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OVASCULAR-TARGETING CONTRAST MEDIUM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30-01-2020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WO2020022765A1
Контакты:
Номер заявки: KR91-00-201947
Дата заявки: 24-07-2019

신생혈관 표적용 조영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1]

본 발명은 신생혈관 표적용 조영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2]

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는 생체 내에 주입된 방사성 의약품의 분포를 영상화하는 기기로서, 질병으로 인한 인체의 생물학적 변화를 영상화 하여 질병의 조기진단 및 질환의 치료방법 결정에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핵의학 영상기기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3]

PET에 사용하는 방사성의약품들은 대부분 물, 산소, 이산화탄소, 포도당, 아미노산 등과 같은 생체 내 특정 대사에 참여하고 있는 분자들에 방사성동위원소인 [18F]불소(fluoride), [11C]탄소(carbon), [15O]산소(oxygen), 또는 [13N]질소(nitrogen) 등을 표지하는 화학적 기술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C11]메티오닌, [13N]암모니아, H215O, [18F]FDG(Fluoro-deoxy glucose) 등을 들 수 있다.

[4]

이 밖에도 방사선이 방출하는 금속성 방사성동위원소도 핵의학에서 널리 사용하는데, PET 진단에 사용하는 금속성 방사성동위원소는 Cu-64, Ga-68, Zr-89, Y-86 등이 있고, SPECT 진단에 이용되는 금속성 방사성동위원소는 In-111, Tc-99m 등이 있다. 이러한 핵의학 영상 진단 이외에, 직접 종양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로서 Cu-67, Y-90, Lu-177 등이 알려져 있다.

[5]

인테그린(Integrin)은 세포 부착 및 이동, 분화, 증식 등과 같은 세포의 중요한 생리작용을 조절하는 세포 표면수용체이다. 인테그린은 α와 β 서브 유닛이 비 공유 결합으로 이루어진 헤테로다이머로 작용하며, α와 β 서브 유닛이 쌍을 이루어 22가지의 인테그린 패밀리를 구성하고 있다. 인테그린은 주로 비브로넥틴, 피브로넥틴, 콜라겐, 라미닌, vWF, 피브리노겐 등의 세포외 메트릭스 단백질에 결합하나, 인테그린의 종류별로 리간드 특이성에 차이가 있으며, 한 종류의 인테그린이 여러 가지 리간드에 동시에 결합할 수 있다. 이 중, 인테그린 αvβ3는 피부암, 전립선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대장암, 폐암, 담낭암, 췌장암, 위암을 포함하는 다양한 암들 중 대부분의 공격적인 종양 세포들에서 발현되며, 부착에 의존적인 종양 세포의 성장, 생존과 침투를 조절하여, 다양한 인간 종양들의 악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β 인테그린이 세포 내 신호 전달을 조절하여 부착에 독립적인 매개체로서 종양의 성장 및 전이를 증가시킨다는 것이 밝혀지기도 하였다 (David A Cheresh et al., Nature Medicine 2009, 15 (10): 1163). 또한, 상기 αvβ3 인테그린은 정상 혈관내피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고 암세포의 신생혈관형성시에 발현되며 RGD(R:arginine, G:glycine, D: aspartic acid) 시퀀스를 가지는 펩티드와 결합하는 특징이 있다. 종양 선택성 펩티드인 RGD는 종양혈관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특성으로 인해 종양 치료에 적용하는 연구가 발표된 바 있다.

[6]

신생혈관(angiogenesis)이란 기존의 혈관으로부터 새로운 모세혈관이 만들어지는 것을 뜻한다. 정상적인 생리조건에서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 엄격히 조절되는 현상이나 수정란 발생과정에서 배아가 발달될 때와 성인의 경우 상처가 치유될 때 그리고 여성의 생식주기에서 생식기계통의 변화 등에서 일어난다. 성인의 경우 모세혈관의 내피세포는 상대적으로 잘 분열하지 않으며 분열속도는 보통 수개월 내지 수년이다. 혈관신생은 여러 종류의 세포와 수용성 인자 및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성분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복잡한 과정으로 일어나며 아직 그 작용기작은 완전히 규명되어 있지 않다. 상기 혈관신생은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

[7]

