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OY FOR REPELLING JELLYFISH BY USING ULTRA-LOW FREQUENCY WAVES

20-07-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WO2017122838A1
Автор: MUN, Seong Mo
Принадлежит: 주식회사 엔엔에프텍
Контакты:
Номер заявки: KR03-00-201605
Дата заявки: 12-01-2016

초저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
[1]

본 발명은 초저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파리가 기피하는 초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초저주파 발생부를 부표에 내장시켜서 풍력 발전기와 태양광 모듈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여 해파리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시켜 해파리에 따른 사고를 예방하는 동시에, LED 램프 및 안테나부를 구비하여 해양 경계선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면서 부표의 위치를 원거리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또 통신 성능을 높여 해상에서의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할 할 수 있도록 하는 초저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에 관한 것이다.

[2]

최근에 들어서는 해양환경의 변화에 따라 수온이 높은 하절기에 해파리가 연안해역에 대량으로 출현하여 물고기와 함께 혼획됨으로써 어업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해파리의 촉수에 치명적인 독소가 있어서 해수욕장이나 바닷물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피부가 해파리의 독에 노출됨에 따라 작업자의 인체에 손상을 입히는 것과 같은 부차적인 문제점을 야기시켰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각종 요인들로 인하여 출몰되는 해파리의 양이 너무 많을 경우에는 조업 자체를 포기하는 사례도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3]

또한, 원자력발전소의 발전기를 돌리는 과정에서 생긴 열과 증기를 식히기 위해 바닷물을 끌어들이는 취수구의 철망은 3~4㎜의 구멍으로 촘촘하게 막혀 있어 이물질이 들어오지 못하고 물만 통과하도록 되어 있으나, 해파리떼가 극성을 부릴 경우 크기 15㎝의 해파리는 점액질이 많아 그물망에 달라붙으면 잘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바닷물이 취수구로 들어가지 못하게 방해하여 상기 취수구를 막히게 하거나 바닷물의 흐름을 방해하여 발전소의 가동을 중단시키거나 발전소의 출력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일으킨다.

[4]

상기와 같은 해파리를 퇴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공개특허공보 10-2011-0067974호에 의하면, 모터를 이용하여 물의 흐름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물의 흐름을 통해 해파리를 강제적으로 해파리 제거 장치에 유입시키는 과정에서 날카로운 해체망을 통과시킴으로써 해파리를 해체하는 기계적인 방법과 등록특허공보 10-0958397호와 같이 전기 발생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발생신호를 전기발생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 및 발전소 취수구가 설치된 해수영역을 둘러싼 방파제의 입구 양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기발생신호를 수신하면 해수에 전기충격을 발생하는 전기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해파리 퇴치 장치 및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5]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계적인 해파리 퇴치 장치는 해파리의 퇴치와 제거와 많은 인력이나 비용이 요구되고 있고, 전기충격을 발생하는 전기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해파리 퇴치 장치 및 방법은 전기 충격을 발생시켜 그에 따른 수중 생태계의 파괴가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6]

[선행기술문헌]

[7]

[특허문헌]

[8]

(특허문헌 1) KR 10-2011-0067974 (공개번호) 2011.06.22.

[9]

(특허문헌 2) KR 10-0958397 (등록번호) 2010.05.10.

[10]

(특허문헌 3) KR 10-0848032 (등록번호) 2008.07.17.

[11]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그의 목적은 수중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는 초저주파를 이용하여 해파리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으로서 해파리기 기피하는 초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초저주파 발생부를 부표에 내장시켜서 파력 발전기와 태양광 모듈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여 해파리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시켜 해파리에 따른 사고를 예방하는 동시에, LED 램프 및 안테나부를 구비하여 해양 경계선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면서 부표의 위치를 원거리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또 통신 성능을 높여 해상에서의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할 할 수 있도록 하는 초저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를 제공하는데 있다.

