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HOD FOR PREPARING HYDROGEN WATER FOR COSMETIC MANUFACTURING AND COSMETIC PRODUCT USING SAME

07-05-2020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WO2020091230A1
Автор: LEE, Jae Yong
Принадлежит: 이재용, 주식회사 아르미유
Контакты:
Номер заявки: KR24-01-201995
Дата заявки: 26-09-2019

화장품 제조용 수소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1]

본 발명은 화장품 제조용 수소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은 전기분해하여 얻은 H+와 OH-을 초음파에 노출하여 H 라디칼과 OH 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OH 라디칼은 산화력이 강해 멸균과 사멸 효과로 노화 등을 방지하고 화장품을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게 하며, H 라디칼은 항산화 작용이 있어 노화 방지와 피부 침투력이 우수하여 화장품이 피부에 잘 흡수하게 한 것이다.

[2]

일반적으로 화장품의 기초가 되는 크림류나 화장수 그리고 유액이나 팩 등에는 물을 첨가하여 액상으로 제조하여 얼굴 전체에 골고루 바르기 쉽게 제조한다. 이때, 사용하는 물 중에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수소수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3]

[4]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546209호

[5]

일렉트로포레이션 피부 케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렌징 화장액이 수용되는 크렌징 화장액 수용부; 수소수 공급원과 크렌징 화장액 수용부를 연결하여 수소수를 상기 크렌징 화장액 수용부로 공급하는 수소수 공급관로; 및 수소수가 혼합된 크렌징 화장액을 상기 크렌징 화장액 수용부에서 받아 피부에 먼저 토출하고, 상기 크렌징 화장액 수용부 내 크렌징 화장액이 소진되면 상기 크렌징 화장액 수용부에서 수소수만을 받아 피부에 토출하는 일렉트로포레이션 핸드 피스를 포함하며, 상기 일렉트로포레이션 핸드 피스는, 수소수만 피부에 토출될 때, 피부 세포막에 전기장을 가하여 피부 세포막의 수분 투과성을 증가시키는 일렉트로포레이션 전극들을 구비한다.

[6]

[7]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692377호

[8]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의 화장료와 수소수를 이용하는 시트형 마스크 팩을 페이스트 상태로 부직포 등의 시트에 적용하여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얼굴 등의 피부에 보습 및 영양공급뿐만 아니라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에 의한 충분한 원적외선 효과, 노폐물 제거 및 피부 리프팅에 의한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수소의 큰 항산화력을 이용한 노화방지 효과와 작은 분자를 이용하여 피부 침투기능을 향상시킨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소수를 이용한 시트형 마스크 팩은 제1 이형지와, 상기 제1 이형지와 일면이 합지되고, 타면에 페이스트 상태의 화장료가 도포되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화장료가 도포된 타면에 합지되는 제2 이형지를 포함하되, 상기 화장료는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 35 내지 45 중량부, 분산제 3 내지 6 중량부, 점증제 0.1 내지 8 중량부 및 수소수 45 내지 5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물질이 포함된 천연원료는 황토분말, 머드분말, 화산재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소수는 -600mV의 산화환원 전위를 가지고, 1000~1650ppb의 수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

[10]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748093호

[11]

피부노화의 주 요인인 활성산소를 항산화 효과가 있는 수소수를 통해 제거하고, 피부조직 재생에 효과를 가지는 오존을 통해 피부노화를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은 식물성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미용 스프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12]

[13]

하지만, 이처럼 화장품이나 화장료 제조에 수소수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4]

(1) 통상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수를 얻으므로, 전기분해한 물에 남아있는 항산화 작용을 하는 H 라디칼 개수와 멸균과 살균 작용을 하는 OH 라디칼의 개수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15]

(2) 즉, 물을 전기분해하여 얻은 수소수는 이온 상태로 존재하는 시간이 짧으므로, 전기분해 후에 항산화 작용을 하는 H 이온이 이온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짧다.

[16]

(3) 또한, 수소수는 OH기를 분리한 H 이온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H 이온이 쉽고 빠르게 안정화하여 항산화 작용이나 항노화 작용 효과가 떨어진다.

[17]

(4) 특히, H 이온과 OH 이온은 이온 수가 급격하게 줄어든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화장품이나 화장료의 효과도 이들 이온수의 급격한 감소로 급격하게 떨어진다.

