Настройки

Укажите год
-

Небесн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Космические корабли и станции, автоматические КА и методы их проектирования, бортовые комплексы управления, системы и средства жизнеобеспечения, особенности технологии производства ракетно-космических систем

Подробнее
-

Мониторинг СМИ

Мониторинг СМИ и социальных сетей. Сканирование интернета, новостных сайтов,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ых контентных площадок на базе мессенджеров. Гибкие настройки фильтров и первоначальных источников.

Подробнее

Форма поиска

Поддерживает ввод нескольких поисковых фраз (по одной на строку). При поиске обеспечивает поддержку морфологии русского и английского языка
Ведите корректный номера.
Ведите корректный номера.
Ведите корректный номера.
Ведите корректный номера.
Укажите год
Укажите год

Применить Всего найдено 81. Отображено 81.
07-06-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급유구 장치

Номер: KR0101744453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급유구 장치를 구성하는 폐쇄 부재를 1쌍의 플랩체로 더욱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급유 노즐(N)의 도입에 의해 개방 위치로 회동되어 급유구(5)를 개방시키는 폐쇄 부재(11)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급유구 장치이다. 상기 폐쇄 부재(11)는 1쌍의 플랩체(14, 14)와, 각 플랩체(14)를 탄성 지지에 의해 폐쇄 위치에 위치 부여하는 탄성 지지 수단(15)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1쌍의 플랩체(14, 14)는 각각, 상기 회동의 중심이 되는 회동 조립부(141)와, 타방의 플랩체(14)에 대한 맞닿음부(142)를 구비함과 아울러, 각 플랩체(14)의 표면부(147)에는 상기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급유 노즐(N)의 통과구의 입구 가장자리에 맞닿아지는 밀봉 볼록 돌조(148)와, 상기 밀봉 볼록 돌조(148)의 단말(148a)에 연속하여 상기 맞닿음부(142)의 적어도 일부를 가장자리 따는 가장자리 따기 볼록 돌조(149)를 형성시켜서 이루어진다.

Подробнее
30-11-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키퍼 및 키퍼를 구비하는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

Номер: KR0101924243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일 실시형태에 따른 키퍼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상대적으로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동체 중 어느 한쪽 측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한편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에 요동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는 피지지부와, 다른 쪽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와 상기 가동체 중 어느 다른 쪽 측에 설치된 맞닿음체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의 결합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기구를 구비한다.

Подробнее
16-08-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댐퍼장치

Номер: KR0101880324B1
Автор: 오노 타카시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원통형을 이루는 내측부재와 내측부재를 그 통 일단측으로부터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 가능하게 수납 가능한 바닥이 있는 환상공간을 갖추는 외측부재와 환상공간에 충전되는 점성유체를 가진다. 내측부재의 외측에는, 외측 씰링이 끼워 넣어지는 둘레홈이 형성됨과 함께, 내측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둘레홈보다 상기 통 일단측에 위치하고, 내측 씰링을 위치시키는 둘레 단차면이 형성되어 있다. 둘레홈의 깊이가 이 둘레홈의 형성 개소에서의 내측부재의 두께의 대략 절반의 치수로 되어 있다.

Подробнее
07-03-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곡관

Номер: KR0101713477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작은 직경의 곡관에 적용 가능하며, 또한 유체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곡관을 얻는다.(해결수단) 곡관(10)의 곡관 본체(12)는 그 유로가 축선(12A)을 따르고 있으며, 축선(12A)을 따르는 방향의 일부에 굴곡부(14)를 가지고 있다. 또, 상기 굴곡부(14)의 내주면 내측(14A)이 R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R형상의 내주면 내측(14A)의 둘레방향 중앙부에 상기 축선(12A)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오목부(16)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16)의 저면(16A)은, 상기 축선(12A)을 따르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곡관 본체(12)의 외주측으로 볼록한 만곡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16)의 저면(16A)은, 상기 오목부(16)를 상기 축선(12A)방향에 직교하는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축선(12A)측으로 볼록한 만곡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축선(12A)을 따르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오목부(16)의 양 측벽부(16B) 사이의 거리는, 상기 굴곡부(14)의 상기 축선(12A)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내경의 거리보다도 짧다.

Подробнее
11-04-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LID DEVICE

Номер: KR0101611793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차량의 퓨얼리드를 푸시-푸시 기구로 개폐하는 리드장치에 있어서, 퓨얼리드를 폐쇄 위치에 로크하기 위한 기구를 장착하는 경우와 장착하지 않는 경우의 어느 경우라도, 공통의 푸시 리프터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리드장치(20)는 푸시 리프터 유닛(24)으로부터 출몰하는 푸시로드(22)의 변위를 규제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퓨얼리드(10)를 폐쇄 위치에 로크한다. 푸시로드(22)의 변위를 규제하기 위해 푸시로드(22)에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재(56)를 구동 유닛(26)의 하우징(54)에 가동 지지시켜서 푸시 리프터(24)와 구동 유닛(26)을 별체로서 구성시켰다.

