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EASING BAR FOR RELEASING POLARIZING FILM FROM PANEL, AND RELEASING APPARATUS AND RELEASING METHOD USING SAME

18-02-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WO2016024685A1
Принадлежит: 주식회사 엘지화학
Контакты:
Номер заявки: KR25-00-201582
Дата заявки: 17-03-2015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바, 이를 이용한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1]

본 발명은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에 부착된 편광 필름을 박리할 때 편광 필름이 파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박리바, 박리 장치, 박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일반적으로 화상표시장치의 패널에는 편광 필름이 부착되어 특정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편광된 빛을 만들어 화상을 표시한다. 그런데 패널과 편광 필름과 사이에 기포 또는 이물질 등이 존재하여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시켜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시키기 위한 박리 장치가 사용된다.

[3]

패널에 부착된 편광 필름을 박리하는 작업 시, 편광 필름에 가해지는 불균일한 텐션에 의해 편광 필름이 파단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파단이 발생하면 추가의 수작업이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에 번거로우며, 박리 작업 전체의 공정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파단이 발생하면 편광 필름과 패널의 부착을 위해 사용한 접착제 때문에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문제가 있다.

[4]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할 때 편광 필름에 작은 마찰력이 가해지며 박리가 진행되는 동안 편광 필름에 응력 집중이 생기지 않아 편광 필름에 텐션이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하여, 편광 필름을 안정적으로 박리할 수 있는 박리바, 박리 장치, 박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5]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바는 몸체부와 선단부를 포함한다. 몸체부는 상면화 하면을 구비한다. 선단부는 몸체부의 전단에서 돌출되며, 하부면, 상부면, 말단을 구비한다. 하부면은 몸체부의 하면과 동일한 면이 되도록 연장되고, 상부면은 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부면과 상부면은 곡면 형상의 말단을 통해 연결된다. 말단은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골이 형성된다.

[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바는 말단의 곡면이 반지름이 일정한 원형일 수 있다.

[7]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바는 말단의 곡면 반지름이 반지름이 4 내지 30mm 일 수 있다.

[8]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바는 선단부의 상부면이 경사가 20 내지 40°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9]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바의 선단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거나, 표면에 불소 코팅 처리될 수 있다.

[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 장치는 스테이지, 클램퍼, 박리바, 제어부를 포함한다. 스테이지에는 편광 필름이 부착된 패널이 안착된다. 클램퍼는 패널에서 박리된 편광 필름의 일부를 클램핑한다. 박리바는 패널에서 박리되는 편광 필름 상측에서 이동하며 편광 필름이 급격하게 꺾여 올라가지 않도록 한다. 제어부는 스테이지 및 클램퍼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편광 필름을 박리하되, 박리가 일어나는 지점에서 박리되는 편광 필름에 응력 집중이 발생되지 않아 편광 필름에 텐션이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한다.

[1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장치의 제어부는 스테이지, 박리바, 클램퍼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박리가 일어나는 지점에서 편광 필름에 텐션이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박리되는 편광 필름의 양 끝단을 박리바에 밀착시킬 수 있다.

[1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장치는 스테이지가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박리되는 편광 필름의 텐션에 의해 스테이지가 회전하여 박리가 일어나는 지점에서 편광 필름에 텐션이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박리되는 편광 필름의 양 끝단이 박리바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스테이지를 직선 이동시키거나 클램퍼를 이동시키는 제어를 하며, 스테이지를 능동적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는 하지 않는다.

[1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장치의 제어부는 스테이지 및 클램퍼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박리가 일어나는 지점에서 박리가 일어나는 지점에서 편광 필름에 텐션이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박리되는 편광 필름의 양 끝단을 박리바에 밀착시킬 수 있다.

[1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장치는 촉진액분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촉진액분사유닛은 박리가 발생되는 위치에 박리 촉진액을 분사한다. 스테이지는 분사되는 박리 촉진액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촉진액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1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장치의 스테이지는 복수의 판상 히터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판상 히터는 스테이지의 표면 전체를 균일하게 가열한다.

[1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장치의 박리바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박리바와 패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17]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장치의 클램퍼는 박리시 편광 필름에 가해지는 박리 하중을 조절할 수 있다.

