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GNETIC FLUX LEAKAGE PIG
본 발명은 자기 누설 피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운영 압력이 낮은 배관에서 운영이 가능하도록 배관과 피그 사이의 마찰력을 줄인 자기 누설 피그에 관한 것이다. 배관 시설은 각종 기반 시설의 구조물 중 하나로,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대형 구조물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구조물에 사용되는 배관 라인 또한 복잡해졌다. 예를 들어 천연가스를 LNG 터미널에서 일반 가정 혹은 산업현장까지 수송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배관 시스템이 필요하였고, 도시 및 국토 활용 계획에 따라 배관 시스템을 지하에 매설함으로써 배관의 건전성 유지 및 안전성 확보는 극도로 어렵게 되었다. 따라서 배관의 노화나 부식으로 인한 배관의 결함을 찾아내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 이러한 매설된 가스 배관을 검사하는 방법 중 하나는 인텔리전트 피그 시스템(Intelligent PIG(Pipeline Inspection Gauge) System)을 활용하는 것인데, 인텔리전트 피그 시스템은 배관 두께를 측정하는 비파괴 검사 시스템(예를 들어, 자기 누설(MFL ; Magnetic Flux Leakage), 초음파 탐상(UT ; Ultrasonic Testing), 전자 초음파 탐촉자(EMAT ; Electro-Magnetic Acoustic Transducer))을 장착하고 배관 내부를 주행하면서 검사하는 장비를 총칭한다. 본 발명은 인텔리 전트 피그 중 자기 누설 피그 시스템의 성능 향상 및 활용성 확대에 목적이 있다. 자기 누설 피그는 자기를 인가하는 자화기(Magnetizer)와 배관 내벽 사이에 큰 마찰이 존재한다. 자기 누설 피그는 배관 전ㆍ후단의 가스 차압(가스 압력의 차이)에 의해 앞으로 주행할 수 있으므로, 자화기와 배관 사이의 큰 마찰을 이기고 주행하려면 일정 수준 이상의 차압이 존재해야 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KR10-0947700 B1 본 발명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운영 압력이 낮은 배관 내부에서도 구동이 가능하도록 자화기와 배관 사이의 마찰을 줄이는 구조를 갖는 자기 누설 피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는, 배관 내부에서 가스 유동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복수의 자화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자화모듈은, 상기 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된 지지대, 내장된 영구자석이 상기 배관을 자화시키고, 상기 가스 유동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관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모듈본체, 상기 자화모듈이 상기 배관의 직경 변화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 되도록, 상기 모듈본체와 일단이 서로 축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양단과 타단이 서로 축 결합하며, 각각의 축 결합부가 양방향 회전함으로써 회동 가능한 한 쌍의 레버 및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곡면의 형태로 길게 형성되고, 일면이 상기 지지대 위에 고정되어 상기 레버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 및 상기 탄성 지지체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제1 롤러를 포함하는 서스펜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화모듈이 수축될 때, 상기 탄성 지지체가 상기 지지대 쪽으로 수축됨으로써 상기 제1 롤러가 상기 레버의 일단에서 타단 쪽으로 움직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는,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관의 내면에 접촉하는 제1 컵 및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관의 내면에 접촉하는 제2 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컵과 상기 제2 컵 사이에 상기 복수의 자화모듈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는, 상기 모듈본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최대로 이격되어 있을 때, 상기 한 쌍의 제1 롤러는 상기 레버의 일단에 접촉되고, 상기 모듈본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최대로 근접되어 있을 때, 상기 한 쌍의 제1 롤러는 상기 레버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접촉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에서, 상기 모듈 본체는, 상기 레버 일단의 축이 결합되도록 상기 모듈본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결합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모듈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이동식 결합홀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 일단의 축이 상기 레버의 회동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식 결합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식 결합홀과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에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대 양측면에서 상기 지지대 위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 지지체의 양측면을 고정하도록 제1 방지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에서,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의 