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 SAVING SUPPORT APPARATUS OF RADIO REPEATER AND SUPPORT METHOD THEREFOR

02-10-2014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WO2014157754A1
Принадлежит: (주) 다보링크
Контакты:
Номер заявки: KR26-00-201315
Дата заявки: 29-03-2013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 및 그 지원방법
[1]

본 발명은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 및 그 지원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a/b/g/n/ac 무선중계기들이 설치된 환경에서 주변의 무선중계기들에 대한 가상의 그룹을 생성하고, 생성된 그룹에 기초하여 각각의 무선중계기에 대한 최적의 전원절약 모드를 제공하는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 및 그 지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2]

최근, 휴대폰, 스마트폰 등을 이용한 무선통신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각각의 무선 단말기와 서버 사이의 무선 서비스를 중계하는 무선중계기의 설치 또한 확장되고 있다.

[3]

그런데, 이와 같은 무선중계기들은 무선 단말기에 항시적으로 무선서비스를 중계하는 것은 아니므로, 각각의 무선중계기의 서비스 시간, 무선자원 할당량 등을 고려하여 무선 서비스를 중계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절약 모드로 전환하여 효율적으로 무선자원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4]

일반적으로 무선중계기에 대한 전원절약 관리는, 복수의 무선중계기를 그룹으로 설정하고 관리자가 직접 각각의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모드를 설정하여 관리한다.

[5]

그러나, 이와 같은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관리방법은 동일한 그룹 내에 속하는 무선중계기라 하더라도 원거리에 설치된 무선중계기를 관리자가 직접 관리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각각의 무선중계기에 대한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6]

[선행기술문헌]

[7]

[특허문헌]

[8]

(특허문헌 1) 공개특허 제10-2004-0051408호 (공개일자: 2004년 06월 18일)

[9]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IEEE 802.11a/b/g/n/ac 무선중계기들이 설치된 환경에서 주변의 무선중계기들에 대한 가상의 그룹을 생성하고, 생성된 그룹에 기초하여 각각의 무선중계기에 대한 최적의 전원절약 모드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 및 그 지원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0]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는, 주변의 무선중계기들의 각각으로부터 인접한 무선중계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 정보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각각의 무선중계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중계기의 그룹을 형성하는 그룹형성부; 그룹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중계기의 그룹 내에서 리더를 설정하는 리더설정부; 및 그룹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중계기의 그룹 중 리더설정부에 의해 리더로 설정된 무선중계기 이외의 나머지 다른 무선중계기에 대하여 전원절약 모드를 제공하는 모드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

여기서, 정보수신부는, 초기시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주기로 주변의 무선중계기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12]

그룹형성부는, 각각의 무선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통신이 연결되는 무선중계기를 동일한 그룹으로 형성한다.

[13]

전술한 전원절약 지원장치는, 각각의 무선중계기의 인접한 무선중계기의 수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부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리더설정부는 가중치부여부에 의해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그룹 내에서 최상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를 리더로 설정한다.

[14]

전술한 전원절약 지원장치는, 동일한 그룹 내에서 최상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가 둘 이상인 경우, 해당 무선중계기에 대한 수신감도 및 노이즈를 순차적으로 비교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리더설정부는 비교부에 의해 비교되는 수신감도 및 노이즈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동일한 그룹 내의 리더를 설정한다.

[15]

전술한 전원절약 지원장치는, 그룹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중계기 그룹 내의 무선중계기의 수가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가중치부여부에 의해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그룹 내의 최하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를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로 설정하는 선택동작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6]

비교부는 동일한 그룹 내에서 최하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가 둘 이상인 경우에 해당 무선중계기에 대한 수신감도 및 노이즈를 순차적으로 비교하며, 선택동작설정부는 비교부에 의해 비교되는 수신감도 및 노이즈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동일한 그룹 내의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를 설정할 수 있다.

[17]

모드제공부는, 선택동작설정부에 의해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로 설정된 무선중계기에 대하여 리더로 설정된 무선중계기와 동일한 동작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18]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방법은,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방법에 있어서, 주변의 무선중계기들의 각각으로부터 인접한 무선중계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정보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각각의 무선중계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중계기의 그룹을 형성하는 단계; 그룹 형성단계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중계기의 그룹 내에서 리더를 설정하는 단계; 및 그룹 형성단계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중계기의 그룹 중 리더 설정단계에 의해 리더로 설정된 무선중계기 이외의 나머지 다른 무선중계기에 대하여 전원절약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9]

정보 수신단계는, 초기시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주기로 주변의 무선중계기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20]

그룹 형성단계는, 각각의 무선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통신이 연결되는 무선중계기를 동일한 그룹으로 형성한다.

