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KET OUTLET AND INTERLOCK DEVICE FOR SOCKET OUTLET
본 발명은 소켓아웃렛 및 그 소켓아웃렛의 인터로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직류용 소켓아웃렛에서 차단 아크를 억제할 수 있는 소켓아웃렛 및 그 소켓아웃렛의 인터로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직류전원은 교류전원과 달리 전류 영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차단시 아크전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아크 전류에 의하여 화재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소켓아웃렛과 플러그는 두 전극의 전기적 접촉에 의하여 전기적 연결을 하며, 분리되었을 때 전기적인 차단을 수행하게 된다. 소켓아웃렛과 플러그 각각의 두 전극이 서로 접촉되었을 때에는 접촉저항이 감소하여 부하전류를 자유롭게 공급할 수 있어야 하고, 두 전극이 차단되었을 때는 전극 사이의 저항은 무한대로 증가하여 전원측과 부하측을 전기적으로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처럼 소켓아웃렛과 플러그의 연결 및 차단 동작시에는 두 가지 극단적인 전기적인 상태의 변화가 초래되며, 이로 인하여 차단 아크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 교류에서 사용되는 플러그와 소켓아웃렛을 그대로 직류에서 사용하는 경우 접속이 끊어질 때 매우 큰 아크 전류가 발생하여 플러그와 소켓아웃렛의 전극을 융착시키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 또한 유도성 부하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은 플러그 전극에 유도되어 아크 전압(Varc)을 생성하기 때문에 플러그를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류용 소켓아웃렛에는 PPTC(polymeri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분기회로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플러그와의 결합상태에 따른 종래 PPTC 분기회로를 적용한 직류용 소켓아웃렛의 전류흐름을 보인 회로도이다. 먼저, 도 1은 소켓아웃렛(1)과 플러그(2)가 완전히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때 부하전류(iL)는 소켓아웃렛(1)으로부터 플러그(2)의 제1전극(P1)을 통해 부하(3)로 공급된다. 상기 플러그(2)의 제2전극(P1)은 소켓아웃렛(1)의 제1 및 제2단자부(S1,S2)에 접촉되어 있으며, 플러그(2)의 제2전극(P2)은 소켓아웃렛(1)의 제3단자부(S3)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S1,S2)의 사이에는 PPTC가 위치한다. 상기 제2단자부(S2)와 제3단자부(S3)는 플러그(2)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위치(x2)에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제1단자부(S1)는 플러그(2)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2단자부(S2)보다 더 먼 위치(x1)에 위치하게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2)를 소켓아웃렛(1)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 상기 플러그(2)의 제1전극(P1)은 제1단자(S1)에서 분리되고, 제2단자(S2)에 접촉된 상태가 되며, 제2전극(P2)은 제3단자(S3)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부하전류(IL)는 상기 제1단자부(S1)를 통해 흐르지 않고, PPTC를 통해 제2단자(S2) 및 제1전극(P1)을 통해 부하(3)로 흐르게 된다. 이때 PPTC의 온도에 비례하여 저항이 비선형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는 특성에 의하여 부하전류(IL)를 완만하게 낮추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3은 플러그(2)가 소켓아웃렛(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이며 이때 부하전류(IL)는 흐르지 않게 된다. 즉, 플러그(2)를 분리할 때 저항이 매우 낮은 값에서 무한대로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PPTC를 이용하여 플러그(2)와 소켓아웃렛(1)의 사이 저항을 증가시켜 아크 전류의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PPTC가 정상 운전 조건에서 낮은 저항값을 나타내어 부하전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나, 단락사고 등에 의해 부하(3)에 과전류가 흘러 PPTC의 트립전류 레벨을 넘어서면 저항이 비선형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여 부하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플러그(2)를 소켓아웃렛(1)에 결합할 때에도 상기 도 2와 같은 상태로 PPTC를 통해 부하전류(IL)가 흐르게 되며, 일단 트립상태에 도달한 PPTC는 일정한 시간 동안 그 상태를 유지하는 특성이 있다. 즉 PPTC에 트립레벨 이상의 전류가 흘러서 고저항 상태에 이른 후에는 다시 전류를 흐르지 않아도 PPTC의 저항값은 수 분 동안 고저항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2)를 소켓아웃렛(1)에 결합할 때에도 도 2와 같이 PPTC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어 PPTC는 고저항 값이 되며, 플러그(2)를 소켓아웃렛(1)에 결합한 후 수 분 이내에 플러그(2)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차단 아크를 억제하지 못하고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밖에 PPTC를 사용하지 않는 직류용 소켓 아웃렛들도 공개되어 있으며, PPTC를 사용하지 않는 구조에서도 소켓아웃렛과 플러그 간의 결합 또는 분리시 아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러그와 소켓아웃렛의 결합 또는 분리시 아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소켓아웃렛 및 그 소켓아웃렛의 인터로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부하단락 또는 과전류에 의한 고장 발생시 전류를 차단함과 아울러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소켓아웃렛 및 그 소켓아웃렛의 인터로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PTC의 적용 여부와 무관하게 적용할 수 있는 소켓아웃렛의 인터로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켓아웃렛은, 플러그의 전극이 삽입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과 공급전원의 사이에 배치되는 PPTC와, 상기 PPTC의 양단을 각각 소켓과 연결하는 복수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은 각각 상태 변경에 시차를 두어 플러그 전극이 소켓에 결합될 때 상기 PPTC가 트립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위치들은, 상기 PPTC의 일단과 상기 공급전원의 접점을 상기 소켓에 연결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PPTC의 타단을 상기 소켓에 연결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플러그의 전극과 상기 소켓이 결합될 때 상기 제1스위치가 상기 제2스위치보다 더 빨리 클로즈 상태가 된다. 상기 플러그의 전극과 상기 소켓이 분리될 때, 상기 제1스위치가 상기 제2스위치보다 더 빨리 오픈 상태가 되어, 상기 PPTC로 전류패스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는 소켓과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며, 회전정도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의 상태를 변경하는 인터로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로크 장치는, 회전판과,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1스위치의 토글과 상기 제2스위치의 토글이 삽입되는 삽입공간부와, 상기 삽입공간부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단차면과, 상기 삽입공간부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단차면을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상부단차면 또는 상기 하부단차면과 상기 토글들이 순차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의 상태를 순차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상부단차면은 상기 제1스위치의 토글에 접촉되는 제1접촉면과 제2스위치의 토글에 접촉되는 제2접촉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접촉면은 제2접촉면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단차면은 상기 제1스위치의 토글에 접촉되는 제3접촉면과 제2스위치의 토글에 접촉되는 제4접촉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3접촉면은 제4접촉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인터로크 장치는, 결합된 플러그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더는 제1스위치의 토글과 제2스위치의 토글이 삽입되는 삽입공간부와, 상기 삽입공간부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단차면과, 상기 삽입공간부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단차면을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상부단차면 또는 상기 하부단차면과 상기 토글들이 순차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의 상태를 순차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는 외경부에서 돌출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플러그가 회전할 때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인터로크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단차면은 상기 제1스위치의 토글에 접촉되는 제1접촉면과 제2스위치의 토글에 접촉되는 제2접촉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접촉면은 제2접촉면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단차면은 상기 제1스위치의 토글에 접촉되는 제3접촉면과 제2스위치의 토글에 접촉되는 제4접촉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3접촉면은 제4접촉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은, 마주하는 한 쌍의 원판이며, 상기 한 쌍의 원판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소켓아웃렛은, 상부 블레이드 및 하부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플러그; 및 상기 상부 블레이드 및 상기 하부 블레이드 각각이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된 상부 가이드부 및 하부 가이드부, 상기 플러그가 회전됨에 따라 온오프되는 인터로크 스위치, 직류 전원을 상기 플러그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온오프되는 반도체 스위치, 및 상기 인터로크 스위치가 온됨에 따라 상기 직류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온시키고, 부하전류를 감지하여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콘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직류 전원을 상기 드라이버용 직류 전압으로 감압하여 공급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의해 세트되어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온시키는 RS 래치; 상기 감지된 부하전류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반전기; 및 상기 반전된 부하전류를 상기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반전된 부하전류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오프시키도록 상기 RS 래치를 리셋시키는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과 상기 RS 래치의 출력단 사이에 부저 및 발광 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가 연결되고, 상기 반도체 스위치가 오프되면, 이상상태를 알람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센트는 상기 직류 전원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되며 다이오드 및 저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도체 스위치가 오프되는 경우, 유도성 부하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억제하는 환류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센트는, 상기 플러그의 플러그 전극이 삽입되는 콘센트 전극, 및 회전을 위한 중심축을 이루는 샤프트가 관통하여 구비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인터로크 스위치의 스위치 바를 온오프시키는 걸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센트는, 상기 회전판과 상기 콘센트의 케이스 전면 사이에 배치되는 외부 회전판; 및 상기 외부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경우 가압되고 상기 플러그가 제거되는 경우 복원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회전판은 상기 콘센트의 케이스 전면 측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는 상기 콘센트의 케이스 전면의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부 및 상기 하부 가이드부는 매립 형태 또는 외부 돌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콘센트는 상기 상부 블레이드 및 상기 하부 블레이드 각각이 삽입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 및 상기 하부 가이드와 각각 연통하는 상부 삽입홈 및 하부 삽입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소켓아웃렛 및 그 소켓아웃렛의 인터로크 장치는, PPCT 우회로에 복수의 스위치를 부가하여, 플러그를 소켓아웃렛에 결합할 때 PPCT가 트립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플러그를 소켓 아웃렛에 결합한 후 수 분 이내에 플러그를 분리하는 경우에도 차단 아크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 검출을 위한 별도의 수단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비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위치의 단락 순서를 기계적인 인터로크 장치로 구현하여 아크 발생 방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플러그와의 결합상태에 따른 종래 소켓아웃렛의 전류흐름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켓아웃렛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소켓아웃렛의 결합상태에 따른 스위치들의 상태와 플러그 전압 및 전류 상태의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로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인터로크 장치의 회전판이 회전하지 않은 제1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인터로크 장치의 회전판이 설정 또는 허용된 정도로 회전된 제2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슬라이더에 의해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가 순차적으로 클로즈 상태가 되는 과정의 예시도이다. 도 12와 도 13은 슬라이더에 의해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가 순차적으로 오픈 상태가 되는 과정의 예시도이다. 도 14와 도 15는 각각 본 발명 인터로크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켓아웃렛의 개념적 회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드라이버의 세부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아웃렛의 인터로킹을 위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도 18에서 회전판에 설치된 걸쇠와 인터로크의 연동 구조로서, (a) 인터로크 스위치 오프 상태 및 (b) 인터로크 스위치 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아웃렛 구조로서, (a) 매립 형태 가이드인 경우의 구성도, (b) 외부 돌출 형태 가이드인 경우의 구성도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켓아웃렛의 구성으로서, (a) 회전판의 분해 사시도 및 (b) 회전판과 인터로크의 연동 관계를 나타낸 사사도이다. 