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DROGEL PACK INCLUDING DRIED PLANT

26-03-2020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WO2020060009A1
Принадлежит: 한국콜마주식회사
Контакты:
Номер заявки: KR79-00-201983
Дата заявки: 01-07-2019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
[1]

본 발명은 꽃, 야생화, 허브, 다육, 해조, 나뭇잎 등의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에 관한 것이다.

[2]

피부 미용을 위한 팩은 얼굴 전체에 부착하는 마스크 팩의 형태와 아이패치, 코 팩, 립패치, 바디패치 등 얼굴의 일부분 또는 얼굴 이외의 피부에 부착하는 패치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 미용을 위한 팩은 부직포, 섬유, 레이온 등의 시트에 피부 미용액을 함침시킨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팩은 피부와의 밀착성 및 부착성이 낮고, 유효 성분의 전달력이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피부와의 밀착성 및 부착성이 우수하여 유효 성분의 전달력이 향상된 하이드로겔 팩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3]

하이드로겔 팩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880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류, 천연고분자, 글리세린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팩 형태로 성형한 것으로, 상기 성분 이외의 다양한 첨가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이드로겔 팩은 사용 부위와 사용 연령층이 다양함에 따라,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키기 위해 외형적 특징 또는 심미성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4]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6-0004542호에서는 이미지를 갖는 지지체를 내부에 포함하여 지지체에 구성된 이미지에 의해 이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심미적 만족감을 줄 수 있는 하이드로겔 팩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32461호에서는 레이스 시트를 이용함에 따라, 신축성, 부착성 및 피부밀착성이 향상되며 다양한 디자인으로 연출 가능한 형태의 하이드로겔 팩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5]

그러나, 상기 특허 또는 실용신안은 다양한 이미지 또는 특정 형태의 섬유를 이용하여 하이드로겔 팩의 심미성을 향상시키고 있을 뿐, 천연 소재를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

[6]

한편, 최근에는 행운을 상징하는 네잎클로버를 비롯하여 개나리, 진달래, 코스모스, 동백꽃 등의 식물을 이용한 장식, 식품 등이 인기를 끌고 있으나, 이러한 식물을 적용한 하이드로겔 팩에 대해서는 개발이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식물, 이미지가 인쇄된 시트 등을 이용한 일부 미용 팩의 경우, 외력이 가해지거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식물 또는 이미지가 인쇄된 시트의 형태가 변형되어, 심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7]

본 발명의 목적은 네잎클로버, 개나리, 진달래 등을 건조한 건조식물체를 포함하여 심미성이 우수하면서도 인장강도, 신율, 유연성, 피부 밀착성, 사용감의 특성이 향상된,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8]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9]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에 있어서,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 및 상기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와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되, 상기 건조식물체는 필름형성제로 코팅된 것을 포함하는,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을 제공한다.

[10]

상기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 또는 상기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는 천연 고분자, 전분, 겔화 촉진제, 오일, 보습제 및 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겔화된 것일 수 있다.

[11]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천연 고분자 0.1 ~ 10 중량%, 전분 0.1 ~ 40 중량%, 겔화 촉진제 1 ~ 10 중량%, 오일 1 ~ 10 중량%, 보습제 1 ~ 3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12]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상기 천연 고분자 및 상기 전분을 1 : 1 ~ 10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13]

상기 전분은 찹쌀 전분 및 감자 전분을 1 : 0.1 ~ 10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14]

상기 천연 고분자는 곤약, 카라기난(Carrageenan), 젤란검(Gellan gum), 로커스트콩 검(Locust bean gum), 젤라틴(Gelatin), 한천(Agar), 알지네이트(Alginate), 키토산(Chitosan), 콜라겐(Collage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아카시아 검(Acacia gum), 아라비아 검(Arabic gum), 풀루란(Pullulan), 갈락토만난(Galactomannan), 글루코만난(Glucomannan), 구아 검(Guar gum), 플루로닉(Pluronic), 알긴(Algin), 잔탄 검(Xanthan gum), 팩틴(Pectin), 셀룰로오스(Cellulose), 캐럽콩검(Ceratonia siliqua gum) 및 바이오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5]

상기 필름형성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니트로셀룰로오스, 실리콘(Silic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아크릴산 및 폴리메타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6]

상기 하이드로겔 팩은 상기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와 상기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7]

