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CESSING MOTION IMAGE

22-02-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WO2018034371A1
Принадлежит: 스노우 주식회사
Контакты:
Номер заявки: KR91-00-201690
Дата заявки: 19-08-2016

동영상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1]

본 발명은 동영상 촬영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재생 속도가 조절되는 동영상을 생성하는 동영상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2]

[3]

종래의 영상의 촬영은 동영상 촬영시 매초 24 프레임 보다 많은 프레임수 또는 적은 프레임 수로 촬영을 하고 그것을 재생함으로써, 슬로모션, 퀵모션을 실행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영상 촬영 장치에 따르면, 촬영 이후에 촬영시 설정된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할 수는 없었다.

[4]

[5]

본 발명은 촬영 당시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된 속도 조절 데이터를 통해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동영상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6]

또한, 본 발명은 재생 속도를 높이거나 줄이기 위하여 프레임 레이트를 조절하는 외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에 따른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프레임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프레임의 재생 횟수, 재생 시간을 늘림으로써, 재생 시간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는 동영상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7]

[8]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로부터 추출된 화상 데이터, 상기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 상기 화상 데이터의 속도 조절 데이터를 리드(read)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의 제1 구간에 대한 재생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구간에 대한 재생 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재생 속도와 대응되는 변경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산출된 변경율에 따라 상기 제1 구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프레임들 중 일부를 제거하거나 재생 시간을 늘림으로써, 상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것이다.

[9]

상기 제1 구간에 대한 재생 속도와 대응되는 변경율이 기준 속도의 미만인 경우, 상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구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프레임들 중 일부를 누락시키면서 상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10]

상기 제1 구간에 대한 재생 속도와 대응되는 변경율이 기준 속도의 초과인 경우, 상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구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프레임들의 각 재생 시간을 늘리면서 상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11]

상기 동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변경율을 산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동영상 파일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화상 데이터 사이의 동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화상 데이터와 동기화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변경율과 무관하게 기준 속도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2]

상기 동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화상 데이터와 동기화된 경우, 상기 변경율에 따라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속도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3]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방법은 카메라에 의해 화상 프레임을 촬영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구간 별 속도 설정에 따라 상기 화상 프레임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도록 설정된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화상 프레임 및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를 변환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4]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방법은 저장 매체, 디스플레이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로부터 추출된 화상 데이터, 상기 화상 데이터의 속도 조절 데이터를 리드(read)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의 제1 구간에 대한 재생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구간에 대한 재생 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재생 속도와 대응되는 변경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산출된 변경율에 따라 상기 제1 구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프레임들 중 일부를 누락하거나 복사하는 방식으로 출력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출력부가 상기 출력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5]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방법은 카메라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촬영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구간 별 속도 설정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도록 설정된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화상 데이터와 함께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6]

[17]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18]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19]

[20]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촬영 당시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된 속도 조절 데이터를 통해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21]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재생 속도를 높이거나 줄이기 위하여 프레임 레이트를 조절하는 외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에 따른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프레임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프레임의 재생 횟수, 재생 시간을 늘림으로써, 재생 시간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22]

[23]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4]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2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26]

도 6은 동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7]

도 7은 동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화상 프레임이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8]

도 8은 오디오 데이터가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9]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30]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31]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32]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33]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을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34]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35]

이하의 실시예에서, "회로"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한 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하드와이어드 회로, 프로그램가능한 회로, 상태 머신 회로, 및/또는 펌웨어를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호스트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회로와 같은 프로그램가능한 회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코드 또는 인스트럭션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모듈은,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회로는 집적 회로 칩과 같은 집적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36]

이하의 실시예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37]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38]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프로세서(110), 사용자 입력부(120), 출력부(140), 카메라(130), 저장 매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39]

프로세서(110)는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저장 매체(15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통해 사용자 입력부(120), 출력부(140), 카메라(13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40]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을 입력 받는 수단으로서,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41]

출력부(1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출력부(140)는 촬영 장치(110)에 의해 획득된 동영상 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부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출력부(140)는 출력하는 장치 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는 디스플레이부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42]

카메라(130)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촬영 장치(110), 프로세서(11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3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 매체(150)에 저장되거나 외부로 전송될 수도 있다. 카메라(130)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43]

카메라(130)는 외부의 음향 신호 역시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하는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44]

저장 매체(150)는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및 드라이버와 같은,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 중에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매체(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혈당 관리 장치(2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45]

저장 매체(15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 터치 스크린 모듈, 알림 모듈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동영상 촬영을 제어하고, 동영상 재생을 제어하는 동영상 처리 장치(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46]

도 1를 참조하면,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부(161), 데이터 처리부(162), 재생 속도 결정부(163),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164),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47]

저장 매체(160)는 카메라(130)로부터 획득된 화상 프레임을 동영상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부(161) 및 데이터 생성부(162)는 동영상 촬영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이다.