[18]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전기분해한 물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OH-과 H+를 각각 OH 라디칼과 H 라디칼 상태로 만들어 많은 이온 개수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수소수 자체에 함유한 H 라디칼을 통한 항산화 작용과 항노화 작용을, 그리고 OH 라디칼을 통해 살균과 멸균 작용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한 화장품 제조용 수소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9]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용 수소수 제조방법은, 물을 전기분해하는 제1단계; 및 전기분해한 물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수소수를 얻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0]

특히, 상기 소수에는, H 라디칼의 이온 개수가 500,000개/㏄~3,000,000개/㏄이고, OH 라디칼의 이온 개수가 200,000개/㏄~2,500,00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21]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화장품 제조용 수소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수소수로 제조한 화장품을 포함하되, 상기 수소수를 화장품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70~90중량%로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2]

이처럼 제작한 화장품으로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 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 로션, 보습 로션, 영양 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 크림, 수분 크림, 핸드 크림, 에센스, 영양 에센스, 화장수, 에멀젼, 샴푸, 린스, 파운데이션,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팩, 비누, 샴푸, 클렌징 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보디로션, 보디 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 파우더 또는 아이섀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23]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용 수소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24]

(1) 전기분해한 물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OH 라디칼과 H 라디칼을 얻음에 따라, 이들 라디칼을 통해 항산화 작용과 멸균 작용 그리고 살균 작용을 높일 수 있다.

[25]

(2) 특히, H 라디칼의 이온 개수가 500,000개/㏄~3,000,000개/㏄로, 항산화 작용과 항노화 작용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항산화 작용을 통해 화장료가 변질하는 것을 막아 화장품의 수명을 늘려주고, 화장료가 피부에 흡수하는 흡수력을 높여 준다.

[26]

(3) 또한, OH 라디칼의 이온 개수가 200,000개/㏄~2,500,000개/㏄로, 멸균과 살균 효과를 높여준다. 이러한 멸균과 살균 효과로, 화장품이 상하는 것을 막아서 오래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가 상하는 것을 막아준다.

[27]

(4) 한편, 이러한 라디칼의 개수는 전기분해를 했을 때는 전혀 생성하지 않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조사를 통해 라디칼이 생성하여 이러한 멸균과 살균 그리고 항산화 작용을 더욱 높일 수 있다.

[28]

(5) 이처럼 전기분해에 사용하는 물은 수돗물, 순수, 그리고 초순수를 사용하더라도 라디칼을 얻을 수 있으므로, 주변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물을 이용하여 화장품용 수소수와 이를 이용한 화장품을 쉽게 제작할 수 있다.

[29]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용 수소수 제조방법의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30]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4종의 화장품(Cream, Toner, Emulsion, Serum)의 분석을 의뢰한 의뢰처와 분석결과를 각각 보여준다.

[3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32]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33]

[34]

(화장품 제조용 수소수 제조방법)

[35]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용 수소수 제조방법은, [도 1]과 같이, 물을 전기분해하는 제1단계; 및 전기분해한 물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수소수를 얻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36]

특히, 전기분해한 물에 초음파 조사로, 이온 상태인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이 H 라디칼과 OH 라디칼을 생성하여 항산화 작용과 멸균작용 그리고 살균 작용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37]

[38]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9]

<전기분해>

[40]

전기분해는 물, 예를 들어서, 수돗물이나 순수 그리고 초순수 등에 전기에너지를 가해 산화와 환원반응이 이루어지게 하는 기술을 말한다. 여기서, 순수는 불순물을 가능한 한 제거한 물로, 통상 증류수나 이온교환수지 등을 통해 얻은 물을 말한다. 초순수는 전기전도도, 고형 미립자수, 생균수, 유기물 등을 극히 낮은 값으로 억제한 순수한 물로, 미립자 지름이 0.1㎛ 이하의 것이 20개/㎤ 이하, 생균은 100㎤당 1개 이하 등의 제한을 만족하는 물로 증류나 이온교환 그리고 역침투 등을 조합하여 얻은 물을 말한다.

[41]

[42]

또한, 이처럼 전기분해에 사용하는 전기분해모듈은 전기분해를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아래와 같은 전해조를 사용할 수 있다.

[43]

(1) 등록특허 제1425747호

[44]

(2) 등록특허 제1195294호

[45]

(3) 등록특허 제1408502호

[46]

[47]

한편, 이러한 전기분해모듈을 통해 이루어지는 전기분해 과정은 다음과 같은 반응을 거쳐 수소 이온과 수산기 이온으로 분해된다. 이때의 애노드 전극(수소)의 반응은 아래의 [화학식 1]과 같고, 캐소드 전극(수산기)의 반응은 아래의 [화학식 2]와 같다.

