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BLE-TYPE SECONDARY BATTERY, AN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ACCORDING TO SAME

13-07-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WO2017119799A1
Принадлежит: 주식회사 엘지화학
Контакты:
Номер заявки: KR02-00-201786
Дата заявки: 09-01-2017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장치 및 방법과 그에 따라 제조된 케이블형 이차전지
[1]

본 출원은 2016년 1월 7일에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16-0002252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출원에 원용된다.

[2]

본 발명은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관한 기술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형 이차전지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구조를 가진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장치 및 방법과 그에 따라 제조된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3]

리튬 이차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작동전압이 높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보존 및 수명특성을 보이는 등 많은 장점이 있어 개인용 컴퓨터, 캠코더,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CD 플레이어, PDA 등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4]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전지는 원통형 또는 각형의 케이스와, 전해질과 함께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전극 조립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극 조립체는 양극, 분리막(Separator) 및 음극이 적층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젤리-롤(Jelly-Roll) 형태의 권취 구조 또는 스택 구조를 갖는다.

[5]

또한, 근래에는 형태의 변형이 자유로와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케이블형 이차전지가 선보이고 있다.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직경에 대해 길이의 비가 매우 큰 전지로서, 속이 빈 애노드층과, 상기 애노드층을 둘러싸는 세퍼레이터와, 상기 세퍼레이터를 둘러싸는 캐소드층을 구비한다.

[6]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관한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40160호에 게재되어 있다.

[7]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40160호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공급 코어부와, 상기 리튬이온 공급 코어부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되며 내부전극 활물질이 외면에 코팅된 2 이상의 와이어형 집전체가 서로 나선형으로 꼬여진 나선전극을 포함하는 내부전극과, 상기 내부전극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전극의 단락을 방지하는 분리층과,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되고 외부전극 활물질층과 외부집전체를 구비하는 외부전극을 포함하는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형 이차전지를 개시하고 있다.

[8]

그러나,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내부전극, 분리막 및 외부전극을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이 부재한 관계로 양산에 어려움이 많아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케이블형 이차전지를 이루는 내부전극, 분리막 및 외부전극을 연속적으로 연선하여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조립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장치 및 방법과 그에 따라 제조된 케이블형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0]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로드 형태의 권심; 및 제1 전극 부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1 전극 보빈과, 분리막 리본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분리막 보빈과, 제2 전극 부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2 전극 보빈을 포함하는 전지 요소 공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권심 및 상기 전지 요소 공급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상기 권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권심의 둘레에 상기 제1 전극 부재, 분리막 리본, 제2 전극 부재를 차례대로 연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11]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장치는 상기 권심의 축과 일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 보빈은 상기 권심을 둘러싸도록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12]

상기 분리막 보빈 및 상기 제2 전극 보빈은 상기 권심의 축과 일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공통 회전프레임에 장착되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13]

상기 분리막 보빈 및 상기 제2 전극 보빈은 각각 상기 권심에 대하여 감김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14]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장치는 상기 분리막 보빈을 지지하는 제1 지지봉과, 상기 제2 전극 보빈을 지지하는 제2 지지봉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봉 및 상기 제2 지지봉은 각각 피봇부를 중심으로 각도 조절을 위한 회동이 가능하게 상기 공통 회전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15]

상기 분리막 보빈 및 상기 제2 전극 보빈은 상기 권심의 축과 일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회전로드 및 제2 회전로드에 각각 장착되어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16]

상기 제1 전극 부재는 와이어에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이 코팅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17]

상기 제2 전극 부재는 스트립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18]

상기 제1 전극 부재의 폭과 상기 제2 전극 부재의 폭은 각각 권취 둘레 길이 보다 작고, 상기 분리막 리본의 폭은 권취 둘레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19]

상기 권심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상기 제1 전극 부재와 상기 제2 전극 부재의 폭(W)은 각각 계산식,

[20]

W < D x π (D: 권취 내경, π: 원주율)

[21]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2]

