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VATOR CORE STRUCTURE THAT CAN BE PRE-CONSTRUCTED AND METHOD FOR PRE-CONSTRUCTING ELEVATOR CORE USING SAME

02-05-2019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WO2019083218A1
Принадлежит: 삼성물산 주식회사
Контакты:
Номер заявки: KR22-01-201854
Дата заявки: 17-10-2018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하는 방법
[1]

본 발명은 제조시설의 건축 또는 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의 대형 제조시설에 관한 건축물의 본 골조의 시공 완료 여부에 구애되지 않고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건물의 시공에 있어 엘리베이터의 골조와 건물의 본 골조가 같은 스케줄로 시공됨이 일반적이다.

[3]

이에 따라 건물의 시공이 완료되기 전까지 엘리베이터가 구동될 수 없다.

[4]

그러나 클린룸 등의 제조시설을 포함하는 건물의 경우에는 사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제품 양산시기 단축을 목적으로 건물 시공이 완료되기 전에 대형 장비가 건물 내부로 반입될 것이 필요한 경우가 있어 이 경우 대형 엘리베이터를 조기 가동시킬 수 있는 경우 건물 시공 완료 스케줄이 단축될 수 있다.

[5]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이 기존의 건물의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코어를 형성하는 골조가 건물의 본 골조와 일체화되어 시공되므로 건물 골조 시공 완료 전에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6]

이에 따라 클린룸 등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제조시설을 포함하는 건물의 전체 시공 공정이 장기화되는 문제가 있어왔다.

[7]

본 발명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선 시공 곤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본 골조의 시공 스케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엘리베이터 골조를 선 시공하여 엘리베이터를 조기에 설치 및 가동할 수 있도록 하는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8]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 코어를 구성하는 엘리베이터 골조를 건물의 본 골조와 분리 시공하여 건물 전체 시공 스케줄을 유연하게 조절 가능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전실의 외장 공사를 엘리베이터 부분과 전실 부분을 구분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엘리베이터 코어부의 시공을 건물의 본 시공과 완전하게 분리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한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9]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물의 시공이 완료되기 전에 엘리베이터의 구동 및 사용을 가능토록 함으로써 별도의 크레인 장비의 도움을 받지 않더라도 대형 장비를 건물 내부로 반입할 수 있도록 한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10]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골조(110)와 분리됨과 아울러 상기 본 골조(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엘리베이터 골조(120); 및 상기 엘리베이터 골조(120)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가 제공된다.

[11]

이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골조(120)는 복수의 골조 세그먼트(121)가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골조 세그먼트(121)의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130)을 형성하는 가이드 프레임 유닛(131)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일 수 있다.

[12]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골조(120)에 인입되는 엘리베이터 유닛(10); 및 상기 본 골조(110)에 형성된 전실(200);을 더 포함하되,상기 전실(200)은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10)과 상기 전실(200)을 연결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210); 및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210) 양 측면에 장착되는 삼방틀 부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일 수 있다.

[13]

또한, 상기 삼방틀 부재(220)는 상기 엘리베이터 골조(120)에 장착되는 제1 삼방틀 부재(221); 및 상기 본 골조(110)에 장착되는 제2 삼방틀 부재(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일 수 있다.

[14]

또한, 상기 제1 삼방틀 부재(221)와 상기 제2 삼방틀 부재(222)는 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일 수 있다.

[15]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210)와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10) 사이에 게재된 실링부(3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실링부(300)는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10)의 폭 방향(a)을 따라 연장되는 가로보(310); 및 상기 가로보(310) 하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본 골조(110)에 결합되며 상기 가로보(310)를 지지하는 브라켓(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일 수 있다.

[16]

또한, 상기 브라켓(320)은 상기 본 골조(110)와 결합된 앵글(321); 및 상기 앵글(321) 상부에 거치됨과 아울러 상기 가로보(310)의 두께 방향(b)을 따라 유동되는 유동 플레이트(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일 수 있다.

[17]

또한, 상기 가로보(310)는 상기 유동 플레이트(322) 상부에 거치된 H형강(311); 및 상기 H형강(311)과 상기 본 골조(110) 사이 공간에 현장 타설로 형성된 콘크리트 부재(3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일 수 있다.

[18]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 골조(110)와 상기 엘리베이터 골조(120)를 동시 시공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엘리베이터 골조(120)의 외면에 커버 플레이트(122)를 부착하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엘리베이터 골조(120)에 엘리베이터 유닛(10)을 인입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19]

이 경우 상기 제1 단계(S100) 이후에 상기 제1 삼방틀 부재(221)를 장착하는 선 장착 단계(S110); 상기 제3 단계(S300) 이후에 상기 제2 삼방틀 부재(221)를 장착하는 후 장착 단계(S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따.

