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TI-PURPOSE THREE-DIMENSIONAL OBJECT

04-06-2020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WO2020111701A1
Принадлежит: 정동환, 정경덕
Контакты:
Номер заявки: KR62-01-201998
Дата заявки: 25-11-2019

다용도 입체 조형물
[1]

본 발명은 다용도 입체 조형물,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패턴(pattern)부와 베이스부로 구성된 조형물을 다양한 용도에 응용하여 입체 형태로 적용코자 한 것이다.

[2]

기존의 인쇄 조형물 중, 예를 들어 명함, 메모지, 광고지, 서적, 노트 속지 등은 단순한 평면의 다각형(주로 사각형)의 형상에 텍스트가 인쇄된 구성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구성은 경쟁 업체의 인쇄 조형물과 차별화되는 특징이 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하여 시각적으로 입체효과가 나타나도록 형상을 구성함으로서 보다 특이성을 갖춰 경쟁 상품과의 차별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3]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6320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조립식 메모꽂이를 구성하여 평상시에는 평면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사용 시에는 평면상태가 입체적으로 변화를 일으켜 각종 장식과 메모꽂이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공간부에 메모꽂이로 이용할 수밖에 없어 용도가 극히 제한적이었다.

[4]

또 따른 종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2013년 제10-1254441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팝업 장치를 펼쳐서 세운 상태로 고정되는 입체 무대로 형성하여, 연극 놀이 무대, 팝업 카드 등 입체 놀이를 가능하게 하고, 접은 상태에서 그 두께를 최소화하여 보관이 용이하되, 90도 이상으로 펼치더라도, 손상이나 파손이 일어나지 않는 팝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접혀 있을 때는 디자인적 요소를 갖지 못하다가 펼쳤을 때 내부에 접힌 팝업 카드가 기립되는 일반적인 팝업 북의 구성이었기 때문에 기존 팝업 북의 차별성이 낮아 소비자들에게 어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5]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패턴부와 베이스부로 구성된 조형물을 구성하되, 패턴부에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하여 다양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6]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주목(注目)되도록 이미지가 표현된 패턴이미지면을 갖는 판형의 패턴부와, 패턴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베이스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패턴부가 베이스부로 내입되어 탈부착될 수 있도록 패턴부의 일측과 베이스부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패턴결합부와 베이스결합부가 더 포함되거나,

[8]

패턴부의 일측으로 암수조립되도록 형성된 패턴조립부로 의해 결합되도록 형성된 연장조립패턴부가 더 포함되거나,

[9]

패턴부를 산형으로 접어 기립시켜 패턴이미지면이 양면으로 보이도록 패턴부의 중간에 형성된 양면접이부가 더 포함되거나,

[10]

측면 또는 평면에서의 입체감을 높이도록 패턴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형성 된 패턴기립편이 더 포함되거나,

[11]

패턴이미지면으로부터 이미지가 이어지도록 베이스부에 형성된 연장이미지면이 더 포함되거나,

[12]

패턴부 또는 베이스부에 형성된 조명기기 또는 음향재생기기 또는 시계 중 하나의 전자장치수단과 베이스부에 전자장치수단과 전선으로 연결된 전원공급수단이 더 포함되거나,

[13]

패턴부가 노출되도록 베이스부에 형성된 수납베이스부가 삽입되는 봉투투입구를 상부에 개구시킨 봉투가 더 포함되거나,

[14]

패턴부가 노출되도록 베이스부에 형성된 수납베이스부가 수개 적층되게 삽입되는 수납공간부가 형성된 수납구가 더 포함되거나,

[15]

베이스부가 책에 결합될 수 있도록 패턴부 또는 베이스부 일측에 형성된 제본부가 더 포함되거나,

[16]

일측에 제본부가 형성되고, 패턴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패턴이미지면의 이미지와 연속성을 갖도록 이미지를 표현한 연장제본패턴부가 더 포함되거나,

[17]

베이스부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조립 시 측면이 개구되지 않는 테두리를 이루는 수개의 연장편이 더 포함되거나,

[18]

포장대상물에 부착되어 패턴부가 기립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에 형성된 접착부가 더 포함되거나,

[19]

베이스부의 하측에 접이선을 경계로 조립 시에 하부가 폐쇄되도록 구성된 받침연장편이 더 포함되거나,

[20]

패턴부를 기립할 수 있도록 패턴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연결부착된 철편으로 이루어진 절곡편이 더 포함되거나,

