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NNING TYPE F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수식 튀김기에 관한 것으로, 가열된 기름에 음식물을 튀기는 요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찌꺼기 등 이물질이 기름으로부터 분리되어 기름 하층에 수용된 물에 쉽게 분리되도록 하고, 기름의 온도조절 및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기름과 물의 적정 수위를 쉽게 파악하여 그 관리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유수식 튀김기에 관한 것이다. 튀김 요리를 하는 과정에서 기름의 상태는 요리의 품질을 크게 좌우하게 된다. 따라서 좋은 튀김 요리를 위해서는 이전에 사용한 기름은 폐기한 후 새로운 기름을 보충하거나, 튀김 요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음식 찌꺼기 등 이물질은 최대한 걸러내면서 요리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유수식 튀김기는 튀김통의 하부에는 물이 상부에는 기름을 채움으로써 튀김통 전체에 기름을 채움에 따른 기름의 낭비를 줄일 뿐만 아니라 튀김 과정에서 발생한 음식 찌꺼기 등 이물질은 기름층으로부터 물층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튀김통 하부의 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기름층으로부터 분리된 찌꺼기를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의 구성은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공보 20-440640호, 등록특허공보 10-1222767호, 공개특허공보 10-2013-0117535호, 등록특허공보 10-1355023호, 등록특허공보 10-1214152호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의 경우에 기름과 물의 경계를 표시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서 대부분의 사용자는 눈짐작으로 물의 위치를 맞춘 다음에 기름의 위치를 맞춰 사용하였기 때문에 최적 환경에서의 튀김 요리를 하기 어려웠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기름의 온도만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을 뿐 물의 온도와 히터의 온도를 감지한 후 튀김 요리에 최적 환경을 제공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들 중에서 일부는 기름의 온도 조절을 위해서 공냉식 냉각수단이 설치되기는 하였으나 그 구조가 조잡하여 튀김 요리에 최적 환경을 제공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기름의 온도 및 물의 온도뿐만 아니라 히터의 온도를 감지하여 최적의 튀김 온도 조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유수식 튀김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름과 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에 기준선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기름과 물을 최적으로 조건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유수식 튀김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가열된 기름을 적정 수준의 온도로 낮추기 위해 적용된 공냉식 냉각수단을 콤팩트 구조와 효율적인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한 유수식 튀김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히터, 냉각수단 및 온도조절수단 등과 연결되는 각종 전기 케이블 등이 정돈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한 유수식 튀김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는, 상부에는 기름이 채워지고 하부에는 물이 채워지는 상부구간과 하부구간이 구분 형성되고, 상부구간과 하부구간 사이에 잘록한 형태의 중간구간이 형성되며, 중간구간의 일측에는 기름배출구가 하부구간의 하측에는 물배출구가 설치된 튀김통; 튀김통의 사방을 받치는 프레임; 튀김통의 상부구간 내에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는 히터; 튀김통의 중간구간에 복수의 공냉파이프가 가로질러 설치되어 튀김통 내의 기름 온도를 냉각하기 위한 공냉수단; 튀김통의 상부구간 일측에 기름온도 센서가 설치되며, 튀김통의 하부구간 일측에 물온도 센서가 설치되며, 히터에 근접하여 히터온도 센서가 설치되어, 튀김통 상부구간의 기름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맞춰 히터와 공냉수단이 조절되도록 설치된 온도조절수단; 튀김통의 후방 측에 설치되어 히터, 공냉수단, 온도조절수단들과 연결되는 케이블과 전기장치를 수용하며, 측면과 상측에는 케이블의 입출을 위한 통공이 관통 형성된 배선함; 및 튀김통의 전면 하측에 설치되어 기름과 물의 상태 확인이 가능토록 하되 물과 기름의 적정 경계선이 표시된 투시창; 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에서 튀김통의 하부 위치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투시창 마우스가 형성되며, 투시창 마우스 주변에는 투시창을 조립한 후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시창 조립 볼트가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에서 상기 투시창은 중앙에는 투시부가 관통형성되며, 양쪽에는 볼트 조립공간이 구분 형성되는 한편 볼트 조립구멍이 형성된 투시창 바디; 투시창 바디의 투시부에 설치되는 강화유리; 투시창 바디의 후방측에서 설치되어, 전면은 강화유리에 밀착 설치되며 후면은 투시창 마우스에 밀착되는 패킹; 투시창 바디 내부에 패킹이 설치된 상태에서 패킹이 투시창 바디에 고정되도록 상기 투시창 바디과 패킹 사이의 간격에 설치되는 접착수단; 및 투시창 바디의 투시부에 기름과 물의 적정 수위를 표시하기 위해 형성된 적정수위 표시선;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에서 프레임의 전방에는 평단면 형태가 ㄷ자 형태로 형성된 전면커버가 양쪽의 전방다리에 고정설치되고, 프레임의 양쪽 측면에는 공기 흐름이 가능토록 형성된 측면커버가 각각 설치되며, 프레임의 후방에는 냉각공기 토출박스의 토출구가 위치되는 부위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배면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에서 