[21]

전술한 전원절약 지원방법은, 각각의 무선중계기의 인접한 무선중계기의 수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리더 설정단계는 가중치 부여단계에 의해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그룹 내에서 최상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를 리더로 설정한다.

[22]

전술한 전원절약 지원방법은, 동일한 그룹 내에서 최상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가 둘 이상인 경우, 해당 무선중계기에 대한 수신감도 및 노이즈를 순차적으로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리더 설정단계는 비교되는 수신감도 및 노이즈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동일한 그룹 내의 리더를 설정한다.

[23]

전술한 전원절약 지원방법은, 그룹 형성단계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중계기 그룹 내의 무선중계기의 수가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가중치 부여단계에 의해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그룹 내의 최하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를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4]

전술한 전원절약 지원방법은, 동일한 그룹 내에서 최하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가 둘 이상인 경우, 해당 무선중계기에 대한 수신감도 및 노이즈를 순차적으로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동작 설정단계는 비교되는 수신감도 및 노이즈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동일한 그룹 내의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를 설정한다.

[25]

전원절약 모드 제공단계는, 선택동작 설정단계에 의해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로 설정된 무선중계기에 대하여 리더로 설정된 무선중계기와 동일한 동작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26]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27]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각각의 무선중계기에 대하여 그룹을 형성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28]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29]

도 4는 각각의 무선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인접한 무선중계기에 대한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30]

도 5 내지 도 8은 도 4에 나타낸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을 형성하고, 그룹 내의 리더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31]

도 9는 그룹 내의 무선중계기의 수가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32]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3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 및 그 전원절약 지원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34]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3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100)는 주변의 무선중계기들의 각각으로부터 설정된 주기로 인접한 무선중계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의 무선중계기의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36]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절약 지원장치(100)의 주변에 건물 A, 건물 B 및 건물 C가 존재하며, 건물 A 내에는 A-1, A-2, A-3, A-4 및 A-5의 무선중계기가 설치되어 있고, 건물 B 내에는 B-1, B-2, B-3 및 B-4의 무선중계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건물 C 내에는 C-1, C-2, C-3, C-4 및 C-5의 무선중계기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전원절약 지원장치(100)는 각각의 무선중계기의 위치와 관계없이, 각각의 무선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인접한 무선중계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새로운 가상의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100)가 가상의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은 후술한다.

[37]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100)는 시간구간, 날짜구간, 서비스 이력 등에 기초하여 전원절약 모드 동작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중계기를 통한 무선중계 서비스가 거의 없는 야간의 특정 시간대를 설정하여 전원절약 모드 동작을 운용하거나, 휴일이나 공휴일 등의 특정날짜를 입력하여 전원절약 모드 동작을 운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중계기가 무선 단말에 대한 무선랜 서비스 이력이 일정시간 이상 없을 경우, 해당 서비스 시간대에 전원절약 모드 동작을 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원절약 모드 동작의 관리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38]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39]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100)는 정보수신부(110), 그룹형성부(120), 리더설정부(130), 모드제공부(140), 가중치부여부(150), 비교부(160) 및 선택동작설정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40]

정보수신부(110)는 주변의 무선중계들의 각각으로부터 인접한 무선중계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정보수신부(110)는 초기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주변의 무선중계기들로부터 인접한 무선중계기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절약 지원장치(100)를 부팅 또는 리셋하거나 관리자가 기준시점을 설정하는 경우, 정보수신부(110)는 부팅 또는 리셋 후의 특정시점 또는 설정된 기준시점으로부터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주변의 무선중계기들로부터 각각에 인접한 무선중계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인접한 무선중계기에 대한 정보라 함은, 어느 하나의 무선중계기가 적어도 하나의 무선중계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경우에 해당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중계기에 대한 정보로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중계기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41]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100)의 주변에 무선중계기 1, 2, 3, 4, 5 및 6이 존재하는 경우, 정보수신부(110)는 각각의 무선중계기로부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인접한 무선중계기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빗금으로 표시한 무선중계기는 인접한 무선중계기의 정보를 전송하는 개별 무선중계기를 의미하며, 빗금이 없는 무선중계기는 각각의 무선중계기가 전송하는 인접한 무선중계기의 식별정보를 의미한다. 즉, 무선중계기 1로부터 수신한 정보는 무선중계기 1이 무선중계기 2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무선중계기 2로부터 수신한 정보는 무선중계기 2가 무선중계기 1 및 무선중계기 3과 무선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무선중계기 3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는 무선중계기 3이 무선중계기 2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무선중계기 4 내지 무선중계기 6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42]

그룹형성부(120)는 정보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되는 각각의 무선중계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중계기의 그룹을 형성한다. 이때, 그룹형성부(120)는 각각의 무선중계기로부터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무선통신이 연결되는 무선중계기를 동일한 그룹으로 형성할 수 있다.