상기 권심의 단면이 타원형인 경우, 상기 제1 전극 부재와 상기 제2 전극 부재의 폭(W)은 각각 계산식,

[23]

W < L (L: 권취 둘레 길이)

[24]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5]

상기 분리막 리본의 폭(W)은 2층으로 겹쳐지게 감기는 경우 계산식, W > 2D x π (D: 권취 내경, π: 원주율)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6]

상기 제1 전극 부재의 폭은 0.4~0.5mm, 상기 분리막 리본의 폭은 7mm 이하, 상기 제2 전극 부재의 폭은 3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27]

상기 분리막 리본은 전체폭의 50% 이하가 겹치도록 연선될 수 있다.

[28]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로드 형태의 권심 주위에, 제1 전극 부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1 전극 보빈과, 분리막 리본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분리막 보빈과, 제2 전극 부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2 전극 보빈을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권심의 축과 일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전극 보빈을 회전시켜서 상기 권심의 외부에 스트립 구조의 제1 전극 부재를 연선하는 단계; (c) 상기 권심의 축과 일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분리막 보빈을 회전시켜서 상기 제1 전극 부재의 외부에 분리막 리본을 연선하는 단계; 및 (d) 상기 권심의 축과 일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전극 보빈을 회전시켜서 상기 분리막 리본의 외부에 스트립 구조의 제2 전극 부재를 연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부재의 폭과 상기 제2 전극 부재의 폭은 각각 권취 둘레 길이 보다 작고, 상기 분리막 리본의 폭은 권취 둘레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29]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형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30]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형 이차전지를 형성하는 음극 선재, 분리막 리본 및 양극 선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조립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이 구축되므로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1]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32]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주요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33]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34]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35]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주요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36]

도 1을 참조하면, 케이블형 이차전지 제조 장치는 로드 형태의 권심(100)과, 권심(100)에 제1 전극 부재(1), 분리막 리본(2) 및 제2 전극 부재(3)를 공급하는 전지 요소 공급수단을 포함한다. 전지 요소 공급수단은 제1 전극 부재(1)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1 전극 보빈(110)과, 분리막 리본(2)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분리막 보빈(120)과, 제2 전극부재(3)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2 전극 보빈(130)을 포함한다.

[37]

권심(100)은 정해진 길이와 직경을 가진 봉형 로드(Rod)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권심(100)은 예컨대, 0.5mm의 작은 직경을 가진 로드에 의해 구성되므로 연선 공정 중 선재의 장력(Tension)으로 인해 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폴리머가 코팅된 소정의 지지 구조물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8]

제1 전극 보빈(110)은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내부전극 형성에 사용되는 제1 전극 부재(1)가 권선되는 보빈이다. 제1 전극 부재(1)는 구리 와이어에 통상의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제1 전극 부재(1)는 나선형으로 연선되어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음극을 제공한다.

[39]

제1 전극 보빈(110)은 권심(100)을 둘러싸도록 복수개가 소정의 지지대(111)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제1 전극 부재(1)의 권출이 가능하도록 지지대(11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지지대(111)에는 각각의 제1 전극 보빈(11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암(111a)이 방사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40]

분리막 보빈(120)은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분리막 형성에 사용되는 분리막 리본(2)이 권선되는 보빈이다. 분리막 리본(2)으로는 리본 형태로 가공된 통상의 리튬 이차전지용 분리막 필름이 채용 가능하다.

[41]

제2 전극 보빈(130)은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외부전극 형성에 사용되는 제2 전극 부재(3)가 권선되는 보빈이다. 제2 전극 부재(3)는 도체 스트립에 통상의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제2 전극 부재(3)는 나선형으로 연선되어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양극을 제공한다.

