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DRAULIC CIRCUIT FOR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유압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압펌프로부터 유압실린더에 공급되는 작동유와 유압실린더로부터 작동유탱크로 귀환되는 작동유를 제어하기 위한 건설기계용 유압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건설기계용 유압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이하 유압펌프 라고 함)(1) 및 파일럿펌프(2)가 엔진(미 도시됨)에 연결된다. 상기 유압펌프(1)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실린더(3)가 상기 유압펌프(1)에 연결된다. 절환시 상기 유압펌프(1)의 작동유를 상기 유압실린더(3)에 공급하거나, 상기 유압실린더(3)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작동유탱크(T)로 귀환시키는 컨트롤밸브(MCV)(4)가 상기 유압펌프(1)와 유압실린더(3) 사이의 유로에 설치된다. 조작량에 대응되는 파일럿압력을 출력하는 조작레버(RCV)(미 도시됨)가 상기 파일럿펌프(2)와 컨트롤밸브(4) 사이의 유로에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조작레버를 조작하여 상기 파일럿펌프(2)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를 조작량에 대응되게 변환시킨 파일럿압력(Pa)을 상기 컨트롤밸브(4)의 좌측 신호압포트에 인가시킬 경우 컨트롤밸브(4)의 스풀은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절환된다. 이로 인해, 상기 유압펌프(1)의 작동유는 컨트롤밸브(4)의 스풀을 통과하여 유압실린더(3)의 제1챔버(3a)에 공급되고, 상기 유압실린더(3)의 제2챔버(3b)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는 상기 컨트롤밸브(4)의 스풀을 통과하여 작동유탱크(T)로 귀환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3)를 신장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조작레버를 조작시 상기 파일럿펌프(2)로부터 공급되어 조작량에 대응되게 변환된 파일럿압력(Pb)을 상기 컨트롤밸브(4)의 우측 신호압포트에 인가시킬 경우 컨트롤밸브(4)의 스풀은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절환된다. 이로 인해, 상기 유압펌프(1)의 작동유는 컨트롤밸브(4)의 스풀을 통과하여 유압실린더(3)의 제2챔버(3b)에 공급되고, 상기 유압실린더(1)의 제1챔버(3a)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는 상기 컨트롤밸브(4)의 스풀을 통과하여 작동유탱크(T)로 귀환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3)를 수축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유압펌프(1)로부터 상기 유압실린더(3)에 공급되는 작동유와, 상기 유압실린더(3)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작동유탱크(T)로 귀환되는 작동유의 량은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량에 대응되게 절환되는 상기 컨트롤밸브(4)의 스풀의 개구면적에 따라 결정된다. 이는 상기 유압펌프(1)의 작동유를 상기 유압실린더(3)에 공급하기 위한 노치와, 상기 유압실린더(3)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작동유탱크(T)로 귀환시키는 노치(notch)가 상기 컨트롤밸브(4)의 스풀에 2개소씩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상기 유압실린더(3)를 신장구동시키거나 수축구동시켜 작업하는 도중에 상기 유압실린더(3)에 발생되는 압력 또는 장비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유압펌프(1)의 작동유를 상기 유압실린더(3)에 공급하기 위한 컨트롤밸브(4)의 스풀 개구면적과, 상기 유압실린더(3)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상기 작동유탱크(T)로 귀환하기 위한 컨트롤밸브(4)의 스풀 개구면적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유압펌프(1)의 작동유를 상기 유압실린더(3)에 공급하기 위한 상기 컨트롤밸브(4)의 스풀의 개구면적과, 상기 유압실린더(3)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작동유탱크(T)로 귀환시키기 위한 컨트롤밸브(4)의 스풀의 개구면적이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컨트롤밸브(4)에 인가되는 파일럿압력에 의해 종속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유압실린더에 발생되는 압력에 따라 유압펌프의 작동유를 유압실린더에 공급하거나, 유압실린더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작동유탱크로 귀환시키기 위한 컨트롤밸브를 이원화시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건설기계용 유압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용량형 유압펌프 및 파일럿펌프;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실린더; 조작량에 대응되는 전기적신호를 출력하는 전기식 조작레버; 상기 유압펌프와 유압실린더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고, 절환시 상기 유압펌프의 작동유를 상기 유압실린더의 제1챔버에 공급하거나, 상기 유압실린더의 제1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작동유탱크로 귀환시키는 제1컨트롤밸브; 상기 유압펌프와 유압실린더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1컨트롤밸브와 동시에 절환시 상기 유압실린더의 제2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작동유탱크로 귀환시키거나, 상기 유압펌프의 작동유를 상기 유압실린더의 제2챔버에 공급하는 제2컨트롤밸브; 상기 파일럿펌프와 상기 제1컨트롤밸브 사이의 유로와 상기 파일럿펌프와 상기 제2컨트롤밸브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1컨트롤밸브 및 제2컨트롤밸브의 스풀 개구면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의 조작량에 대응되는 파일럿압력을 상기 제1컨트롤밸브 및 제2컨트롤밸브에 인가시켜 절환시키는 비례제어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유압회로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실린더를 구동시켜 작업하는 