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GICAL RETRACTOR

17-07-2014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WO2014109441A1
Принадлежит: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Контакты:
Номер заявки: KR52-00-201396
Дата заявки: 17-06-2013

수술용 견인장치
[1]

본 발명은 수술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기 또는 조직의 견인을 위한 별도의 절개 부위가 요구되지 않으면서, 원격으로 체내의 장기 또는 조직을 견인할 수 있는 수술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2]

일반적으로 환자 치료를 위한 기존의 개복 절개 수술의 경우, 절개 부위가 크고 수술 시 발생하는 출혈량이 커서 수술 이후의 환자 회복이 더디고, 수술 후 커다란 흉터가 남게 되어 환자의 이후 생활에도 지장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은 개복 절개 수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복강경 수술도구를 이용한 최소 침습 수술(Minimal Invasive Surgery; MIS)의 새로운 수술 기법이 개발되고 있다.

[3]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7-0000408호(2007. 04. 06. 공개, 고안의 명칭 : 방오 기능을 갖는 LED 조명이 부착된 추질경 리트랙터의 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4]

종래에는 체내의 장기 또는 조직을 견인하기 위해 별도의 절개 부위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절개 부위가 늘어나게 되어 수술 이후 회복이 더디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5]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장기 또는 조직의 견인을 위한 별도의 절개 부위가 요구되지 않으면서, 원격으로 체내의 장기 또는 조직을 견인할 수 있는 수술용 견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7]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견인장치는: 체내에 삽입되는 이동몸체부; 체내에서 상기 이동몸체부와 연결되고, 체내의 대상체를 견인하는 후크부; 및 체외에서 상기 이동몸체부의 체내 이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8]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부는 자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몸체부는 상기 조작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체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자석부에 달라붙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9]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부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장착된다.

[10]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석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장착턱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11]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크부는, 일측이 상기 이동몸체부와 연결되는 스트링부; 및 상기 스트링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대상체를 후킹하는 후크를 포함한다.

[12]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부의 체외에서의 이동에 따른 상기 이동몸체부의 체내에서의 이동 시, 상기 대상체를 후킹한 후크와 상기 이동몸체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스트링부에 장력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후크는 상기 대상체를 견인한다.

[13]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크는 낚시 바늘 형상으로 형성된다.

[14]

본 발명에 따르면 수술용 기구에 앞서 삽입된 후크와 스트링부에 의해 체내의 장기 또는 조직이 견인되므로, 장기 또는 조직의 견인을 위한 별도의 절개 부위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15]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체외에 배치되는 조작부을 통해 체내에 배치되는 이동몸체부의 이동을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수술 시 후크를 장기 또는 조직에 용이하게 접근시킬 수 있고, 수술을 위한 시야 확보가 가능하다.

[16]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링부와 후크만으로 체내의 장기 또는 조직의 견인을 이룰 수 있으므로, 체내에 삽입되는 견인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음에 따라, 견인장치의 소독이나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다.

[17]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8]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19]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2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에서 후크부가 대상체에 후킹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21]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에서 조작부의 이동에 따라 후크부가 대상체를 견인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22]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에서 조작부의 이동에 따라 복수개의 후크부가 대상체를 견인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23]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견인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24]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25]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에서 후크부가 대상체에 후킹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에서 조작부의 이동에 따라 후크부가 대상체를 견인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에서 조작부의 이동에 따라 복수개의 후크부가 대상체를 견인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26]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는 이동몸체부(100), 후크부(200), 조작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7]

이동몸체부(100)는 체내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내는 복벽(B)의 내부를 지칭한다. 이동몸체부(100)는 수술용 기구에 앞서 복벽(B)의 내부에 먼저 삽입된다.

[28]

이동몸체부(100)는 조작부(300)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되도록 조작부(300)와의 사이에 인력이 형성되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9]

이동몸체부(100)는 이동부(110)와 고리부(120)를 포함한다. 이동부(110)는 조작부(300)와의 사이에 인력이 형성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고리부(120)는 이동부(110)의 하부(도 3 기준)에 연결되고,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리부(120)에는 후술할 스트링부(210)가 묶임 등의 방법으로 결합된다.

[30]

후크부(200)는 복벽(B)의 내부에서 이동몸체부(100)와 연결되고, 장기 또는 조직과 같은 대상체(O)를 견인한다. 구체적으로, 후크부(200)는 스트링부(210)와 후크(220)를 포함한다.

[31]

스트링부(210)는 일측이 이동몸체부(100), 구체적으로 고리부(120)와 연결되고, 타측이 후크(220)와 연결된다. 스트링부(210)는 복벽(B)의 내부에서 무한 자유도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대표적으로 줄로 이루어질 수 있다.

[32]

이처럼 스트링부(210)는 무한 자유도를 갖기 때문에 대상체(O)를 원하는 방향으로 견인할 수 있다. 이는 수술을 위한 공간 확보에 있어 큰 이점으로 작용한다.