[18]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 방법은 안착 단계, 고정 단계, 박리 단계를 포함한다. 안착 단계에서는 스테이지에 편광 필름이 부착된 패널을 안착시킨다. 고정 단계에서는 패널에서 편광 필름의 일부를 박리시킨 후 박리가 발생되는 위치에 박리바가 위치하여 박리바의 선단부에 박리되는 편광 필름이 접하도록 하면서 박리된 편광 필름의 일부를 클램퍼에 고정시킨다. 박리 단계에서는 클램퍼 및 스테이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편광 필름을 박리하되, 편광 필름이 박리바의 선단부에 접하여 박리되는 편광 필름이 급격하게 꺾여 올라가지 않도록 한다.

[19]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방법의 박리 단계에서는 스테이지, 박리바, 클램퍼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박리가 일어나는 지점에서 편광 필름에 텐션이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박리되는 편광 필름의 양 끝단을 박리바에 밀착시킬 수 있다.

[2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방법의 박리 단계에서는 스테이지가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박리되는 편광 필름의 텐션에 의해 스테이지가 회전하여 박리가 일어나는 지점에서 편광 필름에 텐션이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박리되는 편광 필름의 양 끝단이 박리바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2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방법의 박리 단계에서는 박리가 일어나는 지점에서 편광 필름에 텐션이 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게 하기 위해 스테이지 및 클램퍼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박리되는 편광 필름의 양 끝단을 박리바에 밀착시킬 수 있다.

[2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방법의 박리 단계에서는 박리가 발생되는 위치에 박리 촉진액을 분사할 수 있다.

[2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방법의 고정 단계 및 박리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는 스테이지의 표면 전체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도록 설치된 복수의 판상 히터를 통해 패널이 가열되면서 진행될 수 있다.

[24]

본 발명에 따르면 박리되는 편광 필름이 박리바의 선단부와 접하게 되므로 편광 필름에 가해지는 마찰력이 최소가 되어 박리시 편광 필름의 파단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편광 필름에 가해지는 전단력의 Z축 성분이 최소가 되도록 선단부 말단의 곡면 반지름과 선단부 상부면의 경사를 설계하여 박리시 편광 필름의 파단을 방지할 할 수 있다.

[25]

또한 본 발명은 박리시 편광 필름에 가해지는 텐션을 고려하여, 스테이지, 박리바 및 클램퍼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거나, 스테이지 및 클램퍼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편광 필름에 텐션이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박리가 진행되는 동안 박리가 일어나는 지점에서 편광 필름의 양 끝단이 박리바에 밀착되도록 하여, 편광 필름의 파단 없이 안정적으로 편광 필름을 박리할 수 있다.

[26]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장치의 평면도이다.

[27]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장치의 스테이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28]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이송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29]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장치의 박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3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부의 박리 유닛과 촉진액분사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31]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부의 박리 유닛의 측면도이다.

[32]

도 7은 동일한 박리 하중에서 박리바와 박리면 사이의 간격에 따른 박리면 응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표이다.

[33]

도 8은 박리 하중이 9.81N/mm인 경우의 박리바와 박리면 사이의 간격에 따른 박리면 응력의 변화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4]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골이 형성된 선단부를 구비하는 박리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35]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골이 형성된 선단부를 구비하는 박리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36]

도 11은 선단부 말단(Tip)의 지름의 변화에 따른 박리면 응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표이다.

[37]

도 12는 박리 하중이 9.81N/mm인 경우의 지름의 변화에 따른 박리면 응력 응력의 변화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8]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장치의 클램핑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39]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부의 클램핑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40]

도 15는 박리 하중에 따른 최대 응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표이다.

[41]

도 16은 박리 하중에 따른 최대 응력의 변화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42]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43]

도 1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44]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방법에 따른 박리 장치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45]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방법에서 박리 촉진액이 분사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46]

도 2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47]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48]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49]

[50]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장치의 스테이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이송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장치의 박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부의 박리 유닛과 촉진액분사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부의 박리 유닛의 측면도이다.

[5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 장치(1000, 이하, '박리 장치'라 함)는 스테이지(1100), 스테이지이송부(1200), 박리부(1300), 클램핑부(1400) 및 제어부(1500)를 포함한다.