일단에서 상기 레버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모듈본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최대로 이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롤러와 접촉하는 제2 방지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는 작은 힘으로도 센서모듈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어, 배관과 피그 간의 마찰을 최소화시켜 낮은 운영 압력의 배관 내부에서도 구동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의 탄성 지지체 및 기타 구성들은 자기 누설 피그가 배관의 직경 변화에 순응하면서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의 자화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의 자화모듈의 상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의 자화모듈의 정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의 자화모듈의 측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의 수축된 자화모듈의 정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의 수축된 자화모듈의 측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의 자화모듈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상면", "하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1)의 자화모듈(2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1)는, 배관 내부에서 가스 유동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본체(10) 및 상기 본체(10)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복수의 자화모듈(20)을 포함하고, 상기 자화모듈(20)은, 상기 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상기 본체(10)에 결합된 지지대(300), 내장된 영구자석(110)이 상기 배관을 자화시키고, 상기 가스 유동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관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모듈본체(100), 상기 자화모듈(20)이 상기 배관의 직경 변화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 되도록, 상기 모듈본체(100)와 일단이 서로 축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300)의 양단과 타단이 서로 축 결합하며, 각각의 축 결합부가 양방향 회전함으로써 회동 가능한 한 쌍의 레버(200) 및 상기 지지대(300)의 길이방향으로 곡면의 형태로 길게 형성되고, 일면이 상기 지지대(300) 위에 고정되어 상기 레버(20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410) 및 상기 탄성 지지체(410)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200)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제1 롤러(420)를 포함하는 서스펜션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자화모듈(20)이 수축될 때, 상기 탄성 지지체(410)가 상기 지지대(300) 쪽으로 수축됨으로써 상기 제1 롤러(420)가 상기 레버(200)의 일단에서 타단 쪽으로 움직인다. 본 발명의 자기 누설 피그(1)는, 피그(1)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스의 차압에 의해 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가스의 차압이 피그(1)에 가하는 힘이 피그(1)와 배관 사이의 마찰력보다 커야 자기 누설 피그(1)가 전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자기 누설 피그(1)는 피그(1)와 배관 사이의 마찰력을 현격히 줄여 배관의 운영 압력(가스의 차압)이 3MPa보다 낮은 배관에서도 배관 내를 이동하면서 검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누설 피그(1)는 중심에 배치된 본체(10)와 본체(10)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복수의 자화모듈(20)을 포함한다. 도 1의 사시도를 보면, 자화모듈(20)은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배관의 내주면 모두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의 단면도를 보면, 본체(10)는 피그(1)의 중심에 배치되며, 자화모듈(20)과 피그(10)가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화모듈(20)은 모듈본체(100), 레버(200), 지지대(300), 서스펜션부(400)를 포함한다. 지지대(300)는 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지지대(300)는 본체(10)에 결합되는데, 복수의 자화모듈(20)이 본체(10)의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되는바, 이에 대응하여 지지대(300) 또한 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된다. 지지대(300)는 레버(200)를 지지함으로써 모듈 본체(100)를 간접적으로 지지하고, 자화모듈(20)이 최대로 수축되어 모듈본체(100)가 지지대(300) 쪽으로 가장 근접될 때에는, 지지대(300)의 일단에서 위로 돌출된 형태에 의해 모듈본체(100)를 직접 지지할 수 있다. 모듈본체(100)는 영구자석(110), 제2 롤러(120), 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본체(100)는 가스 유동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모듈본체(100) 또한 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을 보면, 모듈본체(100)의 상면에 센서(130)가 형성되어, 모듈본체(100)의 상면이 배관의 내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센서(130)가 배관의 결함을 검사할 수 있다. 