[12]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수면상에 부상 설치되면서 초저주파를 발진하여 해파리를 퇴치하는 부표에 있어서, 봉 형상 또는 원기둥 모양의 수직부재(110)와 상기 수직부재(110)를 해수면 에 부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부재(110)의 상부측 외주연으로 결합되는 튜브부재(120)로 구성되되, 상기 수직부재(110)에는 태양광을 집열하여 발전하는 태양광 모듈(130)과, LED 조명부(140), 해풍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풍력발전기(150), 충전용 배터리(160) 및 컨트롤러(191)가 내장되는 시스템함체(19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부재(110)의 상단부에는 안테나수단(200)이 설치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초저주파를 발진하여 수중의 해파리를 퇴치시키는 원통형상의 초저주파 발생기(180)가 설치 구비된다.

[13]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초저주파 발생기(180)는 꺾인 나선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회로기판에 전류를 흘려보내어 10∼20hz의 초저주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14]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안테나수단(200)은 GPS, WCDMA, Zigbee 기능이 구비되어 부표의 위치를 원거리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근거리 통신성능을 통해 해상에서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15]

본 발명의 상기 초저주파 발생기(180)는 부표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그 하부측으로 와이어(181)를 연결하여 닻(210)을 더 설치 구성된다.

[16]

본 발명의 상기 와이어(181)에는 부표를 수중으로부터 철거를 쉽게하는 철거용와이어(220)가 더 연결 구비되고, 상기 철거용와이어(220)는 해수면에 부상되는 단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그 끝단부에 인식용 표시부구(221)가 더 설치 구비된다.

[17]

본 발명에 따른 초저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에 의하면, 해파리를 원천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과 해안 경계선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8]

또한, 주야간시에는 RFID 칩을 이용하여, 해안 경계선의 근처에 오거나 넘어가려는 피서객들이 있을 시 해안 구조대에 연락이 감으로써, 인명피해 감소의 효과가 있다.

[19]

또한, 풍력 발전기와 태양광 모듈에 의한 자가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항상 초저주파 발생기를 작동시킴으로써 지속적인 기능 수행의 효과가 있다.

[20]

또한 본 발명은 GPS, WCDMA, Zigbee 기능을 갖는 안테나부를 구비함으로써 부표의 위치를 원거리로 파악할 수 있어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또 통신 성능을 확대하여 해상에서의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할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1]

또한 본 발명은 부표가 해수면에 안정적으로 부상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닻의 연결부에 철거용 밧줄을 설치하되 그 밧줄의 끝단부가 해수면에 떠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시에 밧줄을 당겨 부표를 안전하게 철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도 있다.

[22]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저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의 전체 사시상태도이고,

[23]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저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의 상태단면도이고,

[24]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저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도이고,

[25]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저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에서 초저주파가 발생되는 개략적인 작동상태도이고,

[26]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저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상태도이고.

[27]

도 6은 초저주파 발생장치의 개요로, 도 6b는 도 6a 의 A-A'의 단면도이고,

[28]

도 7은 도 6의 구동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며,

[29]

도 8은 도 6의 진동판과 구동서보 액츄에이터의 실시예시도이다.

[30]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31]

본 발명에 따른 초저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32]

봉 형상 또는 원기둥 모양의 수직부재(110)와 상기 수직부재(110)를 해수면 위에 부상시키기 위해 결합되는 튜브부재(120)로 구성된다.

[33]

상기 수직부재(110)에는, LED 조명과 통신부, 태양 및 풍력 발전기가 포함된 에너지구동부, 축전지와 초저주파발생기가 포함된 초저주파 구동부가 포함되어 있다.

[34]

상기 수직부재(110)는 초저주파 해파리 퇴치 부표의 바디 부분으로서, 태양광 모듈(130), LED 조명부(140), 풍력발전기(150), 충전용 배터리(160), 충전용 배터리 관리용 연결부(170), 초저주파 발생기(180), 및 시스템함체(190)를 포함하고 있다.

[35]

또한, 상기 LED 조명부(140) 내에는 RFID 통신 모듈이 내장되어 있어 RFID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36]

또한, 상기 튜브부재(120)는 해수면에 설치하기 위한 부표 설치부로서 우레탄 폼 튜브 등을 보강하여 해수면상에 안정적으로 부상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며, 부표간 연결부(121)가 포함되어 있다.

[37]

상기 태양광 모듈(130)은 유연한 소재의 태양광 패널을 사용하여 판형상 또는 곡면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여 태양의 위치에 상관없이 빛을 최대한 많이 받을 수 있게 한다.