[43]

정보수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각각의 무선중계기에 대한 인접한 무선중계기의 정보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우, 그룹형성부(120)는 무선중계기 1로부터 수신한 인접 무선중계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중계기 1과 무선통신이 연결되는 무선중계기 2를 묶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룹 A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그룹형성부(12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중계기 2로부터 수신한 인접 무선중계기의 정보 즉, 무선중계기 2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중계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할당된 그룹 A를 수정할 수 있다. 즉, 무선중계기 2로부터 수신한 인접 무선중계기의 정보는 무선중계기 1 및 무선중계기 3이므로, 그룹형성부(120)는 이미 할당된 그룹 A에 무선중계기 3을 추가하여 그룹 A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그룹형성부(120)는 무선중계기 3으로부터 수신한 인접한 무선중계기의 정보를 참조하는 경우, 해당 인접한 무선중계기는 그룹 A에 모두 포함되어 있으므로, 그룹 A는 그대로 유지된다.

[44]

한편, 그룹형성부(120)는 무선중계기 4로부터 수신한 인접한 무선중계기의 정보를 참조하는 경우, 무선중계기 4와 무선통신이 연결되는 무선중계기는 무선중계기 5 및 무선중계기 6으로서 그룹 A 내의 무선중계기와 전혀 무관하므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무선중계기 4, 무선중계기 5 및 무선중계기 6을 새로운 무선중계기의 그룹 B로 할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무선중계기 5 및 무선중계기 6으로부터 수신한 각각의 인접한 무선중계기의 정보를 참조하면, 형성된 그룹 B는 무선중계기 4, 무선중계기 5 및 무선중계기 6으로 그대로 유지된다.

[45]

이와 같은 방법으로 그룹형성부(1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인접한 무선중계기의 정보에 대하여, 그룹 A 및 그룹 B의 두 개의 무선중계기의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46]

리더설정부(130)는 그룹형성부(120)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중계기의 그룹 내에서 리더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은 인접한 무선중계기의 정보에 대하여, 리더설정부(130)는 그룹형성부(120)에 의해 형성된 그룹 A 및 그룹 B에 대한 각각의 리더를 설정할 수 있다.

[47]

모드제공부(140)는 그룹형성부(120)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중계기의 그룹 중 리더설정부(130)에 의해 리더로 설정된 무선중계기 이외의 나머지 다른 무선중계기에 대하여 전원절약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모드제공부(140)는 리더설정부(130)에 의해 리더로 설정된 무선중계기 이외의 나머지 무선중계기는 전원절약 모드로 천이함으로써 그룹 내의 각각의 무선중계기의 전원모드를 최적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48]

가중치부여부(150)는 그룹 내의 각각의 무선중계기에 대한 인접한 무선중계기의 수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무선중계기에 대한 인접한 무선중계기의 정보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우, 가중치부여부(150)는 무선중계기 1에 대해서는 인접한 무선중계기의 수가 1이므로 가중치 1을 부여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무선중계기 2에 대해서는 가중치 2를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룹형성부(120)에 의해 형성된 그룹 A 내의 무선중계기들 중에서는 무선중계기 2의 가중치가 최상위이므로, 리더설정부(130)는 무선중계기 2를 그룹 A의 리더로 설정할 수 있다.

[49]

한편, 도 4와 같은 인접한 무선중계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형성되는 그룹 B의 경우, 무선중계기 4의 인접한 무선중계기의 수는 2이며 마찬가지로 무선중계기 6의 인접한 무선중계기의 수도 2이므로, 그룹 내에서 둘 이상의 무선중계기가 동일한 최상위의 가중치를 가질 수 있다.

[50]

이 경우, 비교부(160)는 그룹 내의 동일한 최상위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에 대하여 수신감도 및 노이즈를 순차적으로 비교하며, 리더설정부(130)는 비교부(160)에 의해 비교되는 수신감도 및 노이즈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그룹 내의 리더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그룹 B 내에서 무선중계기 4의 무선중계기 6에 대한 수신감도는 -60이며, 무선중계기 6의 무선중계기 4에 대한 수신감도는 -40인 경우, 리더설정부(130)는 그룹 B 내에서 수신감도가 좋은 무선중계기 6을 그룹 B 내의 리더로 설정할 수 있다. 만일, 무선중계기 4 및 무선중계기 6의 수신감도도 서로 동일한 경우, 리더설정부(130)는 각각의 무선중계기의 무선채널 노이즈를 측정하고 측정된 노이즈가 적은 무선중계기를 리더로 설정할 수 있다.