모듈본체(100)에는 내장된 영구자석(110)을 포함한다. 센서(130)는 홀센서로 구성되며, 센서(130)는 영구자석(110)으로 인해 발생된 자속을 측정할 수 있는데, 배관의 결함 지점에서의 자속 변화를 측정하여 배관에서의 결함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영구자석(110)은 배관과 모듈본체(100) 사이에 자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센서(130)와 배관 사이의 접촉을 도울 수도 있다. 제2 롤러(120)는 모듈본체(10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롤러(120)는 배관에 접촉되어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배관의 직경 변화시, 자기 누설 피그(1)가 직경 변화에 순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b 및 도 6b를 보면, 모듈본체(100)와 지지대(300)의 폭은, 본체(10)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자화모듈(20)이 배관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본체(10)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원주의 길이가 커질 때, 각각의 자화모듈(2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한 쌍의 레버(200)는 모듈본체(100)와 지지대(300) 사이를 축결합으로 연결하도록 결합된다. 한 쌍의 레버(200) 구성을 통해서, 모듈본체(100)와 지지대(300) 사이의 간격이 멀어졌다 좁아졌다 할 수 있기 때문에, 자화모듈(20)은 배관의 직경 변화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될 수 있어, 자기 누설 피그(1)의 직경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 쌍의 레버(200)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한 쌍의 레버(200)의 길이방향 일단과 모듈본체(100)가 서로 축 결합하며, 레버(200)의 길이방향 타단과 지지대(300)의 양단이 서로 축 결합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축 결합부가 양방향 회전함으로써 한 쌍의 레버(200)는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도 5a에서 알 수 있듯이, 레버(20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한 쌍의 레버(200)가 서로 멀어지도록 형성된다. 서스펜션부(400)는 탄성 지지체(410)와 제1 롤러(420)를 포함한다. 서스펜션부(400)는 지지대(300)와 레버 (200) 사이에 배치되어, 레버(200)를 직접적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본체모듈(100)을 간접적으로 탄성 지지하게 된다. 도 3을 보면, 탄성 지지체(410)는 지지대(300)의 길이방향으로 곡면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고, 레버(200)를 탄성 지지한다. 탄성 지지체(410)의 곡면의 곡률은 주변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고압의 배관에서는 탄성 지지체(410) 곡면의 곡률을 크게 하여 배관과의 피그(10) 사이의 접촉을 강화할 수 있고, 저압의 배관에서는 탄성 지지체(410)의 곡면의 곡률을 작게 함으로써 탄성 지지체(410)의 반발력을 작게 하여 배관과 피그(10)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탄성 지지체(410)의 양단에는 한 쌍의 제1 롤러(420)가 결합되는데, 제1 롤러(420)는 레버(100)에 접촉하면서 레버(100) 상에서 구름 운동을 한다. 도 5a 및 도 6a를 보면, 제1 롤러(420)는 레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접촉하면서 이동될 수 있는데, 자화모듈(20)이 수축하여 탄성 지지체(410)가 지지대(300) 쪽으로 수축될 때에는 레버(200)의 일단에서 타단 쪽으로 움직인다. 이때 탄성 지지체(410)가 수축되도록 작용하는 힘의 작용점은 제1 롤러(420)와 레버(200)의 접촉점이 되는데, 작용점이 레버(200)의 일단에서 타단 쪽으로 움직여 탄성 지지체(410)의 중심에서 멀어지므로 탄성 지지체(410)의 소재를 양단으로 확장시킴으로써 소재의 응축을 최소화하여 탄성 지지체(410)의 반발력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탄성 지지체(410)의 반발력이 작아짐에 따라 자화모듈(20)이 배관을 미는 힘이 약해지게 되어, 배관과 자화모듈(20) 사이의 마찰력이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배관 내의 가스 차압이 작은 곳에서도 본 발명의 자기 누설 피그(1)의 운영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1)는, 상기 본체(10)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관의 내면에 접촉하는 제1 컵(30) 및 상기 본체(10)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관의 내면에 접촉하는 제2 컵(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컵(30)과 상기 제2 컵(40) 사이에 상기 복수의 자화모듈(20)이 배치된다. 도 1을 보면, 복수의 자화모듈(20)이 본체(10)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싸고, 자화모듈(20)을 사이에 두고 본체(10)의 전면부에 제1 컵(30)이 배치되며, 본체의 후면부에 제2 컵(40)이 배치된다. 제1 컵(30)과 제2 컵(40)은 배관의 내면에 접촉하게 된다. 제1 컵(30)과 제2 컵(40)은 완충 및 탄성력이 우수한 우레탄,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컵(30)과 제2 컵(40)을 통해 배관이 차폐되어 가스의 유동이 방해됨으로써 피그(1)의 전후방향으로 가스 차압이 발생되어 자기 누설 피그(1)가 가스 차압에 의한 구동력을 받게 된다. 