심을 잡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배플관(210)의 외주면에는 방열돌기(2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열돌기(211)는 코어 냉각수관(200)을 흐르는 냉각수에 난류를 발생시키도록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열돌기(211)가 배플관(210)의 외주면에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배플관(21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냉각수가 난류를 형태로 흐르게 되면 냉각수가 코어 냉각수관(200)의 내부를 골고루 흐르기 때문에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플관(210)의 외주면에는 배플관(210)의 외주면을 따라 길게 형성된 방열날개편(218)이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플관(210)의 외주면에는 배플관(210)의 외주면을 따라 방열나선편(219)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방열날개편(218)이나 방열나선편(219)이 형성되면, 냉각수가 상방에서 하방으로의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게 되므로 신속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기초냉각수관의 냉각수 유입구(110)는 각 배플관(210)의 하단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각 배플관(210)의 하단과 연결되는 분배관(111)들을 가진다. 따라서, 냉각수 유입구(110)로 공급되는 냉각수는 상기 분배관(111)들을 통해 각각의 코어 냉각수관(200)의 내부에 설치된 배플관(210)의 하단으로 동시에 유입된다. 그리고 배플관(210)의 하단으로 유입된 냉각수는 배플관(210)의 상단으로 분출된 후 배플관(210)의 방열돌기(211)를 타고 코어 냉각수관(200)의 하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코어 냉각수관(200)의 하부로 흘러내린 냉각수는 일측의 코어 냉각수관(200)에 연결된 냉각수 배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배플관(210)의 하단에는 외향플랜지(212)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 냉각수관(200)의 하단에는 배플관(210)의 외향플랜지(212)를 지지하는 제1지지턱(2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향플랜지(212)는 냉각수관 내에 배플관(210)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외향플랜지(212)의 하단에 코어 냉각수관(200)의 하단에 밀착되는 오링캡(214)이 더 끼워지고, 상기 코어 냉각수관(200)의 하단에는 오링캡(214)을 지지하는 제2지지턱(215)이 형성되며, 상기 오링캡(214)과 냉각수관 사이와 오링캡(214)과 하부원판(20) 사이에는 각각 오링(216,217)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상기 배플관(210)은 오링캡(214)에 의해 코어 냉각수관(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오링캡(214)과 코어 냉각수관(200) 사이에 설치된 오링(216)을 통해 코어 냉각수관(200) 내부의 냉각수가 냉각수 배출관(120)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부코어(30)로 유출되지 않게 되고, 오링캡(214)과 하부원판(20) 사이에 설치된 오링(217)을 통해 냉각수 유입관(110)의 분배관(111)을 통해 냉각수가 배플관(210)의 하단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오링캡(214)과 하부원판(20) 사이로 냉각수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사출 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 따르면, 냉각수는 냉각수 유입구(110)의 각 분배관(111)을 통해 각 코어 냉각수관(200)의 배플관(210) 하부로 동시에 유입되고, 배플관(210)을 따라 상승하다가 배플관(210)의 상단을 통해 각 코어 냉각수관(200) 내로 분출되며, 코어 냉각수관(200)의 아래로 낙하하면서 하부코어(30)와 열교환된 이후 냉각수 배출구(120)를 통해 신속하게 빠져나가는 흐름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각 코어 냉각수관(200)으로 냉각수가 동시에 공급되는 흐름구조를 갖게 되므로 하부코어(30)의 모든 부위가 골고루 냉각되며, 종래보다 냉각수의 유동거리가 대단히 짧기 때문에 신속하게 냉각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취출싸이클이 매우 짧아진다. 또한, 종래와는 달리 배플관(210)을 코어 냉각수관(200)의 내주면에 긴밀히 밀착시킨 상태로 조립하지 않아도 되므로 배플관(210)의 조립성이 크게 향상되며, 배플관(210) 하부의 외향플랜지(212)와 오링캡(214)을 설치한 경우에는 코어 냉각수관(200) 내에 배플관(2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냉각시 배플관(210)이 유동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정비를 위해 하부코어(30)와 하부원판(20)을 이격시키더라도 오링캡(214)이 코어 냉각수관(200)의 하부에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이므로 배플관(210)이 낙하되지 않아 정비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배플관의 조립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냉각시 배플관이 유동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정비성이 향상되는 등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e-cooling device for an injection mold which molds plastic injection-molded article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e-cooling device for an injection mold, wherein cooling water is efficiently supplied to circulate through a cooling water channel of a core and thus uniformly and quickly cool the core. The core-cooling device for an