현재 상업적으로 이용 중인 항체들은 300,000개 이상이라고 보고되어 있지만 주로 고정화된 세포 내에서만 관찰이 가능하며 이러한 점들 때문에 실시간으로 세포 내에서 단백질의 접힘이나 단백질들 간의 상호작용 등을 관찰할 수 없었다. 또한 기존의 항체들은 너무 크거나 화학적으로 불안정하여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없었다. 그러나 1993년에 Hamers-Casterman에 의해 낙타과 동물에서 유래한 항체는 기존의 항체(두개의 중쇄(heavy chain)와 두 개의 경쇄(light chain))와는 다른 구조인 중쇄로만 항체가 구성되어 있지만 기능적으로 완전한 항체역할을 하는 단일 도메인 항체가 보고(Hamers-Casterman, C. et al. 1993. Nature 363:446-448)되었다. 기존의 항체들은 150kDa, 재조합 항체들은 25~50kDa이나 낙타, 라마, 상어에서 유래한 단일 도메인 항체는 12~13kDa으로 가장 작은 크기의 항체여서 세포 내로 쉽게 이동이 가능하며(Cortez-Retamozo, V. et al. 2004. Cancer Res. 64:2853-2857,) 유전적 조작이 용이하여 세균과 효모에서 쉽게 발현이 되는 장점이 있다(Arbabi-Ghahroudii, M. et al. 1997. FEBS Lett. 414:521-526). 또한, 단일 도메인 항체는 높은 수용성이며 극도의 pH조건, 90℃까지의 온도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특징이 있다(Dumoulin, M. et al. 2002. Protein Sciii.11:500-515, Dumoulin, M. et al. 2003. Nature 424:783-788).

[8]

이에 본 발명자들은 αvβ3 인테그린(Integrin) 표적 나노바디(Nanobody)는 높은 안정성과 민감도로 αvβ3 인테그린을 탐지하여 αvβ3 인테그린과 관련된 모든 종류의 암 및 암 전이를 진단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신생혈관 표적 지향성을 확인하고 상기 나노바디가 결합된 조영제 조성물의 신생 혈관 검출 및 이와 관련된 질환 진단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9]

본 발명의 목적은 신생혈관 표적용 조영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생혈관 관련 질환 진단용 조영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11]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암 진단용 조영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12]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생혈관 표적용 조영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3]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4]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1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염기서열에 의하여 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vβ3 인테그린(Integrin) 표적 나노바디(Nanobody); 및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프로브; 를 포함하는 신생혈관 표적용 조영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15]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1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염기서열에 의하여 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vβ3 인테그린(Integrin) 표적 나노바디(Nanobody); 및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프로브; 를 포함하는 신생혈관 관련 질환 진단용 조영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16]

나아가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1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염기서열에 의하여 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vβ3 인테그린(Integrin) 표적 나노바디(Nanobody); 및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프로브; 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조영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17]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1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염기서열에 의하여 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vβ3 인테그린(Integrin) 표적 나노바디(Nanobody), 및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프로브를 pH 8.0이상의 완충액에서 반응시키는 단계(단계 1);

[18]

를 포함하는 신생혈관 표적용 조영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19]

[반응식 1]

[20]

[21]

(상기 반응식 1에 있어서,

[22]

R1 내지 R5는 각각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23]

R6는 C-11, N-13, O-15, F-18, Ru-82, Ga-68, Cu-60, Cu-61, Cu-62, Cu-64, Cu-67, K-38, Rb-82, Sc-44, I-123, I-124, I-125, Zr-89, Y-86, Y-90, Lu-177, In-111 또는 Tc-99m이다).

[24]

본 발명에 따른 신생혈관 표적용 조영제 조성물은 신생 혈관과 관련된 αvβ3인테그린에 높은 결합력, 우수한 조직 침투성 및 생체 안정성을 나타내고, in vitro, in vivo 또는 ex vivo 상에서 간단하게 측정 가능하여, 신생 혈관 검출 및 이와 관련된 질환 진단에 효과적이므로, 관련 산업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25]

도 1은 신생혈관 표적용 조영제의 방사화학적 수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26]

도 2는 종양 부위에서 본 발명의 신생혈관 표적용 조영제와 양성대조군(18F-cRGDfk)의 αvβ3 인테그린 표적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27]