자기 누설 피그(1) 전면부에는 결합구(50)가 형성될 수 있는데, 결합구에는 자기 누설 피그(1) 앞에서 배관 내의 가스 차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추가적인 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구성이 자기 누설 피그(1)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결합구(50)와 제1 컵(30) 및 제2 컵(40)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1)는, 상기 모듈본체(100)가 상기 본체(10)로부터 최대로 이격되어 있을 때, 상기 한 쌍의 제1 롤러(420)는 상기 레버(200)의 일단에 접촉되고, 상기 모듈본체(100)가 상기 본체(10)로부터 최대로 근접되어 있을 때, 상기 한 쌍의 제1 롤러(420)는 상기 레버(20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접촉된다. 도 5a를 보면, 모듈본체(100)가 본체(10)로부터 최대로 이격되어 있을 때, 제1 롤러(420)가 레버(20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계됨으로써, 도 6a에서 볼 수 있듯이, 탄성 지지체(410)가 지지대(300) 쪽으로 최대로 수축됨으로써 모듈본체(100)와 본체(10)의 간격이 최소가 될 때에도, 제1 롤러(420)가 레버(200)의 타단에 다다르지 못하도록 한다. 배관의 직경이 변화하기 시작하는 것에 대응하기 위해, 모듈본체(100)의 일단만이 본체(10)와 근접 또는 이격될 때에도 제1 롤러(420)는 레버(220)의 타단에 다다르지 않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자화모듈(20)이 수축될 때, 제1 롤러(420)는 계속적으로 레버(200)의 일단에서 타단 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힘의 작용점이 탄성 지지체(410)의 중심에서 멀어지게 되어 탄성 지지체(410) 소재의 응축이 최소화되는바 서스펜션부(400)의 반발력이 작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1)에서, 상기 모듈본체(100)는, 상기 레버(200) 일단의 축이 결합되도록 상기 모듈본체(100)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홀(140)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결합홀(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모듈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이동식 결합홀(141)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200) 일단의 축이 상기 레버(200)의 회동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식 결합홀(14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식 결합홀(141)과 결합된다. 모듈본체(100)는 한 쌍의 결합홀(140)을 포함한다. 결합홀(140)에는 레버(200) 일단의 축이 결합된다. 도 7을 보면, 한 쌍의 결합홀(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모듈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식 결합홀(141)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이동식 결합홀(141)은 레버(200)의 회동에 대응하여 레버(200) 일단의 ㄴ이 이동식 결합홀(14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이동식 결합홀(141)의 길이는, 레버(200)와 모듈본체(100)의 행정운동 조건에 따라 달라지며, 결합홀(140) 중 하나만 이동식 결합홀(141)로 형성되거나 또는 결합홀(140) 모두 이동식 결합홀(141)로 형성되는 것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1)에서,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지지대(300) 양측면에서 상기 지지대(300) 위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 지지체(410)의 양측면을 고정하도록 제1 방지턱(310)을 포함한다. 도 3을 보면, 지지대(300)는 제1 방지턱(310)을 포함한다. 제1 방지턱(310)은 탄성 지지체(41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탄성 지지체(410)의 하면은 지지대(300)와 결합 및 고정되는데, 이때 나사와 같은 구성을 통해 지지대(300)와 탄성 지지체(41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탄성 지지체(410)의 회전으로 인해 제1 롤러(420)가 본체(10)의 원주방향으로 레버(200)와 접촉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방지턱(310)은 지지대(300)의 양측면에서 지지대(300) 위로 돌출 형성된다. 지지대(300) 양측면에 형성된 제1 방지턱(310)은 탄성 지지체(410)의 폭 길이와 같은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누설 피그(10)에서, 상기 레버(200)는, 상기 레버(200)의 일단에서 상기 레버(200)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모듈본체(100)가 상기 본체(20)로부터 최대로 이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롤러(420)와 접촉하는 제2 방지턱(210)을 포함한다. 레버(200)는 제1 롤러(420)와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200)는 자화모듈(20)의 수축시에 제1 롤러(420)가 레버(200) 일단의 턱을 넘어서서 모듈본체(100)와 레버(200) 사이에 걸리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인 제2 방지턱(210)을 포함한다. 제2 방지턱(210)은 레버(200) 일단에서 레버(200)의 폭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모듈본체(100)가 본체(20)로부터 최대로 이격되어 있을 때, 제1 롤러(420)는 제2 방지턱(210)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롤러(420)는 모듈본체(100)와 레버(200) 사이에 걸리지 않게 된다. 