[21]

패턴부를 기립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와 일체로 제작되고 패턴부과 결합된 철편으로 이루어진 받침베이스부가 더 포함되거나,

[22]

패턴부는 상하가 대칭되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패턴부를 V형으로 접도록 형성된 대칭접이부와 절곡편이 패턴부에 결합되도록 대칭접이부에 형성된 수평의 절개부가 더 포함되거나,

[23]

패턴부는 회동연결구에 의해 대응 결합되어, 베이스부에 고정된 고정모형부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회동모형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24]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다용도 입체 조형물은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하여 기본 형태를 여러 가지 용도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하여 입체감 있게 응용하기 용이하다.

[25]

눈에 더 잘 띄는 심미적인 요소의 극대화로 인테리어를 위한 장식효과가 높다.

[26]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이 가능하여 새로운 놀이문화를 창조할 수 있다.

[27]

교육용 교재에 적용할 경우 호기심과 재미를 느끼게 하고 상상력과 창의력을 자극하여 학습 후 성취감 고취와 두뇌발달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28]

구조도 복잡하지 않아 제작비용이 낮고 생산성은 높은 장점이 있다.

[29]

평면의 그림, 사진, 풍경 등을 입체적 미니어처 형태로 표현 할 수 있는 기술이며, 기립이 가능한 조형물로 조형 예술의 한분야로 발전이 기대되며, 기존 팝업 북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창의적 아이디어이다.

[30]

또한 디지털 기술과 접목하여 LED 조명 기구 등의 다양한 산업분야로 활용이 가능하다.

[31]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를 보인 정면도

[32]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가 절곡되어 기립된 것을 보인 입체도

[33]

도 3은 본 발명의 패턴부와 베이스부의 분리를 보인 입체도

[34]

도 4는 본 발명의 패턴부와 베이스부의 결합을 보인 입체도

[35]

도 5는 본 발명에 연장조립패턴부가 적용된 일례를 보인 입체도

[36]

도 6은 본 발명의 양면접이부의 일례를 보인 전개도

[37]

도 7은 본 발명의 양면접이부의 일례를 보인 조립도

[38]

도 8은 본 발명에 패턴기립편이 적용된 일례를 보인 분리도

[39]

도 9는 본 발명에 패턴기립편이 적용된 일례를 보인 결합도

[40]

도 10은 본 발명에 전자수단이 적용된 일례를 보인 입체도

[41]

도 11은 본 발명을 봉투에 적용한 일례를 보인 입체도

[42]

도 12는 본 발명의 봉투에 투시창에 적용된 일례를 보인 입체도

[43]

도 13은 본 발명의 봉투가 다중으로 적용으로 일례를 보인 입체도

[44]

도 14는 본 발명의 봉투가 기립되는 예시를 보인 입체도

[45]

도 15는 본 발명을 수납구에 적용한 일례를 보인 입체도

[46]

도 16은 본 발명이 수납구에서 두께를 갖도록 적층시킨 일례를 보인 입체도

[47]

도 17은 본 발명을 책에 적용한 일례를 보인 입체도

[48]

도 18은 본 발명을 책에 적용한 다른 일례를 보인 입체도

[49]

도 19는 본 발명의 연장제본패턴부의 일례를 보인 입체도

[50]

도 20는 본 발명의 봉투를 책에 적용한 일례를 보인 입체도

[51]

도 21은 본 발명의 수납구를 책에 적용한 일례를 보인 입체도

[52]

도 22은 본 발명의 봉투 또는 수납구를 적용한 다른 일례를 보인 입체도

[53]

도 23은 본 발명을 박스에 적용한 일례를 보인 입체도

[54]

도 24는 본 발명에 연장편이 적용된 일례를 보인 전개도

[55]

도 25은 본 발명에 연장편이 적용된 일례를 보인 조립도

[56]

도 26은 본 발명이 포장대상물에 부착된 일례를 보인 입체도

[57]

도 27은 본 발명에 절곡편이 적용된 일례를 보인 예시도

[58]

도 28은 본 발명에 절곡편이 적용된 다른 일례를 보인 입체도

[59]

도 29는 본 발명에 회동부가 적용된 일례를 보인 입체도

[60]

본 발명은 다용도 입체 조형물을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이를 하기에서 도면들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61]

상기한 본 발명의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물, 식물, 사람, 사물, 건축물, 문자, 기호, 캐릭터 등의 다양한 이미지를 패턴이미지(21)에 인쇄 또는 양각음각의 느낌이 나도록 판형의 패턴부(2)를 형성한다. 이때 패턴부를 이미지에 맞게 테두리를 절단토록 가공할 수도 있다.

