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TOOING DEVICE
본 발명은, 신체에 영구 또는 반영구적으로 문신을 시술하도록 된 문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을 통해 문신바늘이 진퇴운동을 반복하도록 하여 시술작업을 간편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고, 특히, 다양한 색상의 문신잉크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문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신은, 피부나 피하조직에 상처를 내고 물감[色素]을 들여 글씨나 그림 무늬 등을 새기는 것이다. 이러한 문신을 시술하는 문신장치는, 동물의 뼈로 만든 작은 도구들을 이용하였으나, 오늘날에는 모터의 구동을 통해 바늘을 직선왕복운동시켜 피부에 상처를 만드는 등 다양한 방식의 문신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문신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문신 바늘이 자동으로 전후로 왕복운동하고 문신 바늘이 왕복운동을 하는 동안에 문신용 색소가 문신 바늘을 타고 내려오도록 하여, 문신 바늘이 사람의 피부를 일정 깊이로 찌르도록 하면서 이동하면 문신을 시술하는 자의 의도대로 소정의 모양이 사람의 피부에 표현하도록 된 장치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일반적으로 문신장치는, 구동모터 및 캠 유닛을 구비하고 직선왕복운동을 링크를 연동하여 전진 및 후진을 하도록 설치되는 문신바늘을 가지게 된다. 즉,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캠 및 링크기구를 통해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문신바늘을 지속적으로 진퇴운동을 하도록 함으로서, 작업을 간편하게 하도록 있다.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150777호(명칭: 문신장치)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문신바늘을 구비하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문신바늘로 전달하는 상하이동수단을 구비한 문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수단은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한 회전운동을 직진운동으로 전환하는 캠구조로 이루어지며,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베어링부재를 포함하는 문신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015358호(명칭: 반영구 눈썹화장 시술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기구)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시술할 때 피부에 염료가 스며들도록 하는 것으로, 사선으로 단차를 가지며 다수 겹쳐지게 정렬된 바늘과, 상기 바늘과 바늘 사이에 구비되어 소정의 미세한 간격을 형성하여도록 시술을 할 때 눈썹의 모양을 하나하나 살려 보다 자연스럽게 하기 위한 탄성을 가지는 수지와, 상기 정렬된 바늘의 외측을 합성수지로 감싸 형성한 몸체로 된 니들과; 상기 니들을 체결하여 시술할 때 간편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니들이 삽입되도록 중앙을 절개하여서 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의 외측으로 나사산이 구비되어 있는 압착집게와 상기 압착집게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시 나사산을 따라 진행하며 절개부를 압착함으로써 니들을 고정하도록 하는 캡으로 된 홀더를 포함하는 기구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131577호(명칭: 피부 시술장치)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본체; 상기 본체에 내설되며 편심회전체에 의해 직선 이동되는 구동축이 구비된 구동부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과 연동되는 니들슬라이더; 상기 니들슬라이더의 일측에 결합되며 니들을 구비한 니들부재;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니들이 일직선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니들가이더홈을 갖는 니들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가이더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홀이 형성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61403호(명칭: 문신기구)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 및 캠 유닛을 구비하고 직선왕복운동을 링크를 통해 전달하는 상부구동부; 및 상기 상부구동부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링크의 동작에 연동하여 전진 및 후진을 하도록 설치되는 문신바늘을 포함하는 바늘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카트리지에는 문신바늘의 외측에서 승하강하도록 설치되어 바늘 노출길이를 조절하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문신기구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신장치들은, 문신용 잉크(염료)를 수동으로 문신바늘에 주입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이 불편하고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다양한 색상의 잉크를 번갈아 가면서 작업을 할 때에 교체작업이 불편하여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장시간 잉크를 외부에 노출시킬 경우에 경화되어 폐기되는 비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을 통해 문신바늘이 진퇴운동을 반복하도록 하여 시술작업을 간편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고, 특히, 다양한 색상의 문신잉크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문신용 잉크를 외부에 대하여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문신바늘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된 문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문신장치는, 공급된 전원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 