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LD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ROSS-LINKED POLYMERIC NATURAL SURFACTANT
본 발명은 가교 고분자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저자극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폴리에틸렌글라이콜(Poly Ethylene Glycol, PEG, 피이지)계 가교 고분자 천연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인체 독성 위험이 적으면서도 기존의 폴리에틸렌글라이콜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클렌징 화장료와 대등한 수준의 세정력을 구사할 수 있으며, 점증제를 사용하여 저온 안정성이 확보된 저자극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성분을 지우는 클렌징 제품은, 성상 별로 크림상, 유액상, 액상, 투명 젤상이 있으며, 타입 별로는 에멀젼 타입, 유성타입, 수성타입이 있어, 그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이용된다. 에멀젼 타입은 클렌징 로션과 크림이 대표적이며, 이들은 다량의 오일에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배합함으로써 클렌징 효과를 부여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에멀젼 타입은 유성성분이 20 내지 70 중량%를 차지하고 있어, 클렌징 효과가 우수하고 사용 시 부드러움과 마사지 효과가 뛰어난 장점이 있지만, 사용 후 피부에 오일 잔류량이 많아 물로 제거하기 어려우며, 티슈오프로 닦아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티슈오프(tissue-off)에 따른 물리적 자극에 의해 피부자극이 우려되며, 티슈로 닦아낸 후에도 유분감이 남아있어 폼클렌징인 비누를 사용하여 수성 세안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유성타입의 클렌징 오일은 거의 100 중량%의 오일을 포함하며 계면활성제가 함유되지 않은 것으로, 메이크업 제거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일본 공개특허 제1997-059140호). 그러나, 사용 후 피부에 오일 잔류량이 많아 티슈오프로 닦아내어야 하며, 이로 인한 피부 자극 등의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모두 다량의 오일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 이외, 수성타입으로 대표되는 클렌징 젤은, 다량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다량의 오일을 사용하는 마이크로에멀젼 젤 타입과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하는 클렌징 젤 타입이 있다(일본 공개특허 제2000-336014호). 마이크로에멀젼 젤 타입은 다량의 오일과 계면활성제로 세정력은 매우 우수한 편이지만, 뻑뻑한 사용감, 사용 후 피부에 오일의 잔류성 및 다량의 계면활성제 사용으로 인한 피부 자극성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젤 타입은 물에 대한 씻김성이 좋고 산뜻한 반면에, 메이크업 세정력이 다소 약하고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클렌징 제품에 있어 세정력을 주기 위하여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원료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Poly Ethylene Glycol, PEG) 계열의 계면활성제이다. 계면활성제는 하나의 분자 내에 친수성 부분과 친유성 부분이 동시에 존재하여 물과 기름의 경계면에 흡착해 그 경계면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세정제 또는 소량의 기름을 물에 투명하게 녹이게 하는 가용화제 그리고 기름과 물을 잘 섞이게 하는 유화제로서 사용된다. 대표적인 계면활성제는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폴리소르베이트20, 옥틸도데세스-16 등의 폴리에틸렌글라이콜(Poly Ethylene Glycol, PEG) 계열이다. 이는 알러지 및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있으나, 화장품 업계에서는 이러한 안전성의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지 못했으며 그보다 Leave-on제품의 유화력을 위해, 클렌징 제품의 세정력을 위해 폴리에틸렌글라이콜(Poly Ethylene Glycol, PEG)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선택하는 것에 이의가 없었다. 그러나, PEG계열의 물질에는 1,4-디옥산(1,4-dioxane)이 부산물로 생성되며 검출되는데 이는 국제암연구기관평가에 의하면 발암물질 그룹 2B(인체 발암 가능 물질; Possible carcinogenic to human)에 속하며 화장품에는 배합 금지 성분이다. 뿐만 아니라 PEG 구조 내에는 에틸렌 옥사이드가 포함되어 있는데, 에틸렌 옥사이드는 국제암연구기관평가에서 그룹1(인체에 발암성이 있음; Carcinogenic to human)로 분류되어 인체 발암성에 관련된다는 충분한 근거자료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화장품 업계에서는 안전성에 대해 간과한 채로 사용하고 있다. 무엇보다 클렌징 제품 내에 함유된 이러한 계면활성제가 보다 유해한 이유는 클렌징 제품의 특징인 피부 외곽의 각질을 제거함으로써 계면활성제의 피부 흡수력을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메이크업 화장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클렌징 화장료를 개발하려는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피이지(PEG; Poly Ethylene Glycol)-free의 가교 고분자계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여 이중세안이 필요하지 않을 만큼 인체 유해성이 적으며 소량으로도 클렌징력 또한 우수한 클렌징 화장료의 개발의 진행 상황은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체 유해성이 있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Poly Ethylene Glycol, PEG)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한 비-폴리에틸렌글라이콜(Poly Ethylene Glycol, PEG, 피이지)계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면서도 클렌징력이 우수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양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 