[38]

상기 태양광 모듈(130)의 일 실시예로서 패널의 형태를 판 형상으로 한 솔라모듈 3개로 하여 120도 간격으로 설치했을 때 각각의 솔라모듈에서 발전되는 전력량은 250w~300w정도이다.

[39]

그리고 태양광 모듈(130)에 사용하는 플라스틱의 종류는 나노 플라스틱으로, 나노 사이즈의 초미립자 활용에 의한 플라스틱이다. 나노 복합재료의 장점은 강성과 내열성의 향상, 가스 방해성의 향상, 굴절률 등 광학 특성 개선, 난연성의 향상, 그리고 플라스틱 성형 제품의 표면 경도의 향상 등이 있다.

[40]

그리고 상기 LED 조명부(140)는 20w 정도의 조도를 내는 LED 등이 설치되어 피서객들이 부표의 위치를 쉽게 인지하게 하여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조명을 비춰서 해안 경계선의 역할을 수행하고 주야간시에는 RFID 통신칩을 이용하여, 해안 경계선의 근처에 오거나 넘어가려는 피서객들이 있을 시 해안 구조대에 통신 연락을 통하여, 안전사고의 예방에 만전을 기한다.

[41]

그리고 상기 풍력발전기(150)는 상기 수직부재(110)의 상단부측에 설치되어 불어오는 풍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상기 풍력발전기(150)는 300~400W급 소형으로 설치되는 것이 좋으며 회전날개부와 회동축 등으로 구성되어 풍력에 의한 회전날개의 회전력으로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면서 발전되는 전기는 상기 태양광모듈(130)에서 발전되는 전기와 함께 상기 충전용 배터리(160)에 충전되어 활용된다.

[42]

또한 상기 수직부재(110)의 최상단부측에는 안테나수단(200)을 더 설치 구성할 수 있다.

[43]

여기서 상기 안테나수단(200)은 GPS, WCDMA, Zigbee 등의 위치추적 및 통신성능 구비함으로써 부표의 위치를 원거리로 파악할 수 있어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또 근거리 통신성능을 이용하여 해상에서의 안전사고 예방을 담당하게 된다.

[44]

그리고 상기 튜브부재(120)는 pp(polypropylene) 소재를 발포하여 만든 친환경 소재로, 이는 경량성, 강도, 유연성의 특징으로 화학처리와 부식에 영향이 없고 환경 유해 물질인 중금속이 함유되지 않아 친환경적 부표 제작에 적합하다.

[45]

또한 상기 튜브부재(120)는 pp(polypropylene) 소재 이외의 어떠한 친환경 소재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46]

그리고 상기 튜브부재(120)의 둘레에는 원형의 파이프로 된 부표 간 연결부(121)가 둘러싸여 있고 상기 파이프에 와이어를 연결할 수 있도록 둘레 원주 부분이 잘려서 형성된 호 형상의 연결공(122)이 마련되어 있다.

[47]

부표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121)는 316 스테인리스강의 소재로 된 원형의 파이프로 각각의 부표 간 연결 시 와이어의 연결부로 사용된다. 또한 정해진 위치로 부표를 운반할 때 상기 연결공(122)을 통해 배와 와이어로 연결을 할 때 사용된다.

[48]

그리고 상기 충전용 배터리(160)는 대용량 리튬폴리머전지를 사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리튬이온전지보다 폭발 위험성이 낮고 안정성이 좋으며 어떤 모양으로든 변형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리튬폴리머전지의 각 셀의 크기는 0.5mmx81mmx20mm로 각 셀마다 3.7V의 전압을 내장한다.

[49]

그리고 상기 충전용 배터리(160)는 상기 수직부재(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시스템함체(190)에 컨트롤러(191)와 함께 고정 설치된다.

[50]

여기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160)에는 상기 태양광 모듈(130)과 상기 풍력발전기(150)가 연결되어 있어 생산된 전기 에너지가 저장된다.

[51]

그리고 상기 충전용 배터리 관리용 연결부(170)는 하단 몸체를 분리하거나 초저주파 발생기를 보수 관리하고 배터리를 새로 갈아 끼울 때 또는 시스템함체를 편리하게 연결, 해체하도록 도와주는 등 보수 관리용으로 사용된다.