[52]

스테이지(1100) 상에는 편광 필름이 부착된 패널이 안착된다. 스테이지이송부(1200)는 스테이지(1100) 하부에 위치하여, 스테이지(1100)를 회전 혹은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박리부(1300)는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할 때, 편광 필름이 파단 없이 안정적인 박리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클램핑부(1400)는 박리된 편광 필름의 일부를 고정(clamping)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1500)는 스테이지(1100), 스테이지이송부(1200), 박리부(1300) 및 클램핑부(1400)를 제어하여,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한다.

[53]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평면도의 좌우(가로) 방향을 Y축 방향 혹은 길이 방향이라고 하며, 그 평면도의 상하(세로) 방향을 X축 방향 혹은 폭 방향이라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하,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54]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1100)는 판상의 안착부(1110)와 안착부(1110)의 테두리 부분의 촉진액수용부(1120)를 구비한다. 안착부(1110)에는 편광 필름이 부착된 패널이 안착된다. 안착부(1110)에 안착된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할 때 박리를 돕기 위해 박리 촉진액이 분사될 수 있다. 촉진액수용부(1120)는 박리 촉진액이 박리 장치(100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55]

한편, 안착부(1110)는 복수의 판상 히터(1130)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판상 히터(1130)는 박리 대상물(편광 필름이 부착된 패널)을 가열하여 접착제의 점착 성능을 저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부(1110)는 복수의 판상 히터(1130)를 통해 가열되기 때문에 안착부(1110) 전체가 균일하게 가열되며, 안착부(1100)에 안착된 박리 대상물에 균일하게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가 균일하고 가열되어, 박리시 특정 부분에서 접착제 성분이 강하게 남아있어 편광 필름이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판상 히터(1130)는 4개의 판상 히터(1130a, 1130b, 1130c, 1130d)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56]

복수의 판상 히터(1130) 각각에는 기 설정된 온도 이상 가열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과열감지센서(1140), 판상 히터(11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1150), 스테이지(110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1160) 및 복수의 판상 히터(1130) 각각에 전원을 인가하는 히터전원인가부(1170)가 배치된다.

[57]

스테이지이송부(1200)는 스테이지(1100)에 하부에 위치하여 스테이지(1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이송부(1200)는 서보 모터(1210, 1220), 이송가이드(LM guide, 1230), 서보캠구동기(1240), 리듀서(reducer, 1250), 지지판(1260)을 구비한다. 서보 모터(1210, 1220)는 스테이지이송부(1200)의 회전 또는 직선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이송가이드(1230)는 스테이지이송부(1200)의 선형 이동 방향을 안내한다. 서보캠구동기(1240)는 서버 모터(1210, 1220)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스테이지(1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한다. 서보 모터(1210, 1220)와 서보캠구동기(1240)의 원활한 연결을 위해 리듀서(1250)가 사용될 수 있다. 지지판(1260)은 스테이지(1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스테이지(1100)를 지지하면서, 서보캠구동기(1250)의 회전력을 스테이지(1100)에 전달한다.

[58]

박리부(1300)는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할 때, 편광 필름이 파단 없이 안정적인 박리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박리부(13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리유닛(1310), 촉진액분사유닛(1320) 및 박리이송유닛 (1330)을 구비한다.

[59]

박리유닛(1310)은 이송부재(1311), 베이스프레임(1312), 관절부재(1313), 박리바(1314), 저마찰실린더(1315), 회전바(1316), 높이조절핸들(1317)을 구비한다. 이송부재(1311)는 'L'자 형상의 부재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부재(1311) 2개가 내측면이 서로 마주보며 바닥면이 가이드레일(1321) 상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이송부재(1311)는 박리유닛(1310)이 가이드레일(1321)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2개의 이송부재(1311)의 내측면 사이에 베이스프레임(1312)이 장착되며, 베이스프레임(1312)과 이송부재(1311)는 서로 연결되어 지지된다. 베이스프레임(1312)의 길이 방향의 일측에는 관절부재(1313)가 형성된다. 관절부재(1313)는 베이스프레임(1312)과 박리바(1314)를 연결한다. 박리바(1314)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박리바(1314)의 양단은 저마찰실린더(1315)와 연결된다. 저마찰실린더(1315) 및 관절부재(1313)로 인해 박리바(1314)는 Z축을 회전축으로 소정 범위 회전이 가능하다. 관절부재(1313)에는 박리바(1314)가 관절부재(1313)의 Z축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것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될 수 있다. 회전바(1316)는 박리바(1314)와 평형을 이루면서 박리바(1314)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전바(1316)는 박리바(1314)보다 베이스프레임(1312)에 가까우면서 박리바(1314)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회전바(1316)는 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60]