[62]

패턴부(2)의 일측으로 베이스부(3)가 결합되도록 형성한다. 도 1에서는 패턴부(2)의 하측에 베이스부(3)가 형성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패턴부의 측방 또는 상측에 베이스부(3)가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나뭇가지를 붙잡고 있는 원숭이를 패턴부(2)에 나타낼 경우 패턴부(2)의 상측에 형성된 베이스부(3)로 나무를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63]

하나의 베이스부(3)에 둘 이상의 패턴부(2)가 결합 형성 될 수 있다.

[64]

상기 베이스부(3)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필요에 따라 베이스인쇄면(31)을 형성할 수 있다.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을 메모지로 사용하는 경우 베이스인쇄면(31)에 줄무늬를 인쇄할 수 있고, 광고지로 사용하는 경우 홍보용 문구를 인쇄할 수 있고, 명함으로 사용할 경우 인적사항을 인쇄할 수도 있으며, 교육용 기자재로 사용할 경우 설명용 코멘트를 인쇄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응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65]

따라서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은 패턴이미지(21)를 갖는 판형의 패턴부(2)와, 패턴부(2)의 일측에 결합되는 베이스부(3)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66]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은 종이, 합성수지, 금속, 목재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제조할 수 있다.

[67]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은 도 2와 같이 패턴부(2) 또는 베이스부(3)의 일부를 절곡하여 패턴부(2)를 손쉽게 기립시킬 수 있다.

[68]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은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하기의 여러 가지 실시예와 같이 다양하게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69]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패턴부(2)의 일측에 패턴결합부(22)를 형성하고, 베이스부(3)의 일측에는 패턴결합부(22)에 대응되도록 베이스결합부(32)를 형성하여, 베이스부(3)와 패턴부(2)를 탈부착할 수도 있다. 이때 패턴결합부(22)와 베이스결합부(32)의 형상을 규격화 함으로써 교체용 패턴부(2) 또는 교체용 베이스부(3)를 준비할 수 있다.

[70]

예를 들어 화분을 형상화한 베이스부(3)에 꽃을 형상화한 패턴부(2)를 다양하게 교체함으로서 꽃의 종류를 바꿔 패턴부(2)에 변화를 주어 항상 새로운 느낌을 줄 수 있는 것이다.

[71]

또한 도 4와 같이 패턴부(2)의 일부를 절곡하여 패턴부(2)를 기립시킬 수도 있다.

[72]

도 5와 같이 패턴부(2)의 일측을 요철형태로 암수조립되거나 또는 절개부끼리 끼움결합 또는 자석 등을 이용해서 조립하는 등의 다양한 조립수단을 이용하여 형성한 패턴조립부(23b)를 기준으로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연장조립패턴부(22)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연장조립패턴부(22)를 분리함으로써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의 보관이 용이해지고, 아이들의 장난감 등으로 사용 시 공학적인 흥미를 유발시켜 창의력을 증진 시킬 수도 있다.

[73]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패턴부(2)의 일측에 양면접이부(24)를 형성하고, 양면접이부(24)를 기준으로 패턴부(2)와 대칭되는 배면패턴부(2-1)를 형성하고, 배면패턴부(2-1)의 일측에는 베이스부(3)와 대칭되는 배면베이스(3-1)를 형성할 수 있다.

[74]

상기 양면접이부(24)를 기준으로 패턴부(2)와 배면패턴부(2-1)를 산형으로 접어 기립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패턴부가 양면으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산형으로 접어 기립시킬 경우 베이스부(3)가 하부에 위치하여 받침으로 사용된다.

[75]

패턴부(2) 또는 베이스부(3)를 일부 절곡하여 안정적으로 기립시킬 수도 있고, 또는 양면접이부(24)를 기준으로 접을 시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면 패턴부(2)와 베이스부(3)에 별도의 절곡 없이도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을 기립시킬 수 있다.

[76]

도 8 내지 도 9와 같이 패턴부(2)가 평면이나 측면에서 볼 때 입체감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장식 및 놀이효과를 높이기 위해, 패턴부(2)의 일면 또는 양면에 패턴기립편(25)을 추가로 형성하여 부착할 수 있다.