상기 지지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 Propylene, OPP),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asting poly propylene CPP),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나일론,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지체용 고분자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18]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레티놀, 레티닐 팔미테이트,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노인산, 코엔자임 큐텐, 엘라스틴, 콜라겐, 히알루론산, 세라마이드,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카페인, 키토산,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빌 글루코사이드, 알파 비사보올, 토코페롤,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비타민 A, 비타민 D 및 비타민 E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유효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9]

본 발명의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은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와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식물체를 포함함에 따라, 심미성이 우수할 수 있다. 특히, 건조식물체로는 네잎클로버, 개나리, 진달래, 코스모스, 동백꽃 등 다양한 식물이 적용될 수 있어,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20]

또한, 본 실시예의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은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면서도 우수한 인장강도, 신율, 유연성, 피부 밀착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식물체의 변형이 최소화되어 심미성이 우수하면서도 피부에 유효 성분을 전달하는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21]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에 있어서, 건조식물체를 포함하지 않는 제 1 영역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22]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에 있어서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제 2 영역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23]

도 2는 본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지지체가 형성된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24]

아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25]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26]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27]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28]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은 "하이드로겔 팩"으로 간략하게 호칭될 수 있다.

[29]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건조식물체"는 꽃, 야생화, 허브, 나무, 다육, 해조, 나뭇잎 등의 식물을 건조한 것을 의미하며, 상기 식물로는 공지된 모든 종류의 식물이 적용될 수 있다.

[30]

[31]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32]

[33]

본 발명에서는 건조식물체(30)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을 제공한다.

[3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건조식물체(30)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에 있어서,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 및 상기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와 상기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식물체(30)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을 제공한다.

[35]

[36]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팩은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와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식물체(30)를 포함함에 따라, 심미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건조식물체(30)로는 꽃, 야생화, 허브, 다육, 해조, 나뭇잎 등의 식물체를 건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상기 건조식물체(30)로 네잎클로버, 개나리, 진달래, 코스모스, 동백꽃 등 다양한 식물을 적용할 수 있어,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37]

또한, 본 실시예의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및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는 우수한 인장강도, 신율, 유연성, 피부 밀착성을 가짐에 따라, 피부에 유효 성분을 전달하는 팩으로서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인장강도, 신율, 유연성 등이 우수한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및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를 포함함에 따라, 외력 또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건조식물체(3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38]

[39]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팩은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와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식물체(30)를 포함하므로,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팩은 건조식물체(30)를 포함하지 않는 제 1 영역과 건조식물체(30)를 포함하는 제 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40]

도 1a는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팩에 있어서, 건조식물체(30)를 포함하지 않는 제 1 영역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b는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팩에 있어서, 건조식물체(30)를 포함하는 제 2 영역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41]

도 1a 및 도 1b를 보면, 건조식물체(30)를 포함하지 않는 제 1 영역은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및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가 적층된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건조식물체(30)를 포함하는 제 2 영역은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필름형성제로 코팅된 건조식물체(30) 및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가 적층된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형성제로 코팅된 건조식물체(30)의 표면에는 필름형성제에 의한 코팅막(33)이 형성될 수 있다.

[42]

[43]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는 천연 고분자, 전분, 겔화 촉진제, 오일, 보습제 및 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겔화되어 경화된 것이다.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는 적용되는 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는 얼굴 모양, 사각형, 삼각형, 원형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44]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는 천연 고분자, 전분, 겔화 촉진제, 오일, 보습제 및 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겔화되어 경화된 것이다.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는 적용되는 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는 얼굴 모양, 사각형, 삼각형, 원형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45]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와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를 동일한 하이드로겔 조성물로 형성함으로써,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와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 간의 밀착성,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와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 모두 피부 접촉면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46]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팩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와 상기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는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47]

[48]

본 실시예의 상기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및 상기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를 형성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천연 고분자, 전분, 겔화 촉진제, 오일, 보습제 및 물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및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를 천연 고분자, 전분, 겔화 촉진제, 오일, 보습제 및 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및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는 우수한 인장강도, 신율, 피부 밀착성, 부착성 등을 구현할 수 있다.

