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ORIMETER MODULE CAPABLE OF REAL TIME ZERO CALIBRATION, AND COLOR METER USING SAME
본 발명은 색상계측기에 관한 것으로서, 컬러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체에 대한 특성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노광시간동안 환경요인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색차계모듈 및 이를 이용한 색상계측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 세계 모니터시장은 CRT에서 LCD모니터로, LCD에서 LED 모니터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특히 대형 LED모니터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서 생산량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의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생산품질도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 작용하며 이에 대한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장치들이 개발되어 왔다. 특히, LCD 나 LED 등의 디스플레이에서 표현되는 색이 실제로 출력하려는 색을 잘 나타내었는가에 대해서 측정하는 색차계들이 개발되었다. 일반적인 색차계는 광 감지부로 구성된 감지센서를 통해 입사되는 빛의 색상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광 감지부의 특성 상 외부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라 검출되는 수치가 변화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색차계의 사용 직전에 영점을 수시로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특히 종래에는 정확한 측정값을 위해 측정환경에서 반드시 입사되는 빛을 완전히 차단시킨 후 영점을 조절해야 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색상계측기는 어두운 커버 또는 바닥면에 접촉시켜 빛이 내부로 입사되지 않도록 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영점을 조절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이 영점을 조절한 후 측정대상으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색상을 계측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영점을 조절하는 경우, 색상의 측정 시 항상 영점을 수시로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영점 조절 후 색상이 계측되는 동안 온도나 습도변화에 의해 측정되는 값이 변화하여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색상계측기에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회로에서 누설되는 전류가 외부환경요인의 변화에 의해 크게 변화하므로 색상계측이 정확하게 되지 않았다. 또한,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영점조절을 하는 경우 생산현장에서 수시로 영점조절을 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색상계측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내부에 메인감지유닛과 별도로 어두운 상태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측정하는 별도의 서브감지유닛을 구비하여 측정되는 빛의 색상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색차계모듈 및 이를 이용한 색상계측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색상계측기는, 내부에 수광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서 내부 방향으로 복수 개의 렌즈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며, 측정대상물에서 빛이 출사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출사된 빛을 내부로 전달하는 입광렌즈 모듈 및 입광렌즈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전달받아 색상에 따라 전류를 발생시키는 광 감지부와 상기 광 감지부에서 발생된 제1전류를 측정하는 제1측정부를 포함하는 메인감지유닛, 상기 메인감지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빛을 차단하여 어두운 상태에서 전류를 발생시키는 다크감지부와 상기 다크감지부에서 발생된 제2전류를 측정하는 제2측정부를 포함하는 서브감지유닛, 상기 제2측정부에 구비되어 기 설정된 설정전류가 충전되는 충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부에서 누설되는 제3전류를 측정하는 누설측정유닛 및 상기 서브감지유닛에서 측정된 상기 제2전류와 상기 누설측정유닛에서 측정된 상기 제3전류를 반영하여 상기 제1전류를 보정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색차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부는 상기 메인감지유닛이 빛을 받아 상기 제1전류가 발생되는 시간 동안 충전된 전류가 감소하며 상기 제3전류가 누설되고,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설측정유닛은 상기 입광렌즈로부터 빛을 전달받아 색상을 계측하는 동안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상기 설정전류에서 상기 제3전류가 누설되고, 색상의 계측이 종료된 후 상기 충전부에 남아있는 잔류전류가 모두 제거되며, 다시 상기 충전부에 상기 설정전류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누설측정유닛은 상기 설정전류와 상기 잔류전류 차이를 측정하여 누설된 상기 제3전류의 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측정부는 상기 제2측정부와 동일한 형태의 누설측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감지유닛은 상기 메인감지유닛이 외부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과 동일한 조건의 영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감지유닛은 적어도 세 개 이상의 광 감지부를 구비하며 각각이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색차계모듈은 상기 메인감지유닛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감지유닛과 연통되어 입사되는 빛을 상기 메인감지유닛으로 전달하는 연통구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상기 연통구 내부에 구비되어 입사되는 빛 중에서 특정 파장의 빛 만을 투과시키는 컬러필터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광 감지부에 입사되는 빛이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도록 하는 필터링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광렌즈 모듈과 상기 색차계모듈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입광렌즈 모듈로부터 입사된 빛을 분배하여 상기 색차계모듈로 전달하는 광 분배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색차계모듈은 입광렌즈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전달받아 색상에 따라 전류를 발생시키는 광 감지부와 상기 광 감지부에서 발생된 제1전류를 측정하는 제1측정부를 포함하는 메인감지유닛, 상기 메인감지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빛을 차단하여 어두운 상태에서 전류를 발생시키는 다크감지부와 상기 다크감지부에서 발생된 제2전류를 측정하는 제2측정부를 