[48]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부(161)는 카메라(130)로부터 획득된 화상 프레임과 관련하여,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과 대응된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부(161)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의 방향 및 길이(크기)를 고려하여, 재생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재생 속도를 프레임과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49]

속도 조절 데이터는 변환된 속도의 방향성 및 변경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도 조절 데이터는 빠르게 재생, 느리게 재생, 기준 속도 재생 중 하나의 방향성을 가지고, 0.7배속, 0.8 배속, 0.9 배속, 1배속, 1.1배속, 1.2 배속, 1.3 배속 중 하나로 변경 크기를 가질 수 있다.

[50]

이때, 사용자로부터 드래그 입력이 수신된 경우, 속도 조절 데이터의 방향성은 입력된 사용자 입력의 방향에 따라 결정되고, 속도 조절 데이터의 변경 크기는 입력된 사용자 입력의 입력 길이와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속도 조절 데이터의 변경과 관련하여, 속도의 방향성 및 변경 크기를 결정할 수 있는 아이콘들이 출력부(1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출력된 아이콘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해 재생 속도의 방향성 및 변경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51]

사용자에 의해 제1 속도로 재생되도록 설정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부(161)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입력된 제1 시간에 해당하는 복수의 화상 프레임들에 대해서 제1 속도로 재생하도록 하는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2 속도로 재생되도록 설정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부(161)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이 입력된 제2 시간에 해당하는 복수의 화상 프레임들에 대해서 제2 속도로 재생하도록 하는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52]

속도 조절 데이터는 각 프레임 단위 또는 소정의 시간 단위로 생성될 수 있다. 재생 속도가 동일한 구간의 화상 프레임들와 대응하여 하나의 속도 조절 데이터가 생성되기도 하고, 각 화상 프레임에 대해서 속도 조절 데이터가 생성되기도 한다.

[53]

데이터 생성부(162)는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 프레임들을 동영상 파일로 변환한다. 이때, 데이터 생성부(162)는 화상 프레임들 및 속도 조절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54]

다음으로, 동영상 재생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55]

재생 속도 결정부(163)는 저장 매체(150)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읽어서 상기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속도 조절 데이터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각 시간 구간에 대한 재생 속도를 결정한다. 재생 속도 결정부(163)는 속도 조절 데이터로부터 속도의 방향성 및 크기를 추출하고 상기 속도의 방향성 및 크기와 대응되는 재생 속도를 결정한다.

[56]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164)는 상기 결정된 재생 속도와 대응되는 변경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변경율에 따라 제1 구간에 포함되는 화상 프레임들을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164)는 프레임 레이트의 변경 없이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화상 데이터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57]

좀더 구체적으로, '빠르게 재생'의 방향성을 가지는 속도 조절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프레임들과 관련하여, 재생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164)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 일부를 누락시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빠르게 재생, 1.1 배속)의 속도 조절 데이터와 대응하여,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164)는 1/10의 비율을 변경율로 산출하고, 상기 변경율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들 일부를 누락 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느리게 재생, 0.5 배속)의 속도 조절 데이터와 대응하여,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164)는 2배의 시간으로 늘리기 위해서, 복수의 프레임들 각각을 2번씩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58]

또한,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164)는 산출된 변경율에 따라 화상 프레임들의 재생 시간을 조절할 수도 있다. 각 프레임의 재생 시간은 일반적으로 프레임 레이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0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된 동영상의 각 프레임은 1/60 초 동안 재생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60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된 동영상이라고 하더라도, 변경율이 1.1배인 구간에서는 각 프레임은 1/60 X 1.1 의 시간 동안 재생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재생 시간을 조절할 뿐 아니라 각 프레임의 재생 시간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속도 조절에 따른 왜곡 없이 원 동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59]