[77]

패턴기립편(25)끼리도 서로 추가결합이 가능하다.

[78]

패턴기립편(25)이 전후방향으로 기립되는 형상으로 부착되면 패턴부(2)를 평면 또는 측면에서 관찰시 더욱 입체감 있는 입체 조형물이 되는 것이다.

[79]

패턴기립편(25)을 응용하여 패턴부(2)를 배경틀로 사용하고, 패턴기립편을 패턴부(2)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되, 패턴기립편(25)를 작게 분할되도록 절단하여 일종의 퍼즐놀이기구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패턴기립편(25)에는 자석 또는 점착스티커와 같이 패턴부(2)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수단이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80]

도 10과 같이 패턴부(2) 또는 베이스부(3)에 다양한 전자장치를 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패턴부(2) 또는 베이스부(3)에 LED 등의 조명기기를 부착하여 주위를 밝게 하거나 또는 반짝이는 불빛으로 이목을 집중시킬 수도 있고, 또는 스피커와 같은 음향재생기기를 부착하여 소리로서 이목을 집중시킬 수도 있으며, 또는 아날로그 시계 또는 디지털 시계를 부착하여 쉽게 시간을 알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의 조명기기 또는 음향재생기기 또는 시계와 같은 전자장치(E1)를 구동하기 위해 전원공급수단(E2)이 구비되고, 상기 전자장치(E1)와 전원공급수단(E2)은 전선(E3)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전원공급수단(E2)은 태양광전지판 또는 내장배터리 또는 외부의 USB케이블을 통한 전원공급 등 다양한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81]

추가로 근접센서 등을 장치하여 사람이 근처에 왔을 때만 작동토록 할 수도 있다.

[82]

도 11과 같이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을 편지지 등으로 사용할 때 전용 봉투(4)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패턴부(2)는 노출되고, 베이스부(3)에 형성된 수납베이스부(34)가 봉투투입구(41)에 삽입되는 것이 특징이며, 봉투에 내입시 패턴부(2)만 보이기 때문에 봉투를 받는 이로 하여금 궁금증과 기대감을 유발시키고, 패턴부(2)를 손잡이로 이용하여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을 봉투(4)로부터 분리하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83]

봉투(4)의 형태는 사각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그 크기 또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84]

도 12와 같이 봉투(4)의 일측면에 봉투투시창(44)을 형성하여 봉투에서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을 꺼내지 않아도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봉투투시창(44)은 단순히 절개된 형태로 할 수도 있고, 방수 등을 위해 봉투투시창(44)의 내측에 투명필름이 부착될 수도 있다.

[85]

또한 봉투에 삽입된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의 패턴부(2)는 임의로 절곡하여 기립시킬 수도 있으며, 봉투에서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을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기립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86]

도 13과 같이 봉투(4)를 수개 이어지도록 형성하여 각각의 봉투투입구(41)에 다양도 입체 조형물(1)을 투입해둘 수도 있으며, 봉투(4)의 재질에 따라 봉투(4)를 낱개로 뜯어낼 수도 있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87]

도 14와 같이 봉투(4)의 하부에 봉투결합구(42)를 개방시키고, 상기 봉투결합구(42)에 봉투받침대(43)를 결합하여 기립시킬 수 있다. 봉투받침대(43)는 받침면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면에 직교되는 결합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88]

이렇게 기립된 봉투(4)는 파지가 한결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89]

도 15와 같이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을 다수 적층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3)에 형성된 수납베이스부(34)가 수납되는 수납공간부(51)를 갖는 수납구(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메모지 꽂이, 명함 꽂이 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 수납구(5)는 입체감 있게 노출된 패턴부(2) 덕분에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활용 할 수 있다.

[90]

다용도 입체 조형물(1)에 방향제 성분이 함유되도록 하는 경우 실내에 은은한 향기가 나며, 필요에 따라 다른 종류의 방향제가 함유된 다용도 입체 조형물(1)로 교체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향의 종류를 바꿀 수도 있다.

[91]

수납구(5)에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1)만 다수 적층할 수도 있고, 또는 패턴부(2)가 없고 베이스부(3)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속지(52)를 섞어서 수납할 수도 있다.

[92]

도 16과 같이 패턴부(2)를 중첩시켜 전후 두께를 갖도록 적층시켜 더욱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도 있고, 패턴부(2)를 동일한 크기(동종패턴)로 중첩시킬 수도 있으며, 상이한 크기(이종패턴)로 중첩시켜 원근감과 착시효과를 활용하여 입체감을 더욱 높일 수도 있는 것이다.

