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L SYSTEM FOR REMOTE AREAS
본 발명은 오지를 위한 레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을 통해 이동수단이 이동될 수 있고, 물, 전기를 제공하여 산불을 용이하게 진화할 수 있는 오지를 위한 레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간접자본에 의한 고속도로, 산업도로, 각종 교량 및 터널 등이 활발한 건설이 이루어지고 있고, 산악 지력의 도로, 터널 및 교량 등에서는 매년 폭설 또는 집중 호우에 의한 도로 유실로 인해 경제적 손실이 늘어나고 있다. 이를 위해 외국에서는 안전성, 경제적, 환경적 측면을 고려한 시스템을 개발하여 원활한 차량 운행을 도모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많은 산악지형으로 인해 적절한 대책 마련이 지연되고 있다. 본 발명은 레일을 통해 이동수단이 이동될 수 있고, 물, 전기를 제공하여 산불을 용이하게 진화할 수 있는 오지를 위한 레일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막에 설치되는 태양광발전 사업장에 물자를 효과적으로 수송하기 위한 레일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조한 사막지역에 녹화를 실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레일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블럭(10); 상기 고정블럭(10)의 좌/우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유닛(20); 상기 고정유닛(20)의 상측에 고정되는 지지유닛(30); 상기 지지유닛(30) 상측에 고정되고, 이송수단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레일(42)이 설치된 레일유닛(40); 상기 지지유닛(30) 및 상기 레일유닛(40) 사이에 설치된 배관유닛(50)을 포함하는 레일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블럭(10)은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20)은 상기 고정블럭(10)에 고정되는 블록고정부(22); 상기 지지유닛(30)에 고정되는 지지고정부(24); 상기 블럭고정부(22) 및 상기 지지고정부(24)를 연결시켜 상기 지지고정부(24)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분산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20)은 상기 관통부(12)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고정부(24)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 1 고정부재(23); 상기 제 1 고정부재(23)의 단측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고정부(24)에 지지되는 제 2 고정부재(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30)은 상기 고정유닛(20)의 블럭고정부(22)에 고정되는 제 1 지지부(32); 상기 레일유닛(40)에 고정되는 제 2 지지부(34); 상기 제 1, 2 지지부(32)(34)를 연결시켜 하중을 전달하는 기둥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유닛(40)은 상기 지지유닛(30)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지지유닛(3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는 레일서포터(42); 상기 레일서포터(42) 상측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유닛(3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레일(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유닛(50)은 상기 고정유닛(20) 및 레일유닛(40) 사이에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유닛(3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장치는 레일을 통해 이동수단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제공하여 인력 또는 자원의 수송을 용이하게 수송할 수 있고, 배관유닛을 통해 공급되는 물 또는 전기 등을 이용하여 레일장치 주변에서 발생되는 산불 또는 응급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일장치는 레일을 다양한 레저산업에 활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근 지역의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일장치는 응급환자의 발생 시 이동수단을 통해 환자를 효과적으로 구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일장치는 지면의 구배에 대응되도록 지지유닛을 벤딩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산악지역 또는 사막지역과 같은 오지에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설치 시 물, 전기, 가스 등을 일체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막에 설치되는 태양광발전 사업장에 물자를 효과적으로 수송할 수 있고, 건조한 사막지역에 물을 공급하여 녹화를 실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레일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이동수단이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고정블럭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측면도 도 6은 도 2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레일장치가 도시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이동수단이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고정블럭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장치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블럭(10)과, 상기 고정블럭(10)의 좌/우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유닛(20)과, 상기 고정유닛(20)의 상측에 고정되는 지지유닛(30)과, 상기 지지유닛(30) 상측에 고정되고, 이송수단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레일(42)이 설치된 레일유닛(40)과, 상기 지지유닛(30) 및 상기 레일유닛(40) 사이에 설치된 배관유닛(5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블럭(10)은 본 실시예에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부(12)가 형성되고, 하측이 지면에 매립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부(12)는 내부에 원형의 중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11)을 형성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배관(13)이 삽입된다. 상기 관통배관(13)은 상기 관통블럭(10)의 제작 시 삽입되어 상기 고정블럭(10)과 일체로 제작되고, 상기 관통배관(13)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고정블럭(10)의 강도를 대폭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관통부(12)는 상기 관통블럭(10)의 제작 시 원통형의 몰드를 삽입한 후 분리하여 상기 중공(11) 만이 형성되도록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관통부(12)는 상기 고정유닛(20)을 상기 관통블럭(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고정유닛(20)은 상기 고정블럭(10)에 고정되어 상기 레일유닛(40) 및 지지유닛(30)의 하중을 상기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유닛(20)은 상기 고정블럭(10)에 고정되는 블럭고정부(22)와, 상기 지지유닛(30)에 고정되는 지지고정부(24)와, 상기 블럭고정부(22) 및 상기 지지고정부(24)를 연결시켜 상기 지지고정부(24)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분산부(26)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유닛(20)은 상기 고정블럭(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가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20)은 지면과 수직한 단면이 직각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빗면이 상기 하중분산부(26)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유닛(20)은 고정부재(21)를 통해 상기 관통부(12)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블럭(10)에 고정되고, 본 실시예에서 2개의 고정유닛(20)이 상기 고정블럭(10)의 좌, 우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21)가 상기 좌측 및 우측 고정유닛(20)을 연결시켜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21)는 상기 관통부(12)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고정부(24)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 1 고정부재(23)와, 상기 제 1 고정부재(23)의 단측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고정부(24)에 지지되는 제 2 고정부재(2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고정부재(23)는 볼트이고, 상기 제 2 고정부재(25)는 너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2 고정부재(23)(25)는 체결되는 대신 용접되어도 무방하고, 용접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부재(23)가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고정부(24)를 관통한 일측과 상기 지지고정부(24)를 직접 용접하여도 무방하고, 상기 제 2 고정부재(25)를 체결시킨 상태로 용접을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지지유닛(30)은 본 실시예에서 H빔 또는 I빔이 사용되고, 상기 고정유닛(20)의 블럭고정부(22)에 고정되는 제 1 지지부(32)와, 상기 레일유닛(40)에 고정되는 제 2 지지부(34)와, 상기 제 1, 2 지지부(32)(34)를 연결시켜 하중을 전달하는 기둥부(36)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지지부(32)와 상기 블록고정부(22)를 고정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33) 및 너트(35)를 통한 체결고정이 사용되고, 본 실시예와 달리 용접으로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기둥부(36)는 상기 레일유닛(40)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레일유닛(40)의 편심 하중에 등에 의한 비틀림이 발생될 때 탄성변형되면서 이를 해소시킨다. 