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ING IMAGE ENCODING/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THROUGH DISTORTION BLOCK-BASED SECONDARY PREDICTION, AND A RECORDING MEDIUM THEREFO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영상 데이터 압축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상세하게는 왜곡 블록 중 하나를 참조로 왜곡 블록들에 대한 2차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 오차를 줄이는,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압축 기술의 발달은 영상 매체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특히 H.264/AVC 동영상 부호화 기술은 이전 표준에 비해 2배 정도의 압축 성능이 향상 되었다. 이 기술은 복합형 부호화 기술에 기초하여 시간 및 공간 영역에서의 부호화 단계를 제공한다. 시간적 영역에서의 부호화 단계는 참조 프레임의 이미지로부터의 움직임 보상 예측(Motion Compensated prediction)을 통해 중복성(temporal redundancy)이 감소된다. 움직임 보상 예측은 참조 프레임의 블록과 현재 부호화 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블록의 상관관계, 즉 움직임 벡터에 의해 결정되고 이를 통해 블록단위로 예측 이미지를 얻는다. 예측 이미지와 원본 이미지의 차로서 얻어진 예측 에러는 블록 단위로 정렬되고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후 양자화되어, DC 값을 나타내는 계수에서부터 시작하여 지그재그 스캐닝 방식으로 스캔 된다. 지그재그 스캐닝은 계수 어레이를 생성하게 되고 후속 부호화 단계는 CABAC 이나 CAVLC를 통해 최적화 될 수 있다. 하지만 블록 내의 예측 에러들이 서로 상관관계를 가질 때만, 즉 낮은 주파수 대역에 존재할 경우에만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DCT 변환에 의해 부호화 효율이 높다. 반면 공간 영역에서 약간만 상관되어 있는 경우 효율이 낮다. [문헌 1] Matthias Narroschke, Hans Georg Musmann "Adaptive prediction error coding in spatial and frequency domain for H.264/AVC" VCEG- AB06, 16-20 January, 2006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헌 1]은 기존의 주파수 영역에서 예측 에러(prediction error)를 부호화하는 방법에 DCT 변환을 하지 않고 공간적 영역에서 예측 에러(prediction error)를 부호화하는 방법을 추가하여, 예측 에러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할 것인지, 또는 부호화를 위해 예측 에러 신호를 공간 영역에서 유지할 것인지를 적응적으로 판단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도 1은 [문헌 1]에서 적응적으로 예측 에러(prediction error)를 부호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움직임 보상 예측을 통해 부호화 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예측 에러 신호를 얻는다(S101). 단계 S101에서 얻어진 예측 에러(prediction error)에 대하여, DCT 변환을 수행하고, 양자화를 한 후, 다시 역으로 양자화와 DCT 변환을 수행하여 왜곡(distortion)과 요구비율(rate)을 바탕으로 주파수 영역에서의 비용(cost)를 구한다(S102). 단계 S101에서 얻어진 예측 에러(prediction error)에 대하여, 양자화를 수행한 후, 역으로 양자화를 수행하여 왜곡(distortion)과 요구비율(rate)을 바탕으로 공간적 영역에서의 비용(cost)를 구한다(S103). 마지막으로, 단계 S102 및 S103에서 각각 구해진 주파수 영역에서의 비용과 공간적 영역에서의 비용을 비교하여, 비용이 더 낮은 부호화 방법을 선택하여 예측 에러 신호를 부호화한다(S104). 도 1의 방법에서는 DCT 변환을 수행하지 않을 때, DCT 변환을 할 경우보다 오히려 더 효과적인 경우가 존재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도 1의 방법으로 예측 에러(prediction error) 신호를 부호화 하는 기술은, H.264/AVC 동영상 부호화 기술과 비교해 더 높은 부호화 성능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블록 내 예측 에러 샘플이 공간 영역에서 상관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큰 에러와 작은 에러들이 불규칙 적으로 산재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방법 또한 효율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1차 예측시의 왜곡이 기준보다 큰 왜곡 블록들 중 하나를 참조하여 해당 왜곡 블록들에 대한 2차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예측 오차를 줄이는,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부호화 장치는, 입력 신호 및 예측 신호를 기반으로 1차 예측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 상기 1차 예측 에러 신호를 적응적으로 DCT 변환한 후 제 1 양자화하는 제 1 양자화부 상기 제 1 양자화된 신호를 역 양자화한 후 적응적으로 역 DCT 변환하여 구해진 신호의 왜곡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에 근거하여 블록 단위로 2차 예측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예측 판단부 상기 2차 예측이 필요한 해당 블록에 대해, 룩업 테이블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대표 블록을 각기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2차 예측 에러 신호를 생성하고 이 중 상대적으로 최저 비용의 신호를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로 선택하되, 상기 대표 블록은 상기 2차 예측이 필요한 모든 블록 중 적어도 첫 번째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으로 구성된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 상기 1차 예측 에러 신호의 제 1 비용 및 대응하는 상기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의 제 2 비용을 비교하는 비용 비교 단계 상기 비용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를 적응적으로 DCT 변환한 후 제 2 양자화하는 제 2 양자화부 및 상기 제 1 양자화된 신호 또는 상기 제 2 양자화된 신호를 부호화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는, 상기 비용 비교부에서 상기 제 2 비용이 상기 제 1 비용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1 비용에 해당하는 1차 예측 에러 신호의 블록을 상기 룩업 테이블에 대표 블록으로 순차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는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의 생성 시 참조된 해당 대표 블록의 순서 정보를 참조 블록 정보로 기록하고, 그 해당 대표 블록의 참조 빈도수를 증가시킨 후, 상기 빈도수를 기준으로 정렬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복호화 장치는, 입력 신호를 블록 단위로 1차 예측 부호화 신호인지 또는 2차 예측 부호화 신호인지 판별하는 블록 판별부 상기 판별된 1차 예측 부호화 신호를 제 1 역 양자화한 후 적응적으로 역 DCT 변환하는 제 1 역 양자화부 상기 판별된 1차 예측 