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ON STRUCTURE FOR FENTON OXIDATION TREATMENT OF WASTEWATER,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SAME

18-02-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WO2016024774A1
Принадлежит: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Контакты:
Номер заявки: KR83-00-201550
Дата заявки: 10-08-2015

폐수의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1]

본 발명은 폐수의 펜톤산화처리용의 신규한 철 구조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2]

산업 발달에 따른 생활수준 향상과 함께 다양하고 무수한 종류의 유해화학물질이 포함된 공장폐수, 축산폐수, 가정하수 등이 하천이나 호수로 유입되어 상수원을 오염시키고 있다. 특히, 미량유해물질인 휘발성 유기물질, 유기용제, 소독부산물, 페놀, 농약, 다환방향족 탄화수소, 프탈레이트 등의 유해화학물질들은 극미량으로도 발암성과 만성독성을 지니고 있어 인간의 건강과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수질 규제 대상물질과 이들 이외의 미량오염물질에 대한 체계적이며 신속한 대응전략 및 처리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미량오염물질의 경우 이들에 대한 거동을 이해하기 어렵고 먹는 물의 정수처리 과정 중에서 염소소독에 의하여 본래보다 더욱 유해한 물질로 변환되며 또한 제거도 어려워 국내외적으로 이에 대한 처리 기술 개발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3]

특히, 화학적 처리기술의 경우, 일반적으로 오존, 과산화수소, UV/O3, UV/TiO2, 펜톤 등의 산화법이 있으며, 이들 중 산화과정에서 염화물을 생성하지 않으며 철과 과산화수소 모두 독성이 비교적 적은 펜톤 공정은 과산화수소와 OH의 발생 촉진을 위한 Fe2+ 형태의 철염을 원수 내에 주입하여 수중의 유기물질을 빠르게 산화, 제거하는 공정으로 각종 화학약품폐수와 매립지 침출수 염화화합물로 오염된 토양정화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4]

그러나, 철 이온에 의한 다량의 수산화물 형태의 슬러지 발생과 액상형태로 주입되는 펜톤 시약의 과다 주입 등은 기술의 제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환원 상태의 입자형태의 금속철(Fe0)과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펜톤-유사 공정(Fenton-like oxidation)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는 슬러지 생산이 많은 철염 대신 금속 철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 펜톤 반응에서 생기는 수산화물 형태의 슬러지 발생을 최소화 시키고 철염으로 FeCl2나 FeSO4를 사용할 때 발생되는 Cl-, SO42- 등의 부산물 발생 또한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여전히 그 효율성에 비해 경제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5]

따라서,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우수한 펜톤 반응 효율을 거둘 수 있는 신규한 철 구조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우수한 펜톤 반응 효율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한 폐수의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와 그 제조방법를 제공하고자 하고,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7]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양극산화로 형성된 폐수의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를 제공하고, 본 발명에 따른 철 구조체는 영가철(Fe0)로 이루어진 플레이트(plate) 표면에 산화제이철(Fe2O3)의 나노 구조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8]

또한, 상기 철 구조체의 표면에서 유사펜톤반응(Fenton like reaction)이 일어나고, 영가철로 이루어진 플레이트에서 표면으로 전자가 공급되는 것은 특징으로 한다.

[9]

또한, 상기 산화제이철의 나노 구조체는 나노리프(Nano-leaf)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

상기 '나노리프(Nano-leaf) 형상'이라 함은 그래핀과 유사한 형태(grphen-like) 또는 면의 형상(종횡비가 1에 가까움)을 갖는 불규칙적인 와이어(wire)와 같은 나뭇잎 형상을 갖는 형태를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도 3a 및 도 3b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11]

본 발명에 따른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에서, 나노 구조의 표면은 산화제이철의 나노 구조체는 헤마타이트(hematite)이고, 플레이트는 영가철(Fe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12]

[13]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14]

(a) 영가철(Fe0) 플레이트(plate)를 황산나트륨(Na2SO4)과 플루오르화나트륨(NaF)의 혼합 전해 용액에 담지 후, 상기 영가철 플레이트가 양극이 되도록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15]

(b) 상기 (a) 단계의 양극 산화 단계를 지속시켜 상기 영가철 플레이트 표면을 산화시키는 단계,

[16]

(c) 상기 표면이 산화된 영가철 플레이트를 어닐링시키는 단계.

[1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a) 단계에서 10-15 V 전압으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 V 전압일 수 있다.

[18]

한편, 상기 (b) 단계에서 양극산화된 플레이트의 표면은 우스타이트(wustite) 결정 구조의 산화제일철(FeO)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어닐링된 플레이트의 표면은 헤마타이트(hematite) 결정 구조의 산화제이철(Fe2O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19]

[20]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를 이용하여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방법을 제공한다.