Подробнее
16-02-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LID LOCK STRUCTURE

Номер: KR0101594704B1
Автор: 오가와 다카야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리드의 재로크를 방지할 수 있는 리드 로크 구조를 얻는다. (해결수단) 로크 핀(16)이 로크 해제 위치 방향으로 이동하면, 로크 핀(16)의 선단(16A)이 셔터(42)로부터 빠져서 후퇴 위치로 된다. 이로 인해, 셔터(42)가 코일 스프링(52)의 탄지력에 의해서, 걸어 맞춤 오목부(40)의 개구면을 폐색하고 로크 핀(16)의 걸어 맞춤을 저지하는 폐쇄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퓨얼 리드 오프너의 개방 조작이 정지되고, 로크 핀(16)이 코일 스프링(20)의 탄지력에 의해서, 전진 위치 방향으로 이동해도, 로크 핀(16)의 선단(16A)이 셔터(42)에 닿아서 로크 핀(16)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 결과, 폐쇄 위치에 있는 셔터(42)에 의해서, 로크 부재(30)의 걸어 맞춤 오목부(40)로의 로크 핀(16)의 걸어 맞춤이 저지되어 퓨얼 리드(14)의 재로크가 방지된다.

Подробнее
25-10-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배터리용 온도 센서의 장착용 클립

Номер: KR0101911986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센서 본체와, 돌출부를 갖는 온도 센서를 보유지지하여, 배터리 케이스의 장착 구멍에 장착되는 배터리용 온도 센서의 장착용 클립이다. 클립은, 내부로 온도 센서를 삽입하여 보유지지 가능한 보유지지부, 보유지지부로부터 수하하며, 온도 센서를 삽입통과 가능하고, 장착 구멍에 삽입 가능한 다리부, 다리부로부터 돌출하며, 장착 구멍에 삽입했을 때에, 케이스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구비한다. 클립에는, 결합부로부터 뻗어 나와, 결합부의 케이스에의 결합을 해제 가능한 조작부가 구비되어 있다.

Подробнее
11-02-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LOCK STRUCTURE

Номер: KR0101593321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리드를 폐쇄 위치에 유지하는 로크 기구에 있어서, 리드의 지지체에 대한 덜거덕거림를 억제한다. (해결 수단) 인스트루먼트 패널(3)의 개구(2)를 닫는 리드(4)를 가지는 글러브 박스(1)의 로크 기구(5)로서,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된 로크 구멍(17)과,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 1 위치에 있어서 로크 구멍에 걸림과 아울러, 신축 가능하며, 핀 탄지 부재(53)에 의해서 연장된 상태로 탄지된 로크 핀(28)과, 리드에 설치되고, 리드가 폐쇄 위치 근방에 있을 때에 경사면(18A)에 맞닿으며, 로크 핀을 제 1 위치로 변위시키는 슬라이더(27)와, 리드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부(22)와, 조작부의 변위에 대응하여 변위하고, 제 1 위치에 있는 로크 부재를 핀 탄지 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줄이며, 로크 부재를 로크 구멍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링크 부재(23)를 가지도록 했다.

Подробнее
11-04-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ASSIST GRIP

Номер: KR0101611740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그립으로의 힌지 부재의 삽입 작업이 용이하며, 또한, 확실하게 고정하는 것. (해결수단) 자동차의 차실 내에 장착되는 어시스트 그립에 있어서, 길이 방향(W)의 양단에 형성된 1쌍의 오목부(21), 및 오목부(21) 각각의 둘레벽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1쌍의 홈부(30, 40)를 가지는 그립 본체 (20)와, 오목부(21)에 수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둔 1쌍의 입설부(52, 53)와, 입설부(52, 53)의 양 외측으로 돌출되어, 1쌍의 홈부(30, 40)에 각각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1쌍의 환형 보스부(52a, 53a)를 가지는 힌지(50)와, 일측의 홈부(30)에 설치되고, 환형 보스부(52a)가 삽입되는 축받이 오목부(33)와, 축받이 오목부(33)에 환형 보스부(52a)가 삽입된 회전축 삽입 상태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부재(84)를 구비하고 있다.

Подробнее
30-11-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연료 탱크의 배기 밸브 장치

Номер: KR0101924251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연료 탱크의 배기 밸브 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없이, 가스를 원활하게 유통시킨다. [해결수단] 연통 구멍(36)을 갖는 격벽(35)에 의해 내부가 상부실(41)과 하부실(42)로 구획된 케이싱(2, 3, 4)과, 플로트 밸브(5)를 갖는 연료 탱크의 배기 밸브 장치(1)로서, 케이싱의 상부실을 구획형성하는 부분은, 배기 포트(20)가 형성된 원통부(11)와 원통부의 상단을 폐색하는 원판(12)을 갖고, 연통 구멍(26)의 상부실 측의 주위에는, 통체(37)가 설치되며, 통체의 배기 포트 측과 상반되는 측의 측벽에, 제1 통기 구멍(43)이 형성되고, 원통부의 내주면과 원판의 하면의 경계부에는, 원통부의 내주면과 원판의 하면을 매끄럽게 연속시키는 곡면 형상의 모서리부(13)가 이어지며, 모서리부의 곡률은, 배기 구멍이 형성된 측과 상반되는 측에서 가장 작고, 둘레 방향으로 배기 구멍이 형성된 측으로 나아감에 따라 점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Подробнее
11-10-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