도 22a 내지 도 22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켓아웃렛의 결합 구조로서, (a) 매립 형태 가이드인 경우의 구성도, (b) 외부 돌출 형태 가이드인 경우의 구성도, (c) 외부 돌출 형태 가이드인 경우의 조립상태의 구성도, 및 (d) 콘센트 케이스 전면부와 외부 회전판의 세부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3a 내지 도 2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켓아웃렛에서, (a) 외부 회전판의 정면도, (b) 콘센트 케이스의 정면도, 및 (c) 플러그의 정면도이다. 도 24a 내지 도 2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켓아웃렛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되기 전 상태, (b)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된 직후의 상태, 및 (c) 플러그가 콘센트의 가이드에 따라 회전되어 완전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켓아웃렛의 전기회로 개념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로크 스위치에서 직류 차단기의 아크 소호용 자석과 차단 접점의 배치 개념도이다. 도 27a 및 27b는 본 발명의 인터로크 스위치의 구조적 개념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에서 2극으로 구성된 인터로크 스위치의 구조적 개념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로크 스위치와 콘센트 전극의 전기적 접속 개념을 도시한다. 도 30a, 30b 및 도 3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름 걸쇠 방식의 기계적 인터로크를 구현하기 위하여 2극으로 구성된 인터로크 스위치와 콘센트 전극 및/또는 콘센트의 개략적인 기구학적 배치 개념도이다. 도 31a 및 3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 및 플러그에서, 콘센트 내부에 설치된 인터로크 스위치와 기계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누름 걸쇠를 설치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플러그의 상면도 및 단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에서 홈 부분에 설치되는 누름 걸쇠의 개략적인 실체도를 도시한다. 도 33a 및 3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름 걸쇠부에서 누름 걸쇠와 슬라이드 가이드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로크 스위치 부착형 콘센트와 플러그의 정렬 상태를 도시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로크 스위치 부착형 콘센트에서 설치된 스위치 막대의 주변 구조를 도시한다. 도 36a 내지 도 36d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하는 경우 구동되는 기계적 인터로크 동작을 도시한다. 도 37a 내지 37f 각각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구동되는 기계적 인터로크 동작을 도시한다. 도 38a 및 도 38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몸체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9a 내지 39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가 콘센트에서 분리된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4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터로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1a 및 4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로크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2a 및 도 4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켓아웃렛의 인터로크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43a 및 도 43b는 보조 회전판을 포함하는 인터로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4a 내지 44d는 내부 회전판 및 외부 회전판을 포함하는 인터로크 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45a 내지 도 4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켓아웃렛과 플러그의 결합 시 동작 상태도이다. 도 46a 내지 4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켓아웃렛과 플러그의 체결 동작 상태도이다. - 부호의 설명 - 10:소켓아웃렛 11:PPTC 20:플러그 21:제1전극 22:제2전극 23:부하 24:돌기부 100:회전판 110:회전축 120:탄성부 200:래치 300:슬라이더 330:상부단차면 331:제1접촉면 332:제2접촉면 340:하부단차면 341:제3접촉면 342:제4접촉면 400:인터로크가이드 410:삽입구 420:삽입홈 본 발명 소켓아웃렛과 그 소켓아웃렛의 인터로크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켓아웃렛의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켓아웃렛(10)은, 플러그(20)의 제1전극(21)과 제2전극(22)이 각각 결합되어 직류전원이 공급되는 제1소켓(S1) 및 제2소켓(S2)과, 일단이 상기 제1소켓(S1)과 제1스위치(SW1)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소켓(S1)과 제2스위치(SW2)를 통해 연결되는 PPTC(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는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오픈(open) 또는 클로즈(close) 상태로 가변되는 것이며, 플러그(20)가 결합될 때에는 제1스위치(SW1)가 제2스위치(SW2)에 비하여 더 빨리 클로즈되어 전류패스가 PPTC(11)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플러그(20)가 소켓아웃렛(10)에서 분리될 때에도 제1스위치(SW1)가 제2스위치(SW2)에 비하여 더 빨리 오픈되어 전류패스가 PPCT(11)를 경유하도록 하여, 아크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으로 한다. 도 4에서 VPLUG는 플러그(20)의 제1전극(21)과 제2전극(22)의 양단 전압이고, IPLUG는 플러그(20)의 부하(23)로 흐르는 전류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플러그(20)와 소켓아웃렛(10)이 완전히 분리된 상태(T1)에서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는 모두 오픈된 상태로 상기 VPLUG는 OV이며, IPLUG는 0A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플러그(20)를 소켓아웃렛(10)에 결합할 때(T2) 플러그(20)의 제1전극(21)과 제2전극(22)은 제1소켓(S1)과 제2소켓(S2)에 각각 접촉된다. 제1전극(21)이 제1소켓(S1)에 접촉되면 제1스위치(SW1)가 클로즈되어, 직류전압(VDC)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VPLUG는 VDC가 되고, IPLUG는 IDC가 된다. 즉, T2 상태에서 제2스위치(SW2)는 T1 상태와 같이 여전히 오픈 상태이기 때문에 PPTC(11)를 통해 전류패스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러그(20)를 소켓아웃렛(1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PPTC(11)가 고저항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다음, T3 상태는 플러그(20)가 소켓아웃렛(10)에 완전히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때는 위의 T2 상태에서 제2스위치(SW2)가 클로즈된 상태가 된다. 상기 제2스위치(SW2)가 클로즈되어도 전류패스는 저항차이에 의해 상기 PPTC(11)로 흐르지 않게 되며, VPLUG는 VDC로, IPLUG는 IDC로 유지된다. 상기 T2 상태와 T3 상태는 플러그(20)의 제1전극(21) 또는 제2전극(22)의 위치를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감지하여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후에 더 상세히 제안하는 인터로크 장치에 의해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T4 상태와 같이 플러그(20)를 소켓아웃렛(10)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제1스위치(SW1)는 오픈 상태, 제2스위치(SW2)는 클로즈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류패스는 PPTC(11)를 통해 형성되며 PPTC(11)는 저항값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VPLUG와 IPLUG를 감소시킨다. 위에서 T3의 상태인 플러그(20)와 소켓아웃렛(10)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가 수 분 이하로 유지되는 경우에도, 상기 PPTC(11)가 T2 상태에서 트립 상태가 되지 않기 때문에 PPTC(11)는 저항값이 증가하여 트립 상태가 될 수 있다. 그 다음, T5 상태와 같이 플러그(20)가 소켓아웃렛(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제2스위치(SW2)도 오픈 상태가 되어, VPLUG와 IPLUG는 0이 되며, 상기 T4 상태에서 VPLUG와 IPLUG가 선형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차단 아크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복수의 스위치(SW1,SW2)를 사용하여 플러그(20)가 결합될 때 PPTC(11)가 트립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 분 이내에 플러그(20)가 분리될 때에도 차단 아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로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과 상기 도 4를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로크 장치는,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판(100)과, 상기 회전판(100)에 고정되어 상기 플러그(20)의 제1전극(21)과 제2전극(22)이 각각 삽입되는 제1소켓(S1) 및 제2소켓(S2)과, 상기 회전판(100)의 플러그(20) 결합면과는 반대면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판(10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의 상태를 물리적으로 변경하는 슬라이더(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300)는 래치(200)를 통해 상기 회전판(100)에 고정된 것일 수 있다. 도 7은 회전판(100)이 회전하지 않은 제1상태를 나타내며, 도 8은 회전판(100)이 설정 또는 허용된 정도로 회전된 제2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소켓(S1)과 제2소켓(S2)에 플러그(20)의 제1전극(21)과 제2전극(22)이 삽입된 상태인 것으로 한다. 도 7은 플러그(20)가 소켓아웃렛(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시키지 않은 것으로, 이때는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가 모두 열려있는 상태(도 5에서 T1 또는 T5 상태)인 것으로 한다. 그 다음, 사용자가 플러그(20)를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플러그(20)의 제1전극(21)과 제2전극(22)이 삽입된 제1소켓(S1)과 제2소켓(S2)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그 힘에 의하여 상기 회전판(100)은 중앙의 회전판(1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판(110)의 회전은 래치(200)를 변위시키고, 래치(200)에 결합된 슬라이더(300)의 위치도 변경된다. 상기 슬라이더(300)의 구조는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가 사이에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삽입공간부(320)를 가지는 몸체부(310)와, 상기 삽입공간부(320)의 상단부를 이루며 일측이 하향으로 단차진 상부단차면(330)과, 상기 삽입공간부(320)의 하단부를 이루며 일측이 상향으로 단차진 하부단차면(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단차면(330)은 상하로 단차진 제1접촉면(331)과 제2접촉면(332)을 포함하며, 제1접촉면(331)은 제2접촉면(332)에 비해 더 낮은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하부단차면(330) 역시 상하로 단차진 제3접촉면(341)과 제4접촉면(342)을 포함하되, 제3접촉면(341)이 제4접촉면(342)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슬라이더(300)에 의해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가 순차적으로 클로즈 상태가 되는 과정의 예시도이다. 상기 슬라이더(300)는 회전판(1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하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9에 도시한 상태는 도 5의 T1 상태로 플러그(20)가 소켓아웃렛(10)에 결합되었으나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가 열린 상태여서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이다. 이때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 각각의 토글(toggle)은 슬라이더(300)의 삽입공간부(320) 양측면에서 삽입된 상태이며, 상부단차면(330) 또는 하부단차면(340)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러그(20)를 정해진 방향(여기서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회전판(100)이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래치(200)에 의해 회전판(100)에 연결된 슬라이더(300)도 하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래치(200)는 회전판(100)의 회전에 따라 원호운동을 하며, 슬라이더(300)는 상하 직선운동을 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슬라이더(300)가 이동하면서 상부단차면(330)의 제1접촉면(331)이 제1스위치(SW1)의 토글에 먼저 접촉되어 오픈 상태의 제1스위치(SW1)를 클로즈 상태로 전환시킨다. 이때 제2접촉면(332)는 제2스위치(SW2)의 토글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제2스위치(SW2)는 오픈 상태를 유지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스위치(SW1)가 클로즈 상태이고, 제2스위치(SW2)가 오픈된 상태(T2)에서 PPTC(11)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플러그(20)와 소켓아웃렛(10)의 결합시 PPTC(11)가 트립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11과 같이 상기 회전판(100)의 회전이 더 진행되면 슬라이더(300)는 아래로 더 이동하게 되고, 상부단차면(330)의 제2접촉면(332)이 제2스위치(SW2)의 토글을 밀어 제2스위치(SW2)를 클로즈 상태로 변경한다. 이처럼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가 모두 클로즈된 상태(T3)에서는 PPTC(11)는 낮은 저항값을 유지하여 부하전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도 12와 도 13은 슬라이더(300)에 의해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가 순차적으로 오픈 상태가 되는 과정의 예시도이다. 사용자는 플러그(20)를 소켓아웃렛(1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위의 결합방향과는 반대방향(여기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앞서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한 T3의 상태에서 슬라이더(300)가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제3접촉면(341)이 제1스위치(SW1)의 토글에 접촉되고 그 접촉된 토글을 밀어 제1스위치(SW1)를 오픈 상태로 전환시킨다. 이때 하부단차면(340)의 제4접촉면(342)은 제2스위치(SW2)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제2스위치(SW2)는 클로즈 상태를 유지한다. 제1스위치(SW1)가 오픈되고 제2스위치(SW2)가 클로즈 된 상태(T4)에서는 PPTC(11)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며, PPTC(11)는 온도가 높아지면서 저항값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어, IPLUG를 감소시킨다. 그 다음, 상기 플러그(20)의 시계방향 회전이 더 진행되면, 하부단차면(340)의 제4접촉면(342)이 제2스위치(SW2)의 토글에 접촉되고, 그 토글을 밀어 제2스위치(SW2)를 오픈 상태로 전환시킨다. 