[42]

케이블형 이차전지 제조 장치는 권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권심(100)의 둘레에 제1 전극부재(1), 분리막 리본(2) 및 제2 전극부재(3)를 차례대로 연선하도록 동작한다. 이를 위해, 제1 전극 보빈(110), 분리막 보빈(120) 및 제2 전극 보빈(130)은 권심(100)의 축방향으로 가면서 차례대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3]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장치는 권심(100) 및 상기 전지 요소 공급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권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권심(100)의 둘레에 제1 전극 부재(1), 분리막 리본(2) 및 제2 전극 부재(3)를 차례대로 연선한다. 이하에서는 권심(100)은 회전하지 않고 전지 요소 공급수단이 회전하여 케이블형 이차전지를 제조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4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심(100)과 일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전극 보빈(110)을 지지하는 지지대(111)와, 분리막 보빈(120) 및 제2 전극 보빈(130)을 일괄적으로 지지하는 공통 회전프레임(140)을 구비한 케이블형 이차전지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권심(100)은 축방향으로 전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45]

지지대(111)는 실질적으로 원반 형상의 몸체를 갖도록 구성되고, 제1 전극 보빈(110)을 지지하는 동시에 권심(100) 주위를 따라 상기 제1 전극 보빈(111)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 전극 부재(1)를 권심(100)의 둘레에 연선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권심(100)은 지지대(111)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6]

공통 회전프레임(140)은 분리막 보빈(120) 및 제2 전극 보빈(130)을 지지하는 동시에 권심(100) 주위를 따라 분리막 보빈(120) 및 제2 전극 보빈(130)을 일체로 회전시킴으로서 분리막 리본(2) 및 제2 전극 부재(3)를 권심(100)의 둘레에 연선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분리막 보빈(120)과 제2 전극 보빈(130)은 분리막 리본(2)과 제2 전극 부재(3)의 권출이 가능하도록 공통 회전프레임(14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47]

공통 회전프레임(140) 상에서 분리막 보빈(120)과 제2 전극 보빈(130)은 권심(100)의 축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분리막 보빈(120) 및 제2 전극 보빈(130)은 권심(100)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양편에 위치하도록 공통 회전프레임(140)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공통 회전프레임(140)의 양편에는 각각 소정 형상의 제1 프레임(141)과 제2 프레임(142)이 구비되어 분리막 보빈(120)과 제2 전극 보빈(130)을 지지한다.

[48]

분리막 보빈(120)과 제2 전극 보빈(130)은 공통 회전프레임(140)에 의해 권심(100) 주위를 따라 일체로 회전하므로 권심(100)의 둘레에 감기는 각도, 즉 감김 각도의 조절이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분리막 보빈(120)을 지지하는 제1 지지봉(120a)과 제2 전극 보빈(130)을 지지하는 제2 지지봉(130a)은 서로 다른 피봇부들(121,131)에 의해 각도 조절을 위한 회동이 가능하게 제1 프레임(141)과 제2 프레임(142)에 각각 설치된다.

[49]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케이블형 이차전지 제조 장치는 지지대(111) 및 공통 회전프레임(140)이 회전함에 따라 제1 전극 보빈(110), 분리막 보빈(120) 및 제2 전극 보빈(130)이 권심(100) 주위를 따라 회전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권심(100)의 둘레에 제1 전극 부재(1), 분리막 리본(2) 및 제2 전극 부재(3)를 차례대로 연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권심(100)의 둘레에는 상기 전지 요소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선됨과 아울러 직경방향으로 적층된 와인딩 셀(Winding cell)이 형성된다. 이렇게 제조된 와인딩 셀은 정해진 길이단위로 커팅된 후 권심(100)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분리되어 취출된다.