된 회전력을 통해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된 구동링크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구동링크의 직선왕복운동에 따라 진퇴하며 선단에 잉크를 신체에 주입하도록 된 문신바늘과, 상기 문신바늘이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고정하며 상기 본체에 결합하는 바늘몸체를 가지는 바늘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문신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잉크가 저장된 공간부를 가지며 선단에 상기 공간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공급구를 가지고 상기 본체에 탈부착되는 '통' 형상의 잉크통체와, 상기 잉크통체의 공간부에 구비되며 외부에서 직선운동압력을 인가받아 상기 공급구로 잉크를 가압하도록 된 가압피스톤을 가지는 잉크유닛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체에는, 공급된 전원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가압모터와, 상기 가압모터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상기 가압피스톤을 직선적인 압력을 부가하도록 된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가압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늘유닛에서 상기 바늘몸체에는, 상기 잉크통체의 선단을 고정하도록 된 고정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늘유닛에는, 상기 바늘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잉크통체의 공급구를 관통하여 상기 잉크통체에 저장된 잉크를 주입받도록 된 주입바늘과, 상기 주입바늘을 통해 공급되는 잉크를 상기 문신바늘로 공급하도록 된 연결통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급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연결통로는, 상기 바늘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주입바늘을 통해 공급된 잉크를 저장하는 저장공간과,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잉크를 상기 문신바늘의 선단으로 유도하는 유도공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저장공간에는, 상기 구동링크의 진퇴에 따라, 상기 문신바늘이 진퇴할 때, 상기 문신바늘과 연결되어 수축 및 인장되는 주름통 형태의 펌프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잉크를 상기 유도공간으로 가압하여 공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문신장치는, 본체의 구동모터를 통해 문신바늘이 진퇴운동을 반복하도록 하여 시술작업을 간편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잉크유닛을 통해 다양한 색상의 문신잉크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문신용 잉크를 외부에 대하여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문신바늘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를 보인 개략 분리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를 보인 개략 결합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에 적용되는 본체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에 적용되는 바늘유닛을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에 적용되는 잉크유닛을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에 적용되는 잉크유닛과 본체의 결합상태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에 적용되는 잉크유닛의 작용상태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에 적용되는 잉크유닛과 바늘유닛의 결합상태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에 적용되는 잉크유닛을 통해 바늘유닛으로 잉크가 공급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에 적용되는 바늘유닛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에 적용되는 바늘유닛의 문신바늘의 위치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에 적용되는 바늘유닛의 문신바늘의 진퇴운동 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1 : 문신장치 2 : 본체 21 : 구동모터 22 : 구동링크 *23 : 캠부재 24 : 안내관 25 : 조절부재 26 : 결합너트 27 : 가압모터 28 : 가압부재 281 : 평기어 282 : 기어관 283 : 나사봉 3 : 바늘유닛 31 : 문신바늘 311 : 바늘체 312 : 바늘관 313 : 바늘고정부재 314 : 고정체 315 : 바늘링크 32 : 바늘몸체 33 : 결합나사돌부 34 : 탄성스프링 35 : 주입바늘 36 : 저장공간 37 : 유도공간 38 : 캡부재 39 : 펌프부재 4 : 잉크유닛 41 : 잉크통체 42 : 가압피스톤 43 : 실링부재 44 : 마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1)는, 외부 또는 내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21)와, 상기 구동모터(21)에서 발생 된 회전력을 통해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된 구동링크(22)를 가지는 본체(2)와; 상기 구동링크(22)의 직선왕복운동에 따라 진퇴 하며 선단에 잉크를 신체에 주입하도록 된 문신바늘(31)과, 상기 문신바늘(31)이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고정하며 상기 본체(2)에 결합하는 바늘몸체(32)를 가지는 바늘유닛(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구동모터(21)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상기 문신바늘(31)이 진퇴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신체에 문신을 시술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에서 구동모터(21)와 상기 구동링크(22)는, 상기 구동모터(21)의 축에 고정되어 회전되며, 상기 구동링크(22)의 일단에 접촉하는 캠면을 가지는 '원판' 형태의 