이때 상기 IPLUG는 충분히 감소된 상태에서 플러그(20)와 소켓아웃렛(10)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아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계적인 방식의 인터로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고 발생 방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로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판(100)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판구조로 할 수 있으며, 그 한 쌍의 판구조 사이에 탄성부(120)를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소켓아웃렛(10)에는 플러그(20)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인터로크가이드(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로크가이드(400)에 삽입되는 플러그(20)의 외경면 외측으로는 한 쌍의 돌기부(24)가 돌출되어 있으며, 인터로크가이드(400)는 상기 돌기부(24)가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한 정도로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플러그(20)가 회전한 상태에서는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인터로크 장치는 도 14와 유사하지만 인터로크가이드(400)가 매립형이 아닌 외부 돌출형구조이다. 상기 탄성부(120)의 작용은 플러그(20)를 외측으로 밀어 상기 돌기부(24)가 인터로크가이드(400)의 삽입홈(42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더 견고한 밀착성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20)가 회전하여 플러그(20)의 돌기부(24)가 삽입구(410)와 일치되면 밖으로 밀어 플러그(20)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켓아웃렛(1100)은 콘센트 전극(1112), 플러그 전극(1122), 인터로크 스위치(SW1), 반도체 스위치(SW2), 및 드라이버(1130)를 포함한다. 콘센트 전극(1112)은 직류형 콘센트 내에서 직류 전원(Vdc)에 연결되며, 플러그 전극(1122)이 삽입되면, 부하로 직류 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플러그 전극(1122)은 부하에 연결되며, 직류형 플러그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콘센트 전극(1112)에 삽입될 수 있다. 인터로크 스위치(SW1)는 직류 전원(Vdc)에 일측(A 접점)이 연결되고, 타측(B 접점)은 드라이버(1130)에 연결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온오프된다. 이러한 인터로크 스위치(SW1)는 기구학적 인터로크에 의해 기계적으로 동작하는 스위치로서, 드라이버(1130)에 직류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여 반도체 스위치(SW2)를 온오프 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반도체 스위치(SW2)는 직류 전원(Vdc)의 음극과 콘센트 전극(111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며, 인터로크 스위치(SW1)에 의해 구동되는 드라이버(1130)를 통하여 온오프된다. 이와 같이 반도체 스위치(SW2)는 드라이버(1130)의 구동에 따라 온오프 됨에 따라 직류 전원을 플러그로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즉, 반도체 스위치(SW2)가 오프 상태인 경우, 직류 전원(Vdc)과 콘센트 전극(1112)이 차단되어 직류 전원을 플러그 전극(1122)으로 공급하지 않는다. 또한, 반도체 스위치(SW2)가 온 상태인 경우, 직류 전원(Vdc)과 콘센트 전극(1112)이 연결되어 직류 전원을 플러그 전극(1122)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반도체 스위치(SW2)는 전력용 FET,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CT(Integrated Gate Controlled Thyristor) 등의 전력용 반도체 스위치일 수 있다. 도 16에서, 점선의 화살표로 표시한 부분은 플러그의 조작과 인터로크 스위치(SW1) 간의 기계적 인터로크를 나타낸다. 즉, 플러그 전극(1122)을 콘센트 전극(1112)에 삽입하거나 분리시킬 때, 기구학적 인터로크에 의하여 인터로크 스위치(SW1)를 온/오프시키고, 그 결과로 반도체 스위치(SW2)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플러그 전극(1122)이 콘센트 전극(1112)에 완전히 삽입된 후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거나, 플러그 전극(1122)을 콘센트 전극(1112)으로부터 분리하기 전에 직류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전극간 아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드라이버(1130)는 인터로크 스위치(SW1)가 온됨에 따라 직류 전원(Vdc)이 인가되어 반도체 스위치(SW2)를 온시키고, 부하전류를 감지하여 임계값 이상인 경우 반도체 스위치(SW2)를 오프시킨다. 이때, 드라이버(130)는 션트저항(RS)으로 부하전류(iL)를 검출하여 검출된 부하전류신호(iLsense)가 임계값(iLimit)을 넘으면 자동적으로 반도체 스위치(SW2)를 오프시킬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1130)는 반도체 스위치(SW2)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부저 또는 LED 등을 통하여 경보신호(Alarm)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드라이버(113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레귤레이터(1132), 반전기(1134), 비교기(1136), 및 RS 래치(1138)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레귤레이터(1132)는 인터로크 스위치(SW1)의 B 접점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압 레귤레이터(1132)는 플러그 전극(1122)으로부터의 기계적 인터로크 동작에 의해 인터로크 스위치(SW1)가 온되면, 직류 전원(Vdc)을 드라이버용 직류 전압으로 감압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압 레귤레이터(1132)는 입력단(In)을 통하여 직류 전원(Vdc)을 입력받고 드라이버(1130)에 필요한 직류 전압으로 감압하여 출력단(Out)을 통하여 드라이버(1130)로 공급할 수 있다. 반전기(1134)는 션트저항(RS)에 의해 감지된 부하전류의 극성을 반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션트저항(RS)으로부터 검출된 부하전류(-iLsense)는 음수이므로, 반전기(134)는 검출된 부하전류를 반전시켜 양의 부하전류(iLsense)로 변환시킨다. 이때, 반전기(1134)는 변환된 양의 부하전류(iLsense)를 비교기(1136)의 비반전 단자(+)로 출력한다. 비교기(1136)는 반전된 부하전류(iLsense)를 임계 전류값(iLimit)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RS 래치(138)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비교기(1136)의 반전 단자(-)에는 임계 전류값(iLimit)이 입력될 수 있다. 이때, 비교기(1136)는 정상 상태로서 부하전류(iLsense)가 임계 전류값(iLimit)보다 작으면 로-레벨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비교기(1136)는 과부하 또는 부하 단락 등과 같이 고장에 의한 비정상 상태로서 부하전류(iLsense)가 임계 전류값(iLimit) 이상이면, 하이-레벨을 출력함으로써, 반도체 스위치(SW2)를 오프시키도록 RS 래치(1138)를 리셋시킬 수 있다. RS 래치(1138)는 전압 레귤레이터(1132)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의해 세트되어 반도체 스위치(SW2)를 온시키고, 비교기(1136)에 의해 리셋되어 반도체 스위치(SW2)를 오프시킬 수 있다. 여기서, RS 래치(1138)는 저항-커패시터(Rt-Ct)로 구성되는 미분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펄스가 세트 단자(S)로 입력되고, 비교기(1136)의 출력이 리셋 단자(R)를 통하여 입력되며, 출력 단자(Q)를 통하여 현재의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RS 래치(1138)는 최초 인터로크 스위치(SW1)가 온되면, 전압 레귤레이터(1132)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을 미분회로(Ct-Rt)를 통하여 입력받아 세트되고, 출력 단자(Q)로 하이-레벨을 출력한다. 여기서, 반도체 스위치(SW2)는 오프 상태이므로 부하전류는 임계값 이하이고, 따라서 비교기(1136)가 로-레벨을 출력함으로써, RS 래치(1138)는 세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RS 래치(1138)가 출력 단자(Q)를 통하여 하이-레벨을 출력하면, 반도체 스위치(SW2)의 게이트 구동저항(RG)을 통하여 반도체 스위치(SW2)가 온됨으로써, 직류 전원(Vdc)이 콘센트 전극(1112)을 통하여 플러그 전극(1122)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비교기(1136)가 비정상 상태를 감지하여 하이-레벨을 출력하면, RS 래치(1138)는 리셋되어 출력 단자(Q)를 통하여 로-레벨을 출력한다. 여기서, 한번 리셋된 RS 래치(1138)는 세트 단자(S)에 다시 정펄스를 가하지 않는 한 출력 단자(Q)의 상태가 바뀌지 않는다. 이때, RS 래치(1138)가 출력 단자(Q)를 통하여 로-레벨을 출력하면, 반도체 스위치(SW2)의 게이트 전압도 로-레벨 상태가 되어 반도체 스위치(SW2)가 오프됨으로써, 직류 전원(Vdc)은 콘센트 전극(1112)과 연결이 차단되어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아웃렛(100)은 알람부(1140) 및 환류 회로부(1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1140)는 전압 레귤레이터(1132)의 출력과 RS 래치(1138)의 출력단(Q)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140)는 LED(1142) 및 부저(114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알람부(1140)는 RS 래치(1138)의 상태에 따라 동작하는데, 정상 상태로서, RS 래치(1138)가 하이-레벨을 출력하면, 전압 레귤레이터(1132)의 출력단(Out)과 RS 래치(1138)의 출력단(Q) 사이의 전압차가 발생하지 않아 동작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비정상 상태가 되어 RS 래치(1138)가 로-레벨을 출력하면, 전압 레귤레이터(1132)의 출력단(Out)과 RS 래치(1138)의 출력단(Q) 사이의 전압차가 발생하여 LED(1142) 및 부저(1144)가 동작하여 이상 상태를 알람할 수 있다. 환류 회로부(freewheel branch)(1150)는 직류 전원(Vdc)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환류 회로부(1150)는 다이오드(DF) 및 더미저항(R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환류 회로부(1150)는 반도체 스위치(SW2)가 오프되는 경우, 유도성 부하에 의해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억제하여 차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직류형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경우,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도 18 내지 도 20b를 참조하여 직류형 콘센트(1110)와 직류형 플러그(1120)에 의한 인터로킹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 또는 분리시키는 조작을 할 때, 반도체 스위치(SW2)가 기계적으로 적절히 연동됨으로써, 직류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러그의 삽입과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기구적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아웃렛(1100)의 기구학적 인터로크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하고 회전시키는 원리를 적용한 것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형 콘센트(1110)는 회전판(1111), 샤프트(1113), 및 걸쇠(1114)를 포함한다. 회전판(1111)은 콘센트 전극(1112) 및 샤프트(1113)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며, 홀을 통하여 콘센트 전극(1112) 및 샤프트(1113)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샤프트(1113)는 회전판(1111)의 중심에 배치되어 회전을 위한 중심축을 이룰 수 있다. 걸쇠(1114)는 회전판(1111)의 일면에 구비되며, 단부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걸쇠(1114)의 홈에 인터로크 스위치(1160)의 스위치 바(1162)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회전판(1111)의 회전에 따라 걸쇠(1114)는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걸쇠(1114)의 움직임에 따라 인터로크 스위치(1160)의 스위치 바(1162)도 상하로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걸쇠(1114)는 회전판(1111)의 회전에 따라 인터로크 스위치(1160)의 스위치 바(1162)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판(1111)은 도 16 및 도 17의 인터로크 스위치(SW1)와 연동하는데, 이때, 인터로크 스위치(SW1)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드형 기계 스위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형 인터로크 스위치(1160)는 스위치 바(1162), A 접점(1164), 및 B 접점(1166)을 포함한다. 스위치 바(1162)는 걸쇠(1114)의 홈에 삽입되어 회전판(1111)의 회전에 의한 걸쇠(1114)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접점(1164)은 직류 전원(Vdc) 및 콘센트 전극(1112)에 연결되고, B 접점(1166)은 드라이버(11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걸쇠(1114)의 움직임에 따라 스위치 바(1162)가 상측에 위치하면, 인터로크 스위치(1160)는 개방 상태가 되어 A 접점(1164)과 B 접점(1166)은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걸쇠(1114)의 움직임에 따라 스위치 바(1162)가 하측에 위치하면, 인터로크 스위치(1160)는 단락 상태가 되어 A 접점(1164)과 B 접점(1166)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판(1111)의 걸쇠(1114)와 인터로크 스위치(1160)의 기계적 인터로킹 동작을 설명하면,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1111)이 샤프트(1113)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판(1111) 위에 표시된 화살표가 "오프(O)"의 위치에 도달하면, 걸쇠(1114)는 스위치 바(1162)를 위로 끌어 당겨서 인터로크 스위치(1160)는 "오프(O)" 된다. 반대로,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1111)이 샤프트(1113)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판(1111) 위에 표시된 화살표가 "온(C)"의 위치에 도달하면, 걸쇠(1114)는 스위치 바(1162)를 아래로 끌어당겨서 인터로크 스위치(1160)는 "온(C)" 된다. 한편,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형 플러그(1120)는 콘센트 케이스(1110a) 내에 상술한 바와 같은 회전판(1111) 및 인터로크 스위치(1160)가 내장되며, 콘센트 케이스(1110a)의 전면에는 직류형 플러그(1120)를 삽입하기 위한 플러그 삽입구(11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러그 삽입구(1115)는 직류형 플러그(1120)의 삽입, 회전 및 고정을 위해 상부 삽입홈(1116a) 및 상부 가이드(1116b)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 삽입홈(1117a) 및 하부 가이드(1117b)가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삽입홈(1116a) 및 하부 삽입홈(1117a)은 상부 가이드(1116b) 및 하부 가이드(1117b)와 각각 연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삽입홈(1116a) 및 하부 삽입홈(1117a)은 상부 블레이드(1124) 및 하부 블레이드(1126)의 형상 및 크기와 거의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부 삽입홈(1116a) 및 하부 삽입홈(1117a)은 직류형 플러그(1120)의 상부 블레이드(1124) 및 하부 블레이드(1126)가 삽입되고, 상부 가이드(1116b) 및 하부 가이드(1117b)는 상부 블레이드(1124) 및 하부 블레이드(1126)가 회전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상부 가이드(1116b) 및 하부 가이드(1117b)의 일단은 상부 블레이드(1124) 및 하부 블레이드(1126)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억제하는 스톱퍼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블레이드(1124) 및 하부 블레이드(1126)가 상부 삽입홈(1116a) 및 하부 삽입홈(1117a)을 통해서만 삽입됨으로써, 직류형 플러그(1120)는 정해진 상태로만 직류형 콘센트(111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형 플러그(1120)는 플러그 전극(1122), 상부 블레이드(1124) 및 하부 블레이드(1126)를 포함한다. 플러그 전극(1122)은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콘센트 전극(1112)에 삽입될 수 있다. 