포함하는 서브감지유닛, 상기 제2측정부에 구비되어 기 설정된 설정전류가 충전되는 충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부에서 누설되는 제3전류를 측정하는 누설측정유닛 및 상기 서브감지유닛에서 측정된 상기 제2전류와 상기 누설측정유닛에서 측정된 상기 제3전류를 반영하여 상기 제1전류를 보정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부는 상기 메인감지유닛과 상기 서브감지유닛이 빛을 받아 전류가 발생되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충전된 전류가 감소하며 상기 제3전류가 누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누설측정유닛은 상기 입광렌즈로부터 빛을 전달받아 상기 제1측정부에서 상기 제1전류를 측정하는 동안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상기 설정전류에서 상기 제3전류가 누설되는 제1측정과정 및 상기 제1과정이 종료된 후 상기 충전부에 남아있는 잔류전류가 모두 제거되는 제2측정과정을 거치며 누설되는 상기 제3전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설측정유닛은 상기 설정전류와 상기 잔류전류 차이를 측정하여 누설된 상기 제3전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전류는 하기에 의해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계산식1] DΔ = Dc - Dd (DΔ = 제3전류, Dc = 설정전류, Dd = 잔류전류)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전류와 상기 제3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전류를 보정하며, 보정된 상기 제1전류를 통해 상기 입광렌즈로부터 상기 메인감지유닛에 입사된 빛의 색상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하기에 의해 상기 제1전류를 보정하여 상기 메인감지유닛으로 입사된 빛의 색상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할 수 있다. [계산식2] A` = A - Ad - DΔ (A` = 보정된 제1전류, A = 제1전류, Ad = 제2전류, DΔ = 제3전류) 또한, 상기 제1측정부는 상기 제2측정부에 구비된 동일한 형태의 상기 누설측정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감지유닛은 상기 메인감지유닛이 외부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과 동일한 조건의 영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감지유닛은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제1측정부를 구비하며 각각이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감지유닛의 전방에 구비되어 각각의 상기 광 감지부에 입사되는 빛이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도록 하는 별도의 필터링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링유닛은 상기 메인감지유닛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감지유닛과 연통되어 입사되는 빛을 상기 메인감지유닛으로 전달하는 연통구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상기 연통구 내부에 구비되어 입사되는 빛 중에서 특정 파장의 빛 만을 투과시키는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색상계측기에서 입사되는 빛에 의해 발생되는 제1전류를 측정하는 메인감지유닛과 함께 어두운 상태에서 발생되는 제2전류를 측정하는 서브감지유닛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영점조절 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감지되는 제1전류와 제2전류의 상대적 비교를 통해 정확한 색상을 계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메인감지유닛과 서브감지유닛 각각에 동일한 구조의 누설측정유닛을 구비하며, 누설측정유닛이 서브감지유닛에서 누설되는 제3전류를 측정하여 제1전류를 보정함으로써, 제1전류에서 누설된 전류량을 제거하여 메인감지유닛에 입사된 빛의 색상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별도로 영점조절을 하지 않고 메인감지유닛과 서브감지유닛이 동시에 제1전류와 제2전류를를 측정하기 때문에 시간차에 의해서 검출되는 값이 변화하지 않아 계측되는 색상의 정확도 및 신뢰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던 색상계측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상계측기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색상계측기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색상계측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의 색상계측기에서 색차계모듈이 빛을 감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의 색상계측기에서 메인감지유닛과 서브감지유닛에 각각 설치된 누설측정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메인감지유닛에서 감지된 자극값이 외부요인의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누설전류에 의해 변화하는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도 7의 실험을 위해 시간에 따른 외부조건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도 6의 누설측정유닛에서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도 6의 메인감지유닛에 빛이 입사되어 검출된 자극값을 보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도 2의 색차계모듈에서 메인감지유닛, 서브감지유닛 및 누설측정유닛 각각에서 감지된 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극값을 나타낸 그래프; 및 도 12는 도 11의 감지된 신호를 제어유닛에서 보정하여 나타낸 자극값의 그래프.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색차계모듈 및 이를 이용한 색상계측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예를 통해서 좀더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상계측기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상계측기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색상계측기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색상계측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의 색상계측기에서 색차계모듈이 빛을 감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색상계측기에서 메인감지유닛과 서브감지유닛에 각각 설치된 누설측정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상계측기(100)의 구성은 크게 케이스(300), 입광렌즈 모듈(200), 색차계모듈(400) 및 광 분배모듈(50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300)는 전체를 감싸며 내부에 수광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입광렌즈 모듈(200)이 배치된다. 그리고 내부에 광 분배모듈(500) 및 색차계모듈(400)이 배치되며, 각각은 별도로 분리되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300) 내부에는 입광렌즈 모듈(200)과 인접하게 배치된 원통형태의 광 분배모듈(500) 및 색차계모듈(400)이 구비된다. 