도 3은 종양 부위에서 본 발명의 신생혈관 표적용 조영제의 αvβ3 인테그린 표적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28]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29]

[30]

신생혈관 표적용 조영제 조성물

[31]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1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염기서열에 의하여 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vβ3 인테그린(Integrin) 표적 나노바디(Nanobody); 및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프로브; 를 포함하는 신생혈관 표적용 조영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32]

본 발명의 용어 "인테그린(Integrin)"은, 세포 표면에 존재하여 피브로넥틴, 콜라겐 등의 세포외 기질에 세포가 접착할 때 작용하는 수용체 분자이다. α, β 두 소단위의 헤테로 2합체로 구성되는 막관통형 당단백질이며 지금까지 21개 유형의 인테그린의 존재가 밝혀져 있다. 그 중, αvβ3 인테그린은 심혈관계나 골조직의 구조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33]

본 발명의 용어 "나노바디(Nanobody)"는 CDR이 단일 도메인 폴리펩티드의 일부인 항체이며, 중쇄 항체, 경쇄가 자연적으로 없는 항체, 종래의 4-쇄 항체에서 유래한 단일 도메인 항체, 조작된 항체 및 항체에서 유래된 것 외의 단일 도메인 스캐폴드를 포함한다. 4-쇄 면역글로불린의 VH와 구별하기 위하여 VHH(variable region of a heavy chain antibody), 단일 도메인 항체(Single-domain antibody) 또는 sdAb로 불린다.

[34]

본 발명의 나노바디는 경쇄가 자연적으로 없는 중쇄에서 유래되는 자연 발생 단일 도메인 항체로서, αvβ3 인테그린에 대한 특이 항체로서, 약 14-15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나노바디는 카멜리대(Camelidae)에서 유래된 VHH인 항체이고, 낙타, 단봉낙타, 라마, 알파카 및 야생라마에서 유래될 수 있으며, 신생혈관과 관련된 αvβ3 인테그린 표적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카멜리대 외의 다른 종이 자연적으로 경쇄가 없는 중쇄 항체로 생산 가능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35]

본 발명의 나노바디는 IgG 분자보다 약 10배 더 작으며, 이들은 단일 폴리펩티드로서 매우 안정하여 극한 pH와 온도 조건에서도 안정적이다. 또한, 이들은 종래의 항체와는 달리 프로테아제의 작용에 대해 내성을 갖으며, 생체외 발현 시, 높은 수율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36]

상기 나노바디는 상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고,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며,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할 수 있다. 또한, 서열번호 1, 2 또는 3에 His6 tag가 포함된 아미노산 서열은 각 서열번호 14, 15 및 16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될 수 있다.

[37]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프로브는 방사성 동위원소로 C-11, N-13, O-15, F-18, Ru-82, Ga-68, Cu-60, Cu-61, Cu-62, Cu-64, Cu-67, K-38, Rb-82, Sc-44, I-123, I-124, I-125, Zr-89, Y-86, Y-90, Lu-177, In-111 및 Tc-99m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38]

[화학식 1]

[39]

[40]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41]

R1 내지 R5는 각각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42]

R6는 C-11, N-13, O-15, F-18, Ru-82, Ga-68, Cu-60, Cu-61, Cu-62, Cu-64, Cu-67, K-38, Rb-82, Sc-44, I-123, I-124, I-125, Zr-89, Y-86, Y-90, Lu-177, In-111 또는 Tc-99m이다).

[43]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프로브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44]

[화학식 2]

[45]

[46]

신생혈관 관련 질환 진단용 조영제 조성물

[47]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1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염기서열에 의하여 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vβ3 인테그린(Integrin) 표적 나노바디(Nanobody); 및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프로브; 를 포함하는 신생혈관 관련 질환 진단용 조영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48]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영제 조성물은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SPEC(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촬영, PET/CT촬영, PET/MRI촬영, 또는 PET/광학 촬영, PET/MR/광학촬영에 사용될 수 있다.