[93]

도 17과 같이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의 책(B1)에 내측 또는 외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베이스부(3)의 일측에 제본부(B2)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지칭하는 책(B1)은 얇은 노트류, 본딩하여 제조된 책, 스프링으로 제본된 노트 등을 포괄적으로 표현한다.

[94]

상기 제본부는 스프링 노트의 경우 일정간격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스프링 바인딩 제조시 미리 결합할 수도 있고, 또는 도 2와 같이 스프링 결합용 관통홈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책(B1) 제본 시 본딩 되는 결합부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95]

도 18과 같이 책(B1)에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을 제본했을 때 패턴부(2)의 일부분이 책(B1)의 폭 또는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패턴부(2)가 책(B1)의 낱장 사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책갈피로 활용할 수도 있으며, 또는 책의 간지(間紙)로도 이용할 수 있다.

[96]

패턴부(2)가 책(B1)의 폭보다 길게 형성될 때, 필요에 따라 패턴부(2)를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책(B1)의 폭보다 작게 내입할 수도 있고, 또는 패턴부(2)를 분리된 형태로 구성하여 서로 끼워서 착탈 할 수도 있다.

[97]

도 19와 같이 베이스부(3)의 일측에만 제본부(B2)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패턴부(2)의 일측에도 제본부(B2)를 형성하여 책과 결합할 수도 있다.

[98]

또한 표현하고자 하는 패턴이미지(21)가 책의 폭 또는 높이보다 큰 경우 패턴부(2)와 소정거리 이격되되, 일측에 제본부(B2)를 갖는 연장제본패턴부(26)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연장제본패턴부에 표현되는 이미지는 패턴부(2)의 패턴이미지(21)에서 연속되는 이미지로 보이게 되어, 이미지로 표현된 대상물이 마치 책에서 빠져나오는 듯한 느낌과 함께 입체감을 제공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흥미를 더욱 고조시킬 수 있다.

[99]

연장제본패턴부(26)를 형성하면 크기가 커서 책 밖으로 돌출된 패턴부(2)를 접었다 폈다 하지 않아도 되므로 패턴부(2)의 내구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장점도 있다.

[100]

도 20 내지 16과 같이, 도 11 또는 10에서 보인 일례인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을 결합할 수 있는 봉투(4) 또는 수납구(5)의 일측에 제본부(B2)를 형성하여, 수개의 봉투(4) 또는 하나의 수납구(5)를 책(B1)의 안에 내입결합 할 수도 있다.

[101]

상기와 같이 구성 할 경우 봉투(4) 또는 수납구(5)에 꼽힌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이 책(B1)을 펼쳤을 때 입체감을 제공하여 독자로 하여금 상상력을 자극하여 현장감을 느끼게 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을 뽑아서 베이스인쇄면(31)에 적힌 정보를 독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고,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을 봉투(4) 또는 수납구(5)로부터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사용토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102]

추가로 책(B1)의 전면을 절개하여 개구부(B3)를 형성할 경우 일반적인 팝업북과 달리 책을 펴지 않아도 입체적으로 배치된 패턴부(2)로 인하여 독자에게 심미감과 입체감을 제공하여 책에 대한 기대감과 호기심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03]

도 22과 같이 제본부(B2)를 봉투(4) 또는 수납구(5)의 개구되도록 바라보는 일측에 제본부(B2)를 형성하여 제본되는 방향을 다르게 할 수있다. 이런 경우 도면에 보인 예시와 같이 달력을 만들어 매달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을 봉투(4) 또는 수납구(5)에서 끼우거나 뺄 수 있다.

[104]

도 23과 같이 박스(C2)의 덮개(C1)에 봉투(4) 또는 수납구(5)가 부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105]

도 24 내지 20를 참고하면 다용도 입체 조형물(1)에서 베이스부(3)의 일측으로 연장편(35a)이 반복되게 형성되어, 연장편(35a)을 조립하여 측면이 개구되지 않는 테두리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의 접이선을 두어 다각형의 테두리로 조립할 수도 있으며 또는 접지 않고 원형의 테두리로 조립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입체감 있는 형태로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을 기립시킬 수 있어 인테리어 소품으로 유용하다.

[106]

또는 연장편(35a)을 책에 둘러 책띠지, 북커버 등으로 적용도 가능하다.