도중에, 유압실린더에 발생되는 압력에 따라 유압펌프의 작동유를 유압실린더에 공급하거나, 유압실린더로부터 작동유탱크로 귀환되는 작동유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밸브를 이원화시켜 독립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유압실린더에 과다하게 압력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압실린더에 공급되는 작동유 량을 조정하여 작업속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건설기계용 유압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유압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 10; 가변용량형 유압펌프 11; 파일럿펌프 12; 유압실린더 13; 전기식 조작레버(RCV) 14; 제1컨트롤밸브(MCV) 15; 제2컨트롤밸브(MCV) 16; 비례제어밸브(PPRV) 17; 제1비례제어밸브 18; 제2비례제어밸브 19; 제3비례제어밸브 20; 제4비례제어밸브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유압회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유압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유압회로는,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이하 유압펌프 라고 함)(10) 및 파일럿펌프(11)가 엔진(미 도시됨)에 연결된다. 상기 유압펌프(10)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실린더(12)가 상기 유압펌프(10)에 연결된다. 전기식 조작레버(RCV)(13)의 조작에 의해 인가되는 파일럿압력에 의해 절환되는 경우 상기 유압펌프(10)의 작동유를 상기 유압실린더(12)의 제1챔버(12a)에 공급하거나, 상기 유압실린더(12)의 제1챔버(12a)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작동유탱크(T)로 귀환시키는 제1컨트롤밸브(MCV)(14)가 상기 유압펌프(10)와 유압실린더(12) 사이의 유로에 설치된다.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의 조작에 의해 인가되는 파일럿압력에 의해 상기 제1컨트롤밸브(14)와 동시에 절환되는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12)의 제2챔버(12b)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작동유탱크(T)로 귀환시키거나, 상기 유압펌프(10)의 작동유를 상기 유압실린더(12)의 제2챔버(12b)에 공급하는 제2컨트롤밸브(MCV)(15)가 상기 유압펌프(10)와 유압실린더(12) 사이의 유로에 설치된다. 상기 제1컨트롤밸브(14) 및 제2컨트롤밸브(15)의 스풀 개구면적(open area)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파일럿펌프(11)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를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의 조작량에 대응되게 2차 파일럿압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컨트롤밸브(14) 및 제2컨트롤밸브(15)에 변환된 2차 파일럿압력을 인가시켜 절환시키는 비례제어밸브(16)가 상기 파일럿펌프(11)와 상기 제1컨트롤밸브(14) 사이의 유로 및 상기 파일럿펌프(11)와 상기 제2컨트롤밸브(15) 사이의 유로에 설치된다. 상기 비례제어밸브(PPRV;proportional pilot reducing valve)(16)는, 상기 유압펌프(10)의 작동유를 상기 유압실린더(12)의 제1챔버(12a)에 공급할 경우, 상기 제1컨트롤밸브(14)의 스풀 개구면적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파일럿펌프(11)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를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의 조작량에 대응되는 2차 파일럿압력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제1컨트롤밸브(14)의 신호압포트에 변환된 2차 파일럿압력을 인가시켜 절환시키는 제1비례제어밸브(17); 상기 유압실린더(12)의 제2챔버(12b)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상기 작동유탱크(T)로 귀환시킬 경우, 상기 제2컨트롤밸브(15)의 스풀 개구면적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파일럿펌프(11)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를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의 조작량에 대응되는 2차 파일럿압력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제2컨트롤밸브(15)의 신호압포트에 변환된 2차 파일럿압력을 인가시켜 절환시키는 제2비례제어밸브(18); 상기 유압펌프(10)의 작동유를 상기 유압실린더(12)의 제2챔버(12b)에 공급할 경우, 상기 제2컨트롤밸브(15)의 스풀 개구면적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파일럿펌프(11)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를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의 조작량에 대응되는 2차 파일럿압력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제2컨트롤밸브(15)의 신호압포트에 변환된 2차 파일럿압력을 인가시켜 절환시키는 제3비례제어밸브(19); 상기 유압실린더(12)의 제1챔버(12a)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상기 작동유탱크(T)로 귀환시킬 경우, 상기 제1컨트롤밸브(14)의 스풀 개구면적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파일럿펌프(11)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를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의 조작량에 대응되는 2차 파일럿압력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제1컨트롤밸브(14)의 신호압포트에 변환된 2차 파일럿압력을 인가시켜 절환시키는 제4비례제어밸브(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2비례제어밸브(17,18) 및 제3,4비례제어밸브(19,20)는 상기 전기식조작레버(13)의 조작에 의한 전기적신호가 상기 제1,2,3,4비례제어밸브(17,18,19,20)에 인가되지않을 경우 상기 파일럿펌프(11)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가 상기 제1,2컨트롤밸브(14,15)에 파일럿압력으로 인가되지않도록 차단하는 초기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유압실린더(12)는 굴삭기의 붐실린더, 아암실린더 및 버킷실린더 중 어느 하나이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1컨트롤밸브(14) 및 제2컨트롤밸브(15)의 스풀 개구면적은 상기 유압실린더(12)에 발생되는 압력의 크기 또는 장비의 움직임(machine motion)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컨트롤밸브(14)와 유압실린더(12) 사이의 유로 및 상기 제2컨트롤밸브(15)와 유압실린더(12)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실린더(12)의 제1챔버(12a) 및 제2챔버(12b)에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유압실린더(12)의 신장구동을 먼저 설명한다. 