투시창 마우스에 대응하는 위치의 전면커버 상에는 투시창 마우스 조립구멍이 관통 형성되어, 투시창은 전면커버를 장착한 상태에서 투시창 마우스에 내면이 밀착되게 조립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에서 측면커버의 후방 끝에는 프레임의 후방다리에 형성된 커버 조립구멍에 대응하는 커버 조립돌기가 형성되고, 측면커버의 전방 끝은 프레임의 전방 다리에 볼트로써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에 의하면 튀김기의 튀김통 내부에 가열된 기름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단이 콤팩트한 구조를 이루면서도 냉각 효율은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에 의하면 튀김기 내부에 복수의 히터가 분리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사용자의 설정 온도 폭이 넓고 설정된 온도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는 기름과 물의 경계선 및 음식 찌꺼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는 후방에 마련되는 배선함에 의해서 히터, 냉각수단, 온도조절수단 등과 연결되는 전선 등이 정돈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의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의 좌측 측면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의 우측 측면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의 정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의 좌측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의 우측면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의 배면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의 평면 구성도. 도 9 는 도 8 에 표시된 A-A선 단면도. 도 10 은 도 8 에 표시된 B-B선 단면도. 도 11 은 도 10 에 표시된 C-C선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시창의 배면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시창의 배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에 대해서 실시 예를 보인 도면들을 참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를 지시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1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전면과 측면에 설치되는 커버를 분리하고, 상측에 설치되는 덮개(110)를 분리한 상태의 도면이다. 한편,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100)의 전면에는 커버가 설치되며 측면에는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100)의 좌측면 구성도로 튀김통에는 튀김 베드가 설치되고 우측면의 커버는 분리된 상태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100)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 형상으로 형성된 튀김통(200), 튀김통(200)을 받치기 위해 한 쌍의 전방다리(310)와 한 쌍의 후방다리(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레임(300), 튀김통(200)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관되는 히터(410), 히터(410)에 의해 가열된 기름과 물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설치되는 공냉수단, 튀김통 내부의 기름과 물 온도를 측정하여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튀김통(200)은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크게 세 구간으로 구성이 된다. 즉, 기름이 채워지기 위한 상부구간(210), 물이 채워지기 위한 하부구간(230), 상부구간(210)과 하부구간(230) 사이에 잘록한 구조로 형성되어 공냉파이프(510)가 설치되는 중간구간(220)으로 구분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튀김통(200)에서 상부구간에 수용된 기름과 하부구간에 수용된 물의 경계부분이 위치되는 구간에는 기름과 물의 경계부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시창(600)이 설치되고, 투시창(600)이 설치되는 일측에는 기름의 배출을 위한 기름배출구(240)가 설치된다. 물배출구(250)는 튀김통(200)의 하부구간(230)의 바닥에 설치된다. 특히, 튀김통(200)의 중간구간(220)은 도 1 내지 도 3 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양쪽 측면에서 안쪽을 향하여 잘록해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 구간에는 기름통 내부에서 가열된 기름과 물을 냉각하기 위한 다수의 공냉파이프(510)가 좌우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된다. 공냉파이프(510)들의 양쪽 끝단은 도면에 보이는 바와 같이 튀김통(200) 외부에 각각 연결되고, 튀김통 내부와는 연결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전술한 공냉파이프(510)로 공기가 강제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프레임(300)의 후방 측에는 냉각팬(540)이 설치되고, 이 냉각팬(540)에서 발생하는 압력이 공냉파이프(510)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냉각공기 흡입 박스(520) 및 냉각공기 토출 박스(530)가 튀김통(200)의 중간부분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냉각공기 흡입 박스(520)는 도 3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모든 공냉파이프(510)의 한쪽 끝을 감싸는 구조로 설치되는 반면에, 냉각공기 토출 박스(530)는 도 2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후방측에 배관된 일부 공냉파이프(510)의 끝만을 감싸는 구조로 설치된다. 