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SY-TO-OPEN CONTINUOUS PLASTIC BAGS

21-03-2019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WO2019054595A1
Автор: LEE, Jae Yoon
Принадлежит: 이재윤
Контакты:
Номер заявки: KR44-00-201836
Дата заявки: 17-04-2018

개구부의 펼침이 용이한 연속된 비닐백
[1]

본 발명은 개구부의 펼침이 용이한 연속된 비닐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적으로 적층 또는 지관에 롤 형으로 감은 다수개의 비닐백으로부터 인출되어 낱장의 비닐백을 절취하는 과정 중에 절취하고자 하는 낱장의 비닐백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가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한 개구부의 펼침이 용이한 연속된 비닐백에 관한 것이다.

[2]

일반적으로 비닐백은,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형상이 있는 모든 물품이나 액체까지 수용할 수 있도록 인플레이션 압출을 통해 일정 지름을 갖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물품이나 액체를 수용함에 따라 평면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폭방향 양측을 들여 접은 상태로 제조하고 있다.

[3]

이에 연속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폭방향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선을 따라 열융착하여 융착부를 형성한다. 즉, 낱장의 비닐백을 기준으로 길이방향 일측은 개구된 개구부를 형성하고, 길이방향 타측은 열봉합함으로써 융착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4]

이렇게 제조된 다수개의 비닐백은 지관에 롤 형으로 감은 상태로 구비하여 낱장의 비닐백을 뜯어서 사용하거나, 다수개의 비닐백을 적층한 상태로 구비하여 인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필요시에 사용자가 낱장의 비닐백은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되어 왔다.

[5]

이러한 방식들은 다수개의 비닐백으로부터 사용하고자 하는 낱장의 비닐백은 뜯어낼 때, 뜯어내려고 하는 낱장의 비닐백과 맞닿아 있는 비닐백 간에 정전기 발생으로 인해 다수개의 비닐백이 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6]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0742714호(2007.07.19. 등록)에서는 양단이 트인 비닐에 일정 간격으로 융착부를 형성하여 단위 크기로 밀폐된 공간을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하고, 각 융착부의 일측면에 절개한 절단부를 형성한 비닐백과, 상부에 관통된 인출부를 형성한 케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비닐백을 케이스에 수납한 비닐백케이스를 구성하여, 상기 수납된 비닐백이 인출부를 통해 빠져나오면서, 절단부가 절취되어 하나씩 뽑아 쓸 수 있도록 한 연속된 비닐백을 내장한 비닐백케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7]

그러나 이러한 "연속된 비닐백을 내장한 비닐백케이스"는 다수개의 비닐백을 적층한 상태로 구비한 상태에서 낱장의 비닐백을 뜯어냈을 때, 비닐백의 전면시트와 후면시트 사이에 정전기 발생으로 인해 뜯어낸 낱장의 비닐백의 개구부를 찾기 어려운 것은 물론, 개구부를 찾더라도 사용자가 추가로 비닐백의 개구부를 펼치기 위해 비닐백의 전면시트와 후면시트를 별도로 분리해야하는 작업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가 연속된 비닐백으로부터 낱장의 비닐백은 뜯어 내는 과정에서 뜯어 낸 낱장의 비닐백에 형성된 개구부가 펼쳐질 수 있도록 한 개구부의 펼침이 용이한 연속된 비닐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9]

본 발명의 개구부의 펼침이 용이한 연속된 비닐백은, 폭방향 양측을 들여 접고 길이방향 일측은 개구되어 개구부를 형성하며 길이방향 타측은 융착되어 융착부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연속된 비닐백에 있어서, 하나의 비닐백의 길이방향 일측단 및 다른 하나의 비닐백의 길이방향 타측단이 상호 맞닿은 구간 중 하나의 비닐백 폭방향 양측을 들여 접은 구간과, 다른 하나의 비닐백의 양측을 들여 접은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 절취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

이때, 상기 절취선의 양측단에는 미절취부가 형성되고, 일측단에서 형성된 미절취부에서 타측단에 형성된 미절취부까지 절취부와 미절취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

본 발명은 하나의 비닐백의 개구부가 형성된 길이방향 일측단 중 하나의 비닐백의 폭방향 양측을 들여 접은 구간과, 다른 하나의 비닐백의 융착부가 형성된 길이방향 타측단 중 다른 하나의 비닐백의 폭방향 양측을 들여 접은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 절취선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소정의 힘으로 당기는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들여 접은 구간이 외측으로 펼쳐짐으로써 개구부가 펼쳐진 상태의 낱장의 비닐백을 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2]

도 1 내지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부의 펼침이 용이한 연속된 비닐백에서 낱장의 비닐백이 절취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13]

도 5는 도 1의 부분 확대 사시도 중 비닐백(100)의 배면도이다.