부호화 신호가 대표 블록 신호이면 룩업 테이블에 순차 저장하는 테이블 저장부 상기 판별된 2차 예측 부호화 신호를 제 2 역 양자화한 후 적응적으로 역 DCT 변환하는 제 2 역 양자화부 상기 제 2 역 양자화부로부터 출력된 2차 예측 부호화 신호를, 이에 대응하여 수신된 상기 룩업 테이블의 순서 정보의 해당 대표 블록 신호를 참조하여, 1차 예측 부호화 신호로 생성하는 1차 예측 부호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 1 역 양자화부의 출력 신호 또는 상기 1차 예측 부호화 신호 생성부의 출력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테이블 저장부는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참조된 해당 대표 블록 신호의 참조 빈도수를 증가시킨 후 상기 빈도수를 기준으로 정렬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부호화 방법은, 입력 신호 및 예측 신호를 기반으로 1차 예측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예측 에러 신호 생성 단계 상기 1차 예측 에러 신호를 적응적으로 DCT 변환한 후 제 1 양자화하는 제 1 양자화 단계 상기 제 1 양자화된 신호를 역 양자화한 후 적응적으로 역 DCT 변환하여 구해진 신호의 왜곡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에 근거하여 블록 단위로 2차 예측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예측 판단 단계 상기 2차 예측이 필요한 해당 블록에 대해, 룩업 테이블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대표 블록을 각기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2차 예측 에러 신호를 생성하고 이 중 상대적으로 최저 비용의 신호를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로 선택하되, 상기 대표 블록은 상기 2차 예측이 필요한 모든 블록 중 적어도 첫 번째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으로 구성된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 단계 상기 1차 예측 에러 신호의 제 1 비용 및 대응하는 상기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의 제 2 비용을 비교하는 비용 비교 단계 상기 비용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를 적응적으로 DCT 변환한 후 제 2 양자화하는 제 2 양자화 단계 및 상기 제 1 양자화된 신호 또는 상기 제 2 양자화된 신호를 부호화하는 부호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용 비교 단계에서 상기 제 2 비용이 상기 제 1 비용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1 비용에 해당하는 1차 예측 에러 신호의 블록을 상기 룩업 테이블에 대표 블록으로 순차 추가하는 테이블 갱신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 갱신 단계는,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의 생성 시 참조된 해당 대표 블록의 순서 정보를 참조 블록 정보로 기록하고, 그 해당 대표 블록의 참조 빈도수를 증가시킨 후, 상기 빈도수를 기준으로 정렬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복호화 방법은, 입력 신호를 블록 단위로 1차 예측 부호화 신호인지 또는 2차 예측 부호화 신호인지 판별하는 판별 단계 상기 판별된 1차 예측 부호화 신호를 제 1 역 양자화한 후 적응적으로 역 DCT 변환하는 제 1 역 양자화 단계 상기 판별된 1차 예측 부호화 신호가 대표 블록 신호이면 룩업 테이블에 순차 저장하는 테이블 저장 단계 상기 판별된 2차 예측 부호화 신호를 제 2 역 양자화한 후 적응적으로 역 DCT 변환하는 제 2 역 양자화 단계 상기 제 2 역 양자화 단계로부터 출력된 2차 예측 부호화 신호를, 이에 대응하여 수신된 상기 룩업 테이블의 순서 정보의 해당 대표 블록 신호를 참조하여, 1차 예측 부호화 신호로 생성하는 1차 예측 부호화 신호 생성 단계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참조된 해당 대표 블록 신호의 참조 빈도수를 증가시킨 후 상기 빈도수를 기준으로 정렬하는 테이블 정렬 단계 및 상기 제 1 역 양자화 단계의 출력 신호 또는 상기 1차 예측 부호화 신호 생성 단계의 출력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된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부호화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된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복호화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문헌 1]에 따르면, 예측 에러에 대하여 주파수 영역 및 공간 영역에서 적응적으로 부호화 함으로써 기존의 H.264/AVC 동영상 부호화 기술과 비교해 더 높은 부호화 성능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블록 내 예측 에러 샘플이 공간 영역에서 상관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큰 에러와 작은 에러들이 불규칙 적으로 산재되어 있는 경우,의 방법 또한 여전히 효율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1차 예측 에러 신호 중 그룹을 대표하는 블록을 선정하므로, 부가 정보 비트가 발생하지 않고 기존의 기술보다 연산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주파수 영역 및 공간 영역에서의 적응적 부호화를 수행하여도 예측 오차가 큰 경우에 대해 추가적인 2차 예측을 수행한다. 추가적인 2차 예측 수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기존의 기술을 수행 시 예측 오차가 큰 경우를 구별해 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별 방법은, 주파수 및 공간 영역에서 예측 오차 신호를 부호화 했을 때 발생하는 왜곡(distortion)과 설정된 기준값으로서의 분계값 K와의 비교를 통해 이루어 진다. 분계값 K보다 왜곡이 작을 경우 예측 오차가 작아 압축 효율이 좋다고 판단하여 기존의 방법(APEC)으로 부호화 하고, 분계값 K보다 왜곡이 클 경우 예측 오차가 크다고 판단하며, 이러한 경우에 대해 추가적인 2차 예측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2차 예측은 왜곡이 큰 블록에 대하여 룩업 테이블에 기록된 참조 블록의 예측 에러 신호를 차감함으로써 이루어 진다. 참조 블록이란, 현재 부호화 하고자 하는 블록의 이전 블록 중 대표로 선택된 블록이며, 대표(참조) 블록의 예측 에러 신호와의 차감을 통해 비용(RD_cost)이 줄어들 수 있어야 한다. 참조 블록은 또 다른 블록에 대한 추가 예측 시 같은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슬라이스 혹은 한 프레임에서 분계값 K보다 왜곡이 큰 첫 번째 예측 에러 신호를 룩업테이블에 저장하며, 이는 첫 번째 참조 블록으로 설정된다. 룩업테이블은 저장된 예측 에러 신호에 대한 사용 빈도수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정렬된 순서대로 블록의 이름을 순서번호 대로 가진다. 첫 번째 이후의 왜곡이 큰 예측 에러 신호는 룩업테이블에 저장 되어 있는 모든 참조 블록의 예측 에러 신호로부터 차감되어 양자화 및 역양자화를 통해 각각 비용을 구하며, 가장 비용이 작은 경우와 2차 예측을 수행하기 전의 비용을 비교한다. 