따라서, 도면에 보이는 바와 같이 4개의 공냉파이프(510)가 튀김통(200)의 중간부를 가로질러 설치된 경우에는, 도 9 내지 도 11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전방 두 개의 공냉파이프(510a)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방향은 좌에서 우로 흐르는 반면에 후방 두 개의 공냉파이프(510b)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은 우에서 좌로 흐르게 된다. 즉, 공냉수단의 냉각팬(540)이 구동하게 되면, 압력이 냉각공기 토출 박스(530), 후방에 위치된 두 개의 공냉파이프(510b), 프레임(300)의 다른 한쪽에 설치된 냉각공기 흡입 박스(520), 전방에 위치된 두 개의 공냉파이프(510a)에 차례로 압력이 전달되어 공기의 흐름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100)의 튀김통(200) 상부구간(210)에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진 히터(410)가 설치된다. 히터(410)는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하나의 히터(410)에 의해서 기름이 가열되도록 할 수도 있고, 두 개의 히터(410)에 의해서 기름이 가열되도록 할 수도 있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프레임(300)의 전면에는 제어반(700)이 설치되고, 제어반(700)에는 히터1 및 히터2를 조작할 수 있는 버튼 등이 마련된다. 또한, 제어반(700)에는 기름의 온도, 물의 온도, 히터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 마련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기름의 온도, 작동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들이 마련된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420은 기름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름온도 센서이고, 도면부호 430은 히터(41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히터에 근접하여 설치된 히터온도 센서이며, 도면부호 440은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물온도 센서이다. 전술한 각종의 센서들은 프레임(300)의 후방측에 배선되는 케이블들을 통해서 측정된 값이 제어반(700)까지 전달되도록 구성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100)에서는 프레임(300)의 후방 측에 배선되는 각종의 케이블들이 정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선함(800)이 프레임(300)의 후방측에 설치된다. 또한, 배선함(800)의 상부와 측면에는 케이블의 인입과 인출을 위한 통공(810)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각종의 케이블들은 전술한 배선함(800)으로 감싸짐으로써 정리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300)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다리(310), 한 쌍의 후방다리(320) 및 하부지지대(330) 들은 내부쪽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 개방된 공간을 통해서 제어반(700)과 배선함(80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들이 배선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100)의 프레임(200)은 그 사방이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340), 배면커버(350) 및 측면커버(360)로써 감싸질 수 있다. 전면커버(3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전방다리(310)로부터 후방을 향해 떨어진 튀김통(200)의 하부까지의 거리에 맞춰 평단면 형태가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데, 그 중간에는 투시창 마우스 조립구멍(342)이 관통형성되고, 투시창 마우스 조립구멍(342)의 주변에는 투시창(600)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볼트가 통과하는 볼트 조립구멍(344)이 형성된다. 또한, 기름배출구(240)가 조립되기 위한 기름배출구 조립구멍(346)이 관통 형성된다. 배면커버(350)는 도 7 에 보이는 바와 같이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는데, 특히 냉각공기 토출박스(230)의 토출구가 위치되는 부위에는 뜨거워진 냉각공기의 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공(352)이 집중적으로 형성된다. 프레임(300)의 양쪽에 설치되는 측면커버(360) 상에는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후방 끝에는 후방다리(320)에 형성된 커버 조립구멍(322)에 대응하는 커버 조립돌기(362)가 형성된다. 따라서, 측면커버(360)의 조립시에는 후방다리(320)에 형성된 커버 조립구멍(322)에 커버 조립돌기(632)를 끼운 상태에서, 측면커버(360)의 전방 부분이 전방다리(310)에 밀착되도록 하여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기름과 물의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튀김통(200)의 전면에 조립설치되는 투시창(600)은 도 11 및 도 12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중앙에 투시부가 관통형성되며 양쪽에는 볼트 조립공간이 구분 형성되는 한편 볼트 조립구멍이 형성된 투시창 바디(610), 투시부에 설치되는 강화유리(620), 투시창 바디(610)의 후방에서 설치된 강화유리(620)가 밀착되도록 하면 투시창 마우스(360)에 대하여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 패킹(630), 투시창 마우스(260)와 패킹(630) 사이의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투시창 마우스와 패킹 사이의 간격를 접합시키는 실리콘 등의 접착수단(640) 및 기름과 물의 적정 경계선을 표시하기 위해 투시창 바디(610)에 형성된 적정수위 표시선(650)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투시창(600)은 투시창 마우스(260)에 패킹(630)이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투시창 조립 볼트(270)에 너트(660) 등을 체결함으로써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조립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100)의 튀김통(200) 내부에 설치된 히터(410)보다 높은 위치의 튀김통(200) 내부 양측에는 튀김 베드(900)의 설치를 위한 튀김 베드 걸이(280)가 형성된다. 