상부 블레이드(1124) 및 하부 블레이드(1126)는 직류형 플러그(1120)를 직류형 콘센트(1110)에 삽입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블레이드(1124)는 하부 블레이드(1126)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직류형 플러그(1120)를 반대로 삽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블레이드(1124)가 하부 블레이드(1126)보다 큰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블레이드(1124)와 하부 블레이드(1126)가 서로 상이한 크기 또는 형상을 갖는 비대칭 형태로 구비할 수 있고, 따라서 콘센트 전극(1112)과 플러그 전극(1122)의 극성이 반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직류형 플러그(1120)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1115)는 매립 형태나 외부 돌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형 콘센트(1110)의 플러그 삽입구(1115)가 매립 형태인 경우, 상부 삽입홈(1116a) 및 하부 삽입홈(1117a)과 연통하는 상부 가이드(1116b) 및 하부 가이드(1117b)는 각각 플러그 삽입구(1115)의 외주변을 따라 콘센트 케이스(1110a) 안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형 콘센트(1110)의 플러그 삽입구(11151)가 돌출 형태인 경우, 플러그 삽입구(11151)의 외주변을 두껍게 형성하고, 외측으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직류형 플러그(1120)의 삽입을 더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삽입홈(11161a) 및 하부 삽입홈(11171a)과 연통하는 상부 가이드(11161b) 및 하부 가이드(11171b)는 각각 플러그 삽입구(11151)의 외주변을 따라 콘센트 케이스(1110a) 외측 또는 안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직류형 플러그(1120)의 각도가 "오프(O)"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플러그 전극(1122)을 콘센트 전극(1112)에 삽입할 수 있다. 이하, 도 21a 내지 22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켓아웃렛(100)에 의한 인터로킹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켓아웃렛(100)은 콘센트 전극(1112)과 인터로그 기구 세트를 콘센트 케이스(1110a) 내에 설치하였을 때, 의도하지 않게 회전판(1111)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외부 회전판(11110)을 추가한 것이다.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형 콘센트(1110)는 탄성 부재(1118) 및 외부 회전판(11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회전판(11110)은 회전판(1111)과 콘센트 케이스(1110a)의 전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회전판(11110)은 콘센트 케이스(1110a)의 전면 측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11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돌기(11112)는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콘센트 케이스(1110a)의 전면에 형성된 고정 홀(1119)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외부 회전판(11110)은 고정 돌기(11112)가 형성되고, 콘센트 케이스(1110a)의 전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홀(1119)이 형성됨으로써, 외부 회전판(11110)의 고정 돌기(11112)가 콘센트 케이스(1110a)의 고정 홀(1119)에 삽입되면, 회전판(1111)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판(1111)은 콘센트 전극(1112)과 샤프트(1113)가 삽입되는 전극 관통홀(11114) 및 샤프트 관통홀(111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 부재(1118)는 회전판(1111)과 외부 회전판(11110) 사이에 샤프트(1113)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샤프트(1113)는 회전판(1111)에서 외부 회전판(11110)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1118)는 직류형 플러그(1120)가 삽입되는 경우 가압되고 직류형 플러그(1120)가 제거되는 경우 복원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 부재(1118)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즉, 직류형 플러그(1120)가 삽입되는 경우, 탄성 부재(1118)는 가압되어 외부 회전판(11110)이 콘센트 케이스(1110a) 내측으로 밀려날 수 있다. 이때, 탄성 부재(1118)의 탄성력에 의해 외부 회전판(11110)은 직류형 플러그(1120)의 상부 블레이드(1124) 및 하부 블레이드(1126)를 콘센트 케이스(1110a) 내벽에 밀착시킬 수 있다.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회전판(11110)이 부가된 회전판(1111)과 인터로크 스위치(1160)와의 연동은 직류형 플러그(1120)가 외부 회전판(11110)을 콘센트 케이스(1110a) 안측으로 밀어 넣으면, 고정 돌기(11112)가 콘센트 케이스(1110a)의 고정 홀(1119)로부터 분리되어 고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는 직류형 플러그(1120)의 회전에 의해 회전판(1111)이 샤프트(1113)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판(1111)의 걸쇠(1114)의 움직임에 따라 인터로크 스위치(1160)가 온오프될 수 있다.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형 콘센트(1110)의 콘센트 케이스(1110a)의 전면은 고정 홀(1119)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홀(1119)은 외부 회전판(11110)의 고정 돌기(1111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2c 및 도 2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형 콘센트(1110)가 조립된 상태에서, 외부 회전판(11110)이 구비된 회전판(1111)의 회전 중심축을 이루는 샤프트(1113)는 콘센트 케이스(1110a)의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회전판(11110)은 탄성 부재(1118)의 탄성력에 의해 콘센트 케이스(1110a)의 내측 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외부 회전판(11110)의 고정 돌기(11112)는 콘센트 케이스(1110a) 전면의 고정 홀(1119)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회전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23a 내지 도 23c를 참조하여, 직류형 콘센트(1110)와 직류형 플러그(1120)의 결합시 동작을 설명한다.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회전판(11110)은 정면에서 본 경우, 콘센트 전극(1112)이 샤프트(1113)를 중심으로 상하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돌기(11112)는 콘센트 전극(1112)과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샤프트(1113)를 중심으로 좌우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 케이스(1110a)는 정면에서 본 경우, 상부 삽입홈(11161a) 및 하부 삽입홈(11171a)이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홀(1119)은 고정 돌기(11112)에 대응하는 위치, 즉, 플러그 삽입구(11151)의 좌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형 플러그(1120)는 정면에서 본 경우, 플러그 전극(1122)이 상하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블레이드(1124) 및 하부 블레이드(1126)는 직류형 플러그(1120)의 상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직류형 콘센트(1110)에 직류형 플러그(1120)를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형 플러그(1120)를 삽입하기 이전에는, 외부 회전판(11110)과 콘센트 케이스(1110a)의 전면이 탄성 부재(1118)에 의해 밀착되어 고정 돌기(11112)가 고정 홀(1119)에 삽입 고정된다. 이때, 외부 회전판(11110)은 회전이 불가능하다.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전극(1122)이 콘센트 전극(1112)에 삽입되는 순간에는, 직류형 플러그(1120)의 상부 블레이드(1124) 및 하부 블레이드(1126)가 플러그 삽입구(11151)의 상부 삽입홈(11161a) 및 하부 삽입홈(11171a)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직류형 플러그(1120)는 "오프(O)" 위치에서 직류형 콘센트(11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콘센트 전극(1112)은 직류 전원(Vdc)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콘센트 전극(1112)과 플러그 전극(1122) 사이에 돌입 전류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직류형 플러그(1120)를 직류형 콘센트(1110)로 더 누르면, 외부 회전판(11110)은 탄성 부재(1118)의 압축에 의해 눌리면서, 고정 돌기(11112)가 고정 홀(1119)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외부 회전판(11110) 및 회전판(1111)은 회전가능한 상태이다. 계속하여, 도 2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형 플러그(11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콘센트 케이스(1110a)의 전면에 표시된 화살표가 "온(C)"의 위치에 도달하면, 인터로크 스위치(1160)가 "온(C)" 되면서 콘센트 전극(1112)을 통하여 플러그 전극(1122)에 직류 전원(Vdc)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직류형 플러그(1120)는 상부 블레이드(1124) 및 하부 블레이드(1126)가 콘센트 케이스(1110a) 내측의 상부 가이드(11161b) 및 하부 가이드(11171b)에 위치되고, 탄성 부재(1118)의 탄성력에 따라 외부 회전판(111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직류형 플러그(1120)는 직류형 콘센트(111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러그 전극(1122)이 콘센트 전극(1112)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인터로크 스위치(1160)를 통하여 직류 전원(Vdc)이 공급됨으로써, 콘센트 전극(1112)과 플러그 전극(1122) 사이에 돌입 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직류형 플러그(1120)가 직류형 콘센트(1110)에 잠긴 상태에서 직류형 플러그(1120)를 빼는 경우, 우선, 직류형 플러그(11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콘센트 케이스(1110a)의 전면에 표시된 화살표가 "오프(O)"의 위치에 도달하면, 회전판(1111)의 걸쇠(1114)가 스위치 바(1162)를 위로 끌어당겨, 인터로크 스위치(1160)가 "오프(O)"된다. 따라서, 콘센트 전극(1112)과 플러그 전극(1122)이 전기적으로 차단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직류형 플러그(1120)를 뒤로 잡아 빼면, 콘센트 전극(1112)과 플러그 전극(1122) 사이에는 아크가 발생하지 않고 분리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켓아웃렛 개념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소켓아웃렛(2100)은 한 극에 대해서만 직류 차단기 접점과 콘센트-플러그 전극을 도시(및/또는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콘센트-플러그 전극이 사용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해당 콘센트 플러그 전극 둘 이상에 직류 차단기 접점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이오드 D와 더미 저항 RD로 구성되는 환류 회로(freewheel branch, 2115)는 직류 차단기(2111)(DC circuit breaker)가 차단될 때 유도성 부하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억제하여 회로 차단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아크 발생 및 콘센트-플러그 접점의 용융과 같은 사고에서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직류 차단기(2111)의 접점은 저 전압 직류 차단기에 사용하는 아크 소호용 자석을 탠덤형으로 배치하여 차단 시 발생하는 아크를 신속하게 소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점선의 화살표로 기계적 인터로크(2113)를 표시하고 있다. 즉, 플러그 전극을 콘센트에 삽입하거나 분리(또는 콘센트 전극에 접속 또는 단락) 시킬 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기계적 인터로크(2113)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직류 차단기를 온/오프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로크 스위치에서 직류 차단기의 아크 소호용 자석과 차단 접점의 배치 개념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차단 접점부(2200)의 고정 접점부(2210)는 콘센트 몸체(frame)에 고정되며, 이동 접점부(2220)는 콘센트 몸체에 설치된 고정 피봇(2223)(fixed pivot)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아크 소호용 자석(2201)(예: 제1 자석(2201-1), 제2 자석(2201-3))을 탠덤 형태로 차단 접점(예: 고정 접점부(2210)의 제1 접점(2211) 및 이동 접점부(2220)의 제2 접점(2221))과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아크 소호용 자석(2201)을 배치함으로써, 차단 접점 부근에서의 자속 밀도를 높이고, 로렌쯔힘에 기반하여, 회로 차단 시 발생하는 아크 전류를 휘어지도록 동작할 수 있고, 아크 전류가 신속히 제거되어 회로 차단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아크 소호력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직류 차단기(예: 도 25의 직류 차단기 2111)에서 차단 접점의 아크 전류가 생성되는 주변 부분에 아크 소호 챔버(2231)(arc chamber)를 추가적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6에 도시된 차단 접점부(2200)는 도 25에 도시된 차단 접점부(2117)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7a 및 2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로크 장치의 구조적 개념을 도시한다. 도 27a 및 27b를 참조하면, 단극으로 구성된 인터로크 장치(2300, 예: 2300-1 및 2300-2)의 기구 설계적인 개념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2극(양극 또는 쌍극) 및/또는 다극으로 구성된 인터로크 장치(스위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7a는 인터로크 스위치의 접점이“온(Closed, 이하 도면에서 (C)상태로 기재함)”된 상태(2300-1)를 도시하고, 도 27b는 인터로크 스위치의 접점이 “오프(Opened, 그림에서 (O) 상태로 기재함)”된 상태를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7a에 기반하여 인터로크 스위치(2300-1)를 구성하는 각 요소 및 기능을 설명한다. 고정 접점(2351)(Fixed contact)은 콘센트 몸체에 고정되며, 이동 접점(2353)(Moving contact)은 콘센트 몸체에 설치된 제1 고정 피봇(2341)(Fixed pivot)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링크(2331)(link A, 예: 도 26의 이동 접점부(220)))의 다른 쪽 단부에 구성될 수 있다. 제2 링크(2335)(link B)는 제2 링크(2335) 몸체에 설치된 제2 고정 피봇(2343)(Fixed pivot)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링크(2333)(link C)는 둘 이상의 이동 피봇(예: 제1 이동 피봇(2323) 및 제2 이동 피봇(2325))(float pivot)을 사용하여 제1 링크(2331)와 제3 링크(2333)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기구적 구조는 도 27a 또는 도 27b와 같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도 27a에서 제3 링크(2333)와 제2 링크(2335)를 연결하는 제1 이동 피봇(2323)을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임계선(2339)의 왼쪽으로 당기면 이동 접점(2353)은 그림 27a와 같이 “온”상태로 안정화 될 수 있고, 반대로 제1 이동 피봇(2323)을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임계선(2339)의 오른쪽으로 당기면 이동 접점(2353)은 그림 27b와 같이 “오프”상태로 안정화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슬라이더 링크(2310)(slider ink) 및 그 안에서 홈을 따라 움직이는 제3 이동 피봇(2321)(float pivot)은 상술된 안정화 동작에서 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고안된 기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 링크(2310)는 콘센트 몸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더 링크(2310)의 홈을 따라 미끄럼 운동을 하는 제3 이동 피봇(2321)은 인장 스프링(2361)에 의하여 제3 링크(2333)와 제2 링크(2335)를 연결하는 제1 이동 피봇(3223) 을 위쪽으로 잡아당기게 되어, 슬라이더 링크(2310)의 홈을 따라 미끄럼 운동을 하는 제3 이동 피봇(2321)을 임계선(2399)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제3 이동 피봇(2321)은 슬라이더 링크(2310)의 제1 영역(2311)으로 이동되고, 이동 접점(2353)은 도 27a와 같이 “온”상태로 안정화 되며, 제3 이동 피봇(2321)을 임계선(2399)의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 제3 이동 피봇(2321)은 슬라이더 링크(2310)의 제2 영역(2313)으로 이동되고, 이동 접점(2353)은 도 27b와 같이 “오프”상태로 안정화될 수 있다. 