캠부재(23)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1)의 축이 회전할 때, 상기 캠부재(23)가 회전하면서 상기 캠부재(23)의 캠면이 상기 구동링크(22)를 진퇴시킴에 따라, 상기 구동링크(22)가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본체(2)에는, 상기 구동링크(22)에서 상기 문신바늘(31)을 가압하는 가압부가 안내되는 관통공을 가지는 안내관(24)이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본체(2)에는 상기 안내관(24)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된 조절부재(2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안내관(24)의 외주면에는, 나사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재(25)는 상기 안내관(24)의 외주면에 나사결합하며 상기 본체(2)에서 공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너트관' 형태의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조절부재(25)를 사용자가 임의로 회전시키면, 상기 조절부재(25)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안내관(24)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바늘유닛(3)의 바늘몸체(32)는, 상기 본체(2)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바늘몸체(32)에서 상기 본체(2)와의 결합부위에는, 상기 본체(2)의 선단에 공회전하도록 마련되는 결합너트(26)와 나사 결합하는 결합나사돌부(33)가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너트(26)에 상기 결합나사돌부(33)가 나사 결합하여 조립 및 분리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1)에서, 상기한 바늘유닛(3)의 문신바늘(31)은, 내부에 신체의 내부로 침투하여 잉크를 투입시키도록 된 다수의 바늘체(311)들이 고정된 관 형상의 바늘관(312)과, 상기 바늘관(312)을 고정하며, 상기 구동링크(22)와 접촉하여 가압되는 바늘고정부재(3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바늘고정부재(313)는, 상기 바늘몸체(32)에 왕복운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선단에 상기 바늘관(312)이 고정되는 고정체(314)와, 상기 고정체(314)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하며 상기 구동링크(22)에 의해 가압되는 바늘링크(3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늘링크(315)는 상기 바늘몸체(32)의 결합나사돌부(33)에 형성된 안내공을 통해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바늘몸체(32)와의 사이에 탄성스프링(34)이 배치되어 상기 바늘체(311)들이 상기 바늘몸체(32)의 내부로 수용되는 방향으로 탄성압력을 인가받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바늘링크(315)가 상기 구동링크(22)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바늘몸체(32)의 외부로 상기 바늘체(311)가 돌출되어 신체의 내부로 침투되도록 되며, 상기 구동링크(22)에서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스프링(34)에 의해 상기 문신바늘(31)이 후퇴하면서 상기 구동링크(22)를 후퇴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늘링크(315)의 종단은, 상기 안내관(24)의 선단에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바늘링크(315)가 상기 안내관(24)의 위치에 따라, 위치가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관(24)의 위치를 조절하면, 상기 문신바늘(31)에서 상기 바늘체(311)의 선단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신체로 침투하는 바늘체(311)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효율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1)는, 내부에 잉크가 저장된 공간부를 가지며 선단에 상기 공간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공급구를 가지고 상기 본체에 탈부착되는 '통' 형상의 잉크통체(41)와, 상기 잉크통체(41)의 공간부에 구비되며 외부에서 직선운동압력을 인가받아 상기 공급구로 잉크를 가압하도록 된 가압피스톤(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잉크유닛(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압피스톤(42)이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공급구 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잉크통체(41)의 내부에 저장된 잉크가 상기 공급구로 배출된다. 상기한 가압피스톤(42)에는, 상기 잉크통체(41)의 내부에 저장된 잉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실링부재(4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1)에서, 상기한 본체(2)에는, 공급된 전원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가압모터(27)와, 상기 가압모터(27)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상기 가압피스톤(42)을 직선적인 압력을 부가하도록 된 가압부재(28)를 포함하는 가압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28)를 통해 상기 가압피스톤(42)을 가압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가압부재(28)는, 상기 가압모터(27)의 회전축에 축결합하는 평기어(281)와 상기 평기어(281)와 기어 결합하여 연동되면서 회전하며 내부에 너트홈이 형성된 기어관(282)과, 상기 기어관(282)에 관통되게 나사결합하는 나사봉(28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압모터(27)의 회전력을 상기 평기어(281)와 상기 기어관(282)을 통해 전달받아 직선 왕복 운동하는 상기 나사봉(283)이 상기 가압피스톤(42)을 가압하여, 상기 가압피스톤(42)이 상기 잉크통체(41)의 내부에서 직선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모터(27)의 구동을 조절하면, 상기 잉크통체(41)에 저장된 잉크를 선택적으로 상기 공급구를 통해 상기 바늘유닛(3)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바늘유닛(3)에서 상기 바늘몸체(32)에는, 상기 잉크통체(41)의 선단을 고정하도록 된 고정홈이 구비되어, 상기 잉크통체(41)가 상기 본체(2)와 상기 바늘몸체(32)에 양단이 각각 탈부착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1)에서, 상기한 바늘유닛(3)에는, 상기 바늘몸체(32)에 구비되며 상기 잉크통체(41)의 공급구를 관통하여 상기 잉크통체(41)에 저장된 잉크를 주입받도록 된 주입바늘(35)과, 상기 주입바늘(35)을 통해 공급되는 잉크를 상기 문신바늘(31)로 공급하도록 된 연결통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급수단을 가진다. 