따라서, 튀김통(200) 내부에 튀김 베드(900)를 설치하더라도 히터(410)보다 일정 높이 떨어진 위치에 튀김 베드(900)가 위치하게 된다. 한편, 튀김 베드(900)는 도면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됨으로서 기름의 통과가 허용되는 한편 튀김 요리 과정에서 발생하게 된 찌꺼기 등은 하측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튀김 베드(900)의 전후의 끝단에는 하측을 향해 돌출된 돌부(910)가 형성된다. 그리고 튀김통(200)의 상부구간(210) 후면에는 보강을 위한 보강부재(290)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부호 110은 튀김통(200)을 덮기 위한 덮개이다. 덮개(110)의 좌우 양쪽 및 후방에는 하향으로 돌출된 돌부가 형성되고, 중앙 부분에는 손잡이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수식 튀김기(100)는 사용자가 제어반(700)에 설치된 온도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설정온도를 설정하게 되면 히터(410)의 동작에 의해서 기름이 가열되게 된다. 히터(4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한 개 또는 두 개의 히터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름의 냉각을 위한 냉각수단은 프레임(300)의 후방에 설치된 냉각팬(540)이 구동하게 되면 냉각공기 토출 박스(530)에 압력이 전달되면서, 공냉 파이프(510)를 따라서 공기가 강제로 순환되면서 가열된 기름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전면에 설치된 투시창(600)을 통해서 기름과 물의 경계면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에 섞인 찌꺼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투시창(600)에는 패킹(630)이 투시창 바디(610)와 일체로 구성됨에 따라서 그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투시창(600)에 적정 수위표시선(660)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사용자는 기름과 물의 양을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튀김 요리가 끝난 후, 기름배출구(240)를 개방하게 되면 물의 상부에 위치된 기름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고, 물배출구(250)를 개방하게 되면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의 여러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여러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한정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수식 튀김기는 닭 등 음식물을 튀기는데 이용할 수 있으며, 음식물을 튀기는 과정에서는 기름의 소비를 줄일 수 있고, 기름 및 물의 온도 조절이 용이하며, 기름과 물의 상태를 육안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콤팩트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등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A running type f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ying vessel that has an upper section and a lower section that are formed to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a narrow intermediate section that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ection filled with oil and the lower section filled with water, wherein an oil drain por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termediate section, and a water drain por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section; a frame that supports four sides of the frying vessel; a heater installed in zigzags in the upper section of the frying vessel; an air-cooling means that cools the oil in the frying vessel, wherein a plurality of air-cooling pipes are installed in the intermediate section of the frying vessel; a temperature control means that is installed to control the heater and the air-cooling means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of the oil in the upper section of the frying apparatus, wherein an oil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ection of the frying vessel, a water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in the lower section of the frying vessel, and a heater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to be close to the heater; a distributing box that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frying vessel and has through-holes formed through the lateral side and the upper side thereof, wherein cables enter and exit the distributing box through the through-holes; and a transparent window tha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of the frying vessel and on which a proper boundary line between the water and the oil is marked. 