[21]

(a) 폐수를 준비하는 단계,

[22]

(b) 상기 폐수에 과산화수소 및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를 투입하는 단계.

[23]

한편, 상기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의 표면 나노 구조에서 유사펜톤반응이 일어나고, 이를 통하여 폐수 내 포함된 유기물의 산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4]

또한, 상기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의 플레이트에서 표면으로 전자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5]

본 발명에 따른 펜톤산화처리 촉매용 철 구조체는 표면에 나노구조체가 형성되어 있어 표면적이 향상되어 펜톤산화처리 효율이 우수하고, 표면에 전자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나노구조체가 플레이트에 고정된 형태이어서 촉매의 조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pH 12 정도의 알칼리 상태에서도 수행이 가능하며, 철 슬러지의 발생이 없고 경제적인 환경처리 공정을 구현할 수 있다.

[26]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이 단면도로서, 영가철의 플레이트와 이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제이철의 나노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SEM 이미지는 표면 나노리프 구조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27]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극산화시 시간에 따른 전류변화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28]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실시예 1에 따라 철 플레이트 표면에 형성된 산화철 나노 구조체의 top-view, bottom-view를 보여주는 주사현미경이미지이다.

[29]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철 플레이트의 표면에 형성된 철 구조체에 대해서 결정형 일치도(Crystal Impact Match)를 통하여 분석한 XRD 그래프이다.

[30]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양극산화 공정으로 제작된 철 구조체의 외관 이미지와 어닐링 공정을 거친 철 구조체의 외관 이미지이다.

[31]

도 6a 내지 6c는 각각 과산화수소만을 이용하여, 과산화수소와 상용 철 촉매 파우더를 이용하여, 과산화수소와 본 발명에 따른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를 이용하여 수행한 펜톤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32]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올라이트의 양에 따른 암모니아성 질소제거 효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33]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 전과 최종처리수 결과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34]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양극산화 공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양극산화 공정 장치의 개략도이다.

[35]

종래의 펜톤 반응에서는 철 이온을 직접 투입하여 사용하나, 유사펜톤반응(Fenton like reaction)에서는 goethite, hematite, magnetite 등을 철 이온 대신 투입하여 종래의 문제점인 슬러지나 부산물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유사펜톤반응의 메커니즘은 하기와 같다(Electron transfer in Fenton like reaction (Moura et al, 2005).

[36]

[37]

다만, 이러한 펜톤 반응의 효율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효율성에 비해 경제성이 낮아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펜톤산화처리 촉매용 철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38]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펜톤산화처리 촉매용 철 구조체는 플레이트 형태에 철 촉매를 고정화(Immobilized Fenton Reaction)시킨 것으로서, 촉매의 컨트롤이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9]

[40]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41]

본 발명에 따른 폐수의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는 하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가철(Fe0)로 이루어진 플레이트(plate) 표면에 산화제이철(Fe2O3)의 나노 구조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2]

이러한 신규한 구조는 철 플레이트를 양극으로 하여 양극산화 공정과 어닐링 공정을 거쳐서 표면에 산화제이철(Fe2O3)의 나노 구조체를 형성함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43]

표면의 산화제이철(Fe2O3)의 나노 구조체에서 과산화수소와 함께 상기와 유사-펜톤 반응이 수행되어 OH 라디칼에 의해서 폐수 내의 유기 오염 물질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4]

또한, 영가철로 이루어진 플레이트에서 표면의 나노구조체로 전자를 계속 공급하여 유사-펜톤 반응이 지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5]

즉, 표면의 펜톤-유사 반응에서 Fe2+에서 Fe3+로 산화된 후, 이의 재생문제를 플레이트 내에 존재하는 영가철에 의한 전자 이동으로 인해 Fe3+에서 Fe2+로의 환원으로 재생기작을 촉진시킨다.

[46]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는 영가철의 플레이트에 펜톤 반응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높은 표면적을 갖는 나노 형상의 구조체를 표면에 형성하여 반응하는 철 촉매를 고정화시켜 철 촉매의 컨트롤이 용이한 펜톤반응 고정화 촉매(Immobilized Fenton Reaction)라고 할 수 있다.