[107]

도 25과 같이 필요에 따라 패턴부(2)에 형성된 패턴이미지(21)가 베이스부(3)에서도 연속성 있는 이미지로 표현되기 위해 베이스부(3)에 연장이미지(33)를 형성 할 수도 있다.

[108]

연장편(35a)이 추가된 구성에서,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의 하부에 접이선(35c)을 경계로 한 받침연장편(35b)을 추가로 구성하여 조립시 하부가 개구되지 않고 막힌 상자형태를 이루어 특정한 물건을 담아둘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109]

이렇게 구성할 경우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을 수납함으로 활용할 수 있다.

[110]

도 26과 같이 베이스부(3)의 일측에 접착부(36)를 형성하여 포장대상물(D)에 베이스부(3)를 부착하여 패턴부(2)가 기립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36)는 베이스부(3)에 한정되지 않고 연장편(35a)에도 형성 될 수 있는 것이다.

[111]

이는 포장대상물에 대한 장식 용도 등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패턴부(2) 또는 베이스부(3)에 포장대상물(D)에 대한 설명을 표기할 수도 있다.

[112]

도 27을 참고하면 다용도 입체 조형물(1)에서 패턴부(2)를 단독으로 기립시킬 수 있도록, 패턴부(2)에 절곡편(37)을 결합할 수 있다.

[113]

절곡편(37)은 금속과 같은 재질이 적절하다.

[114]

도 27의 (a)와 같이 패턴부(2)와 베이스부(3)의 양측으로 이어지게 절곡편(37)을 덧대어 절곡편(37)을 절곡시켜 패턴부(2)를 기립시킬 수도 있고,

[115]

도 27의 (b)와 같이 패턴부(2)와 베이스부(3)의 사이에 절곡편(37)을 샌드위치 형태로 내입시킨 후 절곡편(37)을 절곡시켜 패턴부(2)를 기립시킬 수도 있고,

[116]

도 27의 (c)와 같이 베이스부(3)를 절곡편(37)을 일체로 형성하여 받침베이스부(38)로 구성할 수 있어, 받침베이스부(38)를 절곡시켜 패턴부를 기립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117]

패턴부(2)가 자립되도록 형성할 경우 인테리어 장식품, 이름표, 장난감 등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118]

도 28과 같이 패턴부(2)를 상하가 대칭되는 모양으로 형성되고, 수평의 절개부(27b)를 갖도록 형성된 대칭접이부(27a)를 기준으로 패턴부(2)가 V형으로 접을 수 있다. 그러면 절개부(27b)가 하부에 노출되며, 상기 절개부(27b)에 절곡편(37)을 끼움결합하여 상기 V형태로 접힌 패턴부(2)를 기립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면의 패턴이미지(21)에는 동물, 식물, 건물 등의 이미지를 표시하고, 후면의 패턴이미지(21)에는 필기가 가능한 공간을 그려넣어 입체그림, 편지, 그림엽서, 초대장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119]

도 29와 같이 패턴부(2)의 일면에 네오디움자석, 고무자석, 스냅파스너, 마주보는 힌지 등으로 제작된 회동연결부(26c)을 결합하고, 상기 회동연결부(26c)에 마주보며 대응되는 또 다른 회동연결부(26c)와 결합된 회동모형부(2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회동연결부(26c)를 회전축으로 회동모형부(26b)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키기거나 고정시키기 용이하다. 이러한 구성은 동물 등의 움직임을 표현하는데 유용하여 입체감을 높일 수 있다.

[120]

이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다용도 입체 조형물(1)을 입체감 있게 다양한 분야에 응용 적용하여, 심미감을 높이고 보는 이로 하여금 보다 눈에 잘 띄도록 하여 소비자들의 이목을 쉽게 끌 수 있을 것이다.

[121]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22]

본 발명은 패턴부와 베이스부로 이루어진 매우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 패턴부(2)에 다양한 기능 및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하여 입체감을 갖는 실내 장식수단으로 활용하거나 또는 유아용 교육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어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넓다.



[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three-dimensional object intended to be applied in a three-dimensional form by applying a planar object composed of a pattern portion and a base portion to various uses. That is, the multi-purpose three-dimension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ate-shaped pattern portion (2) having a pattern image (21) in which the image is expressed so as to be visually noticed, and a base portion (3) coupled to one side of the pattern portion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ddition of various functions and design elements to the pattern portion (2),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used as a three-dimensional interior decoration means or as an educational means for infants.