injection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ic cooling water pipe which is formed on a lower disk (20) and which includes a cooling water inlet (110) and a cooling water outlet (120); and core-cooling water pipes (200) in communication with the cooling water inlet (100) and the cooling water outlet (120) of the basic cooling water pipe so as to enable cooling water to circulate through the interior of a lower core (30). Baffle pipes (210)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ections are coupled to respective core-cooling water pipes (200). The cooling water inlet (110) of the basic cooling water pipe enables cooling water to be simultaneously fed into each of the core-cooling water pipes (200) via distribution pipes (111) connected to the lower ends of baffle pipes (210), respectively. The cooling water outlet (120) of the basic cooling water pipe is connected to lower portions of the core-cooling water pipes (200) so as to discharge, to the outside from the core-cooling device, the cooling water which is fed through the lower ends of the baffle pipes (210), discharged from upper portions of the core-cooling water pipes (200), and falling down toward the lower portions of the core-cooling water pipes (200) in order to cool the lower core (30). 하부코어(30)의 내측에 형성된 코어 냉각수관(200)내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배플관(210)으로서, 상기 배플관(210)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며, 좌우로 분할된 몸체(210a, 210b)로 이루어져, 배플관(210)내로 냉각수가 흐를 때 좌우로 미세하게 이격되어 코어 냉각수관(200)의 내주면에 배플관(210)이 더욱 밀착되도록 하여 배플관(210)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관.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관(210)은 상기 코어 냉각수관(200)의 내주면에 밀착시켜 조립성을 높이기 위한 방열돌기(2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관.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관(210)의 하단을 따라 외향플랜지(212)가 형성되고, 상기 외향플랜지(212)의 하단에는 상기 코어 냉각수관(200)의 하단에 밀착되도록 오링캡(214)이 더 끼워지고, 상기 오링캡(214)과 상기 코어 냉각수관 사이에 오링(216)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관. 하부원판(20)에 형성되어 냉각수 유입구(110) 및 냉각수 배출구(120)로 이루어지는 기초 냉각수관과, 상기 기초 냉각수관의 유입구(110) 및 배출구(120)와 연통되어 하부코어(30)의 내측을 순환하도록 배관된 코어 냉각수관(200)을 구비한 사출 금형의 코어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어 냉각수관(200)내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배플관(210)이 결합되되, 배플관(210) 내로 냉각수가 흐를 때 좌우로 미세하게 이격될 수 있도록 좌우로 분할형성되고, 상기 기초냉각수관의 냉각수 유입구(110)는 각 배플관(210)의 하단으로 연결되는 분배관(111)들을 통해 각각의 코어 냉각수관(200)에 냉각수가 동시에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기초냉각수관의 냉각수 배출구(120)는 일측의 코어 냉각수관(200)의 하부에 연결되어 배플관(210)의 하단으로 유입되어 코어 냉각수관(200)의 상부에서 분출된 후 코어 냉각수관(200)의 하부로 낙하하면서 하부코어(30)를 냉각시킨 냉각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코어 냉각장치.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관(210)의 외주면에는 조립성을 높이기 위한 다수의 방열돌기(2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코어 냉각장치.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관(210)의 외주면에는 배플관(210)의 외주면을 따라 길게 형성된 방열날개편(218)이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코어 냉각장치.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관(210)의 외주면에는 배플관(210)의 외주면을 따라 방열나선편(21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코어 냉각장치.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관(210)의 하단을 따라 외향플랜지(212)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 냉각수관(200)의 하단에는 배플관(210)의 외향플랜지(212)를 지지하는 제1지지턱(2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코어 냉각장치.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외향플랜지(212)의 하단에는 코어 냉각수관(200)의 하단에 밀착되게 오링캡(214)이 더 끼워지고, 상기 코어 냉각수관(200)의 하단에는 오링캡(214)을 지지하는 제2지지턱(215)이 형성되며, 상기 오링캡(214)과 코어 냉각수관(200) 사이와, 오링캡(214)과 하부원판(20) 사이에는 각각 오링(216,217)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코어 냉각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