즉, 상기 바늘몸체(32)의 내부에서 상기 잉크통체(41)에서 공급되는 잉크를 상기 문신바늘(31)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에서 잉크통체(41)의 공급구에는, 외부에 대한 밀폐를 위한 마개(44)가 구비되며, 상기 잉크통체(41)가 상기 바늘유닛(3)에 결합할 때, 상기 주입바늘(35)이 상기 마개(44)를 관통하면서 상기 주입바늘(35)의 선단이 상기 잉크통체(41)의 내부로 진입하여 잉크를 공급받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연결통로는, 상기 바늘몸체(32)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주입바늘(35)을 통해 공급된 잉크를 저장하는 저장공간(36)과, 상기 저장공간(36)에 저장된 잉크를 상기 문신바늘(31)의 선단으로 유도하는 유도공간(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유도공간(37)은, 상기 바늘몸체(32)에 결합하며 상기 바늘체(311)가 위치하며 상기 바늘체(311)가 외부로 진퇴하도록 된 입구를 가지는 캡부재(38)의 내부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캡부재(38)와 상기 바늘몸체(32)의 사이에는, 상기 저장공간(36)과 상기 유도공간(37)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연결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캡부재(38)와 상기 바늘몸체(32)의 사이에는, 외부에 대한 밀폐를 구현하는 미 도시된 실링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저장공간(37)에는, 상기 구동링크(22)의 진퇴에 따라, 상기 문신바늘(31)이 진퇴할 때, 상기 문신바늘(31)과 연결되어 수축 및 인장되는 주름통 형태의 펌프부재(39)가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36)에 저장된 잉크를 상기 유도공간(37)으로 펌프하여 공급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펌프부재(39)는, 신축가능한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단은 상기 바늘몸체(3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문신바늘(31)에 고정되어 상기 문신바늘(31)의 진퇴운동에 따라, 신축되어 상기 저장공간(36)에 저장된 잉크를 상기 유도공간(37)으로 가압하여 공급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펌프부재(39)는, 상기 문신바늘(31)에서 상기 고정체(314)와 상기 바늘링크(315)의 조립부위에 상기 펌프부재(39)의 단부가 끼움 결합하여 고정되는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바늘몸체(32)의 안내공과 저장공간(36)의 사이에, 상기 주름관 형태의 펌프부재(39)가 게재하여 밀폐함으로써, 외부로 잉크가 유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1)는, 상기 본체(2)에 상기 바늘유닛(3)과 상기 잉크유닛(4)을 결합한 상태에서, 미 도시된 제어수단을 통해, 상기 가압모터(27)를 구동하면, 상기 나사봉(283)이 회전하면서 직선운동을 하면서 상기 가압피스톤(42)이 잉크통체(41)의 내부에 저장된 잉크를 가압하여 잉크를 상기 주입바늘(35)을 통해 저장공간(36)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저장공간(36)으로 공급된 잉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유도공간(37)으로 유도된 후, 상기 문신바늘(1)의 선단을 구성하는 상기 바늘체(311)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유동공간(37)에서 상기 바늘체(311)로 잉크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21)를 구동하면, 상기 구동링크(22)가 캠부재(23)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면서 상기 바늘링크(315)를 가압하여 상기 문신바늘(31)이 직선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바늘체(311)가 신체의 피부로 침투하면서 잉크를 주입하여 문신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링크(22)를 가압하는 캠부재(23)는,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링크(22)를 가압 및 해제를 반복하게 되고, 상기 문신바늘(31)은 상기 탄성스프링(34)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를 반복하게 되어, 상기 바늘체(311)가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시에는 진퇴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문신바늘(31)이 진퇴운동을 반복하도록 하여 시술작업을 간편하고 원활하게 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 시, 상기 잉크유닛(4)을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잇어, 작업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잉크를 외부에 대하여 밀폐하면서 문신바늘(31)로 공급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작업을 지속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전원을 통해 문신바늘이 진퇴운동을 반복하도록 하여 시술작업을 간편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고, 특히, 다양한 색상의 문신잉크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공급된 전원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 된 회전력을 통해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된 