[49]

또한,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및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를 포함함에 따라, 외력 또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건조식물체(30) 형태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50]

[51]

천연 고분자는 겔을 형성하여 하이드로겔 팩의 강도와 이수 현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천연 고분자는 하이드로겔 팩의 인장강도, 신율, 피부 밀착성, 부착성 등의 특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우수한 밀착성 및 유연성을 구현하여,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52]

본 실시예의 천연 고분자는 곤약, 카라기난(Carrageenan), 젤란검(Gellan gum), 로커스트콩 검(Locust bean gum), 젤라틴(Gelatin), 한천(Agar), 알지네이트(Alginate), 키토산(Chitosan), 콜라겐(Collage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아카시아 검(Acacia gum), 아라비아 검(Arabic gum), 풀루란(Pullulan), 갈락토만난(Galactomannan), 글루코만난(Glucomannan), 구아 검(Guar gum), 플루로닉(Pluronic), 알긴(Algin), 잔탄 검(Xanthan gum), 팩틴(Pectin), 셀룰로오스(Cellulose), 캐럽콩검(Ceratonia siliqua gum) 및 바이오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53]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하이드로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천연 고분자를 0.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 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천연 고분자를 0.1 ~ 10 중량%로 포함할 때, 본 실시예의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및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는 우수한 인장강도, 신율, 피부 밀착성, 사용감 등을 구현할 수 있다.

[54]

만약,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천연 고분자를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및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의 내부 조직이 치밀하지 못하여 적정한 수준의 인장강도, 신율, 피부 밀착성, 사용감 등을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천연 고분자를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및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의 유연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적정한 수준의 인장강도, 신율, 피부 밀착성, 사용감 등을 구현해내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55]

전분은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및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의 유연성 및 피부 밀착성을 향상시키며, 피부 유효 성분 전달 효과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56]

본 실시예의 전분은 찹쌀 전분 및 감자 전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찹쌀 전분은 입자크기가 2 ~ 10 마이크로미터인 것으로 냉각 시 단단한 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감자 전분은 입자 크기가 약 50 마이크로미터로 냉각 시 찹쌀 전분에 비해 강도가 약한 겔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찹쌀 전분 및 감자 전분을 적정량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적정한 수준의 강도와 우수한 유연성을 구현해낼 수 있다.

[57]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전분은 찹쌀 전분 및 감자 전분을 1 : 0.1 ~ 10 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0.5 ~ 5의 중량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0.5 ~ 2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찹쌀 전분 및 감자 전분이 1 : 0.1 ~ 10 의 중량비로 혼합된 전분을 포함할 때, 하이드로겔 팩의 유연성, 피부 밀착성 및 피부 유효 성분 전달 효과는 더욱 향상될 수 있다.

[58]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하이드로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전분을 0.1 ~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전분을 0.1 ~ 40 중량%로 포함할 때, 본 실시예의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및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가 적정한 수준의 인장강도, 신율, 피부 밀착성, 사용감 등을 구현해낼 수 있다.

[59]

만약,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전분을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유연성이 충분히 향상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전분을 4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및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의 유연성이 저하되고, 단단해질 수 있으며, 인장강도, 신율, 피부 밀착성, 사용감 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60]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천연 고분자 0.1 ~ 10 중량% 및 전분 0.1 ~ 40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천연 고분자 및 상기 전분을 1 : 1 ~ 10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2 ~ 7 중량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5 ~ 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61]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천연 고분자 0.1 ~ 10 중량% 및 전분 0.1 ~ 40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천연 고분자 및 상기 전분을 1 : 1 ~ 10 중량비로 포함할 때, 본 실시예에 따르는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및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는 우수한 인장강도, 신율, 피부 밀착성, 사용감 등을 구현해낼 수 있다. 또한, 건조식물체(30)의 형태 보존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62]

겔화 촉진제는 염화마그네슘, 염화칼륨, 염화칼슘 및 염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하이드로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겔화 촉진제를 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4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63]

만약,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겔화 촉진제를 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겔화 속도가 느려 하이드로겔 팩의 제조에 긴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겔화 촉진제를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균일한 겔화가 어렵고, 겔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및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가 적정한 수준의 인장강도, 신율, 피부 밀착성, 부착성 등을 구현해내기 어려울 수 있다.

[64]

오일은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에칠트리실록산, 트리실록산 및 사이클로헵타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65]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하이드로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오일을 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4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오일을 1 ~ 10 중량%로 포함할 때, 겔화가 충분히 진행되어 하이드로겔 팩의 인장강도, 신율, 피부 밀착성, 사용감 등은 향상될 수 있다.