1 내지 20 중량%; 점증제 0.1 내지 10 중량%; 및 정제수 60 내지 9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인체 유해성을 감소시키면서도 투명성과 세정력을 유지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특정한 가교 고분자 천연 계면활성제와, 냉장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점증제를 조합한 수성 화장료 조성물이 인체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고, 인체 자극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로서 비-폴리에틸렌글라이콜(non-Poly Ethylene Glycol, PEG) 계열의 계면활성제인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는 설포네이트기 또는 하이드록시기가 결합되고, 알칼리 이온으로 중화된 당계 가교 고분자 계면활성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계는 소듐 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라우릴글루코사이드 크로스폴리머, 솔비탄 올레이트 데실글루코사이드 크로스폴리머 등일 수 있다. 상기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조성물의 클렌징력을 유지 또는 증진시키기 위해 바람직하다.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는 비중이 커서 무겁기 때문에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투명성, 클렌징력 및 수성 제형의 안정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울 수 있으며, 1 중량% 미만인 경우 투명성, 클렌징력 및 제형 안정성이 미흡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acrylate crosspolymer)인 것이바람직하나, 계면활성제와 상용되어 투명하면서도 점도를 유지하여 냉장에서 석출되지 않도록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기만 하면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증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조성물의 냉장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상 바람직하다. 0.1 중량% 미만인 경우 냉장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투명성이 떨어지고 점도가 높아져 끈적거리는 사용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pH가 4.0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8.5,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 일 수 있다. pH가 4.0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안정성이 감소하여 석출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안 시 안자극이 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pH 조절을 위해 산도조절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도조절제로 젖산나트륨, 제삼인산나트륨, 제이인산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나트륨, 시트르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도조절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통상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 또는, 천연유래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 1 내지 20 중량%; 점증제 0.1 내지 10 중량%; 정제수 60 내지 95 중량%; 산도조절제; 및 보습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성분들과 해당 함량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 안전성, 세정력, 투명성, 저온 안정성 등의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비-폴리에틸렌글라이콜계의 가교 고분자 천연 가용화제를 사용하여 인체 독성 위험이 현저히 적으면서도 기존의 폴리에틸렌글라이콜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클렌징 화장료와 대등한 수준의 세정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점증제를 사용함으로써 저온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난 성분들을 원료로 하여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1.50 중량%와 정제수 60 중량%를 계량 후 디스퍼(disper)로 교반한 뒤 추가적으로 글리세린 5 중량%, 디프로필렌글라이콜 2 중량%, 프로판디올 2 중량%, 시트르산 0.04 중량% 및 잔량의 물을 계량 후 디스퍼(disper)로 교반하였다. 추가적으로 소듐 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라우릴글루코사이드 크로스폴리머 3 중량%를 계량 투입한 다음, 1000rpm으로 3분간 교반하여 제형을 완성하였다. <비교예 1 내지 5> 계면활성제 종류에 따른 인체 자극성 및 투명성과 세정력을 비교하는 실험을 하기 위해, 하기 표 2에 기재된 대로 실시예 1과 비교하여 계면활성제의 종류만을 달리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 내지 5의 제형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계면활성제 종류에 따른 인체 자극성의 비교 평가 방법 1 : 안 자극도 평가 안 자극도의 평가 방법은 HET-CAM Test(Hen's Egg Chorioallantoic Membrane) Procedure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정된 백색 계란 준비, 부화기에서 부화(10일), 부화 10일차 계란 준비 후 실험, 기낭 부분의 난각 제거, 융모 요막 제거, 시험 물질 적용, 혈관 반응의 시간 측정 순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평가 기준 각 시료들은 Balls et al.