Номер: KR0101784601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용기에 대한 슬라이드식 덮개의 양호한 조작성을 유지하면서, 덜컹거림을 억제할 수 있는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는 용기 본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서 개폐한다. 용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구조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셔터(14)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50)을 형성하는 레일을 구비한다. 셔터(14)는 셔터 로어(20)와 외측의 셔터 어퍼(30)로 분할되어 있다. 셔터 로어(20)는 슬라이드 방향으로 만곡 가능한 본체(23)와, 가이드 홈(50)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단부(25)를 가지며, 셔터 어퍼(30)는 슬라이드 방향으로 만곡 가능한 패널(33)과, 가이드 홈(50)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단부(34)를 가진다. 일방의 맞닿음부(37)가 타방의 맞닿음부[본체(23)]를 탄지함으로써 셔터 로어(20)의 단부(25) 및 셔터 어퍼(30)의 단부(34)가 레일에 탄지된다.

Подробнее
24-08-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댐퍼 장치

Номер: KR0101891372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피스톤체와 마주보는 실린더체의 폐색부의 외측에 있어서 이 실린더체의 내외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돌출부와, 이 유로에 실린더체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축부를 구비한 마개 모양체와, 이 마개 모양체의 부세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체의 폐색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상기 피스톤체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생기는 압력 변화에 의해 부세 수단의 부세에 저항하여 유로에의 마개 모양체의 축부의 삽입 치수가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

Подробнее
10-04-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컵 홀더

Номер: KR0101725720B1
Автор: 고가 도루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진동을 받아도 용기를 안정되게 보유할 수 있는 컵 홀더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컵 홀더(2)는 용기의 바닥을 지지하는 테이블(8)과, 용기의 측면을 누르는 가동 보유체(12)를 구비한다. 테이블은 소정의 범위에서 상하동 가능하고, 가동 보유체는 용기의 폭에 맞추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용기를 넣으면, 가동 보유체가 용기의 폭에 맞추어 확대된 후, 테이블은 하강하여 테이블의 하방에 배치된 링크편(16)에 걸어 맞춘다. 링크편과 가동 보유체는 서로 연동하여 움직이도록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테이블이 링크편에 걸어 맞추면, 가동 보유체가 로크된다. 용기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가동 보유체가 로크되어 있기 때문에, 컵 홀더는 진동을 받아도 용기를 안정되게 보유할 수 있다.

Подробнее
08-11-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전자기기의 수납식 홀딩장치

Номер: KR0101795932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휴대전화기나 그 일종인 스마트폰, 혹은 태블릿PC 등의 전자기기의 수납식 홀딩장치에 관한 것이며, 사이즈가 다른 전자기기를 경사 형상으로 안정되게 홀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해결 수단) 베이스 프레임(30)과, 베이스 프레임(3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하측 홀더(50) 및 횡측 홀더(60)를 가지는 대략 ㄴ자 형상의 홀더 본체(40)로 이루어지며, 장착체(70)의 오목한 곳 내에 얹히는 전자기기(20, 21)의 수납식 홀딩장치(10)이다. 홀더 본체(40)를 오목한 곳으로부터 회전하여 인출하고, 홀더 본체(40)의 대략 ㄴ자 형상의 내각을 따라서 전자기기(20, 21)를 경사 형상으로 홀딩 가능하게 했다. 베이스 프레임(30)에는 수납부(31)를 가지며, 당해 수납부(31) 내에 하측 홀더(50)와 횡측 홀더(60)를 겹침 형상으로 접어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Подробнее
28-12-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

Номер: KR0101933729B1
Автор: 사이토 노리오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실시형태에 관계된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가동체 중 어느 한쪽 측에 설치되는 수납체와, 상기 지지체와 상기 가동체 중 어느 다른쪽 측에 설치된 기체와, 상기 수납체와 결합 및 결합 해제 가능하며, 상기 기체에 대해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이르는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이동경로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접촉체와, 상기 접촉체를 부세하는 부세기구를 구비한다.

Подробнее
12-12-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풍향조정장치

Номер: KR0101928633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케이스 내의 지지부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한 좌우의 양측면에 있어서 판 폭 방향의 일단측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날개와, 2개 이상의 날개를 연동시키는 링크기구 및 링크기구에 연결된 스위치를 구비하며, 날개가 서로 대략 평행이 되는 평행송풍모드와, 2개 이상의 날개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 확산송풍모드를 스위치를 통하여 조정 전환 가능한 풍향조정장치이다. 주요부는, 스위치가 중간 날개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 또한, 링크기구가 중간 날개의 양 옆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날개의 판 폭 방향의 타단측에 대응하는 일단측을 각각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또한 대응하는 타단측을 스위치에 각각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제 1 링크를 가지고 있는 구성에 있다.