슬라이더 링크(310)의 홈은 직선으로 구성될 수 있고, 도 27a 및 도 27b와 같이 원호 형태로 구성되어 “온” 또는 “오프”의 안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더하여, 플러그의 동작과 기계적으로 유연하게 링크되도록 하기 위하여 슬라이더 링크(2310)는 고무 등의 탄성체를 사용하여 콘센트 몸체에 유격을 가지고 움직일 수 있도록 쿠션(2315)(Cushion)을 사이에 두고 고정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에서 2극으로 구성된 인터로크 스위치의 구조적 개념을 도시한다. 도 28을 참조하면, 두 슬라이더 링크(2410)는 평행하게 배치되며 두 슬라이더 링크(2410)를 따라 미끄럼 운동을 하는 두 이동 피봇(2420)의 축을 관통하는 원통 막대(2430)를 사용하여 두 쌍의 스위치 접점(2440)이 동시에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이 원통 막대(2430)를 스위치 막대(2430)(Switch bar)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스위치 막대(2430)를 “온(C)”위치(예: 제1 영역(2551))로 이동시키면 두 스위치 접점(2440)은 동시에 “온” 상태로 되고, 반대로 스위치 막대(2430)를 “오프(O)”위치(예: 제2 영역(2553))로 이동시키면 두 스위치 접점(2440)은 동시에 “오프”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로크 스위치와 콘센트 전극의 전기적 접속 개념을 도시한다. 도 29를 참조하면, 콘센트(2500)에서 복수 개의 슬라이더 링크(2501)는 평행하게 배치되며 두 슬라이더 링크(2501)를 따라 미끄럼 운동을 하는 두 이동 피봇의 축을 스위치 막대(2561)를 사용하여 공통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원통형 슬리브 형태로 된 콘센트 전극(2510)(Socket electrode)은 제1 전극(2511) 및 제2 전극(2513)으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플러그 전극(미도시)(Plug electrode)이 삽입 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콘센트 전극(2510)과 플러그 전극(미도시)의 외형은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직사각형 모양의 칼받이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콘센트 전극(2510)과 인터로크 스위치의 접점은 제1 연결선(2520)(connection cable)에 의하여 직렬로 접속될 수 있고, 인터로크 스위치의 접점은 제2 연결선(2550)에 의하여 외부 단자(2540)(Terminal)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단자(2540)는 제1 단자(2541) 및 제2 단자(2543)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외부 단자(2540)와 콘센트 전극(2510) 사이에 인터로크 스위치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로크 스위치는 플러그의 동작과 기계적으로 연동되어, 플러그의 삽입 또는 분리 시 전기적으로 회로 차단 상태가 선행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인터로크 스위치와 콘센트 전극 사이에 전원 극성과 역병렬로 프리휠 다이오드 회로(2530)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참고하면, 인터로크 스위치는 사용자에 의한 플러그의 삽입 및 분리 조작과 기계적으로 적절히 연동되도록 하여, 전기적으로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러그의 삽입과 분리가 이루어 지도록 하기 위한 기구적 설계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도 30a, 30b 및 도 3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름 걸쇠 방식의 기계적 인터로크를 구현하기 위하여 2극으로 구성된 인터로크 스위치와 콘센트 전극 및/또는 콘센트의 개략적인 기구학적 배치 개념을 도시한다. 도 30a는 누름 걸쇠 방식의 기계적 인터로크를 구현하기 위하여 2극으로 구성된 제안하는 인터로크 스위치와 콘센트 전극의 기구학적 배치 개념을 도시한다. 도 30a를 참조하면, 콘센트 전극(2610)(Socket electrode)과 플러그 전극의 외형을 원통형 슬리브 형태로 도시하고 있지만, 직사각형 모양의 칼받이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두 개의 콘센트 전극(2610) 과 두 개의 슬라이더 링크(2630)는 평행하게 배치되며 콘센트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두 개의 슬라이더 링크(2630)를 따라 미끄럼 운동을 하는 두 이동 피봇의 축은 스위치 막대(2660)를 사용하여 동시에 동작될 수 있다. 즉, 스위치 막대(2660)를 “온(C)”위치(2671)로 이동시키면 인터로크 스위치의 두 접점은 동시에 “온” 상태로 되고, 반대로 스위치 막대를 “오프(O)”위치(2673)로 이동시키면 인터로크 스위치의 두 접점은 동시에 “오프” 상태로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플러그 전극을 콘센트 전극(2610) 에 삽입하거나 분리시킬 때, 두 슬라이더 링크(2630)를 따라 움직이는 스위치 막대(2660)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기계적으로 연동시킬 수 있다. 설명하면, 플러그 전극(미도시)이 삽입되기 전에는 스위치 막대(2660)가 “오프(O)”의 위치(2673)에 있어서 인터로크 스위치가 “오프” 상태이지만, 플러그 전극이 어느 정도 삽입이 진행 되면서 누름 걸쇠(Interlock key) 에 의한 기계적 인터로크 동작에 의하여 스위치 막대(2660)를 밀어주면 “오프(O)” 위치(2673)에 있던 스위치 막대(2660)가 “온(C)” 위치(2671)로 이동하여, “오프” 상태에 있던 인터로크 스위치가 “온”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플러그 전극과 콘센트 전극(2610)이 미리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인터로크 스위치에 의하여 전기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즉, 기구적인 연동 장치에 의하여 콘센트 전극(2610)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러그 전극이 콘센트 전극(2610)으로 초기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플러그 전극의 후속적인 삽입이 진행됨에 따라 자동적으로 직렬 연결된 직류용 차단기인 인터로크 스위치가 온 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플러그의 누름 걸쇠(Interlock key)와 콘센트 몸체에 설치된 기계적 걸개 장치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플러그 몸체가 콘센트 몸체에 걸리도록 하여서 전기가 가압된 상태에서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반대로 플러그 전극을 분리 시키기 전에는 스위치 막대(2660)가 “온(C)”의 위치(2671)에 있어서 인터로크 스위치가 “온”상태이지만, 누름 걸쇠(Interlock key)를 누름으로써 기계적 인터로크 동작에 의하여 스위치 막대를 반대 방향으로 끌어당겨 주면 “온” 상태에 있던 인터로크 스위치가 “오프”상태로 전환되면서, 전기가 해제된 상태에서 플러그 전극과 콘센트 전극을 분리 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플러그를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플러그 손잡이 부분에 설치된 누름 걸쇠(Interlock key)의 버튼을 눌러서 기계적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플러그 전극이 콘센트 전극(2610)으로부터 분리하기 전에 기구적인 연동 장치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직렬 연결된 차단기가 먼저 오프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30b는 콘센트의 외형을 구성하는 콘센트 케이스의 모양을 도시한다. 도 30b를 참조하면, 콘센트 케이스의 전면부에는 플러그 전극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680)(Socket hole)과 플러그의 삽입 및 분리 시 플러그에 설치되어 있는 누름 걸쇠(Interlock key)와의 기계적 인터로크를 위한 구멍(2690)(Interlock hole)을 포함할 수 있고, 콘센트 케이스의 후면부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2640)가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도 30c는 콘센트 케이스 안에 결합된 인터로크 스위치 부착형 콘센트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31a 및 3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 및 플러그에서, 콘센트 내부에 설치된 인터로크 스위치와 기계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누름 걸쇠를 설치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플러그의 상면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를 위에서 본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31a를 참조하면, 플러그(2700)는 누름 걸쇠(미도시)(Interlock key)를 설치하기 위한 홈(2730)과 고정 피봇(2731)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플러그(2700) 는 콘센트 전극에 삽입되는 전극(2720)을 포함할 수 있고 및 연결선과 플러그(2700)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270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를 반으로 잘랐을 경우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1b를 참조하면, 누름 걸쇠(Interlock key)를 설치하기 위한 홈(2730)의 내부를 도시하며, 홈의 옆면에는 누름 걸쇠(Interlock key)와 연동하기 위한 고정 피봇(2731)과 회전 날개형 슬라이더 링크(2733)가 구성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에서 홈 부분에 설치되는 누름 걸쇠의 개략적인 실체도를 도시한다. 도 32를 참조하면, 플러그(2800)는 플러그 몸체(2810), 플러그 전극(2820) 및 누름 걸쇠부(2830)로 구성될 수 있다. 누름 걸쇠부(2830)에서 누름 걸쇠(2840)(Interlock key)의 이동 피봇(2843) 축은 슬라이드 가이드(2831)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 날개형 슬라이더 링크(2833)에 들어가서 미끄럼 운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슬라이드 가이드는 제1 슬라이드 가이드(2831-1) 및 제2 슬라이드 가이드(2831-3)로 구성될 수 있고, 누름 걸쇠(2840)은 제1 슬라이드 가이드(2831-1) 및 제2 슬라이드 가이드(283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 링크(2833)은 제1 슬라이더 링크(2833-1) 및 제2 슬라이더 링크(2833-3)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슬라이드 가이드(2831-1) 및 제2 슬라이드 가이드(2831-3)를 가로 질러서 구성되어 있는 고정 피봇(2835)은 누름 걸쇠(2840)에 형성되어 있는 직선형 슬라이더 링크(2841)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 피봇(2835)과 회전 날개형 슬라이더 링크(2833)는 두 슬라이드 가이드(2831)와 함께 플러그 몸체에 고정되므로 누름 걸쇠(2840)는 고정 피봇(2835)을 중심으로 직선 운동 및 회전 운동이 가능하며, 또한 누름 걸쇠(2840)는 회전 날개형 슬라이더 링크(2833)를 따라서 역시 직선 운동 및 회전 운동이 가능하다. 도 33a 및 3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름 걸쇠부에서 누름 걸쇠와 슬라이드 가이드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a 및 33b를 참조하면, 누름 걸쇠부(예: 도 32의 누름 걸쇠부(2830))의 누름 걸쇠(2940)와 슬라이드 가이드(2931)는 피봇 및 슬라이더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슬라이드 가이드(2931)는 제1 슬라이드 가이드(2931-1) 및 제2 슬라이드 가이드(293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가이드(2931)에는 누름 걸쇠부(2830) 및 또는 플러그 몸체(2810)에 고정되는 회전 날개형 슬라이더 링크(2933)와 고정 피봇(29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누름 걸쇠(2940)에는 유동적인 직선형 슬라이더 링크(2941) 및 이동 피봇(29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3a를 참조하면, 누름 걸쇠(2940)는 수평으로 직선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슬라이드 가이드(2931)에 대하여 누름 걸쇠(2940)는 도 33a 상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3a 및 33b를 참조하면, 누름 걸쇠(2940)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고정 피봇(2935)이 슬라이더 링크(2941)의 우측 끝에 위치하는 경우, 누름 걸쇠(2940)는 슬라이드 가이드(2931)에 설치된 고정 피봇(2935)을 축으로 하여 회전 날개형 슬라이더 링크(2933)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누름 걸쇠(294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고정 피봇(2935)이 슬라이더 링크(2941)의 좌측 끝에 위치하는 경우, 누름 걸쇠(2940)는 슬라이드 가이드(2931)에 설치된 고정 피봇(2935)을 축으로 하여 회전 날개형 슬라이더 링크(2933)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드 가이드(2931)에는 스프링축(2961)(Spring shaft)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의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295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누름 걸쇠(2940)의 이동 피봇(2943)을 항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켓아웃렛과 플러그의 정렬 상태를 도시한다. 도 34를 참조하면, 두 개의 콘센트 전극(21080)에 두 개의 플러그 전극(21020)을 삽입하도록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인터로크 스위치 부착형 콘센트(21000)에 구비된 스위치 막대(21060)와 플러그(21010)에 구비된 누름 걸쇠(21040)도 서로 같은 선상에서 정렬될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로크 스위치 부착형 콘센트에서 설치된 스위치 막대의 주변 구조를 도시한다. 상술한 설명에 기반하여 도 35를 참조하면, 인터로크 스위치를 조작하는 스위치 막대의 이동 피봇(21103)이 좌우로 미끄럼 운동을 하도록 고안된 슬라이더 링크(21101)는 약간의 상하의 움직임이 허용된 쿠션(21131-3)을 사용하여 콘센트 몸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더 링크(21101)의 위쪽에는 플러그의 누름 걸쇠(미도시)가 걸리도록 콘센트 몸체(21111)의 일부에 걸개 홈(21113)(Interlock key home)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6a 내지 3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하는 경우 구동되는 기계적 인터로크 동작을 도시한다. 도 36a 내지 36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플러그(미도시)를 콘센트(미도시)에 삽입할 때 플러그의 누름 걸쇠와 콘센트의 걸개 홈(21203)(Interlock key home) 간의 기계적 인터로크 동작 및 플러그의 누름 걸쇠(21201)와 인터로크 스위치의 스위치 막대(Switch bar)(또는 스위치 막대와 연동되는 이동 피봇) 간의 기계적 인터로크 동작이 연동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도 36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플러그 전극을 콘센트 전극에 삽입하기 시작하면, 누름 걸쇠(21201)의 머리 부분이 콘센트의 가이드에 접촉하여 밀리면서, 누름 걸쇠(21201)는 플러그의 슬라이드 가이드에 설치된 고정 피봇(121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콘센트의 벽면을 따라 진입할 수 있다. 도 36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플러그를 계속 삽입하면 누름 걸쇠(21203)가 콘센트의 벽면을 따라 계속 진입하게 되어 인터로크 스위치의 스위치 막대(21213)를 좌측으로 밀기 시작할 수 있다. 