[47]

또한, 상기 산화제이철의 나노 구조체는 나노리프(Nano-leaf)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나노리프(Nano-leaf) 형상이라 함은 그래핀과 유사한 형태(grphen-like) 또는 면의 형상(종횡비가 1에 가까움)을 갖는 불규칙적인 와이어(wire)와 같은 나뭇잎 형상을 갖는 형태를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도 3a 및 도 3b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48]

또한, 표면은 산화제이철의 헤마타이트(hematite)이고, 플레이트는 영가철(Fe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49]

[50]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폐수의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51]

(a) 영가철(Fe0) 플레이트(plate)를 황산나트륨(Na2SO4)과 플루오르화나트륨(NaF)의 혼합 전해 용액에 담지 후, 상기 영가철 플레이트가 양극이 되도록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52]

(b) 상기 (a) 단계의 양극 산화 단계를 지속시켜 상기 영가철 플레이트 표면을 산화시키는 단계,

[53]

(c) 상기 표면이 산화된 영가철 플레이트를 어닐링시키는 단계.

[5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a) 단계에서 10-15 V 전압으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 V 전압일 수 있다.

[55]

10 V 미만의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양극산화시 산화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15 V 초과의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발열에 의해 철 나노구조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펜톤산화처리용 철 나노구조체 제조 시, 상기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56]

또한, 상기 양극산화 시, 반응 시간은 2-5 시간일 수 있고, 반응 시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양극 산화에 의해 산화제일철(FeO) 결정형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나노결정형 생성에 문제가 생기거나 비결정형이 생성되어 펜톤 처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57]

한편, 상기 (b) 단계에서 양극산화된 플레이트의 표면은 우스타이트(wustite) 결정 구조의 산화제일철(FeO)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어닐링된 플레이트의 표면은 헤마타이트(hematite) 결정 구조의 산화제이철(Fe2O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58]

[59]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본 발명에 따른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를 이용하여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폐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60]

(a) 폐수를 준비하는 단계,

[61]

(b) 상기 폐수에 과산화수소 및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를 투입하는 단계.

[62]

한편, 상기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의 표면 나노 구조에서 유사펜톤반응이 일어나고, 이를 통하여 폐수 내 포함된 유기물의 산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3]

또한, 상기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의 플레이트에서 표면으로 전자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방법은 기존의 펜톤 공정에서 문제가 되던 pH 3-5 정도의 낮은 조건에서 이루어지던 공정을 중성 및 pH 12 정도의 알칼리 상태에서도 수행이 가능하게 하며, 철 슬러지의 발생이 없고 철촉매의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환경처리 공정을 구현할 수 있다.

[65]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66]

[67]

실시예 1

[68]

(1) 본 발명에 사용된 철은 순도 99.0%이며, 양극산화와 전기환원에 유리하도록 40 mm 내지 100 mm의 크기로 절삭한 철 플레이트를 사용하였다. 철 플레이트 표면의 유기분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Chemical etching을 하였고, 불산과 질산과 증류수를 1:4:5의 부피비로 섞어서 사용하였다. 철 플레이트 샘플을 제조된 용액에 약 30 초간 담지 하였다가 꺼내어 증류수로 약 20 분간 초음파 세척하였다. 이 때 Chemical etching은 수소취성으로 인한 금속결함이나 유독성 가스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1분 이상은 수행하지 않았다.

[69]

(2) 이렇게 전처리된 철 플레이트 샘플에 대해서 하기 도 9와 같이, 양극산화법을 수행하였다.

[70]

양극산화시 전해용액은 Na2SO4 1 M에 0.25 wt%의 NaF를 혼합한 전해질을 사용하였다. 전원을 공급할 파워서플라이는 PNCYS의 EP1605 모델을 사용하여 EG 전해질을 사용한 양극산화는 전압을 12 V로 고정하여 정전압법으로 양극산화를 수행하였다.

[71]

하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극에는 철 플레이트, 음극에는 95 %의 백금 또는 구리를 고용하여 5-8 cm 간격으로 평형하게 배치하였다.

[72]

온도는 냉각수를 통해 5 ℃를 유지하였고, 양극산화시간은 3 시간으로 고정하여 이 후 증류수와 메탄올로 세척한 후 오븐에서 60 ℃로 건조하였다.

[73]

(3) 상기 양극산화시킨 철 플레이트를 다시 약 750 ℃ 어닐링하였다.

[74]

(4) 초기 철 플레이트(Fe0)을 양극산화한 경우에 그 표면은 우스타이트(wustite, FeO)로 변화되고, 이후 어닐링 과정을 거치게 되면 표면은 헤마타이트(hematite, Fe2O3)가 형성된다.