제1 롤러(420)와 접촉하는 레버(200)의 접촉면에는 레일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 롤러(420)는 레일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으므로, 레일은 제1 방지턱(310)과 더불어 제1 롤러(420)가 본체(10)의 원주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 자기 누설 피그 10 : 본체 20 : 자화모듈 30 : 제1 컵 40 : 제2 컵 50 : 결합구 100 : 모듈본체 110 : 영구자석 120 : 제2 롤러 130 : 센서 140 : 결합홈 141 : 이동식 결합홈 200 : 레버 210 : 제2 방지턱 300 : 지지대 310 : 제1 방지턱 400 : 서스펜션부 410 : 탄성 지지체 A magnetic flux leakage PI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formed to move in the gas flow direction inside a pipe; and multiple magnetizing module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Each of the magnetizing modules comprises: a support coupled to the body; a module body configured to come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a pair of levers which are axially coupled to the module body at one end of each thereof and to opposite ends of the support at the other end of each thereof such that the magnetizing module contracts or expands depending on a change in the diameter of the pipe, and which can be rotated by the bidirectional rotation of each axis-coupling portion; and a suspension portion comprising: an elastic support body having one surface fixed on the support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levers; and a pair of first rollers coupled to opposite ends of the elastic body and in contact with the levers, respectively. 배관 내부에서 가스 유동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복수의 자화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자화모듈은, 상기 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된 지지대; 내장된 영구자석이 상기 배관을 자화시키고, 상기 가스 유동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관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모듈본체; 상기 자화모듈이 상기 배관의 직경 변화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되도록, 상기 모듈본체와 일단이 서로 축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양단과 타단이 서로 축 결합하며, 각각의 축 결합부가 양방향 회전함으로써 회동 가능한 한 쌍의 레버; 및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곡면의 형태로 길게 형성되고, 일면이 상기 지지대 위에 고정되어 상기 레버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 및 상기 탄성 지지체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제1 롤러를 포함하는 서스펜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화모듈이 수축될 때, 상기 탄성 지지체가 상기 지지대 쪽으로 수축됨으로써 상기 제1 롤러가 상기 레버의 일단에서 타단 쪽으로 움직이는, 자기 누설 피그.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관의 내면에 접촉하는 제1 컵 및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관의 내면에 접촉하는 제2 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컵과 상기 제2 컵 사이에 상기 복수의 자화모듈이 배치되는, 자기 누설 피그.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듈본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최대로 이격되어 있을 때, 상기 한 쌍의 제1 롤러는 상기 레버의 일단에 접촉되고, 상기 모듈본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최대로 근접되어 있을 때, 상기 한 쌍의 제1 롤러는 상기 레버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접촉되는, 자기 누설 피그.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모듈본체는, 상기 레버 일단의 축이 결합되도록 상기 모듈본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결합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모듈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이동식 결합홀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 일단의 축이 상기 레버의 회동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식 결합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식 결합홀과 결합되는, 자기 누설 피그.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대 양측면에서 상기 지지대 위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 지지체의 양측면을 고정하도록 제1 방지턱을 포함하는, 자기 누설 피그.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의 일단에서 상기 레버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모듈본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최대로 이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롤러와 접촉하는 제2 방지턱을 포함하는, 자기 누설 피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