Подробнее
11-08-2015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CLIP

Номер: KR0101543856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1쌍의 제 1 클립과 제 2 클립을 서로 회전시켜서 보스부를 비틀어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해결수단) 부착구멍(21)이 형성된 부착부재(20)를 탄성을 가진 보스부(31)가 형성된 피부착부재(30)에 체결하는 클립(10)이다. 클립(10)은 부착부재(20)에 대해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70)를 가지는 통형상의 제 1 클립(40)과, 피부착부재(30)에 대해서 걸어맞춰짐과 아울러 제 1 클립(40)에 대해서 동일 축선상에 내장되는 통형상의 제 2 클립(50)으로 이루어진다. 클립(10)은, 보스부(31)를 끼운 상태에서 제 1 클립(40)을 회전시킴에 의해서 피부착부재(30)의 보스부(31)를 탄성 변형되게 비틀음으로써, 제 2 클립(50)을 통해서 제 1 클립(40)이 보스부(31)에 대해서 빠짐 불가능하게 체결된다. 또, 제 1 클립(40)은 보스부(31)와 맞닿는 제 1 맞닿음부(61)를 가지며, 제 1 클립(40)이 회전할 때에 보스부(31)를 비틀도록 하여도 좋다.

Подробнее
07-06-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봉상물의 클램프

Номер: KR0101744417B1
Автор: 야마다 다츠미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차량의 충돌시나 지진 등에 있어서 정해진 일방향은 아니고,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서 확실하게 규제가 해제되도록 한 봉상물의 클램프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관 등의 봉상물(6)을 패널 등의 피장착부(5)에 장착할 때에 이용되는 클램프(4)로서, 봉상물(6)을 헐겁게 삽입 가능한 유지공간(8) 및 피장착부(5)에 장착하는 걸림고정부(14)를 가진 본체 부재(1)와, 적어도 외주측의 일부에 구 형상 부분을 가지고 봉상물(6)을 내주측에 구속한 상태에서 유지공간(8)에 요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유지부재(3)로 구성되고, 유지부재(3)는 구속한 봉상물(6)에 가해지는 소정의 큰 하중에 의해서 유지공간(8)에 대해서 끼워 맞춤이 해제되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Подробнее
24-08-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연료 탱크용 커넥터

Номер: KR0101891375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통기 유로에 대한 제1연통부를 구비한 상부실과, 상부실에 대한 제3연통부를 구비한 하부실을 갖고 있다. 상부실의 저부에는, 하방을 향해 좁아지는 그릇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그릇 형상부의 바닥에 제3연통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3연통부의 바로 위에는, 천부와 측부를 갖고 하면을 개방시킨 용기 모양을 이루는 덮개체가, 그 개방연과 제3연통부 사이에 통기 간격을 두고 지지되어 있다.

Подробнее
07-11-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클립

Номер: KR0101673737B1
Автор: 미우라 소헤이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플랜지부와 복수의 다리부를 구비한 그로밋과, 머리부와 축부를 구비한 축체로 이루어지며, 축체가 그로밋에 대해서 압입되어 다리부를 확경시킨 로크위치, 더 압입되어 다리부를 본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한 로크해제위치로 전환 가능한 클립이다. 다리부는 내측에 형성된 다리부측 볼록부와, 다리부 선단측에서 다리부 내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볼록부 벽면과, 다리부측 볼록부와 병설된 상태에서 다리부측 볼록부 형성부보다도 다리부 선단측으로 연장되고, 또한 연장 선단측이 다리부 내측으로 경사져 있는 가이드부를 가지고 있다. 축부는 다리부측 볼록부와 걸어맞춰져서 다리부를 확경시키는 축부측 볼록부와, 다리부측 볼록부와 걸어맞춰짐에 의해서 다리부를 확경상태에서 본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오목부와, 볼록부 벽면과 맞닿음 가능한 맞닿음부와, 가이드부에 대한 도피부를 가지고 있다.

Подробнее
21-09-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블로바이 히터

Номер: KR0101780617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본 발명은, 블로바이 가스가 통류하고 하류측으로 개구되는 통체를 갖는 블로바이 히터로서, 상기 통체는, 금속판을 통상으로 굽힘 가공한 상태에서 인서트한 수지 성형품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상으로 굽힘 가공된 금속판은, 평탄 벽부 또는 평활 벽부와 곡면 벽부를 갖는 금속관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곡면 벽부에 상기 금속관의 맞댐부가 위치하고 있고, 상기 평탄 벽부 또는 평활 벽부에 가열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바이 히터이다. 이와 같은 블로바이 히터는, 금속관의 맞댐부를 사이에 두는 양측의 곡면 벽부의 외주면의 맞닿음부에 금형을 맞닿게 하여, 금속관의 맞댐부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수지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실현된다.

Подробнее
07-09-2015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LIGHT SOURCE ARRANGEMENT STRUCTURE

Номер: KR0101550998B1
Автор: 고야마 사치코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EL 재료용 배치부의 스페이스가 좁게 제약되는 경우에 조금이라도 발광 영역을 확대 가능하게 하여 조명 효과 및 의장성을 향상시킨다. (해결 수단) 광원인 EL 재료를 물품측 조립부(1)에 배치하고, 그 위에 겹쳐지는 투명 내지는 반투명한 보호 커버(3), 및 EL 재료의 적어도 폭 방향의 한쪽 가장자리부(20c)측을 볼 수 없게 덮고 있는 차폐 커버(4)를 구비한 광원 배치 구조로써, EL 재료는, 폭 방향의 양 가장자리부(20b, 20c)를 제외한 중간부(20a)인 발광 영역(a1)을 차폐 커버(4)의 내측 공간 내에 들어가도록 연장하며, 또한, 상기 한쪽 가장자리부측을 발광 영역으로부터 차폐 커버(4)의 내면측을 향하여 절곡해서 굴곡 단부(20c)로 한 입체형의 조명 성형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Подробнее
08-05-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하중전달부재