[75]

[76]

비교예 1 내지 3

[77]

상기 실시예 1의 양극산화 공정에서 전압을 12 V로 하는 것 대신에 4, 8, 16 V로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78]

[79]

실험예 1

[80]

양극산화시 시간에 따른 전류변화를 분석한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래프를 살펴보면 4 V, 8 V, 16 V에 비하여 12 V의 경우 일반적인 양극산화 단계에서 나타나는 전압전류곡선의 형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81]

이러한 전류변화양상을 통하여 12 V에서 양극산화를 통해 초기 철 플레이트의 표면이 나노 구조체 형상의 산화철로 변화된다.

[82]

[83]

실험예 2

[84]

하기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실시예 1에 따라 철 플레이트 표면에 형성된 산화철 구조체의 top-view, bottom-view를 보여주는 주사현미경이미지로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구조체는 그래핀과 유사한 형태(grphen-like) 또는 면의 형상(종횡비가 1에 가까움)을 갖는 불규칙적인 와이어(wire)와 같은 나뭇잎 형상을 갖는 나노리프(nano laef) 형태이다.

[85]

[86]

실험예 3

[87]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철 플레이트의 표면에 형성된 철 구조체의 결정형을 XRD 그래프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결정형 일치도(Crystal Impact Match)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4에 나타내었다.

[88]

하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철 플레이트는 영가철(Fe0, raw iron)이고, 양극산화 공정을 거치게 되면 그 표면은 우스타이트(wustite, FeO(산화제일철))로 변화되고, 이후 어닐링 과정을 거치게 되면 표면은 헤마타이트(hematite, Fe2O3(산화제이철))가 변화됨을 확인할 수 있다.

[89]

[90]

실험예 4

[91]

상기 실시예 1의 양극산화 공정으로 제작된 철 구조체의 외관 이미지는 하기 도 5a와 같으며, 이후 어닐링 공정을 거친 철 구조체의 외관 이미지는 하기 도 5b와 같다.

[92]

양극산화 이후에는 진한 녹색 계열의 빛을 띄고(wustite), 750 ℃에서 어닐링한 이후에는 붉은 색의 빛을 띈다(hematite).

[93]

[94]

실험예 5

[95]

(1) 펜톤실험은 시안화합물(도금폐수)에 대해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pH는 HCN으로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12로 조정하였다.

[96]

먼저, 과산화수소(대정화학, 순도 30%)만을 사용하여 시안산화반응을 수행하였으며, control 실험으로는 과산화수소 대신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6a에 나타내었다.

[97]

하기 도 6a에서, 은 control, 은 H2O2 29.4 mM, 은 H2O2 147 mM, 은 H2O2 294 mM, 은 H2O2 882 mM인 경우이고, 각각의 시안화합물 제거에 대한 1차 비율 상수는 5.1×10-4(29.4 mM), 1.0×10-3(147 mM), 2.1×10-3(294 mM), 5.2×10-3(882 mM)이다.

[98]

과산화수소만을 882 mM 사용한 경우에 360분후에 시안화합물이 80%로 저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99]

[100]

(2) 다음으로 과산화수소와 함께 파우더 형태의 상용 철 촉매 파우더를 이용하여 시안산화반응을 수행하였으며, control 실험으로는 과산화수소 대신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6b에 나타내었다.

[101]

하기 도 6b에서, 은 control, 은 H2O2 29.4 mM, 은 H2O2 147 mM, 은 H2O2 294 mM, 은 H2O2 882 mM인 경우이고, 각각의 시안화합물 제거에 대한 1차 비율 상수는 1.0×10-3(29.4 mM), 3.0×10-3(147 mM), 6.0×10-3(294 mM), 1.2×10-2(882 mM)이다.

[102]

과산화수소 882 mM과 함께 상용 철 촉매 파우더(0.9 g)를 사용한 경우에 360분 후에 기준치를 만족하였다.

[103]

[104]

(3)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나노 리프 형태의 구조체가 포함된 펜톤산화처리용 철 촉매를 이용하여 시안산화반응을 수행하였으며, control 실험으로는 과산화수소 대신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6c에 나타내었다.

[105]

하기 도 6c에서, 은 control, 은 H2O2 29.4 mM, 은 H2O2 147 mM, 은 H2O2 294 mM, 은 H2O2 882 mM인 경우이고, 각각의 시안화합물 제거에 대한 1차 비율 상수는 3.0×10-4(29.4 mM), 4.0×10-3(147 mM), 1.0×10-3(294 mM), 1.7×10-2(882 mM)이다.

[106]

과산화수소 882 mM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펜톤산화처리용 철 촉매(0.9 g)를 사용한 경우 180분 후에 기준치를 만족하였다.

[107]

상기 (2)의 상용 철 촉매 파우더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반응시간이 반으로 단축되었다.

[108]

[109]

실험예 6

[110]

다음으로 함양 축산폐수처리장으로부터 채취하여, 침전 및 탈수과정을 거쳐 이후 여액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성상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채취 후 냉장보관하였다.