[20]

또한, 상기 제2 삼방틀 부재(221)는 상기 본 골조(110)의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21]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의 본 골조의 시공 스케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엘리베이터 골조를 선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2]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코어를 구성하는 엘리베이터 골조를 건물의 본 골조와 분리 시공하여 건물 전체 시공 스케줄을 유연하게 조절 가능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외장공사를 우선 시공하여 엘리베이터 부분과 본 골조 부분을 구분하여 별도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코어부의 시공을 건물의 본 시공과 완전하게 분리하여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3]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의 시공이 완료되기 전에 엘리베이터의 구동 및 사용을 가능토록 함으로써 별도의 크레인 장비의 도움을 받지 않더라도 대형 장비를 건물 내부로 반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4]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코어 선 시공에 따른 건물의 시공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

[25]

도 4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골조와 가이드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26]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골조와 일체화된 가이드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27]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가이드 프레임의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투시 사시도.

[28]

도 7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삼방틀(JAMB)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29]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삼방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30]

도 9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문지방(SILL)을 지지하는 문지방 브라켓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31]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지방 브라켓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32]

도 11은 종래의 시공방법에 따른 건물의 시공 스케줄을 나타내는 도면.

[33]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엘리베이터 코어 선 시공공법에 따른 시공되는 건물의 시공 스케줄을 나타내는 도면.

[34]

도 13 내지 도 18은 종래의 시공방법에 따른 건물의 시공 스케줄을 입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35]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코어 선 시공공법에 따라 시공되는 건물의 시공 스케줄을 입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36]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방틀(JAMB)와 문지방(SILL)의 형성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37]

본 발명에 따른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38]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9]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40]

본 발명은 건물의 본 골조의 시공 스케줄과 무관하게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엘리베이터를 조기에 구동함으로써, 내부에 대형 장비를 인입할 것이 요구되는 건물 시공에 엘리베이터 사용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41]

본 발명에서의 엘리베이터 코어는 엘리베이터 골조(120)가 점유하는 공간을 의미하고, 전실 및 엘리베이터 승강로 등은 본 골조(110)에 포함된 건물 부분인 것으로 정의한다.

[42]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4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는 기본적으로 본 골조(110)와 분리됨과 아울러 본 골조(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엘리베이터 골조(120) 및 엘리베이터 골조(120)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130)을 포함한다(도 5).

[44]

이 경우 엘리베이터 골조(120)는 복수의 골조 세그먼트(121)가 적층되어 형성되며, 골조 세그먼트(121)의 일면에는 가이드 프레임(130)을 형성하는 가이드 프레임 유닛(131)이 장착될 수 있다.

[45]

종래의 엘리베이터 골조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건물의 본 골조와 일체화되어 시공되었다.

[46]

이에 따라 본 골조의 시공 스케줄에 따라 엘리베이터 골조의 시공이 진행되었기 때문에 본 골조의 시공 완료 전까지 엘리베이터를 구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47]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골조(120)와 본 골조(110)가 분리되어 시공되므로 본 골조(110)의 시공 스케줄 보다 빨리 엘리베이터 골조(120)의 시공을 진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골조(110) 포함하는 건물의 시공 완료 이전에 엘리베이터의 구동을 가능토록 한 효과가 있다.

[48]

더하여 구동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대형 장비 또는 인테리어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어 크레인과 같은 고가의 장비를 운용할 것이 요구되지 않고 전체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추가적으로 얻는다.

[49]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골조(120)와 가이드 프레임(130)이 일체화되어 형성되므로 가이드 프레임(130)의 별도 시공 과정이 요구되지 않고, 엘리베이트 골조(120) 내부의 승강로의 여유 면적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도 5, 도 6).

[50]

또한, 골조 세그먼트(121)에 가이드 프레임 유닛(131)이 일체화되어 공장에서 선 제작되므로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의 시공 난이도를 낮출 수 있고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5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는 엘리베이터 골조(120)에 인입되는 엘리베이터 유닛(10) 및 본 골조(110)에 형성된 전실(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8).

[52]

이 경우 전실(200)은 엘리베이터 유닛(10)과 전실(200)을 연결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210) 및 엘리베이터 승강로(210) 양 측면에 장착되는 삼방틀 부재(JAMB, 220)를 포함할 수 있다.

[53]

종래의 삼방틀 부재(220)는 단일 부재로 형성되므로 본 골조(110)가 포함된 전실(200) 마감벽체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54]

이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삼방틀 부재(220)는 엘리베이터 골조(120)에 장착되는 제1 삼방틀 부재(221) 및 본 골조(110)에 장착되는 제2 삼방틀 부재(222)를 분리 구성하여 엘리베이터 코어의 선 시공시 본 골조(110)의 시공 이전에도 제1 삼방틀 부재(221)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55]

이 경우 제1 삼방틀 부재(221)와 제2 삼방틀 부재(222)는 서로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56]

이에 따라 건물 인테리어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장비 운반시의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5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는 엘리베이터 승강로(210)와 엘리베이터 유닛(10) 사이에 게재된 실링부(300, 문지방 설치부에 해당)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0).