상기 입광렌즈 모듈(200)은 상기 케이스(300)의 일측에서 측정대상물(D)에서 빛이 출사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출사된 빛을 내부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입광렌즈 모듈(200)은 복수 개의 서로 다른 렌즈가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측정대상물(D)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집광하여 상기 케이스(300) 내부로 전달한다. 광 분배모듈(500)은 상기 입광렌즈 모듈(200)과 상기 색차계모듈(4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입광렌즈 모듈(200)로부터 입사된 빛을 분배하여 상기 색차계모듈(400)로 전달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색을 측정할 때 세 가지의 자극값을 이용하여 색상을 계측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 분배모듈(500)은 입사된 빛과 동일한 파장 및 세기를 가지는 빛을 분할하여 색차계모듈(400)로 전달하며, 전달된 빛은 별도의 컬러필터(434: 도 5참조)에 의해 세 개의 광 감지부(412) 각각으로 전달되는 빛이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며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 분배모듈(5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통형 커버 내부에 구비되며 원통형 커버가 케이스(300)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일측이 입광렌즈 모듈(200)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타측이 색차계모듈(400)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광 분배모듈(5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광섬유(510: 도 5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되었으며, 상기 광섬유(510)는 상기 입광렌즈 모듈(200)을 통해서 입광된 빛을 상기 광섬유(510)로 전달하기 위한 광 전달부(520: 도 5참조)가 구비된다. 상기 광 전달부(520)는 상기 입광렌즈 모듈(200)을 통해서 입사된 빛을 수광하여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510)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광 전달부(520)는 일반적으로 상기 입광렌즈 모듈(200)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입광렌즈 모듈(200)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모두 수광하기 위해서 상기 입광렌즈 모듈(200)은 입광되는 빛을 굴절시켜 상기 광 전달부(520)로 전달한다. 상기 광섬유(510)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측이 서로 밀집하게 배치되어 상기 광 전달부(520)와 연결되며 상기 광 전달부(520)를 통해서 입광된 상기 광섬유(510)로 전달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상기 광섬유(510) 타측은 크게 세 개의 군으로 나누어져 각각의 군은 동일한 크기 및 개수의 광섬유(510)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색차계모듈(400)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510)는 모두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어 타측이 세 개의 군으로 나누어지며 각각의 군이 모두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광섬유(510)가 모두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짐으로써, 타측이 세 개의 군으로 나누어 지더라도 동일한 개수를 유지한다면 각각의 상기 색차계모듈(400)에 전달되는 빛이 동일한 파장과 세기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특별히 이러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섬유(510) 각각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더라도 상기 색차계모듈(400) 각각에 모두 동일한 파장 및 세기의 빛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면 어떤 형태로 구성되더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광 분배모듈(500)은 상기 입광렌즈 모듈(200)과 상기 색차계모듈(400) 사이에서 입광된 빛을 균등하게 상기 색차계모듈(400) 각각으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광 분배모듈(500)이 상기 광섬유(510)를 사용함으로써 소실되는 빛을 줄일 뿐만 아니라,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색차계모듈(400)과 상기 광 분배모듈(500)이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아도 되어 공간의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색차계모듈(400)은 상기 입광렌즈 모듈(200)로부터 입사된 빛을 감지하여 해당 파장의 빛의 색상을 측정하는 것으로써, 크게 메인감지유닛(410), 서브감지유닛(420), 누설측정유닛(440) 및 상기 제어유닛(미도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메인감지유닛(410)는 입광렌즈 모듈(200)을 통해 입사된 빛을 전달받아 색상을 감지하는 구성으로써,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감지부(412)를 구비하여 광 감지부(412) 및 광 감지부(412)에서 빛의 감지에 의해 발생된 제1전류(A)를 측정하는 제1측정부(41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감지부(412)는 케이스(300) 내부에서 입광렌즈 모듈(200)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전달받아 색상에 따라 전류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광 감지부(412)는 빛을 수광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일종의 센서로서 포토다이오드가 사용되며, 입광렌즈 모듈(200)을 통해 입사된 빛을 수광하여 수광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수신된 전기적 신호는 별도의 외부장치에 의해서 수신된 빛의 색상을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그리고 제1측정부(414)는 광 감지부(412)에서 빛을 감지하여 발생된 제1전류(A)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광 감지부(412)로 입사된 빛의 파장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 감지부(412)로 입사된 빛에 의해 발생된 제1전류(A)를 감지하여 측정하는 구성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정부(414)는 제1전류(A)를 증폭하는 증폭회로(414a) 및 ADC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인감지유닛(410)는 광 감지부(412) 및 제1측정부(414)를 포함하여 입광렌즈 모듈(200)로부터 입사된 빛에 따라 제1전류(A)를 측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감지유닛(4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광 감지부(412)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은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1측정부(414) 역시 광 감지부(412)와 함께 세 개로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광 분배모듈(500)에 의해서 분할된 빛이 각각의 광 감지부(412)로 전달되고 발생된 각각의 제1전류(A)를 제1측정부(414)에서 측정한다. 