[49]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생 혈관 관련 질환은 동맥경화증, 암, 당뇨병성 망막증, 신생혈관성 녹내장, 후수정체 섬유증식증, 증식성 유리체 망막병증, 미성숙 망막병증, 안과 염증, 각막 궤양, 원추 박막, 황반 변성, 쇼그렌 증후군, 근시안과 종양, 각막이식 거부반응, 이상 창상 유합, 트라코마(trachoma), 골질환, 류머티스성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골관절염, 패혈증성 관절염, 혈관종(hemangiomas), 섬유성 혈관종(angiofibroma), 건선(psoriasis), 화농성 육아종(pyogenic granuloma), 단백뇨증, 복대동맥류 질환, 외상성 관절 손성에 따른 퇴행성 연골손실, 신경계 수초탈락 질환, 간경변, 신사구체 질환, 배태막의 미성숙 파열증, 염증성 장질환, 치근막질환, 재협착증, 중추신경계의 염증질환, 알츠하이머 질환, 피부 노화, 갑상선 과증식 및 그레이브스병(Grave's diseas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50]

[51]

암 진단용 조영제 조성물

[52]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1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염기서열에 의하여 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vβ3 인테그린(Integrin) 표적 나노바디(Nanobody); 및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프로브; 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조영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5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암은 피부암, 전립선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대장암, 폐암, 담낭암, 췌장암, 위암, 난소암, 악성흑색종, 악성림프종, 갑상선암, 전이성뇌종양 및 뇌신경교종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54]

[55]

신생혈관 표적용 조영제의 제조방법

[56]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57]

서열번호 1 내지 1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염기서열에 의하여 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vβ3 인테그린(Integrin) 표적 나노바디(Nanobody), 및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프로브를 pH 8.0이상의 완충액에서 반응시키는 단계(단계 1);

[58]

를 포함하는 신생혈관 표적용 조영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59]

[반응식 1]

[60]

[61]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pH 8.0이상의 완충액은 무아민 완충액(amine-free buffer)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중탄산나트륨(NaHCO) 수용액, 트리스 완충액(Tris buffer), 포스페이트 완충액(phosphate buffer)을 사용할 수 있다.

[62]

[63]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64]

[65]

<실시예 1> 신생혈관 표적용 조영제의 제조

[66]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2,3,5,6-테트라플루오로페닐-6-[18F]-플루오로니코티네이트 (2,3,5,6-tetrafluorophenyl-6-[18F]-fluoronicotinate)를 합성하였다.

[67]

2,3,5,6-tetrafluorophenyl-6-[18F]-fluoronicotinate 86 mCi(millicurie)와 나노바디 0.5mg를 0.1M농도의 중탄산나트륨(NaHCO) 수용액 0.2㎖와 함께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뒤, 크기 배제 컬럼(size exclusion column) (PD-10, GE Healthcare)을 이용하여 미반응물을 제거한 후 최종 43 mCi의18F-나노바디를 제조하였다.

[68]

염기서열 1번에 Lysine 및 His6 tag을 포함하는 나노바디를 사용하여18F-나노바디를 제조하고 각각 Nbs-#1, Nbs-#2라 약칭하였다.

[69]

표 1은 PD-10 컬럼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300 μL씩 취한 부분 표본(aliquot)의 방사성 활성(radioactivity)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70]

[표 1]

[71]

[72]

[73]

<실험예 1> 신생혈관 표적용 조영제 표지율 확인

[74]

실시예 1에서 제조된18F-나노바디에 대해 Radio-TLC를 이용하여 방사화학적 수율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75]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2,3,5,6-tetrafluorophenyl-6-[18F]-fluoronicotinate와 나노바디를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켰을 때 방사화학적 수율은 93% 이상을 나타내었다.

[76]

[77]

<실험예 2> 종양 부위에서 본 발명의 신생혈관 표적18F-나노바디의 αvβ3 인테그린 표적 효과 확인

[78]

종양 마우스 동물 모델에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조영제 조성물의 조영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79]

양성대조군으로18F-cRGDfk를 사용하여 αvβ3 인테그린 표적 효과 확인하였다.