높이조절핸들(1317)은 박리유닛(1310)의 높이를 조절한다. 박리바(1314)와 박리가 일어나는 위치(박리면) 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박리시 편광 필름에 파손이 적다. 이는 박리바(1314)의 선단부에서 박리면까지의 거리가 짧을수록 굽혀진 편광 필름이 원래 형상으로 복원하려고 하는 힘이 커져 응력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실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박리 하중이 동일하더라도 박리바(1314)와 박리면 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박리면에 작용하는 응력이 작아져 박리되는 편광 필름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패널에는 화면 구동을 위한 부품들이 돌출되어 있어, 박리바(1314)와 박리면의 간격을 무조건 좁게 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높이조절핸들(1317)을 통해 박리유닛(1310)의 높이를 조절하여, 박리바(1314)와 박리면의 간격을 좁게 유지하되 필요한 경우 간격을 벌릴 수 있도록 한다.

[61]

촉진액분사유닛(1320)은 테이블실린더(1321), 지지부재(1322), 지지바(1323), 분사기(1324)를 구비한다. 테이블실린더(1321)는 2개의 이송부재(1311) 각각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다. 지지부재(1322)는 테이블실린더(1321)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2개의 지지부재(1322) 사이에 지지바(1323)가 연결된다. 지지바(1323)에는 복수의 분사기(1324)가 배치된다. 복수의 분사기(1324)는 박리 촉진액을 분사한다. 본 실시예에서 박리 촉진액은 물이 될 수 있다.

[62]

박리이송유닛(1330)은 박리유닛(1310)을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박리이송유닛(1330)은 가이드레일(1331)과 동력제공부(1332)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331)은 박리유닛(1310)을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동력제공부(1332)는 박리유닛(1310)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동력제공부(1332)는 미터박스, 감속기, 및 서보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63]

박리유닛(1310)의 박리바(1314)는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할 때, 편광 필름이 파단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박리되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하여, 박리바(1314)는 박리가 진행됨에 따라 박리되는 편광 필름이 급격하게 박리되지 않도록, 편광 필름의 박리가 발생되는 위치의 상부로 이동한다. 박리된 편광 필름은 박리바(1314)의 말단 부분과 접촉되며, 이때, 편광 필름과 박리바(1314)의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박리바(1314)의 말단은 곡면 형태가 된다. 한편, 회전바(1316)는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박리된 편광 필름이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한다.

[64]

[65]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단부를 구비하는 박리바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별도의 도면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골이 형성된 선단부를 구비하는 박리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골이 형성된 선단부를 구비하는 박리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66]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리바(2000)는 몸체부(2100)와 선단부(2200)를 구비한다. 몸체부(2100)는 상면(2110)과 하면(2120)을 구비한다. 선단부(2200)는 몸체부(2100)의 전단에서 돌출된다. 선단부(2200)의 하부면(2210)은 몸체부(2100)의 하면(2120)과 동일한 면을 이루면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선단부(2200)의 상부면(2220)은 몸체부(2100)의 상면(2110)으로부터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선단부(2200)의 말단(2230)은 곡면 형상으로 하부면(2210)과 상부면(2220)을 연결한다. 선단부(2200) 말단(2230)의 곡면은 반지름이 R로 일정한 원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편광 필름 박리시 박리되는 편광 필름이 곡면 형상인 선단부(2200)의 말단(2230)에 접하게 되어, 박리되는 편광 필름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감소시켜 편광 필름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단부(2200)의 말단(2230)에 복수의 골이 형성된다. 복수의 골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복수의 마루도 형성된다. 복수의 골이 형성됨으로써 선단부(2200)의 말단(2230)이 박리되는 편광 필름과 더 적은 면적에서 접하게 되어, 박리되는 편광 필름에 가해지는 마찰력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박리시 편광 필름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67]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할 때, 박리되는 편광 필름과 직접 접하는 선단부(2200)의 말단(2230)의 곡면 반지름(R)과 상부면(2220)의 경사(θ)가 편광 필름의 파단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는 박리시 박리되는 편광 필름이 선단부(2200)의 말단(2230) 및 상부면(2220)에 접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단부(2200)의 말단(2230)의 곡면 반지름(R)과 상부면(2220)의 경사(θ)를 조절해 박리시 편광 필름의 파단을 최소화한다. 이를 위해 말단(2230)의 곡면 반지름은(R)은 4 내지 30mm로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5 mm로 형성한다. 또한 상부면(2220)의 경사(θ)는 20 내지 40° 로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30°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선단부(2200)의 말단(2230)의 곡면 반지름(R)과 상부면(2220)의 경사(θ)를 형성할 때 박리시 편광 필름의 파단이 최소화된다.