상기 유압실린더(12)를 신장구동(일 예로서 굴삭기의 붐 업(boom up) 구동시킴을 말함)시키기 위해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를 조작함에 따른 전기적신호는 상기 제1비례제어밸브(17) 및 제2비례제어밸브(18)에 동시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의 조작에 의한 전기적신호가 상기 제1비례제어밸브(17)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파일럿펌프(11)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를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의 조작량에 대응되게 2차 파일럿압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컨트롤밸브(14)의 우측 신호압포트에 변환된 2차 파일럿압력을 인가한다. 상기 제1컨트롤밸브(14)의 스풀이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절환되므로 상기 유압펌프(10)의 작동유는 상기 제1컨트롤밸브(14)의 스풀을 통과하여 상기 유압실린더(12)의 제1챔버(12a)에 공급된다. 한편,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의 조작에 의한 전기적신호가 상기 제2비례제어밸브(18)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파일럿펌프(11)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를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의 조작량에 대응되게 2차 파일럿압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컨트롤밸브(15)의 좌측 신호압포트에 변환된 2차 파일럿압력을 인가한다. 상기 제2컨트롤밸브(15)의 스풀이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절환되므로 상기 유압실린더(12)의 제2챔버(12b)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는 상기 제2컨트롤밸브(15)의 스풀을 통과하여 상기 작동유탱크(T)로 귀환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12)를 신장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상기 유압실린더(12)의 수축구동을 설명한다. 상기 유압실린더(12)를 수축구동(일 예로서 굴삭기의 붐 다운(boom down) 구동시킴을 말함)시키기 위해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를 조작함에 따른 전기적신호는 상기 제3비례제어밸브(19) 및 제4비례제어밸브(20)에 동시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의 조작에 의한 전기적신호가 상기 제3비례제어밸브(19)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파일럿펌프(11)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를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의 조작량에 대응되게 2차 파일럿압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컨트롤밸브(15)의 우측 신호압포트에 변환된 2차 파일럿압력을 인가한다. 상기 제2컨트롤밸브(15)의 스풀이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절환되므로 상기 유압펌프(10)의 작동유는 상기 제2컨트롤밸브(15)의 스풀을 통과하여 상기 유압실린더(12)의 제2챔버(12b)에 공급된다. 한편,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의 조작에 의한 전기적신호가 상기 제4비례제어밸브(20)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파일럿펌프(11)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를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의 조작량에 대응되게 2차 파일럿압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컨트롤밸브(14)의 좌측 신호압포트에 변환된 2차 파일럿압력을 인가한다. 상기 제1컨트롤밸브(14)의 스풀이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절환되므로 상기 유압실린더(12)의 제1챔버(12a)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는 상기 제1컨트롤밸브(14)의 스풀을 통과하여 상기 작동유탱크(T)로 귀환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12)를 수축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를 조작하여 상기 제1,2비례제어밸브(17,18)의 절환에 의해 상기 제1,2컨트롤밸브(14,15)를 절환시켜 상기 유압실린더(12)를 신장구동시키거나,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를 조작하여 상기 제3,4비례제어밸브(19,20)의 절환에 의해 상기 제1,2컨트롤밸브(14,15)를 절환시켜 상기 유압실린더(12)를 수축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컨트롤밸브(14,15)와 유압실린더(12) 사이의 유로에 설치된 압력센서(미 도시됨)에 의해 검출되는 유압실린더(12)에 발생되는 압력 또는 장비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제1,2컨트롤밸브(14,15)의 스풀 개구면적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12)의 제1,2챔버(12a,12b)측에 발생되는 압력 검출신호가 미도시된 제어부(ECU)에 입력됨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2비례제어밸브 (17,18) 또는 상기 제3,4비례제어밸브(19,20)에 인가되는 