[66]

만약,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오일을 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히 겔화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오일을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 균일한 겔화가 어렵고, 하이드로겔 팩의 형상을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팩의 인장강도, 신율, 피부 밀착성, 사용성 등의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67]

보습제는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베타인, 트레할로스 및 솔비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68]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하이드로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보습제를 1 ~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69]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보습제를 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하이드로겔 팩의 보습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보습제를 3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겔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70]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천연 고분자, 전분, 겔화 촉진제, 오일, 보습제 및 물 이외에 피부 유효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71]

상기 피부 유효 성분은 피부 미백, 안색 개선, 주름 개선, 항산화, 안티에이징, 보습 개선, 염증 완화, 열감 저하 등과 같이, 피부의 상태를 개선하고, 피부에 미용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72]

상기 피부 유효 성분으로는 공지된 모든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피부 유효 성분은 레티놀, 레티닐 팔미테이트,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노인산, 코엔자임 큐텐, 엘라스틴, 콜라겐, 히알루론산, 세라마이드,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카페인, 키토산,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빌 글루코사이드, 알파 비사보올, 토코페롤,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비타민 A, 비타민 D 및 비타민 E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73]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하이드로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피부 유효 성분을 0.001 ~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 0.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 0.1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74]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피부 유효 성분을 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피부 개선 또는 미용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피부 유효 성분을 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및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75]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은 정제수, 증류수, 탈이온수, 순수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76]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방부제, 자외선 차단제, 광안정제, 경화제, 가용화제, 금속이온봉쇄제, 자극완화제, pH 조절제, 안료, 알코올, 향료 및 색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77]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로 형성된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또는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팩은 0.10 ~ 0.39 kgf/cm2, 바람직하게는 0.20 ~ 0.28kgf/cm2, 더욱 바람직하게는 0.23 ~ 0.25kgf/cm2 의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다.

[78]

만약, 하이드로겔 팩의 인장강도가 0.10 kgf/cm2 미만일 경우에는 하이드로겔 팩이 쉽게 찢어지며, 유연성이 낮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하이드로겔 팩이 0.39 kgf/cm2 를 초과할 경우에는 하이드로겔 팩이 잘 늘어나지 않아 피부 밀착성과 유연성이 낮고, 사용감이 낮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는 하이드로겔 팩은 0.10 ~ 0.39 kgf/cm2 의 인장강도를 가질 떄, 팩의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79]

또한,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팩은, 2.0 ~ 4.0 cm의 신장 길이, 바람직하게는 3.1 ~ 3.9cm의 신장 길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3.6 ~ 3.8cm의 신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80]

만약,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팩의 신장 길이가 2.0 cm 미만일 경우에는 하이드로겔 팩이 잘 늘어나지 않아 피부 밀착성과 유연성이 저하되고, 사용감이 낮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팩의 신장 길이가 4.0 cm 를 초과할 경우에는 하이드로겔 팩이 쉽게 늘어나면서 형태 유지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는 하이드로겔 팩은 2.0 ~ 4.0 cm 의 신장 길이를 가질 때, 팩의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81]

[82]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팩은 상기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와 상기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식물체(30)를 포함한다.

[83]

건조식물체(30)는 꽃, 야생화, 허브, 나무, 다육, 해조, 나뭇잎 등을 포함하는 공지된 모든 종류의 식물을 건조하여 얻은 것 일 수 있으며, 상기 건조식물체(30)는 세척, 증숙, 연화, 열처리 등 전처리된 것일 수 있다.

[84]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건조식물체(30)의 표면에 필름형성제를 도포 내지 분무하거나 상기 건조식물체(30)를 필름형성제를 포함하는 용액 내에 침지시켜 코팅함으로써, 외력 또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건조식물체(30)는 필름형성제로 코팅되어 표면에 필름형성제로 이루어진 얇은 코팅막(33)이 형성됨에 따라,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85]

상기 필름형성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니트로셀룰로오스, 실리콘(Silic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아크릴산 및 폴리메타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름형성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86]

[87]

도 2는 본 실시예의 따라 건조식물체(30)의 하면에 지지체(35)가 형성된 경우의 하이드로겔 팩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88]

[89]

지지체(35)는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와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여,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와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의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건조식물체(30)의 손상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지지체(35)는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또는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 보다 낮은 신율을 갖는 메쉬 구조의 시트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와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의 과도한 늘어남, 구겨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90]