[68]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일한 박리 하중에서 선단부 말단의 지름이 작을수록 박리면에서 발생되는 응력이 감소하므로 박리시 편광 필름의 파단이 최소화된다. 선단부 말단의 지름이 작을수록 박리면에 발생되는 응력이 감소하는 이유는 선단부 말단의 지름이 작을수록 동일 하중에 대해 편광 필름의 변형이 쉬워져 박리 방향으로 편광 필름이 잘 꺾이게 되고, 선단부 말단의 지름이 작을수록 선단부의 말단에서 박리면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며 이 거리가 짧을수록 굽혀진 편광 필름이 원래 형상으로 복원하려고 하는 힘이 커져 응력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선단부 말단의 지름(또는 반지름)이 작을수록 박리시 편광 필름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박리하중 16.35N/mm의 Tip 지름 5mm 경우와 같이, 선단부 말단의 지름이 너무 작으면 선단부 말단에서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선단부 말단의 지름은 가능한 작게하되 선단부 말단에서 파손이 발생되지 않을 정도이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단부 말단의 지름이 10mm(반지름이 5mm)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69]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2100)는 강성 유지를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선단부(2220)는 박리되는 필름의 파단을 방지하고 미끄럼 마찰력 저감을 위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선단부(2220)의 표면에 불소 코팅 처리를 하여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도 있다.

[70]

다른 실시예에서는 선단부(2200)의 경사면(2220)에 저마찰 패드를 부착할 수 있다. 경사면(2220)에 부착된 저마찰 패드는 박리되는 편광 필름과 접하게 되는데, 저마찰 패드는 마찰계수가 낮은 재질로 형성되어 박리되는 편광 필름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작게 하고, 따라서 박리시 편광 필름의 파단을 방지한다.

[71]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장치의 클램핑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부의 클램핑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5는 박리 하중에 따른 최대 응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표이고, 도 16은 박리 하중에 따른 최대 응력의 변화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72]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부(1400)는 고정축(1410), 고정바(1420), X축이송유닛(1430), Y축이송유닛(1440), Z축이송유닛(1450) 및 클램핑유닛(1460)을 포함한다.

[73]

고정바(1420)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고정축(1410)은 고정바(1420)의 양단에서 고정바(1420)가 소정 높이에서 고정되도록 고정바(1420)를 지지한다.

[74]

클램핑유닛(1460)은 X축이송유닛(1430)에 장착되며, X축이송유닛(1430)은 Z축이송유닛(1450)에 장착된다. 또한, Z축이송유닛(1450)은 Y축이송유닛(1450)에 장착되며, Y축이송유닛(1450)은 고정바(1420)에 장착된다. Y축이송유닛(1440)은 Z축이송유닛(1450)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Z축이송유닛(1450)은 X축 이송유닛(1430)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X축이송유닛(1430)은 클램핑유닛(1460)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X축이송유닛(1430), Y축이송유닛(1440), Z축이송유닛(1450)은 클램핑유닛(1460)을 필요에 따라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75]

클램핑유닛(1460)은 고정부재(1461), 클램퍼(1462), 관절부재(1463), 회전감지센서(1464), 텐션감지센서(1465)를 구비한다. 클램핑유닛(1460)은 고정부재(1461)를 통해 X축이송유닛(1430)에 고정된다. 클램퍼(1462)는 박리된 편광 필름의 일부를 고정(clamping)한다. 이를 위해 클램퍼(1462)는 지지부재 및 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다. 클램퍼(1462)는 실린더에 걸리는 압력을 조절해서 박리시 편광 필름에 가해지는 박리 하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박리 하중이 증가할수록 박리면에서 편광 필름의 굽힘이 작아져 발생되는 응력이 감소하므로 박리 성능이 개선된다. 다만, 박리 하중이 일정 수치를 넘는 경우 선단부 말단에서 최대 응력이 발생하여 선단부의 말단이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효율적인 박리를 위해서는 선단부의 말단에서 파손이 발생되지 않는 범위에서 박리 하중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76]