만약 2차 예측을 수행하지 않았을 때, 즉 1차 예측 후 의 비용이 더 작을 경우 룩업테이블에 블록의 예측 에러 신호를 추가하며, 참조 블록으로 사용한다. 1차 예측 후의 비용보다 2차 예측 후의 비용이 작을 경우, 2차 예측을 위해 사용된 룩업테이블의 예측 에러 신호의 빈도수를 증가시키고, 복호화를 위해 어떠한 블록의 예측 에러 신호를 사용하여 부호화 하였다는 블록명을 현재 부호화 하고자 하는 예측 에러 신호에 표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측 오차 신호의 복합형 부호화 기술을 이용하도록 적응 부호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영역에서 부호화 할 것인지, 공간 영역에서 부호화 할 것인지, 2차 예측을 통해 부호화 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이 결정은 라그랑주(Lagrange) 파라미터에 의해 가중되는 왜곡(distortion)과 요구 비율(rate)을 근거로 비용(cost)을 계산하고 비용이 최소가 되는 방법을 선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적 2차 예측 수행 시 요구 비율은 기존 기술의 요구 비율 연산 방법 외에 추가적으로 자신이 사용한 블록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 블록명의 비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영역에서 부호화 할 것인지, 공간 영역에서 부호화 할 것인지, 혹은 추가 예측 후 부호화 할 것인지에 대한 사이드 정보 신호가 발생하게 되는데, 8x8 블록에 대하여, 4x4블록 4개에 각각의 부호화 방법을 표기하기 위해 2비트씩 총 8비트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사이드 정보 신호를 최소화 하기 위해 부호화 방법에 대한 패턴 정보를 사용한다. 4개의 4x4블록 마다 각각 세가지 방법(주파수 영역, 공간영역, 추가 예측 방법)으로 부호화가 가능 하므로 총 81가지의 경우의 수를 가지게 된다. 앞서 언급한 8비트를 대신하여 81개의 패턴으로 나타내면 총 7비트로 표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이드 정보 신호를 최소화하여 압축 성능을 높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CABAC 등과 같은 부호화 메커니즘은에 대한 특정 코드는 주파수 영역의 계수 또는 공간 영역의 샘플에 대해 별도로 결정된 확률에 기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부호화 방법에 대응하는 복호화기를 제공한다. 부호화된 예측 에러 신호의 참조 블록 표시 여부를 판별하여 2차 예측에 따른 복호화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 참조 블록 표시가 없는 경우, [문헌 1]과 같은 방법으로 주파수 혹은 공간 영역에서 복호화 된다. 참조 블록 표기가 있는 경우, 룩업테이블에서 현재 복호화 하고자 하는 블록 명을 검색한다. 룩업테이블에 해당 블록 명이 없을 경우, 현재 복호화 하고자 하는 블록이 참조 블록으로 설정되며, 테이블 저장부에 의하여 예측 에러 신호는 룩업테이블에 저장된다. 예측 에러 신호는 [문헌 1]과 같은 방법으로 주파수 혹은 공간 영역에서 복호화 된다. 참조 블록 표기가 있으며, 블록 명이 이미 룩업 테이블에 존재할 경우, 룩업테이블로부터 해당 참조블록의 예측 에러 신호와 현재 복호화 하고자 하는 블록의 예측 에러 신호가 더해져 역 양자화부로 보내지며, 복호화 방법 선택 신호에 의하여 복호화기로 보내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의하면, 1차 예측시의 왜곡이 기준보다 큰 왜곡 블록들 중 하나를 참조하여 해당 왜곡 블록들에 대한 2차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예측 오차를 줄이는,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여, 기존의 주파수 영역 및 공간 영역에서의 적응적 부호화를 수행 하여도 예측 오차가 여전히 큰 경우에는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 오차를 현저하게 줄임으로써 압축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적응적으로 예측 에러(prediction error)를 부호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 도 3도 도 2의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의 세부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부호화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도 4의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 단계의 세부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룩업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예측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복호화 장치의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복호화 방법의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210), 제 1 양자화부(220), 역 양자화부(230), 제 2 예측 판단부(240),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250), 비용 비교부(260), 제 2 양자화부(270), 적응적 제어부(280), 및 엔트로피 부호화부(290)를 포함한다. 제 1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210)는 입력 신호에서 예측 신호를 감산하여 1차 예측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제 1 양자화부(220)는 1차 예측 에러 신호를 적응적으로 DCT 변환한 후 제 1 양자화하는 것으로, 1차 예측 에러 신호를 DCT 변환하는 DCT 변환부(221), DCT 변환된 신호를 양자화하는 양자화부(222), 및 1차 예측 에러 신호를 DCT 변환 없이 양자화하는 양자화부(223)를 포함한다. 역 양자화부(230)는 제 1 양자화부(220)의 출력 신호를 역 양자화한 후 적응적으로 역 DCT 변환하는 것으로, 양자화부(222)의 출력 신호를 역 양자화하는 역 양자화부(231), 역 양자화된 신호를 역 DCT 변환하는 역 DCT 변환부(232), 및 양자화부(223)의 출력 신호를 역 양자화하는 역 양자화부(233)를 포함한다. 제 2 예측 판단부(240)는 역 양자화부(230)의 출력 신호의 왜곡값 및 기 설정된 기준값에 근거하여 블록 단위로 2차 예측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 양자화부(230)의 출력 신호에 예측 신호를 가산하여 입력 신호를 재구성하는 입력신호 재구성부(241), 원 입력신호와 재구성된 입력신호를 비교하여 이들간의 차이로서 왜곡값을 구하고, 그 왜곡값이 기준값 이상인 1차 예측 신호의 블록을 2차 예측이 필요한 해당 블록으로 판단한다.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250)는 2차 예측이 필요한 해당 블록에 대해, 룩업 테이블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대표 블록을 각기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2차 예측 에러 신호를 생성하고 이 중 상대적으로 최저 비용의 신호를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로 선택하는 것으로, 여기서 대표 블록은 2차 예측이 필요한 모든 블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룩업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4x4 대표 블록의 블록 순서로서의 블록명, 블록이 예측 오차, 및 참조 빈도수를 포함할 수 있다. 비용 비교부(260)는 1차 예측 에러 신호의 제 1 비용 및 대응하는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의 제 2 비용을 비교하는 것으로,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250)는 비용 비교부(260)에서 구해진 제 2 비용이 제 1 비용보다 크다고 판단될 경우 제 1 비용에 해당하는 1차 예측 에러 신호의 블록을 룩업 테이블에 대표 블록으로 순차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250)는 룩업 테이블에서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의 생성 시 참조된 해당 대표 블록의 순서 정보를 참조 블록 정보로 기록하고, 그 해당 대표 블록의 참조 빈도수를 증가시킨 후, 그 빈도수를 기준으로 정렬할 수 있다. 