본 실시예의 지지체(35)는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와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형태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91]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지지체(35)는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또는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 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복수개가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와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또는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와 유사 내지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지지체(35)가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와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92]

[93]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지지체(35)는 건조식물체(30)의 하면과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 상세히, 건조식물체(30)를 포함하지 않는 제 1 영역에서는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와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건조식물체(30)를 포함하는 제 2 영역에서는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와 건조식물체(30) 사이의 영역 또는 건조식물체(30)와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사이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94]

본 실시예의 지지체(35)가 건조식물체(30)를 포함하지 않는 제 1 영역에 위치될 경우에는 팩의 늘어남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건조식물체(30)를 포함하는 제 2 영역에 위치될 경우 팩의 늘어남과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조식물체(30)를 팩 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건조식물체(3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95]

본 실시예의 지지체(35)는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또는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와 유사한 투명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96]

[97]

상기 지지체(35)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 Propylene, OPP),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asting poly propylene CPP),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나일론,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지체(35)용 고분자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98]

[99]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팩에 있어서, 필름형성제로 코팅된 건조식물체(3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지지체(35)가 형성된 경우, 필름형성제로 코팅된 건조식물체(30) 및 지지체(35)의 총 수직 단면 두께는 0.5 ~ 5 mm, 바람직하게 0.5 ~ 3 mm, 더욱 바람직하게 0.8 ~ 1 mm 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100]

[101]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팩은 마스크 팩, 아이패치, 네일패치, 립패치, 바디패치, 엘보우패치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적용 부위에 따라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와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102]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팩의 일면에는 피부 개선 또는 피부 미용을 위한 다양한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용 조성물이 담지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103]

[104]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팩은 하기의 1) ~ 4)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105]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팩은 1) 천연 고분자, 전분, 겔화 촉진제, 오일, 보습제 및 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겔화하여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 또는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를 형성하는 단계, 3) 건조식물체(30)를 필름형성제로 코팅하는 단계, 4)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 필름형성제로 코팅된 건조식물체(30) 및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의 순으로 적층한 다음, 압착하여 건조식물체(30)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을 제조하는 단계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106]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팩이 지지체(35)를 더 포함할 경우, 상기 4) 단계에서는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10)와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20) 사이에 지지체(35)를 적층한 다음, 압착할 수 있다.

[107]

또한, 제조된 하이드로겔 팩의 일면에는 피부 개선 또는 피부 미용을 위한 조성물이 담지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108]

[109]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110]

[111]

[ 실시예 ]

[112]

실시예 1 내지 6

[113]

(1)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 및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의 제조

[114]

반응기 내에 표 1[단위 : 중량%]의 실시예 1의 조성에 따라 천연 고분자, 겔화 촉진제, 오일, 보습제, 피부 유효 성분 및 물을 투입한 후, 상온에서 교반을 실시하여 균일한 조성의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115]

상기 혼합액을 58 ~ 62 ℃ 까지 가열한 후, 전분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겔화하였다.

[116]

이 후, 겔화된 혼합물을 압착하여 시트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 및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를 제조하였다.

[117]

[118]

(2) 건조식물체의 코팅 처리

[119]

건조식물체(건조된 네잎클로버)의 표면에 필름형성제인 폴리비닐피롤리돈을 도포하여 코팅함으로써, 필름형성제로 코팅된 건조식물체(건조된 네잎클로버)를 준비하였다.

[120]

[121]

(3)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의 제조

[122]

상기에 따라 제조된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 필름형성제로 코팅된 건조식물체(건조된 네잎클로버),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순서대로 쌓아 적층한 후 압착함으로써, 실시예 1에 따르는 하이드로겔 팩을 제조하였다.

[123]

[12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 내지 6의 하이드로겔 팩을 제조하였다.

[125]

[126]

또한, 표 1에 개시된 천연 고분자 및 전분의 혼합 중량비를 정리하여 표 2[소수점 이하 첫번째 자리까지 표기]에 나타내었다.