[52]

그리고 상기 초저주파 발생기(180)는 1954 독일의 물리학자 Dr. W.O Schumann이 발견한 소위 'Schuman Resonance Wave'에 기초를 두고 있다. 초저주파 발생기가 상용화 되어 현재 이용되고 있는 제품은 음향기기 보조기능을 하는 제품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초저주파를 이용, 오디오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나 외부 잡음을 제거하거나 중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53]

DC12V, 2W~5W의 전력을 필요로 하는 이 장치는 꺾인 나선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회로기판에 전류를 흘려보내어 생기는 태풍이 발생하기 전 발생하는 초저주파와 흡사한 영역대인 10hz~20hz의 파를 인위적으로 발생시키는 장치로 별도의 홀(hole)이 없이 전방위로 파장을 발생 시킬 수 있다.

[54]

상기 초저주파 발생기(18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해수면과 수평하게 설치되고 그 중앙부측에는 상기 수지부재(110)가 연결 설치되며 양단부측에는 초저주파 발진부가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55]

여기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초저주파 발생기(180)의 개략적인 구성과 초저주파가 발생되는 원리를 간락하게 살펴보면 도 6 내지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초저주파 발생부는 1변의 길이가 약 1m인 정육면체에서 마주보는 2면에 1m × 1m 인 알루미늄 벌집 진동판(180c)이 각각 설치되어, 위 2개의 진동판(180c)이 2대의 공압 서보 액츄에이터(187)을 이용하여 서로 역위상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인입의 진동형태를 실현함과 동시에 공압 서보 액츄에이터(187)에 걸리는 반력을 상쇄할 수 있다. 도7과 같이 2개의 진동판에는 각각 변위계가 설치되어 진동판의 움직임을 피드백 제어한다. 측면에 설치된 에어 덕트(186)는 직경 약 60cm 로 저주파 장치 내부에 발생되는 압력 변화를 완화시키는 구성으로, 15㎥ 이상의 용적을 추가하여 ± 70 mm 의 최대 변위를 달성한다. 상기 초저주파 발생기는 풍력발전 또는 태양광발전을 통하여 충전된 배터리를 사용하며 에어컴프레샤를 통하여 에어탱크에 모아 놓은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5 ~ 20Hz의 초저주파 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56]

상기 공압서보 액츄에이터(187)와 진동판(180c)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측에는 공안 서보 액츄에이터인 리니어모터(180a)가 구비되고 상기 리니어모터(180a)의 어느 일측으로 연결로드(180b)를 통해 연결되는 얇은 진동판(180c)이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57]

따라서 상기 리니어모터(180a)의 작동에 의해 상기 진동판(180c)이 정현파를 일으켜 수중에서 초저주파를 발진시키게 된다.

[58]

그리고 상기 초저주파 발생기(180)는 그 하부측으로 부표의 균형을 잡기 위한 닻(210)을 내릴 수 있도록 와이어(181)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181)는 쇄사슬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59]

또한 상기 와이어(181)에는 부표를 수중에서 철거할 때 당겨 올릴 수 있도록 하는 철거용와이어(220)가 더 연결 구비되어 있다.

[60]

즉, 상기 철거용와이어(220)는 부표가 해수면에 안정적으로 부상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상기 닻(210)의 연결 와이어(181)에 밧줄과 같이 수면으로 부상이 가능한 재질로 설치하되 해수면으로 떠오른 단부에는 표시부구(221)를 연결해 둠으로써 비상시에 용이하게 상기 철거용와이어(220)를 당겨 부표를 안전하게 철거할 수 있도록 한다.

[61]

이는 해수면의 수심이 낮은 경우 상기 닻(210)이 수중의 바닥에 박혀 고정되는 경우 상기 철거용와이어(220)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들어올릴 수가 있게 된다.

[62]

본 발명의 초고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의 설치방법과 작용은 다음과 같다.

[63]

즉 초고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100)는 상기 튜브부재(120) 둘레에 설치되어있는 링에 로프를 연결, 설치 위치까지 보트로 인양해 간 후에 각 설치위치마다 부표를 띄우며 부표 간 와이어를 연결한다.

