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TRESS WITH STONE POCK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스톤포켓이 구비된 매트리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트의 표면에 사석이나 식물의 종자 또는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비료 등을 넣을 수 있는 포켓이 구비되어 매트리스가 하천이나 제방의 사면에 설치되는 경우에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식생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톤포켓이 구비된 매트리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수는 인류 역사와 함께한 가장 중요한 공공사업 중의 하나다. 더구나 오늘날과 같이 이상기온으로 인한 가뭄과 집중호우가 빈발하는 경우에는 국민의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강이나 하천을 항상 점검하고 정비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하천 등의 정비사업은 물길을 바로잡고 바닥면에 퇴적된 토사를 제거하여 일정한 깊이로 유지하며, 제방이나 둑을 높이거나 튼튼히 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새로이 정비된 사면은 토사가 다져지거나 식물이 자라서 안정화되기 전까지 쉽게 유실될 수 있는 불안정한 상태로 외부환경에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이 정비된 하천 등의 제방에는 사면이 바람이나 유수 등에 의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매트리스를 이용하여 사면을 덮어 보호하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사면 보호용 매트리스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1036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3693호가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사면 보호용 매트리스는 코코넛이나 짚 등과 같은 천연 식물성 섬유질을 주 재료로 하여 사각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의 판재로 구성되어 상기 매트리스를 새로이 복토 되어 지반이 약한 사면을 덮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하여 하천 등의 사면이 바람이나 빗물 또는 유수에 의하여 씻겨져 나가거나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된 매트리스는 지반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지반에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식물의 종자가 발아하기 용이한 환경을 만든다. 또한, 매트리스는 친환경 식물성 섬유질로 구성되어 시간이 지나면서 사면의 지반이 다져지고 식물이 자람에 따라 자연스럽게 분해되어 식물에 양분을 제공하게 되므로 친환경적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매트리스에는 종자와 비료 등이 부가적으로 구비되어 식생을 촉진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매트리스는 식물성 섬유질로 구성되어 가볍기 때문에 바람이나 유수에 의하여 유실되는 경우가 많다. 매트리스는 어느 정도의 바람이나 빗물 등으로부터 지반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만,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바람의 강도가 심한 경우나 많은 비가 내리는 경우에 쉽게 날아가거나 휩쓸려 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매트리스를 설치한 후에 그 위에 돌이나 자갈 등을 일정 간격으로 올려놓기도 한다. 그러나 하천 등의 사면은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석을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된 고정석이 경사면을 따라 쉽게 굴러 내려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매트리스에 사석 등을 수납하여 고정할 수 있는 스톤포켓을 구비하여 고정석이 매트리스로부터 이탈하거나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톤포켓이 구비된 매트리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톤포켓에는 고정석 외에 식물의 종자나 상기 종자가 자라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비료를 넣어두어 식생을 촉진하도록 할 수 있는 스톤포켓이 구비된 매트리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식물성 섬유질로 구성된 판상의 매트본체와, 상기 매트본체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포켓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매트본체는 복수의 기본매트가 연결되어 구성되되, 상기 기본매트는 타측이 일측방향으로 접히도록 구성되고 일측이 인접한 다른 기본매트의 접혀진 타측에 겹치도록 구비된 후에 상기 포켓유닛을 형성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박음질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기본매트의 일측은 상기 인접한 다른 기본매트의 타측 후면에 겹치도록 구성되되, 최소한 상기 포켓유닛만큼 겹쳐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박음질은 복수의 기본매트가 나란히 연결되어 형성된 매트본체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는 수직박음질과, 상기 기본매트의 타측에 접혀진 단부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수평박음질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방박음질은 상기 수직박음질에 의하여 형성된 분리된 구간 중 일부 구간만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포켓유닛에는 사석부재, 식물종자, 비료 중 최소한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포켓유닛의 입구는 식물성 섬유질로 꿰매어 봉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톤포켓이 구비된 매트리스를 제조하는 방법은, 기본매트의 타측을 일측보다 짧게 접는 단계; 타측이 접혀진 복수의 기본매트의 일측을 다른 기본매트의 타측과 겹치도록 배열하는 단계; 복수의 기본매트가 나란히 연결되어 형성된 매트본체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박음질을 하는 단계; 상기 기본매트의 타측에 접혀진 단부를 따라 수평박음질을 하되, 상기 수평방박음질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되어 있는 수직박음질에 의하여 형성된 분리된 구간 중 일부 구간만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톤포켓이 구비된 매트리스에 의하면 고정석이 매트리스와 일체로 구성된 포켓에 삽입되기 때문에 매트리스가 바람이나 빗물 등에 의하여 쓸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켓에는 고정석 외에 식물의 종자나 비료 등을 설치하여 식생을 촉진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매트리스에 스톤포켓을 개별적으로 부착하거나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하부가 접혀진 복수의 매트리스 조각을 겹쳐서 덧댄 후 일체로 박음질하여 스톤포켓을 형성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톤포켓이 구비된 매트리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톤포켓이 구비된 매트리스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포켓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톤포켓이 구비된 매트리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톤포켓이 구비된 매트리스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포켓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톤포켓이 구비된 매트리스는 매트본체(100)와 상기 매트본체(1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포켓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매트본체(100)는 공지의 다양한 재질로의 섬유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자연분해되는 볏짚, 황마, 코코넛 등과 같은 식물성 섬유질로 구성된다. 