[48]

[화학식 1]

[49]

2H2O - 4e- → O2 + H+

[50]

[51]

[화학식 2]

[52]

2H2O + 2e- → H2 + 2OH-

[53]

[54]

<초음파 조사>

[55]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분해한 물은, [도 1]과 같이, 초음파를 조사하여 H 라디칼과 OH 라디칼을 생성한다.

[56]

[57]

즉, 전기분해한 물에 초음파를 조사함에 따라, 아래의 [화학식 3]과 같이 H 라디칼이 생성되고, [화학식 4]와 같이 OH 라디칼을 생성한다.

[58]

[화학식 3]

[59]

H2O + H+ → H + OH + H → H2O + H·

[60]

[61]

[화학식 4]

[62]

H2O + OH- → H + OH + OH → H2O + OH·

[63]

[64]

이처럼 전기분해한 뒤에 초음파로 주사한 다음, 그 안에 이온 수를 카운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때, 이온 수의 카운터는 클린 밀폐 공간에 H 라디칼과 OH 라디칼을 분사하여 NT-C101A(이온 카운터)로 이온 개수를 카운팅했다.

[65]

구분개수(개/㏄)
H 라디칼의 이온 개수500,000~3,000,000
OH 라디칼의 이온 개수200,000~2,500,000

[66]

(화장품)

[67]

본 발명은 이처럼 OH 라디칼과 H라디칼을 함유한 화장품 제조용 수소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수소수를 이용하여 제조한 화장품을 포함한다.

[68]

[69]

여기서, 화장품은 원료에 해당하는 화장료를 포함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화장품이라도 제작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70]

[71]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은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용 수소수를 화장료에 배합하여 제조하게 되며, 이때의 배합 온도는 60~80℃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는 화장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70~90중량%를 차지하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2]

[73]

이러한 중량은 화장품의 종류에 따라 수분함량이 많은 화장품과 적은 화장품에 따라 수소수 함량을 달리하기 위한 것으로, 이렇게 제작할 수 있는 화장품으로는, 예시적으로,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 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 로션, 보습 로션, 영양 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 크림, 수분 크림, 핸드 크림, 에센스, 영양 에센스, 화장수, 에멀젼, 샴푸, 린스, 파운데이션,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팩, 비누, 샴푸, 클렌징 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보디로션, 보디 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 파우더 그리고 아이섀도를 예로 들 수 있다.

[74]

[75]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중에서,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4종의 화장품에 관한 성분 함량을 의뢰한 결과는 아래의 [도 2] 및 [도 3]과 같다.

[76]

[도 2] 및 [도 3]과 같이, 화장품 4종에 대해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뢰하여 Cream, Toner(스킨), Emulsion(로션), Serum(에센스)에 대한 성분을 의뢰한 결과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77]

시료 구분N(Wt.%)C(Wt.%)H(Wt.%)S(Wt.%)
Cream0.86959.9813.50<0.05
Toner0.12739.6512.16<0.05
Emulsion<0.00155.8714.03<0.05
Serum0.19043.5612.34<0.05

[78]

[표 2]와 같이, 4개의 화장품에는 수소(H)의 함량이 12Wt.% 이상 포함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의 수소(H)는 화장료와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를 혼합하여 배합하는 과정에서 라디칼이 원료와 공유 결합이나 이온 결합함에 따라 화장품에 H가 존재하게 된 것으로 사료된다.



[1]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paring hydrogen water for cosmetic manufacturing and a cosmetic product using same, wherein the application of ultrasonic waves to electrolyzed water converts OH- and H+ into OH radicals and H radicals, respectively, so that the electrolyzed water can retain a large number of ions for a long time, and therefore,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ons through the H radicals contained in the hydrogen water itself and sterilizing and pasteurizing actions through the OH radicals can be further enhanced.

[2]



물을 전기분해하는 제1단계; 및

전기분해한 물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수소수를 얻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조용 수소수 제조방법.

제1항에서,

상기 수소수에는,

H 라디칼의 이온 개수가 500,000개/㏄~3,000,000개/㏄이고,

OH 라디칼의 이온 개수가 200,000개/㏄~2,500,00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조용 수소수 제조방법.

제1항 또는 제2항에 의한 화장품 제조용 수소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수소수로 제조한 화장품에서,

화장품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70~90중량%로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3항에서,

상기 화장품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 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 로션, 보습 로션, 영양 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 크림, 수분 크림, 핸드 크림, 에센스, 영양 에센스, 화장수, 에멀젼, 샴푸, 린스, 파운데이션,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팩, 비누, 샴푸, 클렌징 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보디로션, 보디 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 파우더 또는 아이섀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