이때, 플러그 전극은 이미 콘센트 전극에 삽입되어 회로적으로 연결된 상태에 있으며 사용자가 플러그를 계속 삽입함에 따라 더욱 깊이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가 플러그를 계속 삽입하여 누름 걸쇠(1211)를 도 36c의 누름 걸쇠(21221)에 이르기까지 밀게 되면 인터로크 스위치의 스위치 막대(21223)는 자동적으로 “온(C)”상태로 이동하여 안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전극이 콘센트 전극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터로크 스위치가“온(C)”동작되어 전기 에너지가 가압되므로 플러그 전극과 콘센트 전극에서 돌입 전류의 발생이 예방될 수 있다. 도 36d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가이드에 설치된 스프링(예: 도 33의 스프링(2951))의 탄성에 의하여 누름 걸쇠(21231)는 슬라이드 가이드의 고정 피봇(21210)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콘센트의 걸개 홈(21203)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누름 걸쇠(21231)의 이동 피봇(21233)이 가이드의 회전 날개형 슬라이더 링크에 걸리게 되므로 사용자가 플러그를 임의로 잡아 뺄 수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걸림(lock)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37a 내지 도 37f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구동되는 기계적 인터로크 동작을 도시한다. 도 37a 내지 도 37f는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누름 걸쇠의 버튼이 조작될 때 전기/기계적 인터로크 동작에 의한 연동 과정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할 수 있다. 도 37a를 참조하면, 누름 걸쇠(21301)의 버튼(21303)을 누르는 경우, 콘센트의 걸개 홈(21305)으로부터 걸림 상태가 해제(Release)될 수 있다. 누름 걸쇠(21301)는 슬라이드 가이드의 고정 피봇(21307)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누름 걸쇠(21301)의 머리 부분이 콘센트의 걸개 홈(21305)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이때, 누름 걸쇠(21301)의 이동 피봇(21309)은 도 37b와 같이 슬라이드 가이드에 설치된 회전 날개형 슬라이더 링크(21311)의 직선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7b를 참조하면, 누름 걸쇠(21301)의 버튼(21303)을 도면 상의 좌측으로 미는 경우,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7c의 누름 걸쇠(21301)과 같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플러그의 몸체는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누름 걸쇠(21301)의 이동 피봇(21309)이 도 37c와 같이 슬라이드 가이드에 설치된 회전 날개형 슬라이더 링크(21311)의 직선부를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누름 걸쇠(21301)가 플러그 몸체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누름 걸쇠(21301)가 도 37c와 같이 위치하면, 누름 걸쇠(21301)는 인터로크 스위치의 상태를 조작하는 스위치 막대(21330)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도 37d와 같이 누름 걸쇠(21301)의 버튼(21303)을 내리누르는 힘이 가해지면, 누름 걸쇠(21301)는 슬라이드 가이드의 고정 피봇(21307)을 중심으로 슬라이드 가이드의 회전 날개형 슬라이더 링크(21311)를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하는 누름 걸쇠(21301)는 인터로크 스위치의 상태를 조작하는 스위치 막대(21330)를 우측으로 밀어주게 되어 스위치 막대(21330)은 도 37e와 같이 이동할 수 있다. 도 37e를 참조하면, 누름 걸쇠(21301)의 버튼(21303)에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누름 걸쇠(21301)는 슬라이드 가이드의 고정 피봇(21307)을 중심으로 슬라이드 가이드의 회전 날개형 슬라이더 링크(21311)를 따라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도 37f의 상태와 같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누름 걸쇠(11301)의 이동 피봇(21309)은 슬라이드 가이드에 설치된 회전 날개형 슬라이더 링크(21311)의 직선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에서 플러그 전극은 전혀 움직이지 않으므로 콘센트 전극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기적 접속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스위치 막대(21330)가 우측으로 이동되어서 인터로크 스위치가 “오프(O)”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전기적 가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즉, 이러한 상태에서는 플러그 몸체를 잡아당겨 플러그 전극을 콘센트 전극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도 아크 전류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8a 내지 도 38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몸체를 소켓아웃렛으로부터 분리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8a 내지 도 28c를 참조하면, 플러그 누름 걸쇠(21401)의 버튼(21403)을 눌러서 전기적 및/또는 기계적 걸림 상태가 해제된 후(예: 도 37a 내지 37f 참조), 플러그 몸체를 잡아 뺄 때(분리 시) 기구학적 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 도 38a는 누름 걸쇠(21401)의 버튼(21403)을 눌러서 걸림 상태가 해제된 직후의 기구적 상태를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러그 몸체가 도면상의 우측으로 잡아당겨지는 경우 플러그 몸체에 고정된 슬라이드 가이드의 고정 피봇(21405)과 회전 날개형 슬라이더 링크(21411)는 각각 누름 걸쇠(21401)의 슬라이더 링크(21413)와 이동 피봇(21409)에 걸려서 누름 걸쇠(21401)를 우측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이때, 플러그 전극은 콘센트 전극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며, 플러그 몸체와 누름 걸쇠(21401)는 플러그 전극의 움직임과 같이 우측으로 평행 이동할 수 있다. 도 38b를 참조하면, 누름 걸쇠(21401)가 인터로크 스위치의 스위치 막대(21430)에 누르는 압력을 가할 수 있고, 이 경우 쿠션(21441)이 눌려지면서 누름 걸쇠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다. 도 38c를 참조하면, 플러그 및 누름 걸쇠가 콘센트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플러그 몸체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누름 걸쇠(21401)는 플러그의 몸체로부터 일부 빠져나온 상태일 수 있다. 도 39a 내지 도 39c는 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가 소켓아웃렛에서 분리된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39a를 참조하면, 플러그 몸체(21501)로부터 누름 걸쇠(21503)가 일부 빠져나온 상태를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9a는 도 38c에서 플러그 몸체가 콘센트로부터 분리되는 동작에서 누름 걸쇠(21503)가 플러그의 몸체로부터 일부 빠져나온 상태를 도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러그 몸체(21501)로부터 빠져나온 누름 걸쇠(21503)는 플러그 몸체(21501)쪽으로 밀어지는(또는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도 39d와 같이 복귀될 수 있고, 부러지거나 이물질에 걸리는 등의 관리상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도 39b 및 도 39c는 누름 걸쇠(21503)가 도면 상의 우측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플러그 몸체(21501)로 이동되는 과정을 도시하며, 도 39c는 누름 걸쇠(21503)가 플러그 몸체(21501)로 이동되었을 때 플러그 몸체(21501)와 누름 걸쇠(21503)와의 상대적 위치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직류형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되는 경우, 플러그의 누름 걸쇠가 콘센트에 부착된 인터로크 스위치의 스위치 막대를 밀면, 인터로크 스위치의 스위치 막대가 플러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고 인터로크 스위치가 "온(C)" 된다. 따라서, 플러그 전극이 콘센트 전극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인터로크 스위치의 동작을 통하여 직류 전원(Vdc)이 플러그로 공급됨으로써, 콘센트 전극과 플러그 전극 사이에 돌입 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직류형 플러그의 누름 걸쇠가 직류형 콘센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직류형 플러그를 분리하는 경우, 우선, 직류형 플러그의 누름 걸쇠를 콘센트에서 플러그 방향으로 끌어당기면, 인터로크 스위치의 스위치 막대가 플러그 방향으로 이동되고 인터로크 스위치가 "오프(O)" 된다. 따라서, 콘센트 전극과 플러그 전극이 전기적으로 차단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직류형 플러그를 잡아 빼면, 콘센트 전극과 플러그 전극 사이에는 아크가 발생하지 않고 분리될 수 있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로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0을 참조하면, 플러그를 콘센트(3110)에 삽입하고 돌려주는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 콘센트(3110)는 플러그 전극이 삽입되는 콘센트 전극(3510)(Socket electrode), 콘센트 전극(3510)을 포함하며 플러그 전극이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판(3611)(Rotating plate) 및 회전판이 회전하는 경우 기계적 인터로크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 걸쇠(361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회전판(3611)은 회전의 기준이 되는 샤프트(또는 회전축, 3613)(Shaft) 및 콘센트 전극(3510)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며, 홀을 통하여 콘센트 전극(3510) 및 샤프트(3613)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샤프트(3613)는 회전판(3611)의 중심에 배치되어 회전을 위한 중심축(또는 회전축)을 이룰 수 있다. 회전 걸쇠(3617)는 회전판(3611)의 일면에 구비되며, 단부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회전 걸쇠(3617)의 홈에 인터로크 스위치의 스위치 막대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회전판(3611)의 회전에 따라 회전 걸쇠(3617)는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회전 걸쇠(3617)의 움직임에 따라 인터로크 스위치의 스위치 막대도 상하로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회전 걸쇠(3617)는 회전판(3611)의 회전에 따라 인터로크 스위치의 스위치 막대를 이동하여 차단 접점부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 걸쇠(3617)는 도 4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막대(3430)의 일단에 위치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두 슬라이더 링크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1a 및 4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계적 인터로크에서 회전판에 설치된 회전 걸쇠와 스위치 막대가 연동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1a를 참조하면,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되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회전판(3611)은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회전 걸쇠(3617)는 스위치 막대(3430)를 위로 끌어당겨서 인터로크 스위치를 "오프(O)"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도 41b를 참조하면,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회전판(3611)은 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회전 걸쇠(3617)는 스위치 막대(3430)를 아래로 끌어당겨서 인터로크 스위치를 "온(C)"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되어 플러그 및 회전판(361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판(3611) 위에 표시된 화살표가 "오프(O)"의 위치에 이르게 되면, 인터로크 스위치를 “오프(O)" 상태로 제어하고, 플러그 및 회전판(361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판(3611) 위에 표시된 화살표가 "온(C)"의 위치에 이르게 되면, 인터로크 스위치(3300)를 “온(C)" 상태로 제어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42a 및 4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로크 장치에서 회전판을 포함하는 콘센트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42a 및 도 42b를 참조하면, 직류형 콘센트(3810)는 콘센트 몸체(3810a) 내에 상술한 바와 같은 회전판(3611) 및 인터로크 스위치가 내장되며, 콘센트 몸체(3810a)의 전면에는 직류형 플러그(3820)를 삽입하기 위한 플러그 삽입구(38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러그 삽입구(3815)는 직류형 플러그(3820)의 삽입, 회전 및 고정을 위해 상부 삽입 홈(3816a) 및 상부 가이드(3816b)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 삽입 홈(3817a) 및 하부 가이드(3817b)가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부 삽입 홈(3816a) 및 하부 삽입 홈(3817a)은 상부 가이드(3816b) 및 하부 가이드(3817b)와 각각 연동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삽입 홈(3816a) 및 하부 삽입 홈(3817a)은 상부 블레이드(3824) 및 하부 블레이드(3826)의 형상 및 크기와 거의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부 삽입 홈(3816a) 및 하부 삽입 홈(3817a)은 직류형 플러그(3820) 및 플러그(3820)에 부착된 상부 블레이드(3824) 및 하부 블레이드(3826)가 삽입되고, 상부 가이드(3816b) 및 하부 가이드(3817b)는 플러그(3820)가 콘센트(3810)의 플러그 삽입구(38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 블레이드(3824) 및 하부 블레이드(3826)가 회전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상부 가이드(3816b) 및 하부 가이드(3817b)의 일단은 상부 블레이드(3824) 및 하부 블레이드(3826)가 더 이상은 회전하지 못하도록 억제하는 스토퍼 기능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블레이드(3824) 및 하부 블레이드(3826)가 상부 삽입 홈(3816a) 및 하부 삽입 홈(3817a)을 통해서만 삽입됨으로써, 직류형 플러그(3820)는 정해진 상태로만 직류형 콘센트(3810)에 삽입될 수 있다. 직류형 플러그(3820)는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콘센트 전극(3510)에 삽입되는 플러그 전극(3822), 상부 블레이드(3824) 및 하부 블레이드(38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블레이드(3824) 및 하부 블레이드(3826)는 직류형 플러그(3820)를 직류형 콘센트(3810)에 삽입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 블레이드(3824)는 하부 블레이드(3826)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직류형 플러그(3820)를 반대로 삽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부 블레이드(3824)가 하부 블레이드(3826)보다 큰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블레이드(3824)와 하부 블레이드(3826)가 서로 상이한 크기 또는 형상을 가지는 비대칭 형태로 구비할 수 있고, 따라서 콘센트 전극(3510)과 플러그 전극(3822)의 극성이 반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직류형 플러그(3820)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3815)는 매립 형태나 외부 돌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형 콘센트(3810)의 플러그 삽입구(3815)가 매립 형태인 경우, 상부 삽입 홈(3816a) 및 하부 삽입 홈(3817a)과 연통하는 상부 가이드(3816b) 및 하부 가이드(3817b)는 각각 플러그 삽입구(3815)의 외주변을 따라 콘센트 몸체(3810a) 안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4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형 콘센트(3810)의 플러그 삽입구(3815)가 돌출 형태인 경우, 플러그 삽입구(3815)의 외주변을 두껍게 형성하고, 외측으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직류형 플러그(3820)의 삽입을 더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삽입 홈(3836a) 및 하부 삽입 홈(3837a)과 연통하는 상부 가이드(3836b) 및 하부 가이드(3837b)는 각각 플러그 삽입구(3815)의 외주변을 따라 콘센트 몸체(3810a) 외측 또는 안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직류형 콘센트(3810)의 회전판(3611) 각도가 "오프(O)"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플러그 전극(3822)을 콘센트 전극(3510)에 삽입할 수 있다. 