제 2 양자화부(270)는 비용 비교부(260)에서의 비용 비교 결과 2차 예측시의 제 2 비용이 1차 예측 시의 제 1 비용보다 작다고 판단될 경우 이에 따라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250)로부터 출력되는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를 적응적으로 DCT 변환한 후 제 2 양자화한다. 적응적 제어부(280)는 1차 예측 에러 신호를 주파수 영역에서 양자화한 신호(A), 1차 예측 에러 신호를 공간 영역에서 양자화한 신호(B),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를 공간 영역에서 양자화한 신호(C), 및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를 주파수 영역에서 양자화한 신호(D) 중 하나를 왜곡과 요구비율을 근거로 선택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290)는 신호 A, B, C, D 중 적응적 제어부(280)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신호를 엔트로피 부호화한다. 도 3은 도 2의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250)의 세부 블록도로, 테이블 탐색부(251), 2차 예측에러 신호 생성부(253),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 선택부(255), 및 테이블 갱신 및 부가 정보 생성부(257)를 포함한다. 테이블 탐색부(251)는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대표 블록을 순차 탐색하여 출력한다. 2차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253)는 왜곡 비교부(242)에 의해 2차 예측이 필요한 것으로 분류된 1차 예측 에러 신호의 현재 블록(또는, 왜곡 블록이라 칭함)과 테이블 탐색부(251)로부터 순차 출력된 하나 이상의 대표 블록과의 차를 구해서 하나 이상의 2차 예측 에러 신호의 블록을 생성한다.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 선택부(255)는 2차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253)로부터 현재 왜곡 블록에 대해 생성된 하나 이상의 2차 예측 에러 신호의 블록 중 상대적으로 최소 비용인 하나의 블록을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로 선택한다. 테이블 갱신 및 부가 정보 생성부(257)는 비용 비교부(260)에서 구해진 비용에 근거하여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에 대한 2차 예측 비용이 이에 대응하는 1차 예측 비용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해당 1차 예측 에러 신호의 블록을 룩업 테이블에 대표 블록으로 순차 추가하고, 룩업 테이블에서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의 생성 시 참조된 해당 대표 블록의 순서 정보를 참조 블록 정보로 기록하며, 그 해당 대표 블록의 참조 빈도수를 증가시킨 후, 그 빈도수를 기준으로 정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부호화 방법의 흐름도로서, 일 예로 도 2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장치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도 4의 방법은,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예측 에러 신호 생성 단계(S410), 제 1 양자화 단계(S420), 제 2 예측 판단 단계(S430),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 단계(S440), 비용 비교 단계(S450), 제 2 양자화 단계(S460), 및 부호화 단계(S470)를 포함한다. 제 1 예측 에러 신호 생성 단계(S410)는 제 1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210)를 통해 입력 신호 및 예측 신호를 기반으로 1차 예측 에러 신호를 생성하고, 제 1 양자화 단계(S420)는 제 1 양자화부(220)를 통해 1차 예측 에러 신호를 적응적으로 DCT 변환한 후 제 1 양자화한다. 제 2 예측 판단 단계(S430)는 역 양자화부(230)를 통해 제 1 양자화된 신호를 역 양자화한 후 적응적으로 역 DCT 변환하고, 제 2 예측 판단부(S430)를 통해 역 양자화부(230)의 출력 신호의 왜곡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에 근거하여 블록 단위로 2차 예측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데, 입력신호 재구성부(241)를 통해서 역 양자화부(230)의 출력 신호에 예측 신호를 가산하여 입력 신호를 재구성하고, 왜곡 비교부(242)를 통해서 원 입력신호와 재구성된 입력신호를 비교하여 이들간의 차이로서 왜곡값을 구한 후, 그 왜곡값이 기준값 이상인 1차 예측 신호의 블록을 2차 예측이 필요한 해당 블록으로 판단한다.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 단계(S440)는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 부(250)를 통해 2차 예측이 필요한 해당 블록에 대해 룩업 테이블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대표 블록을 각기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2차 예측 에러 신호를 생성하고 이 중 상대적으로 최저 비용의 신호를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로 선택하고, 또한 룩업 테이블에서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의 생성 시 참조된 해당 대표 블록의 순서 정보를 참조 블록 정보로 기록하고, 그 해당 대표 블록의 참조 빈도수를 증가시킨 후, 그 빈도수를 기준으로 정렬한다. 비용 비교 단계(S450)는 비용 비교부(260)를 통해 1차 예측 에러 신호의 제 1 비용 및 대응하는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의 제 2 비용을 비교하는 비용 비교하고, 비용 비교부(260)에서 구해진 제 2 비용이 제 1 비용보다 크다고 판단될 경우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250)를 통해 제 1 비용에 해당하는 1차 예측 에러 신호의 블록을 룩업 테이블에 대표 블록으로 순차 추가한다. 제 2 양자화 단계(S460)는 비용 비교부(260)에서의 비용 비교 결과 2차 예측시의 제 2 비용이 1차 예측 시의 제 1 비용보다 작다고 판단될 경우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250)로부터 출력되는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를 제 2 양자화부(270)를 통해 적응적으로 DCT 변환한 후 제 2 양자화한다. 부호화 단계(S470)는 적응적 제어부(280)는 1차 예측 에러 신호를 주파수 영역에서 양자화한 신호(A), 1차 예측 에러 신호를 공간 영역에서 양자화한 신호(B),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를 공간 영역에서 양자화한 신호(C), 및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를 주파수 영역에서 양자화한 신호(D) 중 하나를 왜곡과 요구비율을 근거로 선택되면, 엔트로피 부호화부(290)를 통해 신호 A, B, C, D 중 선택된 하나의 신호를 엔트로피 부호화한다. 도 5는 도 4의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 단계(S440)의 세부 흐름도로, 일 예로 도 3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장치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도 5의 과정은 테이블 탐색 단계(S510), 2차 예측 에러 신호 생성 단계(S520),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 선택 단계(S530), 비용 비교 단계(S540), 테이블 갱신 및 부가 정보 생성 단계(S550)을 포함한다. 