한편, 서브감지유닛(420)는 메인감지유닛(410)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빛을 차단하여 어두운 상태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제2전류(Ad)를 측정한다. 여기서 서브감지유닛(420)는 상술한 메인감지유닛(410)와 동일한 형태의 다크감지부(422)를 포함하며, 입광렌즈 모듈(200)에서 입사되는 빛을 완전히 차단한 어두운 상태로 다크감지부(422)에서 발생된 제2전류(Ad)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서브감지유닛(420)은 어두운 상태에서 전류를 발생시키는 다크감지부(422) 및 다크감지부(422)에서 발생된 제2전류(Ad)를 측정하는 제2측정부(424)를 포함한다. 다크감지부(4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 감지부(412)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광 감지부(412)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동일한 외부조건이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다크감지부(422)는 외부조건의 변화에 의해 제2전류(Ad)를 발생시킨다. 제2측정부(424)는 상술한 제1측정부(414)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다크감지부(422)에서 발생된 전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2측정부(424)도 상술한 제1측정부(414)와 마찬가지로 추가적인 증폭회로(424a)와 AD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브감지유닛(420)은 다크감지부(422)와 제2측정부(424)를 포함하며, 메인감지유닛(410)와 동일한 조건으로 발생되는 제2전류(Ad)를 측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브감지유닛(420)은 메인감지유닛(4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빛이 다크감지부(422)로 입사되지 않고 어두운 상태에서 제2전류(Ad)가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누설측정유닛(440)은 제2측정부(424)에 구비되어, 제2측정부(424)에서 누설되는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누설측정유닛(440)은 제2측정부(424)에 구비되어 기 설정된 설정전류(Dc)가 충전되는 충전부(442)를 포함하며, 충전부(442)에서 누설되는 제3전류(DΔ)를 측정한다. 이때, 충전부(442)는 메인감지유닛(410)이 빛을 받아 전류가 발생되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충전된 전류가 감소하며 제3전류(DΔ)가 누설된다. 즉, 충전부(442)는 메인감지유닛(410)에서 제1전류(A)가 발생되는 동안 충전된 설정전류(Dc)가 감소하도록 구성되며, 감소된 전류이 제3전류(DΔ)를 측정한다. 여기서, 제3전류(DΔ)는 충전부(442)에 최초 충전되는 설정전류(Dc)와, 추후 충전부(442)에 잔류하는 잔류전류(Dd)의 차이를 측정하여 측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제3전류(DΔ)를 측정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서 누설측정유닛(440)은 상술한 제2측정부(424) 뿐만 아니라 제1측정부(414)에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메인감지유닛(410)과 서브감지유닛(420)이 모두 동일한 조건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서브감지유닛(420)에서 측정된 제2전류(Ad)와 누설측정유닛(440)에서 측정된 제3전류(DΔ)를 반영하여 상기 메인감지유닛(410)에서 측정된 제1전류(A)를 보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유닛은 메인감지유닛(410)에서 노광시간 동안 측정된 제1전류(A)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빛을 감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되는 제2전류(Ad)와, 노광시간동안 누설측정유닛(440)에서 측정된 제3전류(DΔ)를 이용하여 보정함으로써 정확한 제1전류(A)의 수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색차계모듈(400)은 메인감지유닛(410), 서브감지유닛(420), 누설측정유닛(440) 및 상기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메인감지유닛(410)에서 측정된 제1전류(A)와 서브감지유닛(420)에서 측정된 제2전류(Ad) 및 누설측정유닛(440)에서 측정된 제3전류(DΔ)를 각각 측정하고 상기 제어유닛에서 이를 이용하여 제1전류(A)를 보정함으로써 메인감지유닛(410)에서 측정된 빛의 색상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색차계모듈(400)은 상기 메인감지유닛(410)의 전방에 구비되어 각각의 상기 광 감지부(412)에 입사되는 빛이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도록 하는 별도의 필터링유닛(430)를 더 포함한다. 필터링유닛(430)는 상기 메인감지유닛(4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감지유닛(410)와 연통되어 입사되는 빛을 상기 메인감지유닛(410)로 전달하는 연통구(432a)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상기 연통구(432a) 내부에 구비되어 입사되는 빛 중에서 특정 파장의 빛 만을 투과시키는 컬러필터(434)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필터링유닛(430)는 상술한 메인감지유닛(410) 각각에 구비된 광 감지부(412)에 입사되는 빛이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도록 하는 별도의 컬러필터(434)를 가지며,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링유닛(430)는 메인감지유닛(410)의 전방에 배치되어 광 전달부(520)로부터 분할되어 전달되는 빛이 상술한 메인감지유닛(410)에 전달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링유닛(430)는 케이스(300) 내부에서 광 분배모듈(500)과 메인감지유닛(410) 사이에 배치되며, 크게 커넥터(432) 및 상기 컬러필터(434)로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432)는 커버형상을 가지며 전후방으로 연통된 연통구(432a)가 구비되며 연통구(432a) 내부에 상기 컬러필터(434)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커넥터(432)는 원형의 커버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광 감지부(412)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를 가지며 메인감지유닛(410)와 연통되는 연통구(432a)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통구(432a)는 세 개가 형성되며, 세 개 각각에 컬러필터(434)가 구비되어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통구(432a)는 전후방으로 연통 되도록 구성되며 일측이 세 개의 광 감지부(412)가 위치한 지점과 마주보며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타측이 세 개의 군으로 나누어진 광섬유(510) 각각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광 분배모듈(500)에 의해 분할된 빛은 커넥터(432)를 경유하며 내부에 구비된 컬러필터(434)에 의해 특정 파장의 빛만 투과하게 되고, 투과된 빛은 광 감지부(412)로 전달되어 제1전류(A)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커넥터(432)는 연통구(432a)가 후술하는 서브감지유닛(420)의 위치와는 연통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커넥터(432) 자체가 빛을 차단하는 차단벽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즉, 커넥터(432)에 의해 광 분배모듈(500)에서 분배된 각각의 빛은 세 개의 광 감지부(412)로 전달되며 서브감지유닛(420)로는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와 달리 컬러필터(434)가 커넥터(432) 내부에 구비되지 않고 직접 광 감지부(412) 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컬러필터(434)는 상기 입광렌즈 모듈(200)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수광하여 특정한 파장의 빛 만 투과시킨다. 