매트본체(100)는 식물성 섬유질을 사각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장방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와 같은 형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매트본체(100)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기본매트(110)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기본매트(110)는 타측방향이 일측방향의 전방으로 일정한 길이로 접히도록 구성되고, 일측은 인접한 다른 기본매트(110)의 접혀진 타측에 겹치도록 구비된다. 이때, 각 기본매트(110)의 타측은 인접한 다른 기본매트(110)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포켓유닛(150)이 형성되는 전면에 이음매가 적게 노출되도록 하여 깔끔한 외관을 형성하도록 후면에 겹치도록 한다. 기본매트(110)의 일측은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인접한 기본매트(110)의 타측과 겹쳐져서 꿰맬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위치과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기본매트(110)의 일측은 최소한 인접한 기본매트(110)의 타측에 접혀서 형성되는 포켓유닛(150)만큼 겹쳐지도록 한다. 즉, 제1 기본매트(110a)가 인접한 제2 기본매트(110b)와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제1 기본매트(110)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기본매트(110)의 접혀있는 타측 단부와 동일하거나 일측방향으로 더 많이 겹쳐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포켓유닛(150)의 양측에 박음질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제1 기본매트(110)의 일측단부가 함께 엮이도록 하여 깔끔하고 튼튼한 후면외관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기본매트(110)를 나란히 배열한 후에 포켓유닛(150)을 형성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섬유질 끈 등으로 꿰매거나 박음질하여 일측면에 포켓유닛(150)이 구비된 하나의 큰 매트본체(100)를 형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기본매트(110)는 타측이 접혀서 2겹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한 간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박음질하면 상기 박음질을 기준으로 양측에 일측방향이 개방되고 하부가 막힌 주머니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그런 후에, 개방부가 위치하는 수평방향으로 다시 박음질을 하면 상기 개방부가 막히게 되는데, 이때 특정 구간의 개방부를 박음질에서 제외하면 해당 부분에 자연스럽게 포켓유닛(150)이 형성되게 된다. 즉, 포켓유닛(150)이 형성되기를 원하는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수평과 수직방향으로 박음질을 하면 원하는 간격으로 포켓유닛(150)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포켓유닛(150)의 크기는 기본매트(110)의 접는 크기와 박음질의 간격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결정되며, 포켓유닛(150)의 간격은 수평방향으로 박음질하는 부위에 따라 자연스럽게 결정되므로 동일한 기본매트(110)로도 다양한 크기와 간격의 포켓유닛(150)이 원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포켓유닛(150)에는 사석(170), 식물종자(180) 또는 비료(190) 등이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사석(170)은 가벼운 식물성 재질로 구성된 매트리스를 무겁게 하여 상기 매트리스가 바람이나 빗물 등에 쓸려 내려가거나 유실되지 않고 하천 등의 사면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종자는 발아되어 사면 등에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비료(190)는 식재된 수변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석(170), 식물종자(180), 비료(190) 등은 선택적으로 각각의 포켓유닛(150)에 주입될 수도 있고, 함께 주입될 수도 있다. 즉, 각각의 포켓유닛(150)에 사석(170), 식물종자(180) 및 비료(190)가 함께 주입되거나, 어느 하나의 포켓유닛(150)에는 사석(170)을 주입하고 다른 포켓유닛(150)에는 식물종자(180)와 비료(190)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포켓유닛(150)에 사석(170) 등을 주입한 후에는 입구를 식물성 섬유질로 구성된 로프 등을 이용하여 꿰매거나 공지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스탬핑(stamping)하여 밀봉할 수도 있다(미도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톤포콧에 구비된 매트리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톤포켓이 구비된 매트리스의 포켓유닛(15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톤포켓이 구비된 매트리스의 제조 및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기본매트(150)의 타측을 일측보다 짧게 접는다. 기본매트(150)는 완성된 매트본체(100)의 폭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직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본매트(150)의 타측을 일측보다 짧게 접는 것은 기본매트의 일측부분이 접혀진 타측에 비하여 더 길게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연장된 일측부분이 인접한 다른 기본매트의 타측과 겹쳐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타측의 일부 구간이 접혀진 형태의 기본매트(150)의 일측을 인접한 다른 기본매트의 타측과 겹치도록 배열한다. 이때 기본매트의 일측은 인접한 다른 기본매트의 타측에 접혀진 길이에 대응하게 겹치도록 한다. 복수의 기본매트가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일부가 겹치도록 나란히 배열된 후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길이방향으로 따라 수직박음질(120)을 한다. 