(1995)에서 적용된 방법과 같이 Irritation Index를 구하고, 이에 따라 score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상기 평가방법으로 안 자극도를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4에 기재된 결과로부터, 실시예 1의 제형은 비교예 1 내지 5의 제형에 비해 안 자극도가 현저하게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소듐 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라우릴글루코사이드 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는 제형의 경우 안 자극도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평가방법 2 : 피부 안전성 시험 피부에 나타나는 1차적인 자극의 객관적인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20~50세 미만의 건강한 피부를 가진 피험자 15명을 대상으로 시험을 진행하였다. 첩보지 챔버 내에 제품을 20㎕ 씩 적하시킨 후 1시간 동안 휘발성 물질을 휘발시켜서 피험자 등에 첩보를 부착하였다. 24시간 후 첩보를 제거하고 30분 후 판독을 시행하였다. 패치(Patch) 테스트 시험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볼 때, 실시예 1의 제형은 비교예 1 내지 5의 제형에 비해 피부 자극이 적었으며, 안전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소듐 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라우릴글루코사이드 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는 제형의 경우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계면활성제 종류에 따른 투명성의 비교 제형의 투명성, 즉 제형이 가용화되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낮은 온도에서의 석출 여부를 확인하고자, 상기 표 2의 실시예 1의 제형과 비교예 1 내지 5의 제형의 안정성을 4주간 관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냈다. 투명도- A: 좋음, B: 보통, C: 나쁨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5의 냉장 보관한 제형의 투명도를 비교한 결과, 비교예 1 내지 3의 제형은 불투명한 반면, 실시예 1 및 비교예 4와 비교예 5의 제형은 투명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폴리글리세릴류를 포함한 클렌징 워터는 가용화가 잘 되지 않아 냉장에서 석출되는 것을 알 수 있고, 소듐 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라우릴글루코사이드 크로스폴리머, 또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Poly Ethylene Glycol; PEG)를 포함하는 올리브오일피이지-7에스터와 피이지-6카프릴릭/카프릭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한 제형의 경우, 오일이 수용액에 잘 가용화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계면활성제 종류에 따른 세정력의 비교 계면활성제 종류에 따른 제형의 클렌징력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예 1의 제형과 비교예 1 내지 5의 제형의 클렌징력을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 평가는 27 내지 45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실시예 1의 제형, 비교예 1 내지 5의 제형에 대한 관능 평가를 조사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 : 20명 중 15명 이상이 「우수하다」라고 화답. ○ : 20명 중 10 내지 14명 이상이 「우수하다」라고 화답. △ : 20명 중 6 내지 9명 이상이 「우수하다」라고 화답. X : 20명 중 5명 이하가 「우수하다」라고 화답. 상기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폴리글리세릴류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비교예 1 내지 3의 제형에 비해 실시예 1의 제형의 클렌징력이 보다 뛰어나거나 유사하며, 피이지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비교예 5의 제형과 비교하여 실시예 1의 제형은 동등한 수준의 클렌징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6> 점증제 사용 여부에 따른 냉장 안정성 비교 실험 점증제 사용 여부에 따른 냉장 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해, 하기 표 8과 같이 실시예 1의 제형에서 점증제(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를 제외한 비교예 6의 제형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4> 점증제 함유 여부에 따른 냉장안정성의 비교 점증제 함유 여부에 따라 제형의 냉장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낮은 온도에서의 석출 여부를 확인하고자, 상기 표 9에 실시예 1의 제형과 비교예 6 제형의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투명도- A: 좋음(냉장에서 석출 안됨), B: 보통(냉장에서 소량 석출), C: 나쁨(냉장에서 다량 석출) 실시예 1과 비교예 6의 냉장 보관한 제형의 투명도를 비교한 결과, 비교예 6 의 제형은 불투명한 반면, 실시예 1 의 제형은 투명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점증제(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를 포함한 클렌징 워터는 냉장 안정성이 높아 냉장에서 석출되지 않고 투명한 것을 알 수 있고, 점증제를 함유하지 않은 제형의 경우 냉장 안정성이 불안하여 냉장에서 석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점증제 함유 여부에 따른 사용감의 비교 점증제 함유 여부에 따라 소비자들의 사용감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1의 제형과 비교예 6 제형의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 실시예 1의 제형, 비교예 6의 제형에 대한 관능 평가를 조사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 : 20명 중 15명 이상이 「산뜻하다」라고 화답. ○ : 20명 중 10 내지 14명 이상이 「산뜻하다」라고 화답. △ : 20명 중 6 내지 9명 이상이 「산뜻하다」라고 화답. X : 20명 중 5명 이하가 「산뜻하다」라고 화답. 