전기적신호를 조절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2,3,4비례제어밸브(17,18,19,20)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제1,2,3,4비례제어밸브(17,18,19,20)에서 상기 제1,2컨트롤밸브(14,15)에 인가되는 파일럿압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2컨트롤밸브(14,15)의 스풀의 개구면적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2컨트롤밸브(14,15)를 절환시켜 상기 유압펌프(10)의 작동유를 상기 유압실린더(12)에 공급하고 상기 유압실린더(12)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상기 작동유탱크(T)로 귀환시킬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12)에 발생되는 압력 정도에 따라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의 조작에 의한 상기 제1,2컨트롤밸브(14,15)의 스풀 개구면적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12)를 신장구동시키거나 또는 수축구동시킬 경우, 상기 유압펌프(10)로부터 상기 유압실린더(12)에 공급되는 작동유 량과, 상기 유압실린더(12)로부터 작동유탱크(T)로 귀환되는 작동유 량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건설기계의 유압회로에 의하면,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의 조작에 의한 전기적신호를 상기 제1,2비례제어밸브(17,18)에 동시에 인가시켜 상기 제1,2컨트롤밸브(14,15)를 절환시킴에 따라 상기 유압펌프(10)의 작동유를 상기 제1컨트롤밸브(14)를 통과시켜 유압실린더(12)의 제1챔버(12a)에 공급하고, 상기 유압실린더(12)의 제2챔버(12b)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작동유탱크(T)로 귀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12)를 신장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의 조작에 의한 전기적신호를 상기 제3,4비례제어밸브(19,20)에 동시에 인가시켜 상기 제1,2컨트롤밸브(14,15)를 절환시킴에 따라 상기 유압펌프(10)의 작동유를 상기 제2컨트롤밸브(15)를 통과시켜 유압실린더(12)의 제2챔버(12b)에 공급하고, 상기 유압실린더(12)의 제1챔버(12a)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작동유탱크(T)로 귀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12)를 수축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12)에 발생되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13)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2,3,4비례제어밸브(17,18,19,20)에 인가되는 전기적신호를 조절할 경우, 상기 제1,2,3,4비례제어밸브(17,18,19,20)에서 인가되는 파일럿압력에 의해 절환되는 제1,2컨트롤밸브(14)의 스풀의 개구면적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과 같은 종래의 유압회로에서는, 상기 유압실린더(3)의 신축구동시 하나의 컨트롤밸브(4)(MCV)의 스풀 절환에 의해 유압펌프(1)로부터 유압실린더(3)에 공급되는 작동유 량과, 상기 유압실린더(3)로부터 작동유탱크(T)로 귀환되는 작동유 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메인 컨트롤밸브(MCV)에 다양한 우선밸브(priority valve) 또는 유량제어밸브와, 붐 다운측에 부스터밸브(booster valve) 등을 설치하게 된다. 이와 반면에,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유압회로에서는 유압실린더(12)의 신축구동시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제1,2컨트롤밸브(14,15)의 스풀 절환에 의해 유압펌프(10)로부터 유압실린더(12)에 공급되는 작동유 량과, 상기 유압실린더(12)로부터 작동유탱크(T)로 귀환되는 작동유 량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IMV(independent metering valve)가 구비되는 전자 유압밸브 시스템(미 도시됨)이 적용되는 장비는, 유압펌프의 공급유로에 설치되는 포펫(poppet)의 상단에 설치되는 전자비례밸브(proportional valve)를 제어함에 따라 포펫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유압펌프로부터 유압실린더에 공급되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유압밸브 시스템은 개폐 싸이클의 증가에 따른 충격으로 인해 포펫의 시트(seat)에 마모가 발생되어 누유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시트의 마모로 인해 포펫의 제어 성능도 저하됨에 따라 포펫 만을 장착시킨 상태와, 포펫과 전자비례밸브를 조합시킨 전자 유압밸브 시스템의 성능이 상이하게 되므로 전자 유압밸브 시스템의 수정이 불가피하게 된다. 이와 반면에, 본 발명의 유압회로에서는 상기 포펫의 시트에 발생되는 마모로 인한 누유와, 포펫과 전자비례밸브를 조합시킬 경우 발생되는 전자 유압밸브 시스템의 성능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굴삭기와 같은 건설기계의 유압펌프로부터 유압실린더에 공급되는 작동유와 유압실린더로부터 작동유탱크로 귀환되는 작동유를 제어하는 컨트롤밸브를 이원화시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isclosed is a hydraulic circuit for controlling operation oil, which is supplied from a hydraulic pump to a hydraulic cylinder, and operation oil, which is returned from the hydraulic cylinder to an operation oil tank.