[80]

구체적으로, Athymic nude mice (female, 6-8 weeks old)에 U87-MG cell을 이종이식(inoculation)하여 동물모델을 제작하였다. 종양의 크기가 0.8-1 cm의 크기로 자랐을 때 꼬리정맥으로 주입(1mg/kg)하여 시간별로 조영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81]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18F-cRGDfk 또는 18F-나노바디를 정맥 주입 후, 1시간이 되는 때에 두 군 모두 마우스의 종양 부위에서 PET 영상신호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18F-나노바디를 주입한 마우스 종양 부위가18F-cRGDfk를 주입한 마우스 보다 선명한 영상신호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82]

도 3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18F-나노바디를 주입 후 1시간, 2시간 및 3시간까지 마우스 종양의 위치를 정확히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83]

[84]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85]

[86]

[87]



[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ovascular-targeting contrast medium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preparing same. The neovascular-targeting contrast medium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high binding force to neovascularization-associated αvβ3 integrin, excellent tissue permeability and biostability, enables simple measurement in vitro, in vivo, or ex vivo, and thus is effective in the detection of neovascularization and in diagnosing diseases associated therewith, and therefore can be usefully employed in the relevant industries.

[2]



서열번호 1 내지 1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염기서열에 의하여 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vβ3 인테그린(Integrin) 표적 나노바디(Nanobody); 및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프로브;

를 포함하는 신생혈관 표적용 조영제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고,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며,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바디는 카멜리대(Camelidae)에서 유래된 VHH(variable region of a heavy chain antibod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프로브는 방사성 동위원소로 C-11, N-13, O-15, F-18, Ru-82, Ga-68, Cu-60, Cu-61, Cu-62, Cu-64, Cu-67, K-38, Rb-82, Sc-44, I-123, I-124, I-125, Zr-89, Y-86, Y-90, Lu-177, In-111 및 Tc-99m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프로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내지 R5는 각각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6는 C-11, N-13, O-15, F-18, Ru-82, Ga-68, Cu-60, Cu-61, Cu-62, Cu-64, Cu-67, K-38, Rb-82, Sc-44, I-123, I-124, I-125, Zr-89, Y-86, Y-90, Lu-177, In-111 또는 Tc-99m이다).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프로브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영제 조성물은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SPEC(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촬영, PET/CT촬영, PET/MRI촬영, 또는 PET/광학 촬영, PET/MR/광학촬영에 사용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서열번호 1 내지 1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염기서열에 의하여 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vβ3 인테그린(Integrin) 표적 나노바디(Nanobody); 및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프로브;

를 포함하는 신생혈관 관련 질환 진단용 조영제 조성물.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신생 혈관 관련 질환은 동맥경화증, 암, 당뇨병성 망막증, 신생혈관성 녹내장, 후수정체 섬유증식증, 증식성 유리체 망막병증, 미성숙 망막병증, 안과 염증, 각막 궤양, 원추 박막, 황반 변성, 쇼그렌 증후군, 근시안과 종양, 각막이식 거부반응, 이상 창상 유합, 트라코마(trachoma), 골질환, 류머티스성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골관절염, 패혈증성 관절염, 혈관종(hemangiomas), 섬유성 혈관종(angiofibroma), 건선(psoriasis), 화농성 육아종(pyogenic granuloma), 단백뇨증, 복대동맥류 질환, 외상성 관절 손성에 따른 퇴행성 연골손실, 신경계 수초탈락 질환, 간경변, 신사구체 질환, 배태막의 미성숙 파열증, 염증성 장질환, 치근막질환, 재협착증, 중추신경계의 염증질환, 알츠하이머 질환, 피부 노화, 갑상선 과증식 및 그레이브스병(Grave's diseas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서열번호 1 내지 1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염기서열에 의하여 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vβ3 인테그린(Integrin) 표적 나노바디(Nanobody); 및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프로브;

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조영제 조성물.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피부암, 전립선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대장암, 폐암, 담낭암, 췌장암, 위암, 난소암, 악성흑색종, 악성림프종, 갑상선암, 전이성뇌종양 및 뇌신경교종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열번호 1 내지 1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염기서열에 의하여 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vβ3 인테그린(Integrin) 표적 나노바디(Nonobody), 및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프로브를 pH 8.0이상의 완충액에서 반응시키는 단계(단계 1);

를 포함하는 신생혈관 표적용 조영제의 제조방법:

[반응식 1]

(상기 반응식 1에 있어서,

R1 내지 R5는 각각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6는 C-11, N-13, O-15, F-18, Ru-82, Ga-68, Cu-60, Cu-61, Cu-62, Cu-64, Cu-67, K-38, Rb-82, Sc-44, I-123, I-124, I-125, Zr-89, Y-86, Y-90, Lu-177, In-111 또는 Tc-99m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