상기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점증제(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를 함유한 실시예 1의 제형이 비교예 6 의 제형에 비해 산뜻하다는 응답 수가 많은 것으로 보아 사용감이 보다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composed of 1-20 wt% of an alkyl polyglycoside-based surfactant; 0.1-10 wt% of a thickener; and 60-95 wt% of purified water, with respect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The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is a transparent and water-based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which is hardly toxic to human body by containing a non-polyethylene glycol-based cross-linked polymeric natural solubilizer, shows cleansing functions at the same level of existing cleansing cosmetic ingredients containing polyethylene glycol-based surfactants, and secures low temperature stability by containing the thickener. COPYRIGHT KIPO 2018 Relative to the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writing nose side orgin number 1 to 20% by weight alkyl surfactants; distance number 0. 1 To 10% by weight; 60 to 95% by weight and a positive and a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a number be characterized. According to Claim 1, said writing nose side orgin number [...] sodium hydroxypropyl sulfonate surfactant is alkyl dimethicone cross polymer, oleyl light it will be burnt writing base nose side brush grief dimethicone cross polymer, a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or a mixture of these. According to Claim 1, since said number is acrylate/C10 provided 30 alkyl acrylate cross polymer, acrylate/C10 provided 30 alkyl acrylate cross polymer and polyacrylate -6 dimethicone cross polymer consisting of more than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a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said composition has a pH 4. 0 To 10 mm.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said composition further including adjusting pH number is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5, relative to the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said adjusting pH number is 0. 01 To 5% by weight of the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said moisturizer number is further including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원료명 배합비(중량%) 증점제상부 정제수1 60.00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1.50 수상부 정제수2 잔량 글리세린 5.0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2.00 프로판디올 2.00 시트르산 0.04 유상부 소듐 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라우릴글루코사이드 크로스폴리머 3.00 원료명(중량%)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정제수1 60.00 60.00 60.00 60.00 60.00 60.00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1.50 1.50 1.50 1.50 1.50 1.50 정제수2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글리세린 5.00 5.00 5.00 5.00 5.00 5.0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2.00 2.00 2.00 2.00 2.00 2.00 프로판디올 2.00 2.00 2.00 2.00 2.00 2.00 시트르산 0.04 0.04 0.04 0.04 0.04 0.04 소듐 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라우릴글루코사이드 크로스폴리머 3.00 폴리글리세릴-6라우레이트 3.00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3.00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3.00 올리브오일피이지-7에스터 3.00 피이지-6카프릴릭/카프릭글리세라이드 3.00 [Q] score Slightly irritating Moderately irritating Irritating Severely irritating ≤0.8 (이하) ○ 0.8 〈 Q 〈 1.2 ○ 1.2 〈 Q 〈 2.0 ○ 2.0 ≤ (이상) ○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안 자극도 0.21 0.35 0.57 0.42 1.35 0.98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자극지수 0.00 0.08 0.08 0.07 0.13 0.10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투명도 테스트 A C C C A A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클렌징력 ◎ △ △ ○ ○ ◎ 원료명(중량%) 실시예 1 비교예 6 정제수1 60.00 60.00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1.50 0 정제수2 잔량 잔량 글리세린 5.00 5.0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2.00 2.00 프로판디올 2.00 2.00 시트르산 0.04 0.04 소듐 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라우릴글루코사이드 크로스폴리머 3.00 3.00 실시예 1 비교예 6 냉장 안정성 A C 실시예 1 비교예 6 사용감 ◎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