Номер: KR0101733344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패널부재로의 장착 작업이 용이한 하중전달부재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하중전달부재(30)는 패널부재[이너 패널(26)]의 일방의 면(26A)에 장착되는 외측 하중전달부재(32)와, 패널부재의 타방의 면(26B)에서 외측 하중전달부재(32)에 대응한 위치에 장착되고, 외측 하중전달부재(32)로부터 패널부재를 통하여 하중이 전달되는 내측 하중전달부재(34)와, 외측 하중전달부재(32) 및 내측 하중전달부재(34)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되며, 패널부재에 임시 고정하기 위한 임시고정수단[갈고리부(42) 및 돌조부(44, 46)]을 가진다.

Подробнее
11-07-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OPENING/CLOSING DEVICE FOR FILLER NECK

Номер: KR0101638737B1
Автор: 사사키 히로시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급유구 개폐장치에 의한 급유구의 폐쇄시의 밀봉성을 한층 확실하고 우량한 것으로 한다.(해결수단) 급유 노즐(N)의 도입에 의해 개방 위치로 회동되어 급유구를 개방시키는 폐쇄 부재(Ua)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개폐장치이다. 상기 폐쇄 부재(Ua)는 1쌍의 플랩체(18, 18)와, 각 플랩체(18)를 탄지에 의해 폐쇄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탄지 수단(19)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1쌍의 플랩체(18, 18)는 각각 상기 회동의 중심이 되는 회동 조립부(18a)와, 타방의 플랩체(18)에 대한 맞닿음부(18b)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탄지 수단(19)에 의해 그 표면부를 상기 급유 노즐(N)의 통과구(21)의 구연부(21a)에 밀어붙이고 또한 상기 맞닿음부(18b)를 타방의 플랩체(18)의 상기 맞닿음부(18b)에 밀어붙이도록 되어 있다.

Подробнее
11-07-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LIGHTING APPARATUS

Номер: KR0101638692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주회 형상를 이루는 도광체에 1개소에서 빛을 입사하여 이 도광체에 의해서 환 형상으로 발광하는 부분을 형성시키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빛의 입사부 측의 밝기와 그 이외의 개소의 밝기가 가능한 한 차이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해결수단) 1개소에 빛의 입사부(10)를 구비한 주회 형상를 이루며, 입사광을 전파하여 전체를 발광시키는 도광체(1)와, 상기 도광체(1)를 사이에 두고서 상기 입사부(10)에 대한 광원(3) 측과는 반대가 되는 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체(1)에서 발생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커버(2)를 가지고 있다. 상기 확산커버(2)는 상기 도광체(1)에 있어서의 상기 입사부(10) 측을 덮는 판형상 기부(20)와, 외주부를 상기 판형상 기부(20)에 일체화시켜서 상기 도광체(1)의 그 나머지 개소를 덮는 환형상부(2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Подробнее
09-06-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CLIP

Номер: KR0101629090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부착구멍이 피부착판의 곡면부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그 곡면부의 곡률반경이 다르다 하더라도 안정된 부착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해결수단) 플랜지 형상의 머리부(2) 및 상기 머리부에 돌출형성된 걸림다리부(3)를 가지며, 피부착판(7)의 곡면부[7a, (7b)]에 형성된 부착구멍(8)에 걸림다리부(3)를 삽입한 상태로 부착되는 클립(1)으로서, 머리부(2)의 이면에 형성되어 피부착판(7)의 표면측에 맞닿는 돌기(15)와, 부착구멍(8)에 삽입되어 피부착판의 이면측에 맞닿도록 걸림다리부(3)에 형성된 돌기(14)에 의해 피부착판(7)을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Подробнее
19-07-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체결구

Номер: KR0101880329B1
Автор: 히라노 요이치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체결구(10)는, 그로밋(12)에 대해 핀(14)이 압입되는 것에 의해, 핀(14)의 선단 측에 형성된 안내부(56)가 그로밋(12)의 피 안내부(42)에 닿아, 그로밋(12)의 다리부(28)의 다리편(34)이 변형하여 벌어진다. 그리고 그로밋(12)의 다리부(28)에 있어서의 다리편(34)의 피 안내부(42)가, 핀(14)의 안내부(56)의 상단연(56A)에 결합된다. 또한, 핀(14)의 안내부(56)는, 핀(14)의 선단(14A)의 외주부로부터 상단연(56A)을 향해, 피 안내부(42)와의 접점(P1)에서의 축선(14B)에 대한 접선 각도(θ)가 변화하는 곡면으로 되어 있어, 각 접점(P1)에서의 핀(14)의 그로밋(12)에의 삽입력(S)을 거의 일정하게 하고 있다.