이때, 상기 컬러필터(434)는 다양한 종류 및 구조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간섭필터가 사용된다. 간섭필터는 얇은 막 위에서 일어나는 간섭현상을 이용하여 특정한 파장의 파동을 걸러내는 필터를 말한다. 원하는 파동을 얻는 방식과 필터 재질의 종류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상기 색차계모듈(400)은 국제 조명위원회(CIE: Commission International de I`Eclairage)에서 규정하게 되는 표준 관측자에 의한 삼색 자극값을 이용하여 색을 측정한다. 삼색 자극값이란 인간의 눈에서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감지하는 세가지 원추세포를 통해서 인식하는 빛의 색상에 대해서 나타낸 값으로 빛을 표현하는 기준이 되는 값이다. 그래서 각각의 삼색 자극값에 대해 정확한 측정을 하기 위해서 삼색 자극값인 X, Y, Z 세가지 영역의 빛에 대해서 각각 분리하여 상기 광 감지부(412) 에 의해 발생된 제1전류(A)를 통해 색상을 측정한다. 이와 같이 삼색 자극값 각각에 대한 빛의 색상을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컬러필터(434) 각각은 삼색 자극값 각각에 대한 서로 다른 파장의 빛만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색차계모듈(400)은 상기 케이스(3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입광렌즈 모듈(200)을 통해서 입사된 빛 중에서 특정한 파장의 빛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여 이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가 색상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색상계측기(100)는 케이스(300)의 내부에 광 분배모듈(500) 및 상기 색차계모듈(400)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색상계측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대상물(D)의 일측에서 빛이 출사되는 영역에 상기 입광렌즈 모듈(200)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색상계측기(100) 내부로 빛이 입사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색상계측기(100)는 특정위치에 장착되어 사용이 가능하지만, 특별히 장착하지 않고 별도로 휴대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색상계측기(100)는 메인감지유닛(410), 서브감지유닛(420) 및 누설측정유닛(440)에서 각각 측정된 제1전류(A) 내지 제3전류(DΔ)를 이용하여 입사된 빛의 색상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색상계측기(100)에서 빛의 색상을 감지하는 상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이 입광렌즈 모듈(200)을 통해 입사된다. 입사된 빛은 광 전달부(520)를 통해 분배되어 세 개로 분할된 광섬유(510) 각각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광 분배모듈(500)에 의해서 분배된 빛 각각은 커넥터(432)에 형성된 연통구(432a)를 통해 이동하며 컬러필터(434)에 의해 각각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투과시킨다. 이와 같이 각각의 연통구(432a)를 통과하며 필터링된 빛은 연통구(432a) 각각에 연결된 광 감지부(412)로 입사되며, 광 감지부(412) 각각은 입사된 빛에 해당하는 제1전류(A)를 발생시키고, 제1전류(A)를 제1측정부(414)에 의해 측정되어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달된다. 한편, 이와 함께 서브감지유닛(420)은 입사되는 빛이 없지만 광 감지부(412)에서 노광시간 동안 빛을 감지할 때 어두운 상태에서 다크감지부(422)에서 발생되는 제2전류(Ad)를 제2측정부(424)에서 측정하여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메인감지유닛(410) 및 서브감지유닛(420)이 제1전류(A) 및 제2전류(Ad)를 측정할 때, 누설측정유닛(440)은 노광시간 동안 제2측정부(424)에서 누설되는 제3전류(DΔ)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측정된 제1전류(A) 내지 제3전류(DΔ)를 전송 받은 상기 제어유닛은 제2전류(Ad) 및 제3전류(DΔ)를 이용하여 제1전류(A)를 보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전류(A)는 메인감지유닛(410)에서 입사되어 감지된 빛의 색상에 따라 발생되는 전류를 측정한 값으로서, 단순히 입사된 빛뿐만 아니라 온도나 습도 등 외부환경요인에 의해서 변화된 값도 함께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2전류(Ad)는 어두운 상태의 서브감지유닛(420)에서 온도나 습도 등 외부환경요인의 변화에 의해 다크감지부(422)에서 발생된 전류를 측정한 값이다. 이와 같이 각각 측정된 제1전류(A) 및 제2전류(Ad)를 이용해 상기 제어유닛에서는 제1전류(A)를 보정하여 상기 외부장치로 전달함으로써 정확한 색상을 측정할 수 있다. 특히, 광 감지부(412)는 온도나 습도 변화에 의해서 감지되는 값의 오차가 크기 때문에 메인감지유닛(410)에서 측정된 제1전류(A)는 신뢰성이 약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유닛은 제2전류(Ad)만큼 제1전류(A)를 보정함으로써 제1전류(A)의 측정값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색차계모듈(400)이 누설측정유닛(440)을 구비하여 서브감지유닛(420)에서 외부환경요인에 의해 누설되는 제3전류(DΔ)를 측정하고, 이를 상기 제어유닛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어유닛은 제1전류(A)의 보정 시 제2전류(Ad) 뿐만 아니라 제3전류(DΔ)까지 함께 이용하여 제1전류(A)를 보정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색상계측기(100)는 상기 제어유닛에서 제2전류(Ad)와 제3전류(DΔ)를 모두 이용하여 메인감지유닛(410)에 입사된 빛에 의해서 발생된 제1전류(A)를 보정함으로써, 노광시간 동안 색차계모듈(400)에 입사된 빛에 의해 발생된 실제 전류값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입사된 빛의 색상을 측정할 수 있다. 실제로, 온도나 습도 등에 의한 외부환경요인 변화에 따라 메인감지유닛(410)과 서브감지유닛(420)의 구성에 의해 노광시간 동안 누설되는 제3전류(DΔ)의 변화량이, 광 감지부(412)나 다크감지부(422)에서 발생되는 제1전류(A)와 제2전류(Ad)의 변화량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다. 이에 따라, 제1전류(A)는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서브감지유닛(420)에서 감지된 제2전류(Ad)뿐만 아니라 누설측정유닛(440)에서 감지된 제3전류(DΔ)를 함께 이용하여 보정됨으로써, 보다 정확한 제1전류(A)의 측정값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메인감지유닛(410)에 입사된 빛의 색상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환경요인에 의해 메인감지유닛(410) 및 서브감지유닛(420)에서 누설되는 누설전류가 변화하는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6의 메인감지유닛(410)에서 감지된 자극값이 외부요인의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누설전류에 의해 변화하는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도 7의 실험을 위해 시간에 따른 외부조건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따라 측정되는 제1전류(A)의 변화량을 테스트하여 나타낸 그래프로서, 동일한 색상의 빛을 색상계측기(100)로 측정하여 측정되는 제1전류(A)를 통해 삼색 자극값인 X, Y, Z를 도출하였다. 