도 43a 및 4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로크 콘센트에서 보조 회전판을 포함하는 기계적 인터로크를 도시한다. 도 43a 및 도 43b를 참조하면, 도 42a 및 도 42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센트 전극(3510)과 인터로크 스위치 뭉치를 콘센트 몸체(3810a) 내부에 설치하였을 때 의도치 않게 회전판(3611)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판을 추가하는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도 43a를 참조하면, 콘센트 전극(3510)과 회전판 뭉치의 축에 끼워져서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멍이 뚫려 있는 새로운 회전판(3911)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새로 추가된 회전판(3911)은 기존의 회전판(3611) 및 콘센트 몸체(3910a)에 위치할 수 있고, 추가된 회전판(3911)은 샤프트(3613) 및 콘센트 전극(3510)이 관통되는 홀(3917)이 형성되며, 홀을 통하여 콘센트 전극(3510) 및 샤프트(3613)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새로 추가된 회전판(3911)과 기존의 회전판(3611)은 사이에 탄성 부재(예: 스프링(3919))가 위치하여 두 회전판을 밀어주는 탄성력을 가하게 구성될 수 있고, 콘센트 몸체(3910a)에 조립되었을 때 새로 추가된 회전판(3911)은 기존의 회전판(3611) 반대 방향으로 밀려서 콘센트 몸체(3911a)의 안쪽 면에 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기존의 회전판(3611)을 내부 회전판(또는 회전판, 3611)(Inner rotating plate), 추가된 회전판을 외부 회전판(3911)(Outer rotating plate)으로 정의한다. 상호 접촉이 이루어지는 외부 회전판(3911)과 콘센트 몸체(3910a)의 안쪽 면 사이에는 암 수의 돌기(또는 구멍)를 만들어 둠으로써, 의도치 않게 회전판이 돌아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회전판(3911)에는 그림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돌기(3917)(Teeth)(이하, 돌기 또는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콘센트 몸체(3910a) 안쪽의 해당 되는 위치(예: 회전판(3911)의 돌기(3917)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외부 회전판(3911)에 형성된 돌기(3917)가 끼어들어 갈 수 있도록 고정용 구멍(hole)(이하, 구멍 또는 고정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3b를 참조하면, 두 개의 회전판을 완전히 조립한 콘센트 전극(3510)과 인터로크 스위치 뭉치가 기계적 인터로크와 결합된 구성을 도시한다. 콘센트 전극(3510) 뭉치(assembly)를 스프링(919)의 탄성력으로 콘센트 몸체(3910a) 안쪽 면에 밀려서 닿아 있는 외부 회전판(3911)을 외부에서 콘센트 안쪽으로 조금 밀어 밀어주게 되면 외부 회전판의 돌기(3917)와 콘센트 몸체(3910a)의 안쪽면 홀에 의한 걸림이 해제될 수 있고,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회전판(3611)의 축을 중심으로 콘센트 전극(3510) 뭉치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직류형 플러그(3820)의 회전에 의해 내부 회전판(3611) 및 외부 회전판(3911)이 샤프트(3613)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판(3611)의 걸쇠(3614)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인터로크 스위치(3300)가 온/오프될 수 있다. 도 44a 내지 도 4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 회전판 및 외부 회전판을 포함하는 인터로크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다. 내부 회전판(3611) 및/또는 외부 회전판(3911)에 고정된 콘센트 전극(3510)과 플러그 전극(3822) 및 콘센트 몸체(3810a)가 연동되는 기계적 인터로크 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 플러그 몸체(3820a)에는 상부 블레이드(3824) 및 하부 블레이드(3826)을 포함할 수 있고, 콘센트 몸체(3810a)의 전면부에는 플러그 몸체(3820a)의 상부 블레이드(3824) 및 하부 블레이드(3826)가 통과할 수 있도록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콘센트 몸체(3810)의 전면부(3810a)에 형성되는 홈은 도 44a와 같이 매립 형태(예: 3816a, 3816b, 3817a 및 3817b)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도 44b와 같이 돌출 형태(예: 3836a, 3836b, 3837a 및 3837b)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돌출 형태로 홈을 형성하는 경우는 홈 이외의 부분은 두텁게 형성함으로써 플러그 몸체(3820a)에 형성된 상부 블레이드(3824) 및 하부 블레이드(3826)가 콘센트 몸체(3810a) 전면부의 홈을 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4a 및 44b를 참조하면, 직류형 콘센트(3810)의 콘센트 몸체(3810a)의 전면은 고정 홀(3100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홀(31001)은 외부 회전판(3911)의 고정 돌기(3917)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4c 및 44d를 참조하면, 직류형 콘센트(3810)가 조립된 상태에서, 외부 회전판(3911)이 구비된 회전판(3611)의 회전 중심축을 이루는 샤프트(3613)는 콘센트 몸체(3810)의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회전판(3911)은 스프링(3919)의 탄성력에 의해 콘센트 몸체(3810a)의 내측 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외부 회전판(3991)의 돌기(3917)는 콘센트 몸체(3810a) 전면의 고정 홀(31001)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회전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5a 내지 4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류형 콘센트와 직류형 플러그의 결합 시 동작을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5b는 외부 회전판(3911)의 정면을 도시할 수 있다. 도 45a를 참조하면, 외부 회전판(3911)에는 콘센트 전극(3510)이 샤프트(3613)를 중심으로 상하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돌기(3917)는 콘센트 전극(3510)과 대략 수직한 방향에 샤프트(3113)를 중심으로 좌우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5b는 콘센트 몸체(3810a)의 전면부를 도시할 수 있다. 도 45b를 참조하면, 콘센트 몸체(3810a)에는 상부 삽입 홈(3816a 또는 3836a) 및 하부 삽입 홈(3817a 또는 3837a)이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홀(31001)은 고정 돌기(3917)에 대응하는 위치, 즉, 플러그 삽입구(3835)의 좌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5c는 직류형 플러그(3820)의 플러그 전극(3822) 방향의 정면을 도시할 수 있다. 도 45c를 참조하면, 직류형 플러그(3820)는 플러그 전극(3822)이 상하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부 블레이드(3824) 및 하부 블레이드(3826)는 직류형 플러그(3820)의 상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6a 내지 도 46c는 직류형 콘센트에 직류형 플러그가 체결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46a를 참조하면, 직류형 플러그(3820)를 삽입하기 이전에는, 외부 회전판(3911)과 콘센트 몸체(3810a)의 전면이 스프링(3919)에 의해 밀착되어 돌기(3917)가 고정 홀(31001)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외부 회전판(3911)은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도 46b를 참조하면, 플러그 전극(3822)이 콘센트 전극(3510)에 삽입되는 순간에는, 직류형 플러그(3820)의 상부 블레이드(3824) 및 하부 블레이드(3826)가 플러그 삽입구(3935)의 상부 삽입홈(3916a 또는 3936a) 및 하부 삽입홈(3917a 또는 3937a)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직류형 플러그(3820)는 "오프(O)" 위치에서 직류형 콘센트(38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콘센트 전극(3510)은 직류 전원(Vdc)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콘센트 전극(3510)과 플러그 전극(3822) 사이에 돌입 전류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직류형 플러그(3820)로 직류형 콘센트(3810)을 더 누르면, 외부 회전판(3911)은 스프링(3919)을 압축하여 눌리게 되고, 외부 회전판(3911)의 돌기(3917)가 고정 홀(31001)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외부 회전판(3911) 및 회전판(3611)은 회전 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계속하여, 도 46c를 참조하면, 직류형 플러그(38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콘센트 몸체(3810a)의 전면에 표시된 화살표가 "온(C)"의 위치에 도달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판(3611)의 회전 걸쇠(3617)는 스위치 막대(3430)를 아래로 끌어당겨 인터로크 스위치(3300)가 "온(C)" 되고, 콘센트 전극(3510)을 통하여 플러그 전극(3822)에 직류 전원(Vdc)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직류형 플러그(3820)는 상부 블레이드(3824) 및 하부 블레이드(3826)가 콘센트 몸체(3810a) 내측의 상부 가이드(3816b 또는 3836b) 및 하부 가이드(3817b 또는 3837b)에 위치되고, 스프링(3919)의 탄성력에 따라 외부 회전판(3911)에 의해 콘센트 몸체(3810a)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직류형 플러그(3820)는 직류형 콘센트(381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러그 전극(3822)이 콘센트 전극(351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인터로크 스위치(3300)를 통하여 직류 전원(Vdc)이 공급됨으로써, 콘센트 전극(3510)과 플러그 전극(3822) 사이에 돌입 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직류형 플러그(3820)가 직류형 콘센트(3810)에 잠긴 상태에서 직류형 플러그(3820)를 분리하는 경우, 우선, 직류형 플러그(38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콘센트 몸체(3810a)의 전면에 표시된 화살표가 "오프(O)"의 위치에 도달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이때, 회전판(3611)의 회전 걸쇠(3617)는 스위치 막대(3430)를 위로 끌어당겨 인터로크 스위치(3300)가 "오프(O)"되고, 콘센트 전극(3510)과 플러그 전극(3822)이 전기적으로 차단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직류형 플러그(3820)를 분리하면, 콘센트 전극(3510)과 플러그 전극(3822) 사이에는 아크가 발생하지 않고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직류형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되어 일 방향(예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플러그를 회전함에 기반하여 회전 걸쇠가 콘센트에 부착된 인터로크 스위치의 스위치 막대를 밀면, 인터로크 스위치의 스위치 막대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고 인터로크 스위치가 "온(C)" 된다. 따라서, 플러그 전극이 콘센트 전극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인터로크 스위치의 동작을 통하여 직류 전원(Vdc)이 플러그로 공급됨으로써, 콘센트 전극과 플러그 전극 사이에 돌입 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직류형 플러그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직류형 콘센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직류형 플러그를 분리하는 경우, 우선, 직류형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플러그를 회전함에 기반하여 회전 걸쇠가 인터로크 스위치의 스위치 막대를 밀면, 인터로크 스위치의 스위치 막대가 위 방향으로 이동되고 인터로크 스위치가 "오프(O)" 된다. 따라서, 콘센트 전극과 플러그 전극이 전기적으로 차단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직류형 플러그를 잡아 빼면, 콘센트 전극과 플러그 전극 사이에는 아크가 발생하지 않고 분리될 수 있다. 더하여, 상술한 바에 따르면, 콘센트 몸체 및/또는 플러그 몸체와 같이 몸체는 프레임(frame)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많고, 케이스(case)와 같이 고정된 형체를 구현할 수 있는 요소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기계적인 인터로크 장치를 이용하여 플러그와 소켓이 결합 또는 분리 될 때, 아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부하의 고장 또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ket outlet and an interlock device for the socket outlet. The socket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ocket into which an electrode of a plug is inserted; a PPTC disposed between the socket and a supply power source; and a plurality of switches connecting each of both ends of the PPTC and the socket, wherein the plurality of switches has a time difference in each state change so as to prevent the PPTC from being tripped when the plug electrode is coupled to the socket. 플러그의 전극이 삽입되는 소켓; 상기 소켓과 공급전원의 사이에 배치되는 PPTC; 및 상기 PPTC의 양단을 각각 소켓과 연결하는 복수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은 각각 상태 변경에 시차를 두어 플러그 전극이 소켓에 결합될 때 상기 PPTC가 트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켓아웃렛.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들은, 상기 PPTC의 일단과 상기 공급전원의 접점을 상기 소켓에 연결하는 제1스위치; 및 상기 PPTC의 타단을 상기 소켓에 연결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플러그의 전극과 상기 소켓이 결합될 때 상기 제1스위치가 상기 제2스위치보다 더 빨리 클로즈 상태가 되는, 소켓아웃렛.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전극과 상기 소켓이 분리될 때, 상기 제1스위치가 상기 제2스위치보다 더 빨리 오픈 상태가 되어, 상기 PPTC로 전류패스가 형성되도록 하는, 소켓아웃렛.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소켓과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며, 회전정도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의 상태를 변경하는 인터로크 장치를 더 포함하는 소켓아웃렛.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로크 장치는, 회전판; 및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1스위치의 토글과 상기 제2스위치의 토글이 삽입되는 삽입공간부; 상기 삽입공간부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단차면; 및 상기 삽입공간부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단차면을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상부단차면 또는 상기 하부단차면과 상기 토글들이 순차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의 상태를 순차 변경하는, 소켓아웃렛.