또한,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164)는 각 프레임의 재생 횟수를 포함하는 배열(array)를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를 출력 시킬 수 있다. 배열의 각 값은 프레임들의 재생 횟수와 대응된다. 예를 들어, (빠르게 재생, 1.1 배속)와 대응하여,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164)는 1/10의 비율로 복수의 프레임들을 누락시키기 위해서는 {1,1,1,1,1,1,1,1,1,0} 또는 {0,1,1,1,1,1,1,1,1,1}의 배열(array)을 생성하고, 상기 배열을 이용하여, 0에 해당하는 프레임을 누락, 제거할 수 있다. (느리게 재생, 0.5 배속)의 속도 조절 데이터와 대응하여,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164)는 각 프레임의 재생 시간을 2배로 늘리기 위해서 {2,2,2,2,2,2,2,2,2,2}의 배열을 생성하고, 상기 배열을 이용하여 각 프레임을 2번씩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배열의 배열 수는 미리 설정된 크기이며, 10, 5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60]

일반적으로 동영상 파일은 생성 당시의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출력되게 되는데, 예를 들어, 1초당 60번의 정지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정지 영상들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출력함으로써, 움직이는 동영상을 재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60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된 동영상은 초당 60개의 프레임을 일정 시간 주기로 출력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동영상을 재생 시에 속도 조절 기능을 통해 재생 속도를 높이거나 줄일 수 있다. 또한, 촬영된 동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높이거나 줄이면서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줄이거나 높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촬영 당시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된 속도 조절 데이터를 통해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재생 속도를 높이거나 줄이기 위하여 프레임 레이트를 조절하는 외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에 따른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프레임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프레임의 재생 횟수, 재생 시간을 늘림으로써, 재생 시간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각 프레임의 재생 시간, 각 프레임의 재생 횟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동영상의 재생 시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61]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165)는 상기 결정된 재생 속도와 대응되는 변경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변경율에 따라 제1 구간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165)는 오디오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 사이의 동기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변경율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속도를 조절하거나 조절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오디오 데이터가 BGM, 나레이션 중 하나인 경우,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165)는 촬영 당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속도를 조절하지 않는다.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BGM 또는 나레이션의 경우에는 굳이 영상과 동기를 맞출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165)는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속도 조절 데이터와 무관하게, 원래의 재생 속도에 맞게 BGM 또는 나레이션을 출력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화상 데이터와 동기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165)는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165)는 이때에도 화상 데이터의 재생 속도와 동일하게 구간 별 속도 설정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62]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촬영 당시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때, BGM 등과 같이 화상 데이터와 동기되지 않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는 재생 속도를 변경하지 않고 원 재생 속도로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63]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64]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방법은 데이터를 리드하는 단계(S110),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구간에 대한 재생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S120), 상기 제1 구간에 대한 재생 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재생 속도와 대응되는 변경율을 산출하는 단계(S130), 상기 변경율이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변경율이 기준값인 '1'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들 중 일부를 스킵(skip)하면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S150), 상기 변경율에 따라 상기 제1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들의 재생 시간을 늘려서 출력하는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65]

S110에서는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로부터 화상 데이터, 상기 화상 데이터의 속도 조절 데이터를 추출하고, 리드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저장된 동영상 파일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의 압축 여부를 판단하여 압축된 화상 데이터를 디코딩 할 수 있다.

[66]

S120에서는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구간에 대한 재생 속도를 결정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속도의 방향성 및 크기와 대응되도록 해당 구간의 재생 속도를 결정한다.

[67]

S130에서는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상기 제1 구간에 대한 재생 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재생 속도와 대응되는 변경율을 산출한다. 변경율은 기준값 1을 기준으로, 빠르게 재생되는 경우에는 1을 초과하는 실수, 느리게 재생되는 경우에는 1 미만의 실수로 설정되게 된다.

[68]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상기 변경율이 기준값인 '1'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40),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상기 변경율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들 일부를 제거하거나, 복수의 프레임들 각각의 재생 시간을 줄임으로써, 상기 화상 데이터를 출력, 재생, 제공, 표시한다(S150). 결과적으로 해당 구간의 화상 데이터의 재생 시간은 감소 하고, 해당 구간의 화상 데이터의 재생 속도는 증가하게 된다.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겠다.

[69]

S151에서는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상기 변경율에 따라 상기 제1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들의 재생 시간 또는 재생 횟수를 늘려서 출력한다.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해당 구간의 변경율 만큼 각 프레임의 재생 시간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해당 구간의 변경율 만큼 각 프레임의 재생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S150 및 S151의 동작은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164)의 동작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겠다.