관절부재(1463)는 서보모터 등에서 출력되는 회전 동력을 이용해 클램퍼(1462)가 Z축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램퍼(1462)가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다른 축 혹은 복수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77]

회전감지센서(1464)는 클램퍼(1462)의 회전 각도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감지센서(1464)는 로터리엔코더(Rotary encoder) 혹은 포텐셜 미터(potential meter)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텐션감지센서(1465)는 편광 필름에 가해지는 텐션을 감지할 수 있다. 텐션감지센서(1465)는 로드셀이 될 수 있다.

[78]

박리되는 편광 필름에 텐션이 발생하면, 클램퍼(1462)는 텐션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텐션감지센서(1465) 및 회전감지센서(1464)가 감지한 텐션 및 회전 각도가 제어부(150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0)는 텐션과 그 텐션에 의해 발생된 클램퍼(1462)의 회전 각도를 인식하고, 박리되는 편광 필름에 텐션이 균일하게 되도록 스테이지(1100), 클램퍼(1462), 박리바(1314)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테이지(1100), 클램퍼(1462), 박리바(1314)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응력 집중이 발생되지 않아 박리시 편광 필름에 발생되는 텐션이 편광 필름 전체에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박리되는 편광 필름의 양 끝단이 박리바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박리 과정에서 편광 필름의 파단을 최소화하려면 박리가 진행되는 동안 박리되는 편광 필름의 양 끝단이 박리바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박리가 진행되는 동안 박리되는 편광 필름의 한쪽 끝단이 뜨거나 움직이면 파단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이지(1100), 클램퍼(1462), 박리바(1314)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박리되는 편광 필름의 양 끝단이 박리바(1314)에 밀착되도록하여, 박리시 편광 필름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79]

[8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1100)는 다양한 방식의 움직임을 가진다.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1100)는 스테이지이송부(1200)의 제어에 따라 X축, Y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시키는 박리 과정이 스테이지(1100)의 이동에 의해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지(1100)의 이동을 통해 박리되는 편광 필름의 양 끝단이 박리바(1314)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81]

스테이지(1100)는 선형 이동 뿐만 아니라,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도 가능하다. 스테이지(1100)의 회전은 두 가지 형태로 가능하다. 일실시예에서는 제어부(1500)가 스테이지이송부(1200)를 제어하여 스테이지(1100)를 능동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스테이지(1100)는 스테이지이송부(1200)에 구동축을 통해 장착되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스테이지(1100)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테이지(1100)를 회전시키면, 박리시 스테이지(1100)의 회전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편광 필름의 폭 방향의 양 끝단 텐션을 제어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박리가 일어나는 지점에서 편광 필름의 폭 방향 양 끝단이 박리바에 밀착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82]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테이지(1100)가 스테이지이송부(1200)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에 따라 스테이지(1100)에 외력이 가해지면, 스테이지(1100)는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박리시 편광 필름에 가해지는 외력(텐션)이 스테이지(1100)에 전달되고, 스테이지(1100)가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편광 필름에 가해지는 텐션이 편광 필름 전체에 균일하게 된다. 따라서 박리시 편광 필름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8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방법에 따른 박리 장치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방법에서 박리 촉진액이 분사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84]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리 방법에 따라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해서는, 편광 필름(20)이 부착된 패널(10)을 스테이지(1100)에 안착시킨다(S110). 스테이지(1100)에 패널(10)이 안착되면, 클램핑하기 위한 위치로 스테이지(1100)가 이동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테이지(1100)가 이동하지 않고 클램퍼(1462)가 이동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테이지(1100)와 클램퍼(1462) 모두가 이동할 수도 있다.