[14]

도 6은 도 2의 부분 확대 사시도 중 비닐백(100)의 배면도이다.

[15]

도 7은 도 3의 부분 확대 사시도 중 비닐백(100)의 배면도이다.

[16]

도 8은 도 4의 부분 확대 사시도 중 비닐백(100)의 배면도이다.

[17]

[부호의 설명]

[18]

100, 100': 비닐백

[19]

100a, 100a': 개구부

[20]

100b, 100b': 융착부

[21]

200: 절취선

[22]

210: 미절취부

[23]

220: 절취부

[24]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25]

본 고안의 개구부의 펼침이 용이한 연속된 비닐백의 구성은 종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본 고안의 개구부의 펼침이 용이한 연속된 비닐백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비닐백(100,100') 간에 형성된 절취선(200)에 있으므로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26]

도 1 내지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부의 펼침이 용이한 연속된 비닐백에서 낱장의 비닐백이 절취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개구부의 펼침이 용이한 연속된 비닐백은 다수개의 비닐백(100,100')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구비된다.

[27]

특히, 낱장의 비닐백(100)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을 갖는 한 쌍의 비닐시트(110,120)가 상호 맞닿도록 적층시킨 상태에서 폭방향 양측을 일체로 형성하는데,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비닐시트 양측은 적층된 한 쌍의 비닐시트 사이로 인입되어 접힌 상태, 즉, 들여 접은 상태로 구비된다.

[28]

상기 비닐백(100)의 폭방향 양측을 들여 접은 상태에서 길이방향 일측은 개구되어 그 내부로 형상이 있는 모든 물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열린 개구부(100a)를 형성하고, 길이방향 타측은 개구부로 인입된 형상이 있는 모든 물품뿐만 아니라 액체까지 수용할 수 있도록 가압 열압착기 등의 설비에 의해 융착되어 닫힌 융착부(100b)를 형성한다.

[29]

전술된 방식으로 형성된 비닐백은 다수개를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하여 사용자에게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30]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비닐백(100,100')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하나의 비닐백(100)의 개구부(100a)가 형성된 길이방향 일측단과, 다른 하나의 비닐백(100')의 융착부(100b)가 형성된 길이방향 타측단이 상호 맞닿은 위치에는 절취선(200)이 형성되어 최외각에 배치되는 하나의 비닐백(100)을 사용자가 뜯어내어 낱장의 비닐백(100)을 제공받을 수 있다.

[31]

특히, 본 고안의 개구부의 펼침이 용이한 연속된 비닐백에 형성된 절취선(200)은 하나의 비닐백(100)의 개구부(100a)가 형성된 길이방향 일측단과, 다른 하나의 비닐백(100')의 융착부(100b')가 형성된 길이방향 타측단이 맞닿은 구간 중 하나의 비닐백(100)의 폭방향 양측을 들여 접은 구간과, 다른 하나의 비닐백(100')의 폭방향 양측을 들어 접은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만 형성된다.

[32]

절취선(200)은 사용자가 최외각에 배치되는 하나의 비닐백(100)을 파지하여 소정의 힘으로 당겼을 때, 파지한 하나의 비닐백(100)을 상기 하나의 비닐백에 연속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비닐백(10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서, 하나의 비닐백(100)의 개구부(100a)가 형성된 길이방향 일측단과, 다른 하나의 비닐백(100')의 융착부(100b')가 형성된 길이방향 타측단이 맞닿은 구간 중 하나의 비닐백(100)의 폭방향 양측을 들여 접은 구간과, 다른 하나의 비닐백(100')의 폭방향 양측을 들어 접은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 절취되지 않은 미절취부(210)와 절취된 절취부(220)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33]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취선(200)이 형성된 구간의 양측단에는 미절취부(210)가 형성되고, 일측단에 형성된 미절취부(210)에서 타측단에 형성된 미절취부(210)까지 절취부(220)와 미절취부(210)가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34]

이에 따라 비닐백(100)의 폭방향 양측을 들여 접은 구간의 끝단에 형성된 미절취부(210)는 사용자가 소정의 힘으로 당기는 힘에 연동하여 외측으로 펼쳐지는 것이다.