[5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심(100)의 축과 일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전극 보빈(110)을 지지하는 지지대(111)와, 분리막 보빈(120) 및 제2 전극 보빈(130)을 각각 지지하는 제1 회전로드(123)과 제2 회전로드(133)를 구비한 케이블형 이차전지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권심(100)은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51]

분리막 보빈(120) 및 제2 전극 보빈(130)은 권심(100)의 축과 일치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회전로드(123)와 제2 회전로드(133)의 끝부분에 장착되어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52]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케이블형 이차전지 제조 장치는 지지대(111)와 제1 회전로드(123) 및 제2 회전로드(133)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전극 보빈(110), 분리막 보빈(120) 및 제2 전극 보빈(130)이 권심(100) 주위를 회전하면서 권심(100)의 둘레에 제1 전극 부재(1), 분리막 리본(2) 및 제2 전극 부재(3)를 차례대로 연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권심(100)의 둘레에는 상기 전지 요소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선됨과 아울러 직경방향으로 적층된 와인딩 셀(Winding cell)이 형성된다. 와인딩 셀이 형성된 후에는 권심(100)이 와인딩 셀에서 빠짐으로써 케이블형 이차전지가 얻어진다.

[53]

권심(100)에 나선형으로 감기는 전지 요소들 중 제1 전극 부재(1)의 폭과 제2 전극 부재(3)의 폭은 각각 해당 전지 요소의 권취 둘레 길이 보다 작고, 분리막 리본(2)의 폭은 그 권취 둘레 길이보다 크게 설계된다. 여기서, 상기 '폭'은 각 전지 요소들을 그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가로지른 최대 거리를 지칭한다. 상기 '권취 둘레 길이'는 해당 전지 요소가 권심(100)의 외부에 나선형으로 권취된 상태에서 권심(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측정한 둘레 길이를 지칭한다.

[54]

권심(100)의 단면이 원형일 때, 제1 전극 부재(1)와 제2 전극 부재(3) 각각은 관계식, W < D x π를 만족시키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W는 각 전지 요소의 폭, D는 각 전지요소의 권취 내경, π는 원주율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할 때, 제1 전극 부재(1)의 폭(W1)은 관계식 W1 < D x π을 만족하고, 제2 전극 부재(3)의 폭(W3)은 관계식 W3 < D x π을 만족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전극 부재(1)와 제2 전극 부재(3)는 각각, 겹침 없이 권심(100)의 둘레에 효율적으로 나선형으로 권취될 수 있다.

[55]

예를 들어, 권심(100)의 직경이 0.5mm인 경우, 권심(100)의 바로 외부에 감기는 제1 전극 부재(1)의 권취 내경은 0.5mm가 되므로, 제1 전극 부재(1)의 폭(W1)은 1.57mm(= 0.5mm x 3.14) 이하로 설계된다.

[56]

제1 전극 부재(1)의 두께를 0.4mm로 가정할 때 분리막 리본(2)의 권취 내경은 1.3mm(= 2 x 0.4mm + 0.5mm)이므로, 분리막 리본(2)의 폭(W2)을 4.082mm(= 1.3mm x 3.14) 이하로 설계하면 분리막 리본(2)은 겹치지 않게 단일층으로 감길 수 있다.

[57]

제1 전극 부재(1)와 제2 전극 부재(3) 간의 쇼트 발생 방지를 위해, 분리막 리본(2)은 적어도 일부가 2층으로 겹쳐지게 감기는 것이 최적이다. 분리막 리본(2)의 폭(W2)은 2층으로 겹쳐지게 감기는 경우 계산식, W > 2D x π를 만족시키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D는 권취 내경, π는 원주율을 나타낸다.

[58]

예를 들어, 분리막 리본(2)의 폭(W2)을 8.164mm(= 2 x 1.3mm x 3.14) 보다 큰 값으로 설계하면 분리막 리본(2)은 2층으로 겹쳐지게 감길 수 있다.

[59]

권심(100)의 단면이 타원형일 때에는, 권심(100)에 나선형으로 감기는 전지 요소들 중, 제1 전극 부재(1)과 제2 전극 부재(3) 각각의 폭은 관계식, W < L을 만족시키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W는 각 전지 요소의 폭, L은 각 전지요소의 권취 둘레 길이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할 때, 제1 전극 부재(1)의 폭(W1)은 관계식 W1 < L을 만족하고, 제2 전극 부재(3)의 폭(W3)은 관계식 W3 < L을 만족한다.