Подробнее
08-03-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ROCK DEVICE

Номер: KR0101601501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안정하고 또한 넓은 범위에서 유효한 제동력에 의해서 레버의 되돌림시의 충격음을 억제하는 것에 더해서, 로크 로드의 작동도 제동하기 쉽게 한다. (해결수단) 덮개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탄지력 또는 자중에 저항하여 초기상태에서 조작상태로 전환되는 레버(2)와; 상기 레버의 회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는 로크 로드(6,7)와; 제동수단(5);을 구비하며, 덮개체를 로크 로드를 통해서 본체 측에 로크함과 아울러 레버의 회동에 의해서 언로크로 전환하는 로크장치에 있어서, 제동수단(5)이 기어(53)가 달린 제동축(52)을 가지며, 레버(2)에 대해서 이 레버의 회동중심과 거의 일치하도록 장착되어 레버와 로크 로드를 제동하는 회전 댐퍼이고, 회전 댐퍼의 기어(53)에 맞물린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기어(53)를 로크 로드(6,7)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또한 레버(2)의 회동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작용기어(3)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Подробнее
28-02-2019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방진 클램프

Номер: KR0101953419B1
Автор: 히라마 타쿠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실시 형태에 따른 방진 클램프는, 관재가 지지되는 지지부가 마련됨과 아울러, 장착 구멍이 형성된 클램프 본체와, 상기 장착 구멍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 구멍과 구멍 축이 일치하는 끼워맞춤 구멍과, 상기 끼워맞춤 구멍의 주연이 절결되어 형성된 오목 홈이 형성된 방진 부재와, 상기 끼워맞춤 구멍에 삽입 가능한 원통 모양의 목 부분과, 상기 오목 홈에 삽통 가능한 고정 리브와, 상기 목 부분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지름 방향 안쪽으로 퇴피 가능하게 구성된 탄성 돌기를 갖는 클립을 구비하며, 상기 끼워맞춤 구멍에 상기 목 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탄성 돌기가 반경 방향으로 퇴피하고, 상기 고정 리브가 상기 오목 홈을 통과한 후, 상기 클립을 상기 방진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탄성 돌기가 상기 오목 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Подробнее
11-01-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관부재를 연결대상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

Номер: KR0101695561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관부재를 연결대상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에 있어서, 한번 연결을 해제하면 커넥터를 재이용할 수 없어, 사용자 자신에 의한 관부재의 분리 및 장착 작업의 실시를 방지할 수 있는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연결시에 관부재(6,86)의 걸림부(72,94)를 걸어 고정하는 로크부재(12)는 커넥터 본체(10)의 내주면 측에 배치되어 있어, 외부에서는 해제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에는 소정값 이상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 우선적으로 파괴되는 취약부(62,78)가 형성되어 있다. 취약부에서 커넥터 본체가 파괴되면, 로크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어 걸림부의 걸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관부재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커넥터 본체의 파괴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한번 연결을 해제하면 그 커넥터(4)는 재사용할 수 없다.

Подробнее
09-06-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VALVE

Номер: KR0101629104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밸브 내에서 동결된 수분을 신속하게 녹임과 아울러, 블로우바이가스에 대한 발열체의 밀봉성이 양호한 PCV밸브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PCV밸브(2)는 블로우바이가스의 유로(4)를 형성하는 하우징(6)과, 유로 내에 배치되어 하우징에 설치된 밸브시트(18)와 협동하는 밸브체(30)와, 밸브체를 밸브시트로 향하여 탄지하는 스프링(38)과, 밸브체의 외측을 둘러싸는 방열부(42)를 가지는 전열체(40)와, 유로에 대해서 기밀하게 격리되어 전열체를 가열하는 발열체(66)를 가지는 가열수단(52)을 구비한다. 전열체의 일단측이 하우징에 형성된 수용구멍(50)에 수용되어 있다. 가열수단은 수용구멍의 일부를 획성하는 격벽(58)을 통하여 전열체의 일단측을 가열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유로에 대해서 기밀하게 격리된다.

Подробнее
10-04-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클립

Номер: KR0101725725B1
Автор: 기무라 유토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에어백의 수용부 등에 사용되는 클립에 있어서, 구조를 간소하게 함과 아울러, 탈락을 억제한다. (해결 수단) 그로밋(3)은 제 1 부재(111)의 결합 구멍(114)에 삽입되는 통부 (21)와, 플랜지부(22)와, 통부의 내측 및 외측으로 경도 가능한 탄성편(25)과, 탄성편의 외측면에 돌출 설치된 제 1 걸림 돌조(28)와, 탄성편의 내측면에 돌출 설치된 제 2 걸림 돌조(29)와, 통부에 설치된 제 1 걸어맞춤부(31)를 가진다. 핀 부재는 제 2 부재(101)에 걸어 맞추는 기초부(10)와, 기초부에 돌출 설치되어 통부의 내측에 기단측으로부터 삽입된 기둥부(11)와, 기둥부의 선단에 설치된 머리확대부 (12)와, 기초부에 설치되어 제 1 걸어맞춤부와 걸어 맞추는 한편, 소정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제 1 걸어맞춤부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제 2 걸어맞춤부(17)를 가진다. 핀 부재가 초기위치로부터 이탈 방향으로 이동하면, 머리확대부는 제 2 걸림 돌조에 걸림과 아울러, 탄성편을 통부의 외측으로 압압한다.