[33]

이동몸체부(100)에 연결되는 스트링부(210)의 길이는 복벽(B)의 내부 구조와 수술 상황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 즉, 스트링부(210)는 단순하게 일측이 고리부(120)에 연결되고, 타측이 후크(220)에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고리부(120) 또는 후크(220)에 연결되는 부위를 변경함으로써 스트링부(210)의 길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34]

또한, 스트링부(210)는 고리부(120)에 묶임 결합되면서 고리부(120)에 연결되므로, 고리부(120)에의 결합이 용이할 뿐 아니라 고리부(12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스트링부(21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복벽(B)의 내부 구조 등을 고려한 스트링부(21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35]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후크(220)는 대상체(O)를 후킹하고, 스트링부(210)를 통해 이동몸체부(100)와 연결된다. 따라서 이동몸체부(100)의 이동에 의해 스트링부(210)에 장력이 형성되어 스트링부(210)가 팽팽하게 당겨지면 후크(220)는 이동몸체부(100)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36]

이와 동시에 후크(220)가 후킹하고 있는 대상체(O) 또한 이동몸체부(100)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대상체(O)는 견인된다. 물론 대상체(O)의 견인은 대상체(O)에 손상이 가지 않을 정도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다.

[37]

후크(220)는 낚시 바늘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절개 부위나 자연 개구부 등으로 삽입된 그리퍼 등을 이용하여 후크(220)를 대상체(O)에 후킹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38]

조작부(300)는 복벽(B)의 외부에서 복벽(B)의 내부에 삽입된 이동몸체부(100)의 이동을 조작한다. 복벽(B)을 사이에 두고 조작부(300)는 이동몸체부(100)의 이동을 조작하여야 하므로, 조작부(300)와 이동몸체부(100) 사이에는 설정값 이상의 인력이 형성되어야 한다.

[39]

이를 위해 조작부(300)는 자성을 갖는 자석부(330)를 포함하고, 이동몸체부(100)의 이동부(110)는 자석부(330)와의 사이에 설정값 이상의 인력이 형성되도록 자석부(330)에 달라붙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40]

여기서 설정값 이상의 인력이란 체외에서의 조작부(300)의 이동 시에 체내에서 이동부(110)가 조작부(300)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기 위한 정도의 인력을 의미한다.

[41]

일예로, 조작부(300)와 이동부(110) 사이의 인력은 복벽(B)을 사이에 두고도 조작부(300)가 이동부(110)를 자유자재로 이동시킬 수 있을 정도여야 한다.

[42]

조작부(300)는 하우징부(310)와 볼부(320)를 더 포함한다.

[43]

하우징부(310)는 조작부(300)의 외형을 이루고, 내부에 장착턱부(311)가 형성된다. 장착턱부(311)는 하우징부(3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자석부(330)가 위치 고정되도록 자석부(33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44]

하우징부(310)의 상부에는 도어부(315)가 구비된다. 도어부(315)는 먼지나 이물질 등이 하우징부(3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우징부(310) 상부의 개방홀부를 폐쇄한다.

[45]

자석부(330)는 하우징부(310)의 내부, 구체적으로 장착턱부(31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에 따라 자석부(330)의 위치 고정은 물론, 교체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46]

자석부(330)의 교체는 복벽(B)의 두께에 기인한다. 즉, 사람마다 복벽(B)의 두께가 다르므로, 자석부(330)와 이동부(110) 사이에 적절한 인력을 형성하기 위해 자석부(330)의 자성의 크기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자석부(330)는 하우징부(310)의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그리고 교체가 용이하도록 장착턱부(311)에 장착된다.

[47]

볼부(320)는 하우징부(310)의 일면, 구체적으로 복벽(B)과 마주하는 하우징부(310)의 밑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하우징부(310)와 복벽(B) 사이의 마찰을 저감할 수 있다. 이로써 통상 복벽(B)의 외벽에 접하여 사용되는 하우징부(310)의 이동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다.

[48]

본 실시예에서, 이동몸체부(100)에 1개의 후크부(200)가 연결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이동몸체부(100)에는 복수개의 후크부(200)가 동시에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복수개의 후크부(200)로 견인력이 분산되므로 대상체(O)의 견인을 보다 쉽게 이룰 수 있다.

[49]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술용 견인장치는 수술용 기구에 앞서 삽입된 후크부에 의해 체내의 장기 또는 조직이 견인되므로, 장기 또는 조직의 견인을 위한 별도의 절개 부위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50]

또한, 본 발명의 수술용 견인장치는 원격으로 체내의 장기 또는 조직을 견인할 수 있으므로, 수술 시 장기 또는 조직으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수술을 위한 시야 확보가 가능하다.

[51]

또한, 본 발명의 수술용 견인장치는 스트링부와 후크만으로 체내의 장기 또는 조직의 견인을 이룰 수 있으므로, 체내에 삽입되는 견인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음에 따라, 견인장치의 소독이나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다.

[52]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gical retractor comprising: a movable body part which is inserted into a body; a hook part which is connected with the movable body part inside the body and pulls out an object that is inside of the body; and an operating part for operating,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part inside the body.

[2]



체내에 삽입되는 이동몸체부;

체내에서 상기 이동몸체부와 연결되고, 체내의 대상체를 견인하는 후크부; 및

체외에서 상기 이동몸체부의 체내 이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견인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자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몸체부는 상기 조작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체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자석부에 달라붙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견인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견인장치.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장착턱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견인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일측이 상기 이동몸체부와 연결되는 스트링부; 및

상기 스트링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대상체를 후킹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견인장치.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체외에서의 이동에 따른 상기 이동몸체부의 체내에서의 이동 시, 상기 대상체를 후킹한 후크와 상기 이동몸체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스트링부에 장력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후크는 상기 대상체를 견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견인장치.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낚시 바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견인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