[64]

또한 상기 튜브부재(120)의 둘레 원형의 파이프로 된 부표 간 연결부(121)과 봉 형상의 상기 수직부재(110) 하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초저주파 발생기(180)의 외주연에 텐션와이어(123)를 연결함으로써 튜브부재가 심한파도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도 한다.

[65]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초저주파의 영향을 받는 거리는 공기 중에서 반경 3.6m이나, 수중에서는 파장의 영향범위가 5배 증가하여 전방위 18m까지 영향을 미친다. 이를 이용하여 부표간의 거리가 약 35m정도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부표가 설치되도록 하고 초저주파가 미치지 않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66]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67]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초저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는 해파리가 기피하는 초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초저주파 발생부를 부표에 내장시켜서 풍력 발전기와 태양광 모듈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여 해파리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시켜 해파리에 따른 사고를 예방하는 동시에, LED 램프 또는 안테나부를 구비하여 해양 경계선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면서 부표의 위치를 원거리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또 통신 성능을 높여 해상에서의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할 할 수 있게 된다.

[68]

[부호의 설명]

[69]

100:초저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

[70]

110:수직부재

[71]

120:튜브부재 121:부표간 연결부 122:연결공 123:텐션와이어

[72]

130:태양광 모듈 140:LED조명부 150:풍력발전기

[73]

160:충전용배터리 170:충전용 배터리 관리용 연결부

[74]

180:초저주파발생기 181:와이어

[75]

186 : 에어덕트 187: 공압액츄에이터 188 : 서라운드 에지

[76]

190:시스템함체 191:컨트롤러

[77]

200:안테나수단

[78]

210:닻 220:철거용와이어 221:표시부구



[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 for repelling jellyfish by using ultra-low frequency wav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oy for repelling jellyfish by using ultra-low frequency waves, wherein the buoy has a built-in ultra-low frequency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ultra-low frequency waves that jellyfish dislike, and drives the same using energy generated by a wind power generator and a solar module, so as to prevent access of jellyfish and thereby prevent accidents caused by jellyfish. At the same time, the buoy has an LED lamp or antenna unit, so that the buoy can serve as a maritime boundary and the location of the buoy can be recognized from a long distan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and the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which can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at sea.

[2]



해수면상에 부상 설치되면서 초저주파를 발진하여 해파리를 퇴치하는 부표에 있어서,

봉 형상 또는 원기둥 모양의 수직부재(110)와 상기 수직부재(110)를 해수면 에 부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부재(110)의 상부측 외주연으로 결합되는 튜브부재(120)로 구성되되,

상기 수직부재(110)에는 태양광을 집열하여 발전하는 태양광 모듈(130)과, LED 조명부(140), 해풍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풍력발전기(150), 충전용 배터리(160) 및 컨트롤러(191)가 내장되는 시스템함체(19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부재(110)의 상단부에는 안테나수단(200)이 설치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초저주파를 발진하여 수중의 해파리를 퇴치시키는 원통형상의 초저주파 발생기(180)가 설치 구비되는 초저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저주파 발생기(180)는 꺾인 나선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회로기판에 전류를 흘려보내어 10∼20hz의 초저주파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초저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수단(200)은 GPS, WCDMA, Zigbee 기능이 구비되어 부표의 위치를 원거리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근거리 통신성능을 통해 해상에서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초저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초저주파 발생기(180)는 부표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그 하부측으로 와이어(181)를 연결하여 닻(210)을 더 설치 구성하는 초저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81)에는 부표를 수중으로부터 철거를 쉽게하는 철거용와이어(220)가 더 연결 구비되고, 상기 철거용와이어(220)는 해수면에 부상되는 단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그 끝단부에 인식용 표시부구(221)가 더 설치 구비되는 초저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

제5항에 있어서,

상기 LED 조명부(140)에는 해안 경계선의 근처에 오거나 넘어가려는 피서객들이 있을 경우에 RFID 신호를 발생하는 RFID 통신 모듈이 더 설치 구비되는 초저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재(120)에는 상기 초저주파발생기(180)와 연결하여 부표의 균형을 잡기 위한 텐션와이어(123)가 더 설치 구비되는 초저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