기름이 채워지는 상부구간과 물이 채워지는 하부구간이 구분 형성되고, 상기 상부구간과 하부구간 사이에 잘록한 형태의 중간구간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구간의 일측에는 기름배출구가 상기 하부구간의 하측에는 물배출구가 설치된 튀김통; 상기 튀김통의 사방을 받치는 프레임; 상기 튀김통의 상부구간 내에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는 히터; 상기 튀김통의 중간구간에 복수의 공냉파이프가 가로질러 설치되어 상기 튀김통 내의 기름 온도를 냉각하기 위한 공냉수단; 상기 튀김통의 상부구간 일측에 기름온도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튀김통의 하부구간 일측에 물온도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히터에 근접하여 히터온도 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튀김통 상부구간의 기름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맞춰 상기 히터와 상기 공냉수단이 조절되도록 설치된 온도조절수단; 상기 튀김통의 후방 측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 공냉수단, 온도조절수단들과 연결되는 케이블과 전기장치를 수용하며, 측면과 상측에는 케이블의 입출을 위한 통공이 관통 형성된 배선함; 상기 튀김통의 전면 하측에 설치되어 기름과 물의 상태 확인이 가능토록 하되 물과 기름의 적정 경계선이 표시된 투시창; 상기 투시창이 조립되는 튀김통 하부 위치에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투시창 마우스; 및 상기 투시창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상기 투시창 마우스 주변에 설치되는 투시창 조립 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튀김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은, 중앙에는 투시부가 관통형성되며 양쪽에는 볼트 조립공간이 구분 형성되는 한편 볼트 조립구멍이 형성된 투시창 바디; 상기 투시창 바디의 투시부에 설치되는 강화유리; 상기 투시창 바디의 후방측에서 설치되어, 전면은 강화유리에 밀착 설치되며 후면은 상기 투시창 마우스에 밀착되는 패킹; 상기 투시창 바디 내부에 패킹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패킹이 투시창 바디에 고정되도록 상기 투시창 바디과 패킹 사이의 간격에 설치되는 접착수단; 및 상기 투시창 바디의 투시부에 기름과 물의 적정 수위를 표시하기 위해 형성된 적정수위 표시선;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튀김기.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는 평단면 형태가 ㄷ자 형태로 형성된 전면커버가 양쪽의 전방다리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양쪽 측면에는 공기 흐름이 가능토록 형성된 측면커버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배면커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튀김기.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 마우스에 대응하는 위치의 전면커버 상에는 상기 투시창 마우스 조립구멍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투시창은 상기 전면커버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투시창 마우스에 내면이 밀착되게 조립되는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튀김기.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의 후방 끝에는 프레임의 후방다리에 형성된 커버 조립구멍에 대응하는 커버 조립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커버의 전방 끝은 상기 프레임의 전방 다리에 볼트로써 고정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튀김기. 기름이 채워지는 상부구간과 물이 채워지는 하부구간이 구분 형성되고, 상기 상부구간과 하부구간 사이에 잘록한 형태의 중간구간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구간의 일측에는 기름배출구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하부구간의 하측에는 물배출구가 설치된 튀김통; 상기 튀김통의 사방을 받치는 프레임; 상기 튀김통의 상부구간 내에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는 히터; 상기 튀김통의 중간구간에 복수의 공냉파이프가 가로질러 설치되되 상기 공냉파이프들의 양쪽 끝단은 각각 상기 튀김통의 외부와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튀김통의 어느 한쪽에 노출된 모든 공냉파이프의 끝은 냉각공기 흡입 박스로 감싸지는 한편 상기 튀김통의 다른 한쪽에 노출된 상기 공냉파이프들의 끝 중 후방의 일부 공냉파이프의 끝만이 냉각공기 토출 박스로 감싸지며, 상기 냉각공기 토출 박스의 후방에는 냉각공기의 강제 토출을 위한 냉각팬이 설치된 공냉수단; 상기 냉각공기 토출박스의 토출구가 위치되는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박스의 토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후방 커버; 및 상기 튀김통의 기름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맞춰 상기 히터와 상기 공냉수단이 조절되도록 설치된 온도조절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튀김기.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튀김통의 상부공간 일측에는 기름온도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튀김통의 하부공간 일측에는 물온도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히터에 근접하는 위치에는 히터온도 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튀김기.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그 길이방향이 튀김통의 전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공냉파이프는 상기 튀김통의 좌우방향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튀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