구동링크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구동링크의 직선왕복운동에 따라 진퇴하며 선단에 잉크를 신체에 주입하도록 된 문신바늘과, 상기 문신바늘이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고정하며 상기 본체에 결합하는 바늘몸체를 가지는 바늘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문신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잉크가 저장된 공간부를 가지며 선단에 상기 공간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공급구를 가지고 상기 본체에 탈부착되는 '통' 형상의 잉크통체와, 상기 잉크통체의 공간부에 구비되며 외부에서 직선운동압력을 인가받아 상기 공급구로 잉크를 가압하도록 된 가압피스톤을 가지는 잉크유닛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문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In order to simply and smoothly perform a procedure operation by allowing a tattooing needle to repeat a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through power and, particularl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by selectively replacing tattooing ink of various color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attooing device comprising: a body, which has a driving motor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through supplied power, and a driving link configured so as to move linearly and reciprocatingly through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driving motor; and a needle unit, which has a tattooing needle advancing and retreating according to the linear and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driving link and configured so as to inject ink of a tip thereof into the body, and a needle body fixed such that the tattooing needle performs the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and coupled to the body, wherein the tattoo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n ink unit comprising: a "container" shaped ink cylinder body, which has a space in which ink is stored, has, on the tip thereof, a supply hole spatially connected to the space, and is attachable/detachable to/from the body; and a pressing piston provided in the space of the ink cylinder body and receiving linear movement pressure from the outside so as to press the ink to the supply hole. 공급된 전원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 된 회전력을 통해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된 구동링크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구동링크의 직선왕복운동에 따라 진퇴하며 선단에 잉크를 신체에 주입하도록 된 문신바늘과, 상기 문신바늘이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고정하며 상기 본체에 결합하는 바늘몸체를 가지는 바늘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문신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잉크가 저장된 공간부를 가지며 선단에 상기 공간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공급구를 가지고 상기 본체에 탈부착되는 '통' 형상의 잉크통체와, 상기 잉크통체의 공간부에 구비되며 외부에서 직선운동압력을 인가받아 상기 공급구로 잉크를 가압하도록 된 가압피스톤을 가지는 잉크유닛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에는, 공급된 전원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가압모터와, 상기 가압모터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상기 가압피스톤을 직선적인 압력을 부가하도록 된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가압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바늘유닛에서 상기 바늘몸체에는, 상기 잉크통체의 선단을 고정하도록 된 고정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바늘유닛에는, 상기 바늘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잉크통체의 공급구를 관통하여 상기 잉크통체에 저장된 잉크를 주입받도록 된 주입바늘과, 상기 주입바늘을 통해 공급되는 잉크를 상기 문신바늘로 공급하도록 된 연결통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급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제 4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통로는, 상기 바늘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주입바늘을 통해 공급된 잉크를 저장하는 저장공간과,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잉크를 상기 문신바늘의 선단으로 유도하는 유도공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제 5항에 있어서; 상기한 저장공간에는, 상기 구동링크의 진퇴에 따라, 상기 문신바늘이 진퇴할 때, 상기 문신바늘과 연결되어 수축 및 인장되는 주름통 형태의 펌프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잉크를 상기 유도공간으로 가압하여 공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