[35]

도 5는 도 1의 부분 확대 사시도 중 비닐백(100)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부분 확대 사시도 중 비닐백(100)의 배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부분 확대 사시도 중 비닐백(100)의 배면도이고, 도 8은 도 4의 부분 확대 사시도 중 비닐백(100)의 배면도이다.

[36]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뜯어내고자 하는 비닐백(100)과 뜯어내고자 하는 비닐백(100)에 연속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비닐백(100')이 상호 맞닿는 구간 중 폭방향 양측을 들여 접은 끝단 구간에 위치하는 미절취부(210)는 하나의 비닐백(100)에 위치한 미절취부(210-1, 210-2, 210-3)과 다른 하나의 비닐백(100')에 위치한 미절취부(210'-1, 210'-2, 210'-3)로 구분될 수 있는다.

[37]

이때, 하나의 비닐백(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미절취부(210-1)와 다른 하나의 비닐백(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미절취부(210'-1) 및 하나의 비닐백(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미절취부(210-3)와 다른 하나의 비닐백(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미절취부(210'3)가 사용자가 당기는 방향을 따라 연동되어 먼저 뜯어지게 되고, 하나의 비닐백(100)의 중앙에 위치하는 미절취부(210-2)와 다른 하나의 비닐백(100')의 중앙에 위치하는 미절취부(210'-2)는 하나의 비닐백(100)의 전방에 위치한 미절취부(210-1)와 다른 하나의 비닐백(100')의 전방에 위치한 미절취부(210'-1) 및 하나의 비닐백(100)의 후방에 위치한 미절취부(210-3)와 다른 하나의 비닐백(100')의 후방에 위치한 미절취부(210'-3)가 뜯어진 다음 사용자가 당기는 방향을 따라 연동하게 되어 들여 접은 구간이 외측으로 펼쳐진 후 뜯어지게 되는 것이다.

[38]

본 고안의 개구부의 펼침이 용이한 연속된 비닐백은 종래의 비닐백과 동일하게 지관에 롤 형으로 감거나 적층하여 인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내에 수용하여 낱장의 비닐백은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39]

이때, 상기 케이스는 비닐백(100)의 융착부(100b)의 양끝단부에 대응하는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인출구를 형성한다면 사용자가 하나의 비닐백(100)을 인출할 때, 낱장의 비닐백(100)을 뜯어냄과 동시에 개구부가 펼쳐진 상태로 낱장의 비닐백(100)을 제공받을 수 있다.

[40]

본 고안은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41]

본 고안은 하나의 비닐백의 개구부가 형성된 길이방향 일측단 중 하나의 비닐백의 폭방향 양측을 들여 접은 구간과, 다른 하나의 비닐백의 융착부가 형성된 길이방향 타측단 중 다른 하나의 비닐백의 폭방향 양측을 들여 접은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 절취선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소정의 힘으로 당기는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들여 접은 구간이 외측으로 펼쳐짐으로써 개구부가 펼쳐진 상태의 낱장의 비닐백을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1]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asy-to-open continuous plastic bags. Each of the continuous plastic bag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folded inwardly;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pen to form an opening thereon;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used to form a fused part thereon. In a portion where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one plastic bag and the other end of another plastic ba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eet, a perforated line is formed on a portion excluding the inwardly folded portion on two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each of the two plastic bags. An unperforated part is formed on two ends of the perforated line, and a perforated part and an unperforated part are repeatedly formed from the unperforated part formed at one end to the unperforated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2]



폭방향 양측을 들여 접고 길이방향 일측은 개구되어 개구부를 형성하며 길이방향 타측은 융착되어 융착부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연속된 비닐백에 있어서,

하나의 비닐백의 길이방향 일측단 및 다른 하나의 비닐백의 길이방향 타측단이 상호 맞닿은 구간 중 하나의 비닐백 폭방향 양측을 들여 접은 구간과, 다른 하나의 비닐백의 양측을 들여 접은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 절취선을 형성하되,

상기 절취선의 양측단에는 미절취부가 형성되고, 일측단에서 형성된 미절취부에서 타측단에 형성된 미절취부까지 절취부와 미절취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의 펼침이 용이한 연속된 비닐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