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ydraulic circuit for a construction machin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hydraulic pump and a pilot pump; a hydraulic cylinder driven by operation oil from the hydraulic pump; an electrically manipulated level; a first control valve installed in a channel between the hydraulic pump and the hydraulic cylinder so as to supply, when switching, operation oil from the hydraulic pump to a first chamber of the hydraulic cylinder or to return operation oil, which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chamber of the hydraulic cylinder, to an operation oil tank; a second control valve installed in a channel between the hydraulic pump and the hydraulic cylinder so as to return, when switching simultaneously with the first control valve, operation oil, which is discharged from a second chamber of the hydraulic cylinder, to the operation oil tank or to supply operation oil from the hydraulic pump to the second chamber of the hydraulic cylinder; and proportional control valves installed in a channel between the pilot pump and the first control valve and in a channel between the pilot pump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respectively, such that, in order to independently control the spool opening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valves, a pilot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manipulation of the electronically manipulated level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valves, thereby switching the same. 가변용량형 유압펌프 및 파일럿펌프;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실린더; 조작량에 대응되는 전기적신호를 출력하는 전기식 조작레버; 상기 유압펌프와 유압실린더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고, 절환시 상기 유압펌프의 작동유를 상기 유압실린더의 제1챔버에 공급하거나, 상기 유압실린더의 제1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작동유탱크로 귀환시키는 제1컨트롤밸브; 상기 유압펌프와 유압실린더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1컨트롤밸브와 동시에 절환시 상기 유압실린더의 제2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작동유탱크로 귀환시키거나, 상기 유압펌프의 작동유를 상기 유압실린더의 제2챔버에 공급하는 제2컨트롤밸브; 상기 파일럿펌프와 상기 제1컨트롤밸브 사이의 유로와 상기 파일럿펌프와 상기 제2컨트롤밸브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1컨트롤밸브 및 제2컨트롤밸브의 스풀 개구면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의 조작량에 대응되는 파일럿압력을 상기 제1컨트롤밸브 및 제2컨트롤밸브에 인가시켜 절환시키는 비례제어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유압회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례제어밸브는, 상기 유압펌프의 작동유를 상기 유압실린더의 제1챔버에 공급할 경우, 상기 제1컨트롤밸브의 스풀 개구면적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파일럿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를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의 조작량에 대응되는 2차 파일럿압력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제1컨트롤밸브에 변환된 2차 파일럿압력을 인가시켜 절환시키는 제1비례제어밸브; 상기 유압실린더의 제2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상기 작동유탱크로 귀환시킬 경우, 상기 제2컨트롤밸브의 스풀 개구면적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파일럿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를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의 조작량에 대응되는 2차 파일럿압력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제2컨트롤밸브에 변환된 2차 파일럿압력을 인가시켜 절환시키는 제2비례제어밸브; 상기 유압펌프의 작동유를 상기 유압실린더의 제2챔버에 공급할 경우, 상기 제2컨트롤밸브의 스풀 개구면적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파일럿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를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의 조작량에 대응되는 2차 파일럿압력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제2컨트롤밸브에 변환된 2차 파일럿압력을 인가시켜 절환시키는 제3비례제어밸브; 상기 유압실린더의 제1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상기 작동유탱크로 귀환시킬 경우, 상기 제1컨트롤밸브의 스풀 개구면적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파일럿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를 상기 전기식 조작레버의 조작량에 대응되는 2차 파일럿압력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제1컨트롤밸브에 변환된 2차 파일럿압력을 인가시켜 절환시키는 제4비례제어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유압회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는 굴삭기의 붐실린더, 아암실린더 및 버킷실린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유압회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트롤밸브 및 제2컨트롤밸브의 스풀 개구면적은 상기 유압실린더에 발생되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제1,2컨트롤밸브와 유압실린더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제1,2챔버에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유압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