이때, 제1전류(A)는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링유닛(430)에 의해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이 세 개의 메인감지유닛(410)에 입사되도록 하여 발생된 전류이다. 테스트 조건은 아래와 같으며 습도와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도출된 X, Y, Z의 삼색 자극값이 변화한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삼색 자극값은 메인감지유닛(410)에서 측정된 제1전류(A)를 이용하여 도출된 전압을 이용하여 나타낸 값이다. 온도범위: 20~50도 습도범위: 0~70% 테스트 소요시간: 160분 노광시간: 200ms X, Y, Z 전압단위: mV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7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감지유닛(410)에서 발생된 제1전류(A)의 양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감지유닛(410)의 온도조건 및 습도조건의 변화를 반영하여 측정한 것으로, 메인감지유닛(410)의 온도 및 습도가 상승함에 따라 누설되는 누설전류의 양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측정되는 제1전류(A)가 변화하여 삼색 자극값의 전압이 변화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메인감지유닛(410)의 온도가 약 50도 경우와 약 25도인 경우에서의 삼색 자극값을 비교하여보면, 메인감지유닛(410)의 온도가 25도인 경우에 비해 50도인 경우 약 2mV 이상의 전압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단순히 광 감지부(412)가 외부환경요인의 변화에 의해서 측정된 제1전류(A)가 변화하는 정도로는 나타날 수 없는 차이이며, 메인감지유닛(410)에서 누설전류가 발생해 측정되는 제1전류(A)가 변화한 것이다. 즉, 메인감지유닛(410)은 일반적인 포토다이오드 형태의 광 감지부(412)에서 외부환경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제1전류(A)가 변화한 것뿐만 아니라, 이와 함께 구비되는 증폭회로(414a)등에서 누설전류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누설된 누설전류의 변화에 따라 제1측정부(414)에서 측정된 제1전류(A)가 변화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충전부(442)에서 누설되는 제3전류(DΔ)가 외부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라 큰 폭으로 변화하며, 이에 따라 제1측정부(414)에서 측정된 제1전류(A)가 큰 폭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광 감지부(412)에 빛이 입사되어 메인감지유닛(410)에서 측정되는 제1전류(A)는 외부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라 측정되는 제1전류(A)의 값이 변화하게 되며, 광 감지부(412) 자체가 외부환경요인의 변화에 의해 제1전류(A)에 미치는 영향보다는, 누설전류가 외부환경요인에 따라 변화하여 제1전류(A)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 뿐만 아니라, 충전부(442)에서 누설되는 제3전류(DΔ) 자체가 외부환경요인 변화에 따라 크게 변화하여 메인감지유닛(410)에서 측정되는 제1전류(A)의 측정값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한다. 즉, 단순히 메인감지유닛(410)에서 측정된 제1전류(A)에 서브감지유닛(420)에서 측정된 제2전류(Ad)를 보정하여 정확한 제1전류(A)를 도출하는 것 보다, 메인감지유닛(410)에서 측정된 제1전류(A)에 누설측정유닛(440)에서 측정된 제3전류(DΔ)를 함께 보정하여 제1전류(A)를 도출하는 것이 보다 정확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색상계측기(100)는 별도의 누설측정유닛(440)을 구비하여 노광시간 동안 누설되는 제3전류(DΔ)를 측정하여, 제2전류(Ad)와 함께 제1전류(A)를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제1전류(A)의 측정값을 도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누설측정유닛(440)에서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도 6의 누설측정유닛(440)에서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6에 도시된 각각의 메인감지유닛(410)과 서브감지유닛(420)에 구비된 충전부(442)에 기 설정된 설정전류(Dc)가 충전되는 충전과정(S10)을 거친다. 그리고 충전과정(S10)에 의해 충전부(442)에 설정전류(Dc)가 충전된 누설측정유닛(440)은 입광렌즈로부터 빛을 전달받아 제1측정부(414)에서 제1전류(A)를 측정하는 동안 충전부(442)에 충전된 설정전류(Dc)에서 제3전류(DΔ)가 누설되는 제1과정(S20)을 거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충전부(442)는 빛을 메인감지유닛(410)에서 빛을 측정하지 않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설정전류(Dc)가 충전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광 감지부(412)로 빛이 입사되어 제1측정부(414)에서 제1전류(A)를 측정하는 동안 충전부(442)에 충전된 설정전류(Dc)에서 일부 전류가 누설된다. 제1과정(S20)이 종료된 후 충전부(442)에 남아있는 잔류전류(Dd)가 모두 제거되는 제2과정(S30)을 거친다. 여기서, 잔류전류(Dd)는 충전부(442)에 충전된 설정전류(Dc)에서 제3전류(DΔ)가 누설되고 충전부(442)에 남아있는 양을 나타낸다. 즉, 제1과정(S20)은 메인감지유닛(410)에 빛이 입사되는 노광시간 동안 발생하는 과정이며, 제2과정(S30) 및 충전과정(S10)은 메인감지유닛(410)이 제1전류(A)의 측정이 끝난 이후에 발생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제2과정(S30)에서 제거되며 측정된 잔류전류(Dd)와 초기 충전부(442)에 충전된 설정전류(Dc)를 비교하여 (제3전류DΔ)를 도출하는 도출과정(S40)을 거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출과정(S40)의 일 예로서 하기 계산식 1에 의해 제3전류(DΔ)를 도출될 수 있다. (계산식1) DΔ = Dc - Dd (DΔ = 제3전류, Dc = 설정전류, Dd = 잔류전류)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메인감지유닛(410)에서 입사되는 빛을 측정하는 노광시간 동안 누설되는 제3전류(DΔ)를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색차계모듈(400)에서 측정되는 제1전류(A) 내지 제3전류(DΔ)를 이용하여 보정된 제1전류(A`)를 도출하는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도 6의 메인감지유닛(410)에 빛이 입사되어 검출된 자극값을 보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1은 도 2의 색차계모듈(400)에서 메인감지유닛(410), 서브감지유닛(420) 및 누설측정유닛(440) 각각에서 감지된 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극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2는 도 11의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유닛에서 보정하여 나타낸 삼색 자극값의 그래프이다. 먼저, 색차계모듈(400)에서 빛의 색상을 측정할 때, 광 감지부(412)로 빛이 입사되어 발생되는 제1전류(A)를 제1측정부(414)에서 측정한다(S100). 그리고 이와 동시에 외부환경요인에 의해 다크감지부(422)에서 발생되는 제2전류(Ad)를 제2측정부(424)에서 측정한다(S110). 