테이블 탐색 단계(S510) 먼저, 테이블 탐색부(251)는 룩업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예측 에러 신호(또는 대표 블록이라 칭함)를 순차 검색하여(S511),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예측 에러 신호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고(S512), 그 결과 룩업 테이블에 예측 에러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예측 에러 신호 중 2차 예측을 위해 사용하지 않은 예측 에러 신호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S513). 2차 예측 에러 신호 생성 단계(S520) 이어, 단계 S513에서 2차 예측을 위해 사용하지 않은 예측 에러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2차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253)는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는 1차 예측 에러 신호에서 룩업 테이블의 해당 예측 에러 신호를 감산하여 2차 예측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단계 S510-S511은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는 1차 예측 에러 신호에 대해 룩업 테이블내의 모든 예측에러 신호를 2차 예측을 위해 참조로 사용할 때까지 수행된다.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 선택 단계(S530) 이어,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 선택부(255)는 단계 S520에서 2차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253)를 통해 생성된 2차 예측 에러 신호를 양자화 및 역 양자화하여(S531) 비용을 연산하고(S532), 이전에 연산된 비용이 현재 연산된 비용보다 큰가를 판단한 후(S533), 이전에 연산된 비용이 크다면 이전의 연산 비용 및 2차 예측 에러 신호를 삭제하고 현재의 연산 비용 및 2차 예측 에러 신호를 저장한다(S534). 상술된 단계 S510-S530의 과정은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는 1차 예측 에러 신호에 대해 룩업 테이블내의 모든 예측에러 신호를 2차 예측을 위해 참조로 사용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되어, 생성된 하나 이상의 2차 예측 에러 신호 중 비용이 가장 작은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가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 선택부(255)에 의해 선택된다. 비용 비교 단계(S540) 비용 비교 단계(S540)는 단계 S513에서 2차 예측을 위해 사용하지 않은 예측 에러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즉 현재 블록에 대해 룩업 테이블내의 모든 예측에러 신호를 2차 예측을 위해 참조로 사용하였다면, 비용 비교부(260)를 통해 1차 예측 에러 신호의 제 1 비용 및 대응하는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의 제 2 비용(즉, 단계 S534에서 최종 저장된 비용)을 비교한다. 테이블 갱신 및 부가 정보 생성 단계(S550) 단계 S512에서 테이블에 저장된 예측 에러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거나, 단계 S540에서 1차 예측 에러 신호의 제 1 비용이 대응하는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의 제 2 비용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250)의 테이블 갱싱 및 부가 정보 생성부(257)를 통해 제 1 비용에 해당하는 1차 예측 에러 신호의 블록을 룩업 테이블에 대표 블록으로 순차 추가하고(S551), 추가된 해당 대표 블록의 순서 번호를 블록명으로 부여한다(S552). 또한, 단계 S540에서 차 예측 에러 신호의 제 1 비용이 대응하는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의 제 2 비용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250)의 테이블 갱싱 및 부가 정보 생성부(257)는 룩업 테이블에서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의 생성 시 참조된 해당 대표 블록의 순서 정보를 참조 블록 정보로 기록한 후(S553), 그 해당 대표 블록의 참조 빈도수를 증가시키고 그 빈도수를 기준으로 정렬한다(S554). 이어,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벡터 양자화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에 대해 부가 설명토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H.264/AVC 기술을 기본으로 하나, 기존 기술과 결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신호는 움직임 추정을 거치며 예측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움직임 추정에 기반하여 움직임 보상 예측이 수행되고, 제 1 예측 신호 생성부(210)는 예측 신호를 입력 신호로부터 차감하여 1차 예측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이로부터 생성되는 1차 예측 에러 신호를 DCT부(221)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양자화부(222)를 통해 양자화 한다. 양자화부(222)의 출력 신호는 역 양자화부(231)와 역 DCT부(232)를 통해 역 양자화 및 역 DCT 변화되어 움직임 보상 예측 위해 이용된다. 또한, 1차 예측 에러 신호는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지 않고 공간 영역에서 양자화부(223)로 보내 양자화 한 뒤, 주파수 영역과 공간 영역에서 부호화 한 1차 예측 에러 신호 A, B를 적응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1차 예측 에러 신호는 입력신호 재구성부(241)를 통해 예측 신호에 부가되어, 움직임 보상 및 움직임 추정을 위해 이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영역에서 양자화된 1차 예측 오차 신호와 공간 영역에서 양자화된 1차 예측 오차 신호의 왜곡이 큰 경우에 한하여 추가적인 2차 예측을 수행한다. 2차 예측 수행 여부 결정은 왜곡 비교부(242)에서 이루어지며, 왜곡 비교부(242)의 입력인 주파수 영역 및 공간 영역에서 양자화된 1차 예측 오차신호와 분계값 K와의 비교를 통해 판단한다. 분계값 K는 왜곡의 크고 적음에 대한 기준이 된다. 양자화된 1차 예측 오차 신호의 왜곡이 분계값 K보다 작은 경우, 왜곡이 적어 압축 효율이 좋다는 판단 하에 기존의 기술과 같은 방법으로 주파수 영역에서 부호화 하거나 공간 영역에서 부호화 한다. 반면 양자화된 1차 예측 오차 신호의 왜곡이 K보다 큰 경우, 왜곡이 커 압축 효율이 떨어진다는 판단 하에 2차 예측을 수행하여 압축 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도 7의 A와 같은 모든 블록에 대하여 상기 기술한 비교 방법을 통해 B와 같이 2차 예측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1차 예측 에러 신호의 왜곡이 큰 블록을 분류한다. B의 해칭된 블록은 왜곡이 커 추가 예측을 수행할 블록을 의미하며 2차 예측을 위해 해당 1차 예측 에러 신호는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250)로 보내진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왜곡이 큰 1차 예측 오차 신호가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250)로 들어오면 테이블 탐색부(251)에 의하여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예측 에러 신호를 검색한다. 