[51]

도 9는 그룹 내의 무선중계기의 수가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52]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룹형성부(120)에 의해 형성되는 그룹 내의 무선중계기의 수가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선택동작설정부(170)는 가중치부여부(150)에 의해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그룹 내의 최하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를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는 해당 그룹 내에서 리더로 설정된 무선중계기와 동일한 동작모드로 운용되는 무선중계기를 말한다. 선택동작설정부(170)가 그룹 내의 최하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를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로 설정하는 이유는, 실험결과 그룹 내의 최상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와 최하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 사이의 무선통신 연결이 가장 불안정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때, 동일한 그룹 내에서 최하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가 둘 이상인 경우, 비교부(160)는 각각의 최하의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의 수신감도 및 노이즈를 순차적으로 비교하며, 선택동작설정부(170)는 비교부(160)에 의해 비교되는 수신감도 및 노이즈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동일한 그룹 내의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를 설정할 수 있다.

[53]

도 9의 경우, 무선중계기 1 내지 무선중계기 10으로 구성된 그룹 내에서 최상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는 무선중계기 1이므로, 리더설정부(130)는 무선중계기 1을 리더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선택동작설정부(170)는 그룹 내의 최하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 2, 무선중계기 3, 무선중계기 5 및 무선중계기 10 중 리더로 설정된 무선중계기 1과 가장 먼 거리에 떨어져 수신감도가 가장 약한 무선중계기 10을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드제공부(140)는 리더로 설정된 무선중계기 1과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로 설정된 무선중계기 10을 동일한 동작모드로 운용하며, 그룹 내의 나머지 무선중계기들은 전원절약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드제공부(140)는 리더로 설정된 무선중계기와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로 설정된 무선중계기의 무선출력을 최대로 유지시키며, 그룹 내의 나머지 무선중계기들은 전원절약 모드로 천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4]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100)가 전원절약 모드로 동작하더라도 무선 단말에 대한 서비스가 개시되면, 전원절약 지원장치(100)는 전원절약 모드 동작을 해제하며 무선 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수행한다. 즉, 그룹 내의 리더 또는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는 무선단말로부터 무선랜 서비스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해당 서비스에 대한 요청신호를 전원절약 지원장치(100)에 전송하고, 해당 그룹 내의 다른 무선중계기들에 대한 전원절약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55]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56]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전원절약 지원장치(100)는 주변의 각각의 무선중계기로부터 인접한 무선중계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102).

[57]

전원절약 지원장치(100)는 각각의 무선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인접 무선중계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무선통신이 연결되는 무선중계기들의 그룹을 형성한다(S104).

[58]

이때, 전원절약 지원장치(100)는 그룹 내의 각각의 무선중계기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중계기의 수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S106).

[59]

전원절약 지원장치(100)는 동일한 그룹 내의 무선중계기의 수가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S108), 최하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의 수가 둘 이상인지를 판단하며(S110), 최하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의 수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최상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와의 수신감도 및 무선채널 노이즈 중의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를 설정할 수 있다(S112).

[60]

또한, 최하위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가 하나인 경우에는 해당 무선중계기를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로 설정할 수 있다(S114).

[61]

여기서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를 설정하는 기준이 되는 그룹 내의 무선중계기의 수는 해당 그룹의 각각의 무선중계기 사이의 수신감도, 노이즈, 각각의 무선중계기 사이의 거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다.

[62]

전원절약 지원장치(100)는 그룹 내의 최상위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가 둘 이상인 경우(S116), 해당 무선중계기들 사이의 수신감도 및 노이즈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리더를 설정할 수 있다(S118). 그룹 내의 최상위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가 하나인 경우, 전원절약 지원장치(100)는 해당 무선중계기를 그룹 내의 리더로 설정한다(S120).

[63]

여기서, 도면에는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를 먼저 설정하고 그 이후에 리더를 설정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동작이 순차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실질적인 운용상에서는 그룹 내의 리더를 먼저 결정하고 그 이후에 선택동작 무선중계기의 설정여부 판단 및 그 설정과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64]

전원절약 지원장치(100)는 그룹 내의 리더 및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로 설정된 무선중계기 이외의 무선중계기는 전원절약 모드로 천이하여 운용하며, 리더 및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로 설정된 무선중계기는 무선출력을 최대로 변경하여 운용한다(S122).