수직박음질(120)은 기본매트(110)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수직박음질(120)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부가 개방된 포켓유닛(150)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수직박음질(120)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루어진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포켓유닛(150)이 형성될 필요가 없는 공간에는 좁은 간격으로 복수의 수직박음질(120)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수직박음질(120)이 완료된 후에 기본매트(110)의 접혀진 단부를 따라 수평박음질(130)을 한다. 수평박음질(130)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포켓유닛(150) 중 사용하지 않을 포켓유닛의 개방부를 밀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수평박음질(130)은 상기 수직박음질(120)에 의하여 형성된 분리된 구간 중에 포켓유닛(150)이 형성되기를 원하는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연속적인 포켓유닛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수평박음질은 생략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수평박음질(130)은 포켓유닛(150)의 개방부 위치 외에 상기 포켓유닛(150)의 하부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복수의 기본매트(110)가 더욱 견고하게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절차에 의하여 복수의 기본매트(110)가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본매트(110)의 연결부위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포켓유닛(150)이 형성된 하나의 매트본체(100)가 형성된다. 이때, 포켓유닛(150)에는 사석(170)이나 식물의 종자(180) 또는 비료(190) 등이 수납될 수 있으며, 포켓유닛(150)의 개방부는 내부가 채워진 후에 꿰매서 밀봉할 수도 있다. 매트본체(100)는 하천 등의 사면을 덮어서 새롭게 정비된 사면부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포켓유닛(150)에 사석 등이 채워진 매트본체(100)는 상기 포켓유닛이 상부를 향하도록 하여 하천 등의 하면에 펼쳐놓게 된다. 이때 포켓유닛(150)에 채워진 사석은 매트본체(100)를 눌러주어 상기 매트본체(100)가 바람이나 호우 등에 의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종자와 비료는 식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을 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매트본체
110: 기본매트
120: 수직박음질
130: 수평박음질
150: 포켓유닛
170: 사석
180: 종자
190: 비료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ttress with a stone pocke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cket formed on a surface of the mattress to store a riprap, a seed of a plant, or fertilizer required for growth of the plant to prevent soil from being lost and promote vegetation when the mattress is installed in a river or a slope of a bank.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ttress main body; and the stone pocket having a plurality of pocket units provid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mattress main body. COPYRIGHT KIPO 2017 Mat body, said mat having a plurality of pockets unit one side of the body by means of stone protecting uncoil of mattress. According to Claim 1, are made of said mat body has a basic mat is connected, said base mat is folded to a side of another adjacent one of lam configured so as to overlap with the other side of the basic mat folded after said pocket portion which forms a unit number [...] backstitching the remainder by means of stone protecting uncoil of mattress. According to Claim 2, said other side of the back side of the base mat are made of another adjacent basic mat so as to overlap, at least said pocket unit superimposed by used for covering the stone protecting uncoil of mattress. According to Claim 2, the backstitching, a plurality of basic mat formed mat body connected side-by-side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mprising vertical backstitching, basic mat on the other side of said folded portion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being horizontal backstitching comprising, said separate sections formed by said horizontal room backstitching vertical backstitching optionally mapping part characterized ln protecting uncoil of mattress. In claim 2 or 3, said pocket unit is riprap member, plant seed, fertilizer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stone protecting uncoil of mattress. According to Claim 4, said pocket unit is located at the inlet of the fibrous plies stone protecting uncoil of mattress. One side of the shorter than the basic mat turned over; one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basic mat other lam folded a plurality of basic mat back to overlap with the on the array; a plurality of basic mat formed mat body connected side-by-side vertical step of backstitching preset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aid base mat on the other side of the folded portion along a horizontal backstitching, said longitudinal direction of said vertical horizontal room backstitching backstitching separate sections formed by the mapping part optionally characterized stone protecting uncoil of mattress manufactur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