[70]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방법은 촬영 당시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된 속도 조절 데이터를 통해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재생 속도를 높이거나 줄이기 위하여 프레임 레이트를 조절하는 외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에 따른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프레임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프레임의 재생 횟수, 재생 시간을 늘림으로써, 재생 시간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71]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방법은 오디오 데이터를 별도의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S110, S120, S130 이후에 상기 동영상 파일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210),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BGM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20), 상기 BGM을 기준 속도로 출력하는 단계(S230), 상기 변경율에 따라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S231)를 포함할 수 있다.

[72]

S210에서는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한다. S220에서는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오디오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와 동기를 이루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73]

S230에서는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동기를 이루지 않는 경우, 속도 조절 데이터와는 무관하게 원래의 재생 속도에 따라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와 무관한 배경 음악, 나레이션 등인 경우, 해당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은 화상 데이터와 동기를 이룰 필요가 없으므로,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원래의 재생 속도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74]

S231에서는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오디오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가 동기를 이루는 경우, 상기 변경율에 따라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데이터(말소리, 노래 소리, 울음 소리 등)인 경우,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상기 변경율에 따라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75]

도 4를 참조하여, S231의 동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S231은 오디오 데이터를 분절하는 단계(S2311), 분절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상기 변경율에 따라 조절하는 단계(S2312), 다시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로 생성하는 단계(S2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76]

S2311에서는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오디오 데이터를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길이 단위로 분절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데이터의 분절 단위는 화상 데이터의 각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60프레임 레이트로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는 1/60 초의 단위로 분절되게 된다. 이렇게 프레임 레이트에 맞춰 오디오 데이터를 분절하는 것은 화상 데이터와의 동기를 위한 것이다.

[77]

S2312에서는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분절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변경율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즉, 변경율이 1.1인 경우, 분절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은 원 재생 시간의 1.1 배가 될 것이다.

[78]

S2313에서는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재생 시간이 조절되면, 분절된 오디오 데이터를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로 생성하게 된다.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새롭게 생성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게 된다. 이를 통해,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속도가 조절되게 된다.

[79]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80]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영상 처리 방법은 화상 데이터 수신 단계(S310), 사용자 입력 수신 단계(S320),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 단계(S330), 동영상 파일 생성 단계(S340)를 포함할 수 있다.

[81]

S310에서는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카메라(130)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S320에서는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사용자 입력부(12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82]

S330에서는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상기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구간 별 속도 설정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도록 설정된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한다. S330의 동작은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부(161)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340에서는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상기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한다.

[83]

도 6은 동영상 처리 장치(160)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4]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동영상 촬영 인터페이스(A1)를 도 5(a)와 같이 제공하게 된다.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A1)를 동영상 처리 장치(160)의 출력부를 통해 표시되게 된다. 화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출력부(140)의 일 영역을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예를 들어 5초 이상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i1)이 수신되면,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속도 조절 데이터 생성과 관련된, 도 5(b)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제공하게 된다.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재생 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조절할 수 있는 속도 조절 바(i5)에 따라 입력된 시점에 맞춰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하고, 각 화상 데이터와 대응시켜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생성된 속도 조절 바(i2)에 따르면, 화면의 상단으로 향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해서는 재생 속도를 빠르게 하는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하고, 화면의 하단으로 향하는 사용자 입력(i1)에 대해서는 재생 속도를 느리게 하는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입력(i1)이 이동하는 길이에 비례하는 만큼 변경시키게 된다. 속도 조절 바(i5)는 도 5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생성되기도 하지만, 녹화 중을 알려주는 상태 아이콘(i2, i3) 및 녹화 중지와 대응되는 아이콘(i4)의 위치를 고려하여, 하단 또는 상단의 영역에 좌우 방향으로 생성되기도 한다.

[85]

도 7은 동영상 처리 장치(160)에 의해 화상 프레임이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6]

동영상 처리 장치(160)에 의해서 도 6과 같이 12개의 프레임들(f1 내지 f12)을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화상 데이터는 촬영 당시 t1 부터 t2 시간 까지는 1.1배 빠르게 재생하는 속도 조절 입력을 수신하였고, t2 시간부터 t3 시간 까지는 0.7배 느리게 재생하는 속도 조절 입력을 수신하였다. 이에 따라, t1 부터 t2 까지의 제1 시간 구간(TD1)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제1 속도 조절 데이터(VT1)가 생성되고, t2 부터 t3 까지의 제2 시간 구간(TD2)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제2 속도 조절 데이터(VT2)가 생성된다.