만약 현재 부호화 하고자 하는 예측 에러 신호가 처음으로 2차 예측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룩업 테이블에는 아무런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 때문에 2차 예측이 수행될 수 없고, 현재 부호화 하고자 하는 최초의 1차 예측 에러 신호의 블록은 대표 블록으로 룩업 테이블에 바로 저장되며, 이는 후에 다른 예측 에러 신호들의 2차 예측을 위해 블록명이 '0'과 같이 부여되며, 이 1차 예측 에러 신호에 대하여 2차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블록임을 표기 하기 위해 도 7의 C와 같이 대표 블록임을 표기한다. 만약 현재 부호화 하고자 하는 예측 에러 신호가 처음으로 추가 예측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면, 룩업 테이블에는 하나 이상의 예측 에러 신호가 저장되어 있다. 2차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253)를 통해 룩업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예측 에러 신호와 현재 부호화 하고자 하는 블록의 1차 예측 에러 신호와의 차를 구해 2차 예측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S520). 예측 에러간의 차는 양자화 및 역양자화가 수행되고 룩업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던 대표 블록의 예측 에러 신호가 다시 더해진 후(S531), 2차 예측을 수행한 비용이 연산된다(S532). 비용을 비교하여(S533), 연산된 비용이 1차 예측을 통한 비용보다 클 경우 2차 예측 결과는 무시되며, 반대로 1차 예측을 통한 비용이 더 작을 경우 1차 예측을 통한 비용은 2차 예측을 수행한 결과로 대체되어 저장된다(S534). 이 과정을 완료하면 다시 테이블 탐색부(251)에 저장된 다음 순번의 대표 블록을 참조로 2차 예측이 수행된다. 위의 과정은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는 블록에 대해 룩업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대표 블록을 참조하여 수행되며, 그 중 가장 비용이 낮은 결과의 비용이 저장되고 이에 해당하는 2차 예측 에러 신호가 최종 2차 예측 에러 신호로 선택된다(S534). 또한 최종 2차 예측 에러 신호를 위해 사용된 대표 블록의 2차 예측 에러 신호는 참조 예측 에러 신호 블록(또는 참조 블록으로 칭함)으로 설정되며, 현재 부호화 하고자 하는 1차 예측 에러 신호에 해당 참조 블록 명이 추가로 부호화 된다. 만약 룩업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대표 블록의 예측 에러 신호를 통해 2차 예측을 수행 하더라도 1차 예측을 수행한 비용보다 높다면, 2차 예측을 수행한 결과는 사용되지 않으며, 현재 부호화 하고자 하는 예측 에러 신호를 룩업테이블에 대표 블록으로 추가 시키고, 이 대표 블록 정보를 표기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룩업테이블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테이블은 예측 오차 신호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블록의 이름 및 빈도수를 저장한다. 2차 예측을 위해 사용될 때 마다 빈도수는 증가하고, 이 빈도수를 기준으로 테이블은 순서대로 정렬된다. 블록 명은 이러한 순서에 따라 0부터 차례대로 부여되며, 순서가 증가할수록 블록 명을 표기하기 위한 비트수가 증가한다. 가장 빈도수가 높아 룩업테이블의 최상위에 위치한 예측 에러 신호는 블록명이'0'이며 이 정보를 표기하기 위해 1비트가 필요하고, 예를 들어 6번째에 있는 예측 에러 신호는 블록명이 '101'이며 3비트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영역에서 양자화된 예측 에러 신호와 공간 영역에서 양자화된 예측 오차 신호의 왜곡이 큰 경우에 한하여 2차 예측을 수행한다. 2차 예측 수행 후 2차 예측 수행에 따른 비용이 1차 예측에 따른 비용보다 큰 경우, 해당 1차 예측 에러 신호는 룩업테이블에 저장되며, 적응적 제어부(280)에 의하여, 1차 예측에 따른 주파수 영역 혹은 공간 영역에서의 부호화 방법이 A, B 중 하나가 선택된다. 만약 2차 예측에 따른 비용이 1차 예측에 따른 비용보다 작을 경우, 적응적 제어부(280)에 의하여 2차 예측을 수행하는 부호화 방법 C 또는 D가 선택된다. 2차 예측에 의한 비용은 상기 기술한 블록명을 표현하기 위한 비용이 포함된다. 도 2에서 A는 주파수 영역에서 양자화된 1차 예측 오차 신호, B는 공간 영역에서 양자화된 1차 예측 오차 신호를 나타내며, C는 공간 영역에서 양자화된 최적 2차 예측 오차 신호, D는 주파수 영역에서 양자화된 최적 2차 예측 오차 신호이다. 적응적 제어부(280)는 네가지 방법으로 부호화한 예측 에러 신호 A,B,C,D 중 비용(cost)을 최소로 하는 예측 오차 신호 하나를 선택하고, 엔트로피 부호화부(280)는 선택된 하나의 신호를 부호화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복호화 장치의 블록도로, 도 2의 부호화 장치와 대응하며, 블록 판별부(810), 제 1 역 양자화부(820), 테이블 저장부(830), 1차 예측 부호화 신호 생성부(840), 제 2 역 양자화부(850), 및 복호화부(860)를 포함한다. 블록 판별부(810)는 입력 신호를 블록 단위로 부가 정보(대표 블록과 참조 블록의 표기 여부)에 근거하여 1차 예측 부호화 신호인지 또는 2차 예측 부호화 신호인지 판별한다. 제 1 역 양자화부(820)는 판별된 1차 예측 부호화 신호를 제 1 역 양자화한 후 적응적으로 역 DCT 변환하는 것으로, 해당 신호가 주파수 영역에서 양자화된 부호화 신호이면 이에 대응하도록 역 양자화부(821)를 통해 역양자화하고 역 DCT 변환부(822)를 통해 역 DCT 변환한 후의 신호 A'를 출력하고, 해당 신호가 공간 영역에서 양자화된 부호화 신호이면 이에 대응하도록 역 양자화부(823)를 통해 역 양자화한 후의 신호 B'를 출력 한다. 테이블 저장부(830)는 판별된 1차 예측 부호화 신호가 대표 블록 신호이면 룩업 테이블에 순차 저장한다. 또한, 테이블 저장부(830)는 룩업 테이블에서 참조된 해당 대표 블록 신호의 참조 빈도수를 증가시킨 후 그 빈도수를 기준으로 정렬한다. 본 실시예의 룩업 테이블의 구성은 전술된 부호화 시 사용되는 룩업 테이블의 구성과 동일하다. 1차 예측 부호화 신호 생성부(840)는 판별된 2차 예측 부호화 신호(또는 제 2 역 양자화부(850)의 출력 신호)를, 이에 대응하여 수신된 룩업 테이블의 순서 정보의 해당 대표 블록 신호를 참조하여, 1차 예측 부호화 신호로 생성한다. 제 2 역 양자화부(850)는 1차 예측 부호화 신호 생성부(840)로부터 생성되어 출력된 1차 예측 부호화 신호(또는 판별된 2차 예측 부호화 신호)를 제 2 역 양자화한 후 적응적으로 역 DCT 변환하는 것으로, 해당 신호가 공간 영역에서 양자화된 부호화 신호이면 이에 대응하도록 역 양자화부(851)를 통해 역 양자화한 후의 신호 C'를 출력하고, 해당 신호가 주파수 영역에서 양자화된 부호화 신호이면 이에 대응하도록 역 양자화부(852)를 통해 역양자하고 역 DCT 변환부(853)를 통해 역 DCT 변환한 후의 신호 D'를 출력한다. 복호화부(860)는 상기 신호 A', B', C', D' 중에 복호화 방법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신호를 복호화한다. 상기 복호화 방법 선택 신호는 도 2의 적응적 제어부(280)와 대응하게 상기 신호 A', B', C', D'에 대한 비용 비교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역 양자화부(850)를 도 8과는 달리 1차 예측 부호화 신호 생성부(840)의 선단에 위치시켜 입력된 신호를 역양자화하고 적응적으로 역 DCT 변환한 후 그 출력 신호를 1차 예측 부호화 신호 생성부(840)의 입력으로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복호화 방법의 흐름도로, 일 예로 도 8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장치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블록 판별부(810)를 통해 입력 신호를 블록 단위로 1차 예측 부호화 신호인지 또는 2차 예측 부호화 신호인지 판별하고(S910), 그 판별된 1차 예측 부호화 신호를 제 1 역 양자화부(820)를 통해 제 1 역 양자화한 후 적응적으로 역 DCT 변환하여 신호 A'과 B'을 출력한다(S920). 