[111]

모든 실험에서 사용되어진 수용액의 제조는 millipore system을 사용하여 18 mΩ-cm까지 정화된 증류수를 사용하였으며, pH의 조절을 위한 용액은 1 N H2SO4와 10 N NaOH를 사용하였다.

[112]

각 실험은 회분식 반응기에서 실험되어졌으며, magnetic bar를 이용하여 용액을 균등하게 stirring하여 주었다. 반응 후 유기물의 양은 Total organic analyzer(Multi N/C 3100, analyticjen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본 실험에서 사용한 제올라이트는 일본 Wako사에서 제조한 제올라이트를 구매하여 사용하였으며, 제올라이트의 입경은 75 ㎛ (200 mesh)의 크기를 갖고 있다. 암모늄 이온의 농도는 ion-selective electrode(ISE, Neonet Dual pH meter) method에 의해 분석하였으며, 다른 방해물질의 제거 및 이온세기를 일정하면서도 높은 값으로 유지하기 위해 ionic strength adjuster(ISA)를 이용하였다.

[113]

축산폐수를 본 발명에 따른 펜톤산화처리용 철 촉매 1 g을 이용하여 펜톤처리한 결과(과산화수소는 전 실험에서 3 %로 고정하여 사용함), 60 분에 총 80 %의 처리효율을 보였으며, 일반 헤마타이트의 경우 70 %의 처리효율을 나타내었다. TOC의 경우 유기물로 완전한 산화된 양을 측정하기 때문에 70 % 이상의 효율이면 후속처리로 완전한 처리가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펜톤산화처리용 철 촉매의 경우 일반 헤마타이트 처리보다 훨씬 높은 효율을 나타낸 것으로 나타났다.

[114]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후 암모니아성 질소를 처리하기 위해 제올라이트를 이용하여 암모니아성 질소처리효율을 측정하였다. 반응 결과 1 g의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였을 경우 45 분에 90 % 처리효율을 나타냈다. 더 많은 양의 제올라이트를 투입할 경우 45 분 이후에 탈착에 의한 암모니아성 질소가 증가되는 현상을 나타냈다.

[115]

나아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산폐수처리 전과 암모니아성 질소까지 최종 처리한 결과의 사진이다. 높은 탁도가 제올라이트까지 여과된 후에는 굉장히 투명한 형태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16]

본 발명에 따른 펜톤산화처리 촉매용 철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페수처리 공정은 펜톤산화처리 효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철 슬러지의 발생이 없으며,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폐수 처리 등의 환경처리 공정 산업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ron structure for Fenton oxidation treatment, having a novel structure, wherein a nanostructured ferric oxide in which a Fenton-like reaction is carried out on the surface thereof is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and this nanostructure is fixed to a plate. The iron structure for Fenton oxidation treatment has excellent Fenton oxidation treatment efficiency and can be semi-permanently used, and thus can be useful in the environmental treatment process industry such as wastewater treatment.

[2]



양극산화로 형성된 폐수의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철 구조체는 영가철(Fe0)로 이루어진 플레이트(plate) 표면에 산화제이철(Fe2O3)의 나노 구조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 구조체의 표면에서 유사펜톤반응(Fenton like reaction)이 일어나고, 영가철로 이루어진 플레이트에서 표면으로 전자가 공급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이철의 나노 구조체는 나노리프(Nano-leaf)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이철의 나노 구조체는 헤마타이트(hematite) 결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

(a) 영가철(Fe0) 플레이트(plate)를 황산나트륨(Na2SO4)과 플루오르화나트륨(NaF)의 혼합 전해 용액에 담지 후, 상기 영가철 플레이트가 양극이 되도록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양극 산화 단계를 지속시켜 상기 영가철 플레이트 표면을 산화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표면이 산화된 영가철 플레이트를 어닐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수의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10-15 V 전압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양극산화된 플레이트의 표면은 우스타이트(wustite) 결정 구조의 산화제일철(Fe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어닐링된 플레이트의 표면은 헤마타이트(hematite) 결정 구조의 산화제이철(Fe2O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

폐수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폐수에 과산화수소 및 상기 제1항에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수처리방법.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에서 유사펜톤반응이 일어나고, 이를 통하여 폐수 내 포함된 유기물의 산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방법.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펜톤산화처리용 철 구조체의 플레이트에서 표면으로 전자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방법.



CPC - классификация

CC0C02C02FC02F1C02F1/C02F1/7C02F1/72

IPC - классификация

CC0C02C02FC02F1C02F1/C02F1/7C02F1/72
Получить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