[2]



시각적으로 주목되도록 이미지가 표현된 패턴이미지(21)를 갖는 판형의 패턴부(2);

패턴부(2)의 일측에 구성되는 베이스부(3);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

청구항 1에 있어서;

패턴부(2) 또는 베이스부(3)에서 돌출 또는 내입되게 형성되어 상호 대응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패턴결합부(22) 및 베이스결합부(32);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

청구항 1에 있어서;

패턴부(2)의 일측으로 조립되도록 형성된 패턴조립부(23b)로 의해 탈착되도록 형성된 연장조립패턴부(23a);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

청구항 1에 있어서;

패턴부(2)의 일측에 형성된 양면접이부(24);

양면접이부(24)를 기준으로 패턴부(2)에 대칭되게 형성된 배면패턴부(2-1);

배면부(3)에 대칭되도록 배면패턴부(2-1)의 일측에 형성된 배면베이스부(3-1)가 더 포함되며,

양면접이부(24)를 기준으로 패턴부(2)와 배면패턴부(2-1)를 산형으로 접어 기립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

청구항 1에 있어서;

측면 또는 평면에서의 입체감을 높이도록 패턴부(2)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형성 된 패턴기립편(25);

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

청구항 1에 있어서;

패턴이미지(21)로부터 이미지가 이어지도록 베이스부(3)에 형성된 연장이미지(33);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

청구항 1에 있어서;

패턴부(2) 또는 베이스부(3)에 형성된 조명기기 또는 음향재생기기 또는 시계 중 하나의 전자장치(E1);

베이스부(3)에 전자장치(E1)와 전선(E3)으로 연결된 전원공급수단(E2);

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

청구항 1에 있어서;

패턴부(2)가 노출되도록 베이스부(3)에 형성된 수납베이스부(34)가 삽입되는 봉투투입구(41)를 상부에 개구시킨 봉투(4);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

청구항 8에 있어서;

봉투(4)가 기립할 수 있도록 봉투(4)의 하부에 형성된 봉투결합구(42)에 결합되는 봉투받침대(43);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

청구항 1에 있어서;

패턴부(2)가 노출되도록 베이스부(3)에 형성된 수납베이스부(34)가 수개 적층되게 삽입되는 수납공간부(51)가 형성된 수납구(5);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

청구항 10에 있어서;

패턴부(2)는 여러개를 수납시 동종패턴 또는 이종패턴이 중첩되도록 수납하여 중첩된 패턴부(2) 전체가 하나의 패턴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부(3)가 책(B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패턴부(2) 또는 베이스부(3) 일측에 형성된 제본부(B2);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에 제본부(B2)가 형성되고, 패턴부(2)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패턴이미지(21)의 이미지와 연속성을 갖도록 이미지를 표현한 연장제본패턴부(26);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봉투(4) 또는 수납구(5)가 책(B1)에 결합되도록 봉투(4) 또는 수납구(5)의 일측에 형성된 제본부(B2);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봉투(4) 또는 수납구(5)가 박스(C2)의 덮개(C1)에 부착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부(3)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조립 시 측면이 개구되지 않는 테두리를 이루는 수개의 연장편(35a);

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부(3)의 일면에는 포장대상물(D)에 베이스부(3)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접착부(36);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베이스부(3)의 하측에 접이선(35c)을 경계로 조립 시에 하부가 폐쇄되도록 구성된 받침연장편(35b);

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

청구항 1에 있어서;

패턴부(2)를 기립할 수 있도록 패턴부(2)와 베이스부(3) 사이에 연결부착된 철편으로 이루어진 절곡편(37);

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

청구항 1에 있어서;

패턴부(2)를 기립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3)와 일체로 제작되고 패턴부(2)과 결합된 철편으로 이루어진 받침베이스부(38);

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

청구항 20에 있어서;

패턴부(2)의 상하가 대칭되는 모양으로 형성된 접이식패턴부(27);

접이식패턴부(27)를 V형으로 접도록 기준선으로 형성된 대칭접이부(27a)

절곡편(37)이 패턴부(2)에 삽입 결합되도록 대칭접이부(27a)에 형성된 수평의 절개부(27b);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

청구항 1에 있어서;

패턴부(2)는 회동연결구(28c)에 의해 대응 결합되어, 베이스부(3)에 고정된 고정모형부(28a)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회동모형부(28b);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체 조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