Подробнее
11-01-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어시스트 그립

Номер: KR0101817427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축 지지부가 대향하고 있는 양측의 안내 홈의 도입 홈에서 종단까지 안정되게 슬라이드 이동하기 쉽게 조립성을 향상시킨다.(해결 수단) 장착면에 고정되는 고정부(4나 39 등), 및 1쌍의 축 지지부(36)를 가진 리테이너(1, 1A)와, 양단에 설치된 1쌍의 오목부(22), 및 오목부(22)의 내주면 중 길이 방향으로 대향한 양 내측면의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어 축 지지부(36)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안내 홈(23), 및 양 내측면에 동일 축선 위에 설치된 축받이 구멍(24, 24a)을 가진 그립 본체(2)를 구비하고, 그립 본체가 축 지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되어 장착면을 따른 격납 위치와 장착면으로부터 돌출된 사용 위치로 전환되는 어시스트 그립으로서, 안내 홈(23)은 오목부(22)의 개구 가장자리에서 내저면측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아울러, 양 내측면의 축받이 구멍(24, 24a)의 적어도 일방은 안내 홈(23)의 종단(23b) 또는 축받이 구멍(24)에 위치하여 축 지지부(36)의 단부를 끼워 맞춤 가능 또는 빠짐 방지 걸림 고정하는 탄성걸림고정편(25)을 가지고 있으며, 그립 본체의 사용 위치에 있어서, 상기 축 지지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수평 상태로 된 상기 안내 홈의 종단, 또는 상기 축받이 구멍, 또는 수평 상태로 된 상기 안내 홈의 종단 및 상기 축받이 구멍에서 받고 있는 구성이다.

Подробнее
09-06-2015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belt length adjustor

Номер: KR0101527284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벨트 조임 걸이대에 대해서 과도한 하중이 걸리는 일이 없는 벨트 길이 조정구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벨트 길이 조정구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평행하게 형성된 1쌍의 측부와, 상기 측부의 길이방향 단부에 각각 직교되게 연결된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와, 상기 측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각각 형성된 긴 구멍 사이에 헐겁게 끼워지며, 상기 1쌍의 측부와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 내를 상기 제 1 연결부 또는 제 2 연결부와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벨트 조임 걸이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벨트 조임 걸이대는 양단에 형성된 단면 비원형의 축부에 의해서 상기 긴 구멍 내에 유지됨과 아울러, 상기 긴 구멍 내에 상기 축부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벨트 조임 걸이대에 감겨진 벨트가 상기 제 1 연결부 또는 제 2 연결부 중 어느 일방으로 근접하는 방향의 장력을 받았을 때, 상기 축부를 통해서 벨트 조임 걸이대의 요동을 규제하기 때문에, 벨트 조임 걸이대에 대해서 과도한 하중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Подробнее
09-08-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회전댐퍼장치 및 그 제조방법

Номер: KR0101878009B1
Автор: 시모자키 케이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회전댐퍼에 있어서, 로터축과 로터축에 결합되는 회전부재의 결합 구조를 간단하고 확실한 것으로 한다. [해결수단] 내부에 점성 유체가 봉입된 댐퍼 하우징(11)과, 댐퍼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로터 날개(28) 및 로터 날개에 돌출 설치되어 댐퍼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는 로터축(29)을 구비한 로터(12)와, 로터축의 돌출단에 결합되는 원웨이 클러치(3)를 갖는 회전댐퍼장치(1)로서, 원웨이 클러치는 로터축의 돌출단이 통과하는 삽입통과구멍(44)과 삽입통과구멍의 댐퍼 하우징측과 상반되는 측의 구멍 가장자리에 삽입통과구멍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입설된 한쌍의 규제벽(44)을 갖고, 로터축의 돌출단은 삽입통과구멍을 통과한 상태에서 가열 변형되어 규제벽면의 틈을 따라 로터축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고, 삽입통과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Подробнее
11-09-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HOLE PLUG

Номер: KR101897399B1
Автор: SATO TAKEHIRO
Принадлежит: NIFCO INC.

Provided is a hole plug capable of being mounted in various kinds of mounting holes with a different hole diameter and a different thickness of a hole edg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e plug (20) comprises: a main body part (22) inserted into a mounting hole of a mounting member; a first engaging part (24) formed on a front end (22A) side of the main body part (22) to protrude in an opposite direction to an insertion direction; a first flange part (26) disposed on the protruding direction side of the first engaging part (24) to enlarge a diameter thereof towards the insertion direction; a first surrounding wall part (28)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part (22) in an opposite side to the insertion direction to be connected to an inner end part (26B) of the first flange part (26); a second engaging part (30) to protrude from the first flange part (26) in an opposite direction to the insertion direction; a second flange part (32) disposed on the protruding direction side ...

Подробнее
07-09-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차량용 수납장치

Номер: KR0101776484B1
Автор: 도이 아츠시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리드의 원하지 않는 개폐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공간 효율에도 우수한 차량용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것.(해결 수단) 본 발명은 차 실내에 있어서 피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는 차량용 수납장치로서, 피수납물을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설치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대해서 개폐할 수 있게 설치된 리드와, 상기 리드의 표면에 설치되어 조작자의 터치 조작을 검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 센서 패널은 상기 터치 조작의 검지 신호에 의거하여 당해 터치 센서 패널 상에 조작용 아이콘을 표시되도록 하여, 상기 터치 센서 패널의 터치 조작을 검지하기 전에, 당해 터치 센서 패널 상에 메인 아이콘을 표시하고 있어 상기 터치 조작으로서 당해 메인 아이콘에 대한 터치 조작으로부터 검지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리드는 개방 상태에 있어서도 당해 리드의 표면이 노출되어 있어 상기 터치 센서 패널에 대한 터치 조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장치이다.