또한, 누설측정유닛(440)이 노광시간동에 충전부(442)에서 누설되는 제3전류(DΔ)를 측정한다(S120). 이와 같이 제1전류(A) 내지 제3전류(DΔ)를 각각 독립적으로 측정하며, 측정된 제1전류(A) 내지 제3전류(DΔ)의 정보는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달된다. 이후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어유닛에서 제1전류(A)에 제2전류(Ad) 및 제3전류(DΔ)를 보정하여 보정된 제1전류(A`) 도출한다(S130). 여기서, 보정된 제1전류(A`)는 제1측정부(414)에서 측정된 제1전류(A)에, 외부환경요인에 의해 발생된 제2전류(Ad)의 값과 증폭회로(414a)등과 같은 구성에 의해 누설된 제3전류(DΔ)의 값을 적용하여 보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보정된 제1전류(A`)를 통해 광 감지부(412)에 입사된 빛의 색상을 검출한다(S140).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11의 (a)는 메인감지유닛(410)에서 측정된 제1전류(A)를 이용하여 삼색 자극값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의 (b)는 서브감지유닛(420)에서 측정된 제2전류(Ad)값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11의 (c)는 누설측정유닛(440)에서 측정된 제3전류(DΔ)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b)를 살펴보면 초기 입력된 영점의 기준값보다 L1만큼 높은 수치의 제2전류(Ad)가 검출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론상으로 어두운 상태에서 입력되는 값을 측정한 제2전류(Ad)는 초기 입력된 기준값과 동일해야 하지만, 이와 달리 외부환경요인에 의해 서브감지유닛(420)에서 감지되는 변화한 수치를 포함하여 제2전류(Ad)가 검출된다. 그리고 도 11의 (b)를 살펴보면 메인감지유닛(410) 또는 서브감지유닛(420)에서 누설된 제3전류(DΔ)의 양을 나타낸 것으로 영점보다 L2만큼 높은 수치의 제3전류(DΔ)가 검출된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누설전류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제3전류(DΔ)가 0이 되어 감지되지 않아야 하지만 증폭회로(414a) 등과 같은 구조적 특징 상 누설전류가 발생하여 제3전류(DΔ)가 검출되며, 이는 외부환경요인에 민감하게 변화하게 된다. 여기서, 메인감지유닛(410)와 서브감지유닛(420) 및 누설측정유닛(440)은 동일한 외부환경요인의 영향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는 이미 제1측정부(414)에서 측정된 제1전류(A)의 값에 외부환경요인에 의해 변화된 수치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유닛은 제1측정부(414)에서 측정된 제1전류(A)에 제2측정부(424)에서 측정된 제2전류(Ad)의 L1값 및 누설측정유닛(440)에서 측정된 제3전류(DΔ)의 L2값을 반영하여 보정된 제1전류(A`)를 도출한다. 상기 제어유닛에서 보정된 제1전류(A`)를 도출하는 일 예로 하기 계산식2가 적용될 수 있다. (계산식2) A` = A - Ad - DΔ (A` = 보정된 제1전류, A = 제1전류, Ad = 제2전류, DΔ = 제3전류)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보정된 제1전류(A`)를 도출함으로써, 메인감지유닛(410)에 입사된 빛의 색상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유닛이 제1전류(A) 내지 제3전류(DΔ)를 이용하여 보정된 제1전류(A`)를 도출함으로써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수하게 입광렌즈 모듈(200)로부터 입사된 빛의 색상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색차계모듈(400)이 구비됨에 따라 별도의 영점조절 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감지되는 제1전류(A)와 제2전류(Ad) 및 제3전류(DΔ)의 상대적 비교를 통해 정확한 색상을 계측할 수 있다. 특히, 종래에는 별도의 영점조절을 한 후에 색상을 계측하여 영점조절시점과 색상계측시점의 시간차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계측되는 색상의 정확도가 감소하였지만, 본 발명은 별도로 영점조절을 하지 않고 메인감지유닛(410)와 서브감지유닛(420)가 동시에 제1전류(A)와 제2전류(Ad)를 측정하며, 이와 함께 누설측정유닛(440)이 제3전류(DΔ)를 측정하기 때문에 시간차에 의해서 검출되는 값이 변화하지 않아 계측되는 색상의 정확도 및 신뢰성이 증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특정형태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부호의 설명) 100: 색상계측기 200: 입광렌즈 모듈 300: 케이스 400: 색차계모듈 410: 메인감지유닛 420: 서브감지유닛 430: 필터링유닛 440: 누설측정유닛 500: 광 분배모듈 Disclosed are a colorimeter module, and a color meter using the same, the colorimeter module comprising: a main sensing unit including a light sensing part for receiving light introduced from a light entrance lens so as to generate current according to a color, and a first measuring part for measuring first current generated from the light sensing part; a sub sensing unit arranged adjacently to the main sensing unit, and including a dark sensing part for blocking light so as to generate current in a dark state and a second measuring part for measuring second current generated from the dark sensing part; a leakage measuring unit including a charging part provided to the second measuring part so as to be charged with preset current, and measuring third current leaked from the charging part; and a control unit for correcting the first current by reflecting the second current measured by the sub sensing unit and the third current measured by the leakage measuring unit, wherein, in the charging part, the current charged is reduced and the third current leaks from the charging part with a lapse of time in which the main sensing unit and the sub sensing unit receive light to generate the first current. 내부에 수광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서 내부 방향으로 복수 개의 렌즈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며, 측정대상물에서 빛이 출사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출사된 빛을 내부로 전달하는 입광렌즈 모듈; 및 입광렌즈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전달받아 색상에 따라 전류를 발생시키는 광 감지부와 상기 광 감지부에서 발생된 제1전류를 측정하는 제1측정부를 포함하는 메인감지유닛, 상기 메인감지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빛을 차단하여 어두운 상태에서 전류를 발생시키는 다크감지부와 상기 다크감지부에서 발생된 제2전류를 측정하는 제2측정부를 포함하는 서브감지유닛, 상기 제2측정부에 구비되어 기 설정된 설정전류가 충전되는 충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부에서 누설되는 제3전류를 측정하는 누설측정유닛 및 상기 서브감지유닛에서 측정된 상기 제2전류와 상기 누설측정유닛에서 측정된 상기 제3전류를 반영하여 상기 제1전류를 보정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색차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부는 상기 메인감지유닛과 상기 서브감지유닛이 빛을 받아 상기 제1전류가 발생되는 시간 동안 충전된 전류가 감소하며 상기 제3전류가 누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계측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측정유닛은, 상기 입광렌즈로부터 빛을 전달받아 색상을 계측하는 동안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상기 설정전류에서 상기 제3전류가 누설되고, 색상의 계측이 종료된 후 상기 충전부에 남아있는 잔류전류가 모두 제거되며, 다시 상기 충전부에 상기 설정전류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계측기.