이어, 블록 판별부(810)를 통해 판별된 1차 예측 부호화 신호가 대표 블록 신호이면 테이블 저장부(830)를 통해 그 대표 블록 신호를 룩업 테이블에 순차 저장한다(S930). 다음, 1차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840)는 룩업 테이블의 대표 블록 신호를 참조하여 블록 판별부(810)를 통해 판별된 2차 예측 부호화 신호(또는 제 2 역 양자화부(85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1차 예측 부호화 신호로 생성하는데, 수신된 부가 정보로서의 룩업 테이블의 순서 정보의 해당 대표 블록 신호를 해당 2차 예측 부호화 신호에 더하여 1차 예측 부호화 신호로 생성한다(S940). 다음, 테이블 저장부(830)는 룩업 테이블에서 참조된 해당 대표 블록 신호의 참조 빈도수를 증가시킨 후 상기 빈도수를 기준으로 정렬한다(S950). 다음, 제 2 역 양자화부(850)는 1차 예측 부호화 신호 생성부(840)로부터 생성되어 출력된 1차 예측 부호화 신호(또는 판별된 2차 예측 부호화 신호)를 제 2 역 양자화한 후 적응적으로 역 DCT 변환하는데, 예컨대 해당 신호가 공간 영역에서 양자화된 부호화 신호이면 이에 대응하도록 역 양자화부(851)를 통해 역 양자화한 후의 신호 C'를 출력하고, 해당 신호가 주파수 영역에서 양자화된 부호화 신호이면 이에 대응하도록 역 양자화부(852)를 통해 역양자화하고 역 DCT 변환부(853)를 통해 역 DCT 변환후의 신호 D'를 출력한다(S960). 마지막으로, 복호화부(860)를 통해 상기 신호 A', B', C', D' 중에 복호화 방법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신호를 복호화하는데, 상기 복호화 방법 선택 신호는 도 2의 적응적 제어부(280)와 대응하게 상기 신호 A', B', C', D'에 대한 비용 비교를 통해 생성된다(S1005).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와는 달리 단계 S940의 수행전에 단계 S960을 먼저 수행하고 이후 단계 S940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복호화 장치의 동작 및 이에 대응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토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된 부호화 장치/방법에 대응하는 복호화 장치/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 8의복호화 장치 및 도 9의 복호화 방법은 복호화를 위해 도 2의 부호화기에서 제공하는 룩업테이블과 동일한 룩업테이블을 제공한다. 부호화된 예측 에러 신호는 블록 표기 판별부(810)에 의하여 2차 예측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 참조 블록 표기가 없는 경우, 도 8의 제 1 역 양자화부(820)가 선택되어 [문헌 1]과 같이 주파수 영역 혹은 공간 영역에서 복호화 된다. 참조 블록 표기가 대표 예측 에러 신호를 나타내는 경우, 즉 복호화 하고자 하는 블록의 예측 에러 신호가 대표 블록으로 사용되는 경우 테이블 저장부(830)에 의하여 해당 예측 에러 신호는 룩업테이블에 저장되며, 도 8의 제 1 역 양자화부(820)가 선택되어 [문헌 1]과 같은 방법으로 복호화 된다. 현재 복호화 하고자 하는 블록이 2차 예측을 위해 룩업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을 참조 했다는 참조 블록 표기가 있는 경우, 도8의 1차 예측 부호화 신호 생성부(840)가 선택되며, 1차 예측 부호화 신호 생성부(840)는 테이블 저장부(830)의 룩업테이블로부터 해당 참조블록의 예측 에러 신호와 현재 복호화 하고자 하는 블록의 예측 에러 신호를 더해서 1차 예측 부호화 신호를 생성한 후, 제 2 역 양자화부(850)로 보내지며, 복호화 방법 선택 신호에 의하여 복호화부(860)로 보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CABAC 또는 CAVLC에 따른 복호화와 스캐닝은 기존 기술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한다. 도 4-5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부호화 방법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복호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 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영상데이터 압축 기술 분야에 적용되어, 1차 예측에러 신호의 왜곡이 큰 경우 왜곡 블록기반 2차 예측을 수행하고 적응적으로 DCT 변환을 수행하여 예측 오차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매우유용한 발명이다.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 본 특허출원은 2009년 11월 24일 한국에 출원한 특허출원번호 제 10-2009-0113919호에 대해 미국 특허법 119(a)조(35 U.S.C § 119(a))에 따라 우선권을 주장하면, 그 모든 내용은 참고문헌으로 본 특허출원에 병합된다. 아울러, 본 특허출원은 미국 이외에 국가에 대해서도 위와 동일한 동일한 이유로 우선권을 주장하면 그 모든 내용은 참고문헌으로 본 특허출원에 병합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ing image encoding/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through distortion block-based secondary prediction, and a recording medium therefor, in which the prediction error is reduced by performing secondary prediction on the distortion blocks with reference to one of the distortion blocks. In particular, the method comprises: generating a primary prediction error signal based on an input signal and a predicted signal; performing adaptive DCT transform followed by first quantization on the primary prediction error signal; deciding whether secondary prediction is necessary, based on a distortion value of a signal that is obtained through inverse quantization followed by adaptive inverse DCT transform of the first quantization signal; generating at least one secondary prediction error signal for a corresponding block that needs the secondary prediction by referring to at least one representative block recorded in a lookup table, and then selecting one of the generated signals with a relatively low cost as an optimum, secondary prediction error signal; comparing a first cost of the primary prediction error signal with a second cost of the optimum, secondary prediction error signal; performing adaptive DCT transform followed by second quantization on the optimum, secondary prediction error signal, depending on the cost comparison result; and encoding the first quantized signal or the second quantized signal. 