[58]

실링부(300)는 일반적으로 문지방(SILL)이라고 명명되는 H형강과 H형강 엘리베이터 승강로 사이에 현장 타설 방식으로 타설되는 문지방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59]

이에 따라 경우 실링부(300)는 엘리베이터 유닛(10)의 폭 방향(a)을 따라 연장되는 가로보(310) 및 상기 가로보(310) 하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본 골조(110)에 결합되며 가로보(310)를 지지하는 브라켓(320)을 포함할 수 있다.

[60]

가로보(310)는 유동 플레이트(322) 상부에 거치된 H형강(311) 및 H형강(311)과 본 골조(110) 사이 공간에 현장 타설로 형성된 콘크리트 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61]

종래의 브라켓(320)은 가로보(310)를 직접 지지했음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320)은 본 골조(110)와 결합된 앵글(321) 및 앵글(321) 상부에 거치됨과 아울러 가로보(310)의 두께 방향(b)을 따라 유동되는 유동 플레이트(322)를 포함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유동 플레이트(322)의 위치 조정을 통해 가로보(310)의 형성 위치를 유동적으로 변경 가능토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62]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하여 발생될 수 있는 본 골조(110)의 유격 변동의 문제를 유동 프레이트(322)의 위치 조정을 통해 극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63]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를 적용하여 엘리베이터 코어를 건물의 본 골조보다 선 시공할 수 있는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64]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하는 방법은 본 골조(110)와 엘리베이터 골조(120)를 동시 시공하는 제1 단계(S100), 엘리베이터 골조(120)의 외면에 커버 플레이트(122)를 부착하는 제2 단계(S200), 엘리베이터 골조(120)에 엘리베이터 유닛(10)을 인입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65]

이 경우 제1 삼방틀 부재(221)는 제1 단계(S100) 이후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며, 제2 삼방틀 부재(221)는 제3 단계(S300) 이후에 분리되어 장착될 수 있다.

[66]

즉, 제2 삼방틀 부재(221)는 본 골조(110)의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67]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68]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산업상 이용될 수 있다.

[69]

10 : 엘리베이터 유닛

[70]

100 : 골조

[71]

110 : 본 골조

[72]

120 : 엘리베이터 골조

[73]

130 : 가이드 프레임

[74]

200 : 전실

[75]

210 : 엘리베이터 승강로

[76]

220 : 삼방틀 부재

[77]

300 : 브라켓

[78]

310 : 가로보



[1]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vator core structure that can be pre-constructed, the elevator core structure comprising: an elevator frame (120) which is separated from a main frame (110) and extends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main frame (110); and a guide frame (130)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elevator frame (120), wherein the elevator frame (120)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frame segments (121) and each of the frame segments (121) has one surface on which a guide frame unit (131) for forming the guide frame (130) is mou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evator frame can be pre-constructed without being influenced by a construction schedule of a building main frame.

[2]



본 골조(110)와 분리됨과 아울러 상기 본 골조(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엘리베이터 골조(120); 및

상기 엘리베이터 골조(120)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골조(120)는 복수의 골조 세그먼트(121)가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골조 세그먼트(121)의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130)을 형성하는 가이드 프레임 유닛(131)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골조(120)에 인입되는 엘리베이터 유닛(10); 및

상기 본 골조(110)에 형성된 전실(2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전실(200)은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10)과 상기 전실(200)을 연결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210); 및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210) 양 측면에 장착되는 삼방틀 부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삼방틀 부재(220)는

상기 엘리베이터 골조(120)에 장착되는 제1 삼방틀 부재(221); 및

상기 본 골조(110)에 장착되는 제2 삼방틀 부재(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삼방틀 부재(221)와 상기 제2 삼방틀 부재(222)는 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210)와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10) 사이에 게재된 실링부(3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실링부(300)는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10)의 폭 방향(a)을 따라 연장되는 가로보(310); 및

상기 가로보(310) 하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본 골조(110)에 결합되며 상기 가로보(310)를 지지하는 브라켓(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320)은

상기 본 골조(110)와 결합된 앵글(321); 및

상기 앵글(321) 상부에 거치됨과 아울러 상기 가로보(310)의 두께 방향(b)을 따라 유동되는 유동 플레이트(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310)는

상기 유동 플레이트(322) 상부에 거치된 H형강(311); 및

상기 H형강(311)과 상기 본 골조(110) 사이 공간에 현장 타설로 형성된 콘크리트 부재(3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

제8항의 선 시공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코어 구조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 골조(110)와 상기 엘리베이터 골조(120)를 동시 시공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엘리베이터 골조(120)의 외면에 커버 플레이트(122)를 부착하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엘리베이터 골조(120)에 엘리베이터 유닛(10)을 인입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하는 방법.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S100) 이후에 상기 제1 삼방틀 부재(221)를 장착하는 선 장착 단계(S110);

상기 제3 단계(S300) 이후에 상기 제2 삼방틀 부재(221)를 장착하는 후 장착 단계(S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하는 방법.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삼방틀 부재(221)는 상기 본 골조(110)의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코어를 선 시공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