[127]

[128]

[표 1]

[129]

[130]

[131]

[표 2]

[132]

[133]

[134]

실시예 7 내지 11

[135]

하기 표 3의 중량비로 혼합된 전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136]

[137]

[표 3]

[138]

[139]

[140]

실시예 12

[141]

필름형성제로 코팅된 건조식물체(건조된 네잎클로버)의 하면에, 상기 건조식물체 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도록 메쉬 구조를 갖는 시트 형상의 지지체[소재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적층하여 하이드로겔 팩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142]

[143]

[ 비교예 ]

[144]

비교예 1 내지 8

[145]

표 4의 조성에 따라 제조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146]

[147]

[표 4]

[148]

[149]

[150]

비교예 9 내지 10

[151]

건조식물체의 코팅 여부, 건조식물체의 하면에 지지체 형성 여부를 표 5와 같은 조건으로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표 5에서 X 는 코팅막 또는 지지체가 형성되지 않음을 의미하며, ○ 는 코팅막 또는 지지체가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

[152]

[153]

[표 5]

[154]

[155]

[156]

[ 실험예 ]

[157]

실험예 1 : 인장강도 측정

[158]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하이드로겔 팩에서 건조식물체를 포함하지 않는 제 1 영역의 일부를 1.5 cm Х1.5 cm Х0.04 cm 의 크기로 잘라 시편을 제작하였다.

[159]

상기 시편을 Universal Tester Machine(Vitrodyne V-1000, LIVECO Inc., 미국)에 장착한 후 시험하여, 인장강도를 구하였다. 이때, 초기 샘플 거리는 10 mm로 설정하였으며, 양방향으로 시편을 당기는 속도는 100㎛/s로 설정하였다.

[160]

상기 실험은 총 4회 반복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평균값을 표 6에 나타내었다.

[161]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예 2 내지 11과 비교예 1 내지 8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한편, 건조식물체를 포함하지 않는 제 1 영역에서는 실시예 12, 비교예 9 및 10은 실시예 4와 동일한 조건이므로, 별도로 실험하지 않았다.

[162]

[163]

[표 6]

[164]

[165]

[166]

표 6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적장한 수준의 인장강도를 구현해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67]

[168]

실험예 2 : 신장 길이 측정

[169]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하이드로겔 팩에서 건조식물체를 포함하지 않는 제 1영역의 일부를 1.5 cm Х 1.5 cm Х 0.04 cm 의 크기로 잘라 시편을 제작하였다.

[170]

상기 시편을 Universal Tester Machine(Vitrodyne V-1000, LIVECO Inc., 미국)에 장착한 후 시험하여, 시편을 양방향에서 당겨 시편이 끊어진 지점을 최대 신장 길이로 측정하였다. 이때, 초기 샘플 거리는 10 mm로 설정하였으며, 양방향으로 시편을 당기는 속도는 100㎛/s로 설정하였다.

[171]

상기 실험은 총 3회 반복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평균값을 표 7에 나타내었다.

[172]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예 2 내지 11과 비교예 1 내지 8의 신장길이를 측정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한편, 건조식물체를 포함하지 않는 제 1 영역에서는 실시예 12, 비교예 9 및 10은 실시예 4와 동일한 조건이므로, 별도로 실험하지 않았다.

[173]

[174]

[표 7]

[175]

[176]

[177]

표 7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적정한 수준의 신장 길이를 구현해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78]

[179]

실험예 3 : 건조식물체의 형태 보존력 평가

[180]

(1) 형태 유지 평가

[181]

실시예 1에 따라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에 동일한 힘[성별 : 여성, 연령 : 34 세]을 가하여, 좌우 방향(↔)으로 동시에 5회 잡아 당긴 후 대각선 방향()으로 동시에 5회 잡아 당겼을 때, 하이드로겔 팩 내 건조식물체의 형태가 처음과 같이 보존된 경우(매우 우수) ○, 건조식물체의 형태가 일부 변형된 경우 △, 건조식물체가 변형되어 형태의 파악이 어려운 경우(매우 나쁨) X 로 표기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182]

또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10의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183]

[184]

[표 8]

[185]

[186]

[187]

표 8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하이드로겔 팩의 변형에도 불구하고 건조식물체의 형태가 처음과 같이 잘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따를 경우에는 건조식물체의 형태 보존력이 향상됨을 의미한다.