[65]

이와 같은 전원절약 모드는 무선단말로부터 무선서비스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리더 또는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로 설정된 무선중계기가 그룹 내의 나머지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종료된다.

[66]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의 무선중계기들에 대하여 가상의 그룹을 생성하고, 생성된 그룹에 기초하여 각각의 무선중계기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최적의 전원절약 모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67]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절약 지원장치가 각각의 무선중계기들이 전원절약 모드에서 깨어나기 위한 조건을 그룹단위로 운용하기 때문에, 각각의 무선중계기들이 무선서비스를 재시작하기 위하여 전원절약 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천이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전원절약 모드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68]



[1]

Disclosed are a power saving support apparatus of a radio repeater and a support method therefor. The power saving support apparatus of a radio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n adjacent radio repeater from each of peripheral radio repeaters; a group formation unit for forming a group of radio repeaters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on each radio repeater received by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a leader setting unit for setting a leader in the group of radio repeaters formed by the group formation unit; and a mod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power saving mode to radio repeaters, other than a radio repeater set as a leader by the leader setting unit, in the group of radio repeaters formed by the group formation unit.

[2]



주변의 무선중계기들의 각각으로부터 인접한 무선중계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

상기 정보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각각의 무선중계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중계기의 그룹을 형성하는 그룹형성부;

상기 그룹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중계기의 그룹 내에서 리더를 설정하는 리더설정부; 및

상기 그룹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중계기의 그룹 중 상기 리더설정부에 의해 리더로 설정된 무선중계기 이외의 나머지 다른 무선중계기에 대하여 전원절약 모드를 제공하는 모드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신부는,

초기시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주기로 주변의 무선중계기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형성부는,

각각의 무선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통신이 연결되는 무선중계기를 동일한 그룹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무선중계기의 인접한 무선중계기의 수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부여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더설정부는 상기 가중치부여부에 의해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그룹 내에서 최상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를 리더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

제4항에 있어서,

동일한 그룹 내에서 최상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가 둘 이상인 경우, 해당 무선중계기에 대한 수신감도 및 노이즈를 순차적으로 비교하는 비교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더설정부는 상기 비교부에 의해 비교되는 수신감도 및 노이즈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동일한 그룹 내의 리더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중계기 그룹 내의 무선중계기의 수가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상기 가중치부여부에 의해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그룹 내의 최하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를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로 설정하는 선택동작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동일한 그룹 내에서 최하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가 둘 이상인 경우, 해당 무선중계기에 대한 수신감도 및 노이즈를 순차적으로 비교하며,

상기 선택동작설정부는 상기 비교부에 의해 비교되는 수신감도 및 노이즈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동일한 그룹 내의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제공부는,

상기 선택동작설정부에 의해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로 설정된 무선중계기에 대하여 상기 리더로 설정된 무선중계기와 동일한 동작 모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방법에 있어서,

주변의 무선중계기들의 각각으로부터 인접한 무선중계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각각의 무선중계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중계기의 그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그룹 형성단계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중계기의 그룹 내에서 리더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 형성단계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중계기의 그룹 중 상기 리더 설정단계에 의해 리더로 설정된 무선중계기 이외의 나머지 다른 무선중계기에 대하여 전원절약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방법.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단계는,

초기시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주기로 주변의 무선중계기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방법.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형성단계는,

각각의 무선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통신이 연결되는 무선중계기를 동일한 그룹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방법.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무선중계기의 인접한 무선중계기의 수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더 설정단계는 상기 가중치 부여단계에 의해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그룹 내에서 최상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를 리더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방법.

제12항에 있어서,

동일한 그룹 내에서 최상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가 둘 이상인 경우, 해당 무선중계기에 대한 수신감도 및 노이즈를 순차적으로 비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더 설정단계는 비교되는 수신감도 및 노이즈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동일한 그룹 내의 리더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방법.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형성단계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중계기 그룹 내의 무선중계기의 수가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상기 가중치 부여단계에 의해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그룹 내의 최하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를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방법.

제14항에 있어서,

동일한 그룹 내에서 최하위의 가중치를 갖는 무선중계기가 둘 이상인 경우, 해당 무선중계기에 대한 수신감도 및 노이즈를 순차적으로 비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동작 설정단계는 비교되는 수신감도 및 노이즈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동일한 그룹 내의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방법.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절약 모드 제공단계는,

상기 선택동작 설정단계에 의해 선택동작 무선중계기로 설정된 무선중계기에 대하여 상기 리더로 설정된 무선중계기와 동일한 동작 모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중계기의 전원절약 지원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