상기 지지유닛(30)은 상기 좌/우 고정유닛(20)에 각각 설치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 지지유닛 및 우측 지지유닛이라고 지칭한다. 상기 레일유닛(40)은 상기 좌/우 지지유닛(30)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지지유닛(3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는 레일서포터(42)와, 상기 레일서포터(42) 상측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유닛(3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레일(44)을 포함한다. 상기 레일서포터(42)는 본 실시예에서 각관의 형태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사각형태의 각관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4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서포터(42)는 다수개가 사기 지지유닛(3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게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다수개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레일서포터(42)는 상기 지지유닛(30) 고정되고, 용접 또는 체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레일(44)은 상기 지지유닛(3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레일(44)을 따라 이동수단(100)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100)은 상기 레일(44)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레일바이크, 궤도차량, 트레인 등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배관유닛(50)은 전기, 가스, 물 등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배관, 가스배관 또는 수도배관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관유닛(50)은 상기 고정유닛(20) 및 레일유닛(40) 사이에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유닛(30)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유닛(30)은 이동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 상기 지지유닛(30)에 상기 배관유닛(50)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지지부(32)에 고정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장치는 전기/가스/물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레일장치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장치는 높낮이가 형성된 계곡과 같은 지형에서 지지유닛(30)을 벤딩하여 연결시킴으로서 지면의 구배에 적합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장치는 주변 굴착이 어려운 환경에서의 설치예시이다. 주변 굴착이 어려운 경우, 상기 고정블럭(10)을 고정시키기 위해 지면에 수평하게 서포터블럭(15)이 설치되고, 상기 서포터블럭(15)에 상기 고정블럭(10)을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서포터블럭(15)은 상기 관통부(12)를 통해 상기 고정블럭(10)에 고정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블럭(10)의 좌우에 각각 서포터블럭(15)을 설치하고, 상기 각 서포터블럭(15) 및 고정블럭(10)을 상기 관통부(12)를 통해 고정시켜 일체화시킨다. 상기 서포터블럭(15) 및 고정블럭(10)은 상술한 제 1, 2 고정부재(23)(25)를 통해 고정하고, 본 실시예와 달리 와이어 또는 이형철근 등을 통해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서포터블럭(15)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부(17)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17)에 제 1 고정부재(23) 또는 이형철근 등을 삽입하여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장치는 상기 다른 실시예와 같이 서포터블럭(15)을 통해 상기 고정블럭(10)을 고정시키되, 상기 서포터블럭(15)이 측부의 지면에 고정된다. 즉, 지면 굴착이 어렵고 고정블럭(10) 측부에 비탈면이 있는 경우, 상기 고정블럭(10)이 고정된 서포터블럭(15)을 측부의 비탈면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서포터블럭(15)은 이형철근, 와이어, 또는 제 1 고정부재(23) 등 다양한 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다른 실시예와 동일한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rai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it path over which a transit means can be moved along rails so as to facilitate the transport of manpower or resources. Water, electricity, or the like supplied through a pipeline unit can be used for the effective response to a forest fire o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in the vicinity of the rail system.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블럭(10); 상기 고정블럭(10)의 좌/우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유닛(20); 상기 고정유닛(20)의 상측에 고정되는 지지유닛(30); 상기 지지유닛(30) 상측에 고정되고, 이송수단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레일(42)이 설치된 레일유닛(40); 상기 지지유닛(30) 및 상기 레일유닛(40) 사이에 설치된 배관유닛(50)을 포함하는 레일장치.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10)은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부(12)가 형성된 레일장치.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20)은 상기 고정블럭(10)에 고정되는 블록고정부(22); 상기 지지유닛(30)에 고정되는 지지고정부(24); 상기 블럭고정부(22) 및 상기 지지고정부(24)를 연결시켜 상기 지지고정부(24)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분산부(26)를 포함하는 레일장치.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20)은 상기 관통부(12)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고정부(24)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 1 고정부재(23); 상기 제 1 고정부재(23)의 단측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고정부(24)에 지지되는 제 2 고정부재(25)를 포함하는 레일장치.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30)은 상기 고정유닛(20)의 블럭고정부(22)에 고정되는 제 1 지지부(32); 상기 레일유닛(40)에 고정되는 제 2 지지부(34); 상기 제 1, 2 지지부(32)(34)를 연결시켜 하중을 전달하는 기둥부(36)를 포함하는 레일장치.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유닛(40)은 상기 지지유닛(30)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지지유닛(3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는 레일서포터(42); 상기 레일서포터(42) 상측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유닛(3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레일(44)을 포함하는 레일장치.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유닛(50)은 상기 고정유닛(20) 및 레일유닛(40) 사이에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유닛(30)에 배치된 레일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