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측정유닛은, 상기 설정전류와 상기 잔류전류 차이를 측정하여 누설된 상기 제3전류의 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계측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부는, 상기 제2측정부와 동일한 형태의 누설측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계측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감지유닛은, 상기 메인감지유닛이 외부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과 동일한 조건의 영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계측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감지유닛은, 적어도 세 개 이상의 광 감지부를 구비하며 각각이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색상계측기.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색차계모듈은, 상기 메인감지유닛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감지유닛과 연통되어 입사되는 빛을 상기 메인감지유닛으로 전달하는 연통구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상기 연통구 내부에 구비되어 입사되는 빛 중에서 특정 파장의 빛 만을 투과시키는 컬러필터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광 감지부에 입사되는 빛이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도록 하는 필터링유닛을 더 포함하는 색상계측기.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광렌즈 모듈과 상기 색차계모듈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입광렌즈 모듈로부터 입사된 빛을 분배하여 상기 색차계모듈로 전달하는 광 분배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차계모듈을 이용한 색상계측기. 입광렌즈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전달받아 색상에 따라 전류를 발생시키는 광 감지부와 상기 광 감지부에서 발생된 제1전류를 측정하는 제1측정부를 포함하는 메인감지유닛; 상기 메인감지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빛을 차단하여 어두운 상태에서 전류를 발생시키는 다크감지부와 상기 다크감지부에서 발생된 제2전류를 측정하는 제2측정부를 포함하는 서브감지유닛; 상기 제2측정부에 구비되어 기 설정된 설정전류가 충전되는 충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부에서 누설되는 제3전류를 측정하는 누설측정유닛; 및 상기 서브감지유닛에서 측정된 상기 제2전류와 상기 누설측정유닛에서 측정된 상기 제3전류를 반영하여 상기 제1전류를 보정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부는 상기 메인감지유닛과 상기 서브감지유닛이 빛을 받아 상기 제1전류가 발생되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충전된 전류가 감소하며 상기 제3전류가 누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차계모듈.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측정유닛은, 상기 입광렌즈로부터 빛을 전달받아 상기 제1측정부에서 상기 제1전류를 측정하는 동안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상기 설정전류에서 상기 제3전류가 누설되는 제1측정과정; 및 상기 제1과정이 종료된 후 상기 충전부에 남아있는 잔류전류가 모두 제거되는 제2측정과정; 을 거치며 누설되는 상기 제3전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차계 모듈.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측정유닛은, 상기 설정전류와 상기 잔류전류 차이를 측정하여 누설된 상기 제3전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차계모듈.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류는, 하기에 의해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차계모듈 [계산식1] DΔ = Dc - Dd (DΔ = 제3전류, Dc = 설정전류, Dd = 잔류전류)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전류와 상기 제3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전류를 보정하며, 보정된 상기 제1전류를 통해 상기 입광렌즈로부터 상기 메인감지유닛에 입사된 빛의 색상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차계모듈.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하기에 의해 상기 제1전류를 보정하여 상기 메인감지유닛으로 입사된 빛의 색상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차계모듈. [계산식2] A` = A - Ad - DΔ (A` = 보정된 제1전류, A = 제1전류, Ad = 제2전류, DΔ = 제3전류)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부는, 상기 제2측정부에 구비된 동일한 형태의 상기 누설측정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차계모듈.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감지유닛은, 상기 메인감지유닛이 외부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과 동일한 조건의 영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차계모듈.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감지유닛은,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제1측정부를 구비하며 각각이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색차계모듈.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감지유닛의 전방에 구비되어 각각의 상기 광 감지부에 입사되는 빛이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도록 하는 별도의 필터링유닛을 더 포함하는 색차계모듈.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유닛은, 상기 메인감지유닛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감지유닛과 연통되어 입사되는 빛을 상기 메인감지유닛으로 전달하는 연통구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상기 연통구 내부에 구비되어 입사되는 빛 중에서 특정 파장의 빛 만을 투과시키는 컬러필터; 를 포함하는 색차계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