[85]

클램핑하기 위한 위치로 스테이지(1100)가 이동하면, 패널(10)에 부착된 편광 필름(20)의 일부는 박리되어 클램핑유닛의 클램퍼(1462)에 고정된다(S120). 편광 필름(20)의 일부를 박리하기 위해 패널(10)을 가열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지(1100)는 복수의 판상 히터를 통해 패널(10)을 가열하기 때문에 패널(10)전체에 균일하게 열을 전달할 수 있고, 따라서 편광 필름(20)의 박리시 파단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박리된 편광 필름(20)의 일부를 클램퍼(1462)에 고정할 때,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리바(1314)의 선단부에 박리되는 편광 필름(20)이 접하도록 한다. 즉, 박리되는 편광 필름(20)은 박리바(1314)의 선단부와 회전바(1316)에 접하면서 클램퍼(1462)에 고정된다. 따라서 박리되는 편광 필름(20)이 급격하게 꺾이는 것을 방지하여, 박리시 편광 필름이 파단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86]

클램퍼(1462)에 박리되는 편광 필름(20)의 일부가 고정되면, 편광 필름(20)을 박리가 진행된다(S130). 편광 필름(20)의 박리는 스테이지(1100) 및 클램퍼(1462)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면서 진행된다. 편광 필름(20)을 박리하기 위해 패널(10)이 복수의 판상 히터를 통해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박리시 편광 필름(20)의 파단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클램퍼(1462)의 실린더는 실린더에 걸리는 압력을 조절해 박리시 편광 필름(20)에 가해지는 박리 하중을 조절할 수 있다.

[87]

편광 필름(20)이 박리되는 동안 박리되는 편광 필름(20)에 텐션이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하기 위해 편광 필름(20)의 양 끝단이 박리바(1314)에 밀착되도록 스테이지(1100) 및 클램퍼(1462)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스테이지(1100), 클램퍼(1462) 또는 양자 모두(1100, 146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편광 필름(20)의 양 끝단이 박리바(1314)에 밀착되어 파단 없이 안정적으로 편광 필름(20)을 박리할 수 있다.

[88]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편광 필름(20)이 박리되는 동안, 박리된 편광 필름(20)의 폭 방향 텐션이 균일하게 되도록 스테이지(1100), 박리바(1314) 및 클램퍼(1462)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클램핑부의 텐션감지센서와 회전감지센서, 박리유닛의 관절부재에 연결되는 회전감지센서 등을 통해 편광 필름에 가해지는 텐션 및 회전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값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그 텐션이 균일하게 되도록 스테이지(1100), 박리바(1314) 및 클램퍼(1462)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다.

[89]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테이지(1100)가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박리되는 편광 필름(20)에 가해지는 텐션에 의해 스테이지(1100)가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테이지(1100)는 제어부에 의한 제어 없이, 편광 필름(20)에서 폭 방향으로 가해지는 텐션이 균일하게 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스테이지(1100)는 편광 필름(20)이 폭 방향으로 가해지는 텐션이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게 되면, 치우친 텐션을 균일하게 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90]

본 실시예에서는 박리가 진행되는 동안 박리가 발생되는 위치에,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리 촉진액이 분사될 수 있다. 박리 촉진액은 물이 될 수 있으며, 박리 촉진액이 분사되면 접착제가 깨끗하게 제거되면서 박리된다. 박리 촉진액은 스프레이 형태로 분사될 수 있다.

[91]

편광 필름(20)의 박리가 완료되면, 박리 완료된 편광 필름은 배출된다(S140). 편광 필름이 배출되면, 제어부는 패널(10)을 내릴 수 있는 위치로 스테이지(1100)를 이동시킨다.

[92]

정해진 위치로 스테이지(1100)가 이동되면, 박리 완료된 패널(10)은 스테이지(1100)에서 내린다(S150). 이 후, 다른 패널에서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해, 스테이지(1100)는 패널을 안착시키기 위한 위치로 이동한다.

[93]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SSD(Solid State Disk), HDD(Hard Disk Drive)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94]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95]

본 발명은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바, 장치 및 박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박리되는 편광 필름이 박리바의 롤러와 접하게 되므로 박리바와 편광 필름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할 있다. 이에 따라, 편광 필름이 분리될 때 편광 필름의 파단을 막을 수 있다.

[96]

본 발명은 화상표시장치의 패널의 제조시 이용되어, 편광 필름에 가해지는 불균일한 텐션에 의해 편광 필름이 파단되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할 수 있다.