[87]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재생할 시에, 제1 시간 구간(TD1)에 대한 속도 조절 데이터(VT1)를 고려하여, 제1 내지 제6 프레임의 재생 시간을 1.1배로 증가시킬 수 있고, 제2 시간 구간(TD2)에 대한 속도 조절 데이터(VT2)를 고려하여, 제7 내지 제12 프레임의 재생 시간을 0.7배로 감소 시킬 수 있다.

[88]

이와 같이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동영상 촬영 당시에 입력된 속도 조절 정보에 따라, 프레임 레이트를 조절하지 않고, 시시 각각 재생 속도가 조절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89]

도 8은 오디오 데이터가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화상 데이터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뿐 아니라,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속도 역시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속도는 일률적으로 조절되는 것은 아니고, 화상 데이터와의 동기 여부에 따라서 조절되기도 하고 조절되지 않기도 한다.

[90]

만약, 오디오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와 동기가 맞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도 8(a))를 일정 시간 간격, 또는 길이 간격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분절한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동영상 파일의 생성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저장된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분절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산하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동영상 파일의 생성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저장된 속도 조절 데이터에 따라 분절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조절하게 된다. 즉,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변경율에 따라 분절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늘리기도 하고 줄이기도 한다.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처리 장치(160)는 재생 시간이 조절된 각 분절된 오디오 데이터를 합쳐 새로운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91]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92]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93]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94]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95]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order to execute a motion image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by using a computer including a storage medium, an output unit, and a processor, reading image data extracted from a motion image fil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a frame rate of the image data, and speed adjustment data of the image data; analyzing the speed adjustment data and determining a reproduction speed for a first section of the motion image file, by the processor; calculating a change rate corresponding to the reproduction speed in consideration of the reproduction speed for the first section, by the processor; and reproducing the motion image file by eliminating a part of frames among a plurality of frames included in the first section or increasing a reproduction time according to the calculated change rate, by the processor.

[2]



저장 매체, 출력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로부터 추출된 화상 데이터, 상기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 상기 화상 데이터의 속도 조절 데이터를 리드(read)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의 제1 구간에 대한 재생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구간에 대한 재생 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재생 속도와 대응되는 변경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산출된 변경율에 따라 상기 제1 구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프레임들 중 일부를 제거하거나 재생 시간을 늘림으로써, 상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에 대한 재생 속도와 대응되는 변경율이 기준 속도의 미만인 경우,

상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구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프레임들 중 일부를 누락시키면서 상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에 대한 재생 속도와 대응되는 변경율이 기준 속도의 초과인 경우,

상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구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프레임들의 각 재생 시간을 늘리면서 상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율을 산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동영상 파일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화상 데이터 사이의 동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화상 데이터와 동기화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변경율과 무관하게 기준 속도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화상 데이터와 동기화된 경우, 상기 변경율에 따라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속도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카메라, 사용자 입력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에 의해 화상 프레임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구간 별 속도 설정에 따라 상기 화상 프레임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도록 설정된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화상 프레임 및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를 변환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1 속도로 재생되도록 설정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입력된 제1 시간 동안 상기 동영상 파일의 재생 속도를 제1 속도로 재생하도록 하는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2 속도로 재생되도록 설정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이 입력된 제2 시간 동안 상기 동영상 파일의 재생 속도를 제2 속도로 재생하도록 하는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와 대응하여, 제1 시간 동안은 제1 속도로 재생되도록 하는 제1 속도 조절 데이터 및 상기 제2 시간 동안은 제2 속도로 재생되도록 하는 제2 속도 조절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속도는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 입력의 입력 길이와 비례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1 또는 제2 방향과 대응되는 빠르게 재생, 느리게 재생 또는 기준 속도 재생 중 하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설정되는, 동영상 처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저장 매체, 디스플레이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로부터 추출된 화상 데이터, 상기 화상 데이터의 속도 조절 데이터를 리드(read)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의 제1 구간에 대한 재생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구간에 대한 재생 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재생 속도와 대응되는 변경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산출된 변경율에 따라 상기 제1 구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프레임들 중 일부를 누락하거나 복사하는 방식으로 출력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출력부가 상기 출력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

카메라, 사용자 입력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구간 별 속도 설정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도록 설정된 속도 조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화상 데이터와 함께 상기 속도 조절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처리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