[60]

케이블형 이차전지 제조 장치의 작동 시 전극 부재들(1,3) 및 분리막 리본(2)의 효율적인 공급 및 와인딩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1 전극 부재(1)의 폭(W1)은 0.4~0.5mm, 분리막 리본(2)의 폭(W2)은 7mm 이하, 제2 전극 부재(3)의 폭(W3)은 3mm 이하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61]

분리막 리본(2)이 권심(100)의 둘레에 빈틈없이 감기기 위해서는 전체 폭의 50% 이하가 겹치도록 연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분리막 리본(2)의 감김 각도는 21~24도이고, 상기 제2 전극 부재(3)의 감김 각도는 25~28도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6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 제조 장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를 이루는 제1 전극 부재(1), 분리막 리본(2) 및 제2 전극 부재(3)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권심(100)의 둘레에 내부전극, 분리막 및 외부전극이 차례대로 연선된 와인딩 셀을 형성하는 조립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케이블형 이차전지를 양산할 수 있다.

[63]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로드 형태의 권심 주위에 전지 요소 공급수단으로서 보빈들을 배치하는 공정과, 전지 요소들의 공급과 함께 각각의 보빈들을 회전시켜서 권심(100)의 둘레에 제1 전극 부재(1), 분리막 리본(2), 제2 전극 부재(3)를 차례대로 권취하여 연선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64]

보빈 배치 공정에서는 제1 전극 보빈(110), 분리막 보빈(120) 및 제2 전극 보빈(130)을 각각 정해진 각도로 배치한다. 즉, 스트립 구조의 제1 전극 부재(1)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1 전극 보빈(110)과, 분리막 리본(2)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분리막 보빈(120)과, 스트립 구조의 제2 전극 부재(3)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2 전극 보빈(130)을 권심(100)의 주변에 배치한다.

[65]

제1 전극 보빈(110), 분리막 보빈(120) 및 제2 전극 보빈(130)에는 각각 제1 전극 부재(1), 분리막 리본(2), 제2 전극 부재(3)가 전지 요소로서 감겨 있다. 여기서, 제1 전극 부재(1)의 폭과 제2 전극 부재(3)의 폭은, 연선 공정에 의해 권심(100)의 둘레에 나선형으로 연선이 되었을 때 겹침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각의 권취 둘레 길이 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설정된다. 또한, 분리막 리본(2)의 폭은, 연선 공정에 의해 권심(100)의 둘레에 나선형으로 연선이 되었을 때 겹침이 발생하도록, 권취 둘레 길이보다 큰 값을 갖도록 설정된다.

[66]

연선 공정에서는 권심(100)의 축과 일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제1 전극 보빈(110)을 회전시켜서 권심(100)의 둘레에 스트립 구조의 제1 전극 부재(1)를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연선하는 처리와, 권심(100)의 축과 일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분리막 보빈(120)을 회전시켜서 제1 전극 부재(1)의 외부에 분리막 리본(2)을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연선하는 처리와, 권심(100)의 축과 일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제2 전극 보빈(130)을 회전시켜서 분리막 리본(2)의 외부에 스트립 구조의 제2 전극 부재(3)를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연선하는 처리를 차례대로 자동으로 수행한다.

[67]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제1 전극 부재(1), 분리막 리본(2) 및 제2 전극 부재(3)의 효율적인 공급 및 와인딩 처리를 위한 각 전지 요소들의 폭 관련 수치범위 구성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68]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제1 전극 부재(1), 분리막 리본(2) 및 제2 전극 부재(3)가 차례대로 연선되고 직경 방향으로 상기 전지 요소들이 적층되고, 각 전지 요소들의 폭 관련 수치범위 구성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 케이블형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69]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조립공정을 자동하여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ble-type secondary battery, wherein the method includes a step of winding a first electrode member, a separation membrane ribbon and a second electrode member around a rod-type mandrel, wherein the width of the first electrode member and the width of the second electrode member are respectively shorter than the perimeter of the mandrel, and the width of the separation membrane ribbon is longer than the perimeter of the mandrel.