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단차면은 상기 제1스위치의 토글에 접촉되는 제1접촉면과 제2스위치의 토글에 접촉되는 제2접촉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접촉면은 제2접촉면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소켓아웃렛.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단차면은 상기 제1스위치의 토글에 접촉되는 제3접촉면과 제2스위치의 토글에 접촉되는 제4접촉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3접촉면은 제4접촉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소켓아웃렛. 결합된 플러그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더는 제1스위치의 토글과 제2스위치의 토글이 삽입되는 삽입공간부; 상기 삽입공간부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단차면; 및 상기 삽입공간부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단차면을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상부단차면 또는 상기 하부단차면과 상기 토글들이 순차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의 상태를 순차 변경하는, 소켓아웃렛의 인터로크 장치.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외경부에서 돌출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플러그가 회전할 때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인터로크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소켓아웃렛의 인터로크 장치.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단차면은 상기 제1스위치의 토글에 접촉되는 제1접촉면과 제2스위치의 토글에 접촉되는 제2접촉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접촉면은 제2접촉면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소켓아웃렛의 인터로크 장치.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단차면은 상기 제1스위치의 토글에 접촉되는 제3접촉면과 제2스위치의 토글에 접촉되는 제4접촉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3접촉면은 제4접촉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소켓아웃렛의 인터로크 장치.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마주하는 한 쌍의 원판이며, 상기 한 쌍의 원판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소켓아웃렛의 인터로크 장치. 플러그의 상부 블레이드 및 하부 블레이드 각각이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된 상부 가이드부 및 하부 가이드부, 상기 플러그가 회전됨에 따라 온오프되는 인터로크 스위치, 직류 전원을 상기 플러그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온오프되는 반도체 스위치, 및 상기 인터로크 스위치가 온됨에 따라 상기 직류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온시키고, 부하전류를 감지하여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드라이버를 구비하는 콘센트;를 포함하는 소켓아웃렛.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직류 전원을 상기 드라이버용 직류 전압으로 감압하여 공급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의해 세트되어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온시키는 RS 래치; 상기 감지된 부하전류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반전기; 및 상기 반전된 부하전류를 상기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반전된 부하전류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오프시키도록 상기 RS 래치를 리셋시키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소켓아웃렛.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과 상기 RS 래치의 출력단 사이에 부저 및 발광 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가 연결되고, 상기 반도체 스위치가 오프되면, 이상상태를 알람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소켓아웃렛.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는 상기 직류 전원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되며 다이오드 및 저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도체 스위치가 오프되는 경우, 유도성 부하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억제하는 환류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소켓아웃렛.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는, 상기 플러그의 플러그 전극이 삽입되는 콘센트 전극, 및 회전을 위한 중심축을 이루는 샤프트가 관통하여 구비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인터로크 스위치의 스위치 바를 온오프시키는 걸쇠를 포함하는 소켓아웃렛.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는, 상기 회전판과 상기 콘센트의 케이스 전면 사이에 배치되는 외부 회전판; 및 상기 외부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경우 가압되고 상기 플러그가 제거되는 경우 복원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소켓아웃렛.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회전판은 상기 콘센트의 케이스 전면 측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는 상기 콘센트의 케이스 전면의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홀이 형성되는 소켓아웃렛.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부 및 상기 하부 가이드부는 매립 형태 또는 외부 돌출 형태로 이루어지는 소켓아웃렛.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는 상기 상부 블레이드 및 상기 하부 블레이드 각각이 삽입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 및 상기 하부 가이드와 각각 연통하는 상부 삽입홈 및 하부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소켓아웃렛. 플러그 전극 및 누름 걸쇠를 포함하는 플러그; 및 직류 전원을 상기 플러그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연결 또는 차단되는 차단 접점부, 상기 플러그 전극이 삽입되는 콘센트 전극, 및 상기 플러그 전극이 상기 콘센트 전극에 삽입되고, 상기 누름 걸쇠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차단 접점부를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인터로크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콘센트;를 포함하는, 소켓아웃렛.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로크 스위치부는, 상기 콘센트 전극이 부착되는 콘센트 몸체, 상기 콘센트 몸체에 고정된 제1 고정 피봇, 상기 제1 고정 피봇을 일단부에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피봇을 축으로 회전하는 제1 링크, 상기 콘센트 몸체와 결합되는 제2 고정 피봇, 상기 제2 고정 피봇을 축으로 회전하는 제2 링크, 제1 이동 피봇을 일단에 포함하여 상기 제1 링크와 연결되고, 제2 이동 피봇을 타단에 포함하여 상기 제2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를 연결하는 제3 링크, 상기 콘센트 몸체에 고정되는 제1 슬라이더 링크, 및 상기 제1 슬라이더 링크에 구성된 홈을 따라서 움직이는 제3 이동 피봇, 을 포함하는, 소켓아웃렛..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접점부는, 상기 콘센트 몸체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 접점, 및 상기 콘센트 몸체에 고정된 제1 고정 피봇을 일단부에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피봇을 축으로 회전하는 제1 링크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이동 접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누름 걸쇠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이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동작하는, 소켓아웃렛.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로크 스위치부 및 상기 차단 접점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한 쌍으로 구비된 인터로크 스위치부에서 한 쌍의 상기 제3 이동 피봇은 스위치 막대로 연결되며, 한 쌍의 상기 제3 이동 피봇은 상기 스위치 막대의 이동으로 함께 움직이는, 소켓아웃렛.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막대는 상기 플러그의 누름 걸쇠의 움직임에 따라 제어되는, 소켓아웃렛.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로크 스위치부는 상기 제3 이동 피봇이 상기 제1 슬라이더 링크에 구성된 홈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차단 접점부를 온 하고, 상기 제3 이동 피봇이 상기 제1 슬라이더 링크에 구성된 홈의 타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차단 접점부를 오프하는, 소켓아웃렛.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접점부는, 아크 소호용 자석 2개가 탠덤 형태로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이동 접점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소켓아웃렛..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 전극이 부착되는 플러그 몸체; 상기 플러그 몸체에 고정되는 제1 슬라이드 가이드 및 제2 슬라이드 가이드; 상기 제1 슬라이드 가이드에 형성되는 제2 슬라이더 링크 및 상기 제2 슬라이드 가이드에 형성되는 제3 슬라이더 링크; 상기 누름 걸쇠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슬라이더 링크 및 상기 제3 슬라이더 링크에 구성된 홈을 따라서 움직이는 제4 이동 피봇; 및 상기 누름 걸쇠에 형성되는 제4 슬라이더 링크를 관통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 가이드 및 상기 제2 슬라이드 가이드를 가로 질러 고정되는 고정 피봇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 걸쇠는, 상기 제1 슬라이드 가이드 및 상기 제2 슬라이드 가이드 사이에 위치하는, 소켓아웃렛.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걸쇠는, 상기 콘센트의 상기 인터로크 스위치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4 이동 피봇을 이동 시키는, 소켓아웃렛.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 가이드 및 상기 제2 슬라이드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4 이동 피봇에 시계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소켓아웃렛. 플러그 전극을 포함하는 플러그의 상부 블레이드 및 하부 블레이드 각각이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된 상부 가이드부 및 하부 가이드부, 직류 전원을 상기 플러그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연결 또는 차단되는 차단 접점부, 상기 플러그 전극이 삽입되는 콘센트 전극, 및 상기 플러그 전극이 상기 콘센트 전극에 삽입되고, 상기 플러그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차단 접점부를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인터로크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소켓아웃렛.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로크 스위치부는, 상기 콘센트 전극이 부착되는 콘센트 몸체, 상기 콘센트 몸체에 고정된 제1 고정 피봇, 상기 제1 고정 피봇을 일단부에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피봇을 축으로 회전하는 제1 링크, 상기 콘센트 몸체와 결합되는 제2 고정 피봇, 상기 제2 고정 피봇을 축으로 회전하는 제2 링크, 제1 이동 피봇을 일단에 포함하여 상기 제1 링크와 연결되고, 제2 이동 피봇을 타단에 포함하여 상기 제2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를 연결하는 제3 링크, 상기 콘센트 몸체에 고정되는 제1 슬라이더 링크, 및 상기 제1 슬라이더 링크에 구성된 홈을 따라서 움직이는 제3 이동 피봇을 포함하는, 소켓아웃렛.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접점부는, 상기 콘센트 몸체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 접점, 및 상기 콘센트 몸체에 고정된 제1 고정 피봇을 일단부에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피봇을 축으로 회전하는 제1 링크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이동 접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누름 걸쇠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이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동작하는, 소켓아웃렛.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로크 스위치부 및 상기 차단 접점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한 쌍으로 구비된 인터로크 스위치부에서 한 쌍의 상기 제3 이동 피봇은 스위치 막대로 연결되며, 한 쌍의 상기 제3 이동 피봇은 상기 스위치 막대의 이동으로 함께 움직이는, 회전식 인터로크 스위치 부착형 직류 콘센트-플러그.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는, 상기 콘센트 전극, 및 회전을 위한 중심축을 이루는 샤프트가 관통하여 구비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인터로크 스위치부의 스위치 막대를 이동시키는 걸쇠를 포함하는, 소켓아웃렛.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는, 상기 회전판과 상기 콘센트의 콘센트 몸체 전면 사이에 배치되는 외부 회전판; 및 상기 외부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경우 가압되고, 상기 플러그가 제거되는 경우 복원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소켓아웃렛.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회전판은 상기 콘센트 몸체 전면 측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는 상기 콘센트 몸체 전면에서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홀이 형성되는, 소켓아웃렛.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부 및 상기 하부 가이드부는 매립 형태 또는 외부 돌출 형태로 구현되는, 소켓아웃렛.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는 상기 상부 블레이드 및 상기 하부 블레이드 각각이 삽입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 및 상기 하부 가이드와 각각 연통하는 상부 삽입 홈 및 하부 삽입 홈을 더 포함하는, 소켓아웃렛.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로크 스위치부는 상기 제3 이동 피봇이 상기 제1 슬라이더 링크에 구성된 홈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차단 접점부를 온 하고, 상기 제3 이동 피봇이 상기 제1 슬라이더 링크에 구성된 홈의 타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차단 접점부를 오프하는, 소켓아웃렛.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접점부는, 아크 소호용 자석 2개가 탠덤 형태로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이동 접점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소켓아웃렛.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상부 블레이드 및 상기 하부 블레이드의 너비에 차이를 두고 구성되는, 소켓아웃렛.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 전극이 상기 콘센트 전극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플러그 전극의 상기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회전판 및 상기 외부 회전판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소켓아웃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