[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easing bar, an apparatus, and a releasing method for releasing a polarizing film from a panel.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friction between the releasing bar and the polarizing film by bringing into contact the polarizing film to be released with an end part of a front end portion of the releasing bar. The radius of a curved surface of the end part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an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releasing bar are designed so that a z-axis component of a shear force applied to the polarizing film is minimized. Also, the present invention brings two ends of the polarizing film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leasing bar so as to allow uniform tension to be applied to the polarizing film during relea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eventing tearing of the polarizing film to be released, the polarizing film can be stably released from the panel without tearing.

[2]



상면과 하면을 구비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전단에서 돌출되며, 하부면은 상기 몸체부의 하면과 동일한 면이 되도록 연장되고, 상부면은 상기 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말단은 상기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을 곡면 형상으로 연결하며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골이 형성된 선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바.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의 곡면은 반지름이 일정한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의 곡면은 반지름이 4 내지 30mm인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바.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의 상부면의 경사는 20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바.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거나, 표면에 불소 코팅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바.

편광 필름이 부착된 패널이 안착되는 스테이지;

상기 패널에서 박리된 편광 필름의 일부를 클램핑하는 클램퍼;

상기 패널에서 박리되는 편광 필름 상측에서 이동하며 편광 필름이 급격하게 꺾여 올라가지 않도록 하는 제1항 내제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박리바; 및

상기 스테이지 및 상기 클램퍼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편광 필름을 박리하되, 박리가 일어나는 지점에서 상기 박리되는 편광 필름에 응력 집중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편광 필름에 텐션이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 장치.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테이지, 상기 박리바, 상기 클램퍼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상기 박리가 일어나는 지점에서 상기 편광 필름에 텐션이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상기 박리되는 편광 필름의 양 끝단을 상기 박리바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 장치.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가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박리되는 편광 필름의 텐션에 의해 상기 스테이지가 회전하여 상기 박리가 일어나는 지점에서 상기 편광 필름에 텐션이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상기 박리되는 편광 필름의 양 끝단이 상기 박리바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 장치.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테이지 및 상기 클램퍼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박리가 일어나는 지점에서 상기 편광 필름에 텐션이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상기 박리되는 편광 필름의 양 끝단을 상기 박리바에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 장치.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가 발생되는 위치에 박리 촉진액을 분사하는 촉진액분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 장치.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박리 촉진액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촉진액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 장치.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표면 전체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도록 복수의 판상 히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 장치.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바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 장치.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는 박리시 상기 편광 필름에 가해지는 박리 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 장치.

스테이지에 편광 필름이 부착된 패널을 안착시키는 안착 단계;

상기 패널에서 상기 편광 필름의 일부를 박리시킨 후 박리가 발생되는 위치에 박리바가 위치하여 상기 박리바의 선단부의 말단에 박리되는 편광 필름이 접하도록 하면서 박리된 편광 필름의 일부를 클램퍼에 고정시키는 시키는 고정 단계; 및

상기 클램퍼 및 상기 스테이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편광 필름을 박리하되, 상기 편광 필름이 상기 박리바의선단부의 말단에 접하여 상기 박리되는 편광 필름이 급격하게 꺾여 올라가지 않도록 하는 박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는 박리 방법.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단계는

상기 스테이지, 상기 박리바, 상기 클램퍼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상기 박리가 일어나는 지점에서 상기 편광 필름에 텐션이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상기 박리되는 편광 필름의 양 끝단을 상기 박리바에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는 박리 방법.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단계는

상기 스테이지가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박리되는 편광 필름의텐션에 의해 상기 스테이지가 회전하여 상기 박리가 일어나는 지점에서 상기 편광 필름에 텐션이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상기 박리되는 편광 필름의 양 끝단이 상기 박리바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 방법.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단계는

상기 스테이지 및 상기 클램퍼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박리가 일어나는 지점에서 상기 편광 필름에 텐션이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상기 박리되는 편광 필름의 양 끝단을 상기 박리바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 방법.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단계는

상기 박리가 발생되는 위치에 박리 촉진액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 방법.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계 및 상기 박리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상기 스테이지의 표면 전체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도록 설치된 복수의 판상 히터를 통해 상기 패널이 가열되면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