[188]

[189]

(2) 색 변화 평가

[190]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을 상온에서 최대 12 주 동안 방치하면서, 하이드로겔 팩 내 건조식물체의 색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색 변화를 평가한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191]

상기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는 건조식물체가 변색되지 않은 경우(매우 우수) ○, 건조식물체의 일부 영역에서 변색이 발생된 경우 △, 건조식물체가 전체적으로 변색된 경우(매우 나쁨) X 로 표기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192]

[193]

[표 9]

[194]

[195]

[196]

표 9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변색의 발생이 방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197]

표 8 및 9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건조식물체의 형태가 처음과 같이 유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198]

[199]

실험예 4 : 피부 유효 성분 전달력 평가

[200]

실시예 1의 하이드로겔 팩을 얼굴에 약 20분 동안 부착한 다음, 이를 제거하고 로보스킨 분석기(Roboskin analyser) 장비를 이용하여 피부톤(밝기)의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201]

상기 시험은 피시험자 5명으로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상기 피시험자는 평균 연령 34 세의 여성이며, 상기된 장비로 피부톤을 측정하였을 때 약 65 ~ 67 정도의 피부톤[단위 : 계조]을 갖는 사람으로 구성하였다.

[202]

상기 피시험자는 주 3회 실시예 1의 하이드로겔 팩을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약 6 주가 지난 후 총 5회 피부톤을 측정한 후 그 평균값을 계산하여 표 10에 나타내었다. 상기 시험은 20 ~ 24 ℃, 습도 45 ~ 55%인 항온항습실에서 진행되었으며, 세안 후 항온항습실에서 최소 1시간 이상 적응 시킨 후에 피부톤을 측정하였다.

[203]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10의 피부톤 개선 정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204]

[205]

[표 10]

[206]

[207]

[208]

표 10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피부톤의 개선 정도가 더욱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하이드로겔 팩은 피부에 유효 성분을 전달하여 피부를 개선하는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의미한다.

[209]

[210]

상기 실험예 1 내지 4의 내용을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하이드로겔 팩의 인장강도, 신율, 피부 밀착성 및 부착성 등의 효과가 향상될 뿐 아니라 건조식물체의 변형이 방지되고, 피부에 유효 성분을 전달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211]

[212]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213]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14]

[부호의 설명]

[215]

10 :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

[216]

20 :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

[217]

30 : 건조식물체

[218]

33 : 코팅막

[219]

35 : 지지체

[220]

[221]

[222]

[223]



[1]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ydrogel pack including a dried plant, the hydrogel pack comprising at least one dried plant placed between the upper hydrogel sheet and the lower hydrogel sheet, wherein the dried plant is coated with a film forming agent. Therefore, the hydrogel pack is excellent in preserving the shape of the dried plant while having excellent aesthetics,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nd skin adhesion.

[2]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에 있어서,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 및

상기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와 상기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되,

상기 건조식물체는 필름형성제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 또는 상기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는 천연 고분자, 전분, 겔화 촉진제, 오일, 보습제 및 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겔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천연 고분자 0.1 ~ 10 중량%, 전분 0.1 ~ 40 중량%, 겔화 촉진제 1 ~ 10 중량%, 오일 1 ~ 10 중량%, 보습제 1 ~ 3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상기 천연 고분자 및 상기 전분을 1 : 1 ~ 10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은

찹쌀 전분 및 감자 전분을 1 : 0.1 ~ 10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고분자는

곤약, 카라기난(Carrageenan), 젤란검(Gellan gum), 로커스트콩 검(Locust bean gum), 젤라틴(Gelatin), 한천(Agar), 알지네이트(Alginate), 키토산(Chitosan), 콜라겐(Collage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아카시아 검(Acacia gum), 아라비아 검(Arabic gum), 풀루란(Pullulan), 갈락토만난(Galactomannan), 글루코만난(Glucomannan), 구아 검(Guar gum), 플루로닉(Pluronic), 알긴(Algin), 잔탄 검(Xanthan gum), 팩틴(Pectin), 셀룰로오스(Cellulose), 캐럽콩검(Ceratonia siliqua gum) 및 바이오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성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니트로셀룰로오스, 실리콘(Silic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아크릴산 및 폴리메타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팩은

상기 상부 하이드로겔 시트와 상기 하부 하이드로겔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 Propylene, OPP),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asting poly propylene CPP),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나일론,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지체용 고분자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레티놀, 레티닐 팔미테이트,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노인산, 코엔자임 큐텐, 엘라스틴, 콜라겐, 히알루론산, 세라마이드,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카페인, 키토산,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빌 글루코사이드, 알파 비사보올, 토코페롤,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비타민 A, 비타민 D 및 비타민 E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유효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