입력 신호 및 예측 신호를 기반으로 1차 예측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 상기 1차 예측 에러 신호를 적응적으로 DCT 변환한 후 제 1 양자화하는 제 1 양자화부; 상기 제 1 양자화된 신호를 역 양자화한 후 적응적으로 역 DCT 변환하여 구해진 신호의 왜곡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에 근거하여 블록 단위로 2차 예측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예측 판단부; 상기 2차 예측이 필요한 해당 블록에 대해, 룩업 테이블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대표 블록을 각기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2차 예측 에러 신호를 생성하고 이 중 상대적으로 최저 비용의 신호를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로 선택하되, 상기 대표 블록은 상기 2차 예측이 필요한 모든 블록 중 적어도 첫 번째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으로 구성된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 상기 1차 예측 에러 신호의 제 1 비용 및 대응하는 상기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의 제 2 비용을 비교하는 비용 비교부; 상기 비용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를 적응적으로 DCT 변환한 후 제 2 양자화하는 제 2 양자화부; 및 상기 제 1 양자화된 신호 또는 상기 제 2 양자화된 신호를 부호화하는 부호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부호화 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는, 상기 비용 비교부에서 상기 제 2 비용이 상기 제 1 비용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1 비용에 해당하는 1차 예측 에러 신호의 블록을 상기 룩업 테이블에 대표 블록으로 순차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부호화 장치.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부는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의 생성 시 참조된 해당 대표 블록의 순서 정보를 참조 블록 정보로 기록하고, 그 해당 대표 블록의 참조 빈도수를 증가시킨 후, 상기 빈도수를 기준으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부호화 장치. 입력 신호를 블록 단위로 1차 예측 부호화 신호인지 또는 2차 예측 부호화 신호인지 판별하는 블록 판별부; 상기 판별된 1차 예측 부호화 신호를 제 1 역 양자화한 후 적응적으로 역 DCT 변환하는 제 1 역 양자화부; 상기 판별된 1차 예측 부호화 신호가 대표 블록 신호이면 룩업 테이블에 순차 저장하는 테이블 저장부; 상기 판별된 2차 예측 부호화 신호를 제 2 역 양자화한 후 적응적으로 역 DCT 변환하는 제 2 역 양자화부; 상기 제 2 역 양자화부로부터 출력된 2차 예측 부호화 신호를, 이에 대응하여 수신된 상기 룩업 테이블의 순서 정보의 해당 대표 블록 신호를 참조하여, 1차 예측 부호화 신호로 생성하는 1차 예측 부호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 1 역 양자화부의 출력 신호 또는 상기 1차 예측 부호화 신호 생성부의 출력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 저장부는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참조된 해당 대표 블록 신호의 참조 빈도수를 증가시킨 후 상기 빈도수를 기준으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복호화 장치. 입력 신호 및 예측 신호를 기반으로 1차 예측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예측 에러 신호 생성 단계; 상기 1차 예측 에러 신호를 적응적으로 DCT 변환한 후 제 1 양자화하는 제 1 양자화 단계; 상기 제 1 양자화된 신호를 역 양자화한 후 적응적으로 역 DCT 변환하여 구해진 신호의 왜곡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에 근거하여 블록 단위로 2차 예측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예측 판단 단계; 상기 2차 예측이 필요한 해당 블록에 대해, 룩업 테이블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대표 블록을 각기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2차 예측 에러 신호를 생성하고 이 중 상대적으로 최저 비용의 신호를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로 선택하되, 상기 대표 블록은 상기 2차 예측이 필요한 모든 블록 중 적어도 첫 번째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으로 구성된 제 2 예측 에러 신호 생성 단계; 상기 1차 예측 에러 신호의 제 1 비용 및 대응하는 상기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의 제 2 비용을 비교하는 비용 비교 단계; 상기 비용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를 적응적으로 DCT 변환한 후 제 2 양자화하는 제 2 양자화 단계; 및 상기 제 1 양자화된 신호 또는 상기 제 2 양자화된 신호를 부호화하는 부호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부호화 방법.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 비교 단계에서 상기 제 2 비용이 상기 제 1 비용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1 비용에 해당하는 1차 예측 에러 신호의 블록을 상기 룩업 테이블에 대표 블록으로 순차 추가하는 테이블 갱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부호화 방법.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갱신 단계는,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최적 2차 예측 에러 신호의 생성 시 참조된 해당 대표 블록의 순서 정보를 참조 블록 정보로 기록하고, 그 해당 대표 블록의 참조 빈도수를 증가시킨 후, 상기 빈도수를 기준으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부호화 방법. 입력 신호를 블록 단위로 1차 예측 부호화 신호인지 또는 2차 예측 부호화 신호인지 판별하는 판별 단계; 상기 판별된 1차 예측 부호화 신호를 제 1 역 양자화한 후 적응적으로 역 DCT 변환하는 제 1 역 양자화 단계; 상기 판별된 1차 예측 부호화 신호가 대표 블록 신호이면 룩업 테이블에 순차 저장하는 테이블 저장 단계; 상기 판별된 2차 예측 부호화 신호를 제 2 역 양자화한 후 적응적으로 역 DCT 변환하는 제 2 역 양자화 단계; 상기 제 2 역 양자화 단계로부터 출력된 2차 예측 부호화 신호를, 이에 대응하여 수신된 상기 룩업 테이블의 순서 정보의 해당 대표 블록 신호를 참조하여, 1차 예측 부호화 신호로 생성하는 1차 예측 부호화 신호 생성 단계;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참조된 해당 대표 블록 신호의 참조 빈도수를 증가시킨 후 상기 빈도수를 기준으로 정렬하는 테이블 정렬 단계; 및 상기 제 1 역 양자화 단계의 출력 신호 또는 상기 1차 예측 부호화 신호 생성 단계의 출력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복호화 방법.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부호화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제 8 항의 상기 왜곡 블록 기반 2차 예측을 통한 동영상 복호화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