[2]



로드 형태의 권심; 및

제1 전극 부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1 전극 보빈과, 분리막 리본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분리막 보빈과, 제2 전극 부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2 전극 보빈을 포함하는 전지 요소 공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권심 및 상기 전지 요소 공급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상기 권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권심의 둘레에 상기 제1 전극 부재, 분리막 리본, 제2 전극 부재를 차례대로 연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심의 축과 일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 보빈은 상기 권심을 둘러싸도록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보빈 및 상기 제2 전극 보빈은 상기 권심의 축과 일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공통 회전프레임에 장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장치.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보빈 및 상기 제2 전극 보빈은 각각 상기 권심에 대하여 감김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장치.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보빈을 지지하는 제1 지지봉과, 상기 제2 전극 보빈을 지지하는 제2 지지봉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봉 및 상기 제2 지지봉은 각각 피봇부를 중심으로 각도 조절을 위한 회동이 가능하게 상기 공통 회전프레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보빈 및 상기 제2 전극 보빈은 상기 권심의 축과 일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회전로드 및 제2 회전로드에 각각 장착되어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부재는 와이어에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이 코팅된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장치.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 부재는 스트립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장치.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부재의 폭과 상기 제2 전극 부재의 폭은 각각 권취 둘레 길이 보다 작고,

상기 분리막 리본의 폭은 권취 둘레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장치.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권심은 단면이 원형이고,

상기 제1 전극 부재와 상기 제2 전극 부재의 폭(W)은 각각 계산식,

W < D x π (D: 권취 내경, π: 원주율)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장치.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권심은 단면이 타원형이고,

상기 제1 전극 부재와 상기 제2 전극 부재의 폭(W)은 각각 계산식,

W < L (L: 권취 둘레 길이)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장치.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리본의 폭(W)은 2층으로 겹쳐지게 감기는 경우 계산식,

W > 2D x π (D: 권취 내경, π: 원주율)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부재의 폭은 0.4~0.5mm, 상기 분리막 리본의 폭은 7mm 이하, 상기 제2 전극 부재의 폭은 3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장치.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리본은 전체폭의 50% 이하가 겹치도록 연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장치.

(a) 로드 형태의 권심 주위에, 제1 전극 부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1 전극 보빈과, 분리막 리본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분리막 보빈과, 제2 전극 부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2 전극 보빈을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권심의 축과 일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전극 보빈을 회전시켜서 상기 권심의 외부에 스트립 구조의 제1 전극 부재를 연선하는 단계;

(c) 상기 권심의 축과 일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분리막 보빈을 회전시켜서 상기 제1 전극 부재의 외부에 분리막 리본을 연선하는 단계; 및

(d) 상기 권심의 축과 일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전극 보빈을 회전시켜서 상기 분리막 리본의 외부에 스트립 구조의 제2 전극 부재를 연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부재의 폭과 상기 제2 전극 부재의 폭은 각각 권취 둘레 길이 보다 작고, 상기 분리막 리본의 폭은 권취 둘레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단면이 원형인 권심을 배치하고,

상기 제1 전극 부재와 상기 제2 전극 부재의 폭(W)은 각각 계산식,

W < D x π (D: 권취 내경, π: 원주율)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단면이 타원형인 권심을 배치하고,

상기 제1 전극 부재와 상기 제2 전극 부재의 폭(W)은 각각 계산식,

W < L (L: 권취 둘레 길이)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리본의 폭(W)은 2층으로 겹쳐지게 감기는 경우 계산식,

W > 2D x π (D: 권취 내경, π: 원주율)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부재의 폭은 0.4~0.5mm, 상기 분리막 리본의 폭은 7mm 이하, 상기 제2 전극 부재의 폭은 3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분리막 리본은 전체 폭의 50% 이하가 겹치도록 연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형 이차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