Подробнее
12-02-2019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클립

Номер: KR0101947250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클립(4)은 일방 부재(7)를 타방 부재(8)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거나 구속하는 경우 등에 이용되며, 상기 양 부재에 형성된 관통구멍(7a,8a) 중 일방 부재의 관통구멍을 막도록 배치되는 머리부와,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타방 부재의 이면에 걸어 맞춰지는 다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클립(4)은, 머리부(10)와 이 머리부 주위에 돌출된 흡반부(15)와 축 방향의 삽입구멍(13)을 가진 제 1 부재(1)와, 제 1 부재의 머리부(10)와의 사이에 수밀구조를 갖고서 중합되는 머리부(20)와 이 머리부에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삽입구멍(13)에 삽입되는 상기 다리부(24)를 가진 제 2 부재(2)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Подробнее
08-02-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연료 탱크용 체크 밸브

Номер: KR0101827688B1
Автор: 와다 도시오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부의 일부가 회전축의 단차에 끼여서 플랩이 작동 불량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 탱크용 체크 밸브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연료 탱크용 체크 밸브(2)는 연료 유체의 유로를 획정하는 통형상체(6)와, 회전축(40)을 통해서 통형상체(6)에 축지지된 플랩(8)과, 플랩(8)을 폐쇄방향으로 탄지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0)을 구비한다. 회전축(40)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10)의 코일부(50)가 감겨지는 대경부(48)와, 통형상체(6) 및 플랩(8)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된 축구멍(60)에 삽입되는 서로 동축인 제 1 소경부(44) 및 제 2 소경부(46)를 포함한다. 제 1 소경부(44)가 대경부(48)에 인접함과 아울러 대경부(48)에 대해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10)이 회전축(40)에 압접하는 측에 편심되어 있다.

Подробнее
12-05-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LID DEVICE

Номер: KR0101620736B1
Автор: 이영국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소형화되어 조립작업성이 개선된 리드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리드장치(20)는 힌지(12)에 의해서 개폐하는 리드(10)를 폐쇄위치에서 해제 가능하게 로크한다. 리드장치는 리드를 밀어넣을 때마다 리드를 개폐시키는 푸시 리프터(32)와, 푸시 리프터의 근방에 배치되는 모터(46)와, 로크부재 (18)와,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로크부재에 전달하는 감속 기어 열 및 래크와 피니언 기구를 가지는 전달기구(52, 54, 56, 58)를 구비한다. 푸시 리프터 및 구동장치가, 푸시 리프터의 길이 방향과 구동장치의 길이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 것에 의해서, 리드장치는 소형화되어 조립작업성이 개선된다 ...

Подробнее
07-12-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피스톤 댐퍼

Номер: KR0101907703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장착부(16)를 갖는 실린더(10), 그 실린더 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피스톤(20), 그 피스톤과 동기하여 이동되는 장착부(28)를 갖는 로드(2)를 구비하고, 실린더 및 로드의 각 장착부(16, 28)가 제1 부재(8) 및 제2 부재(9)의 다른 한쪽에 연결되고, 양쪽 부재 중 한쪽 부재에 대한 다른 쪽 부재의 움직임을 제동하는 피스톤 댐퍼에 있어서, 적어도 실린더(10)의 장착부(16)는 끼워맞춤 구멍(17)을 형성하고 있고, 제1 부재(8) 또는/및 제2 부재(9)에 대하여 끼워맞춤 구멍(17)과 축(S)과의 끼워맞춤 상태로 축지지되고, 또한 축(S)에 대한 끼워맞춤 구멍(17)의 유격을 흡수하는 밀어붙임 수단(18)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어, 장기 사용이나 온도 변화 등에 의해 생기기 쉬운 축(S)에 대한 끼워맞춤 구멍(17)의 유격에 기인한 흔들거림을 간단하면서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피스톤 댐퍼이다.

Подробнее
09-07-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축지지 구조 및 축지지 구조를 구비하는 컵 홀더

Номер: KR0101876691B1
Автор: 혼마 요시츠구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회동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 구조에 있어서, 축 및 축받이 구멍을 형성하는 부재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회동부재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축지지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회동부재(16)는 축체(36)의 좌우 양 단부에 형성된 축용 벽체(44)에 동축적으로 돌출 형성된 1쌍의 돌출축(46)을 가진다. 또한, 회동부재는 돌출축의 선단면에 돌출 형성되되 돌출축에 대해서 직경을 작게 한 돌기부(48)를 구비한다. 통상은 돌출축이 베이스부재(14)의 축받이 구멍(26)에 수용됨으로써, 회동부재는 베이스부재에 축지지되어 있다. 예측 불가능한 외력이 회동부재에 가해졌을 때, 돌출축이 축받이 구멍에서 이탈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여 부재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돌기부는 축받이 구멍에 걸어 맞춰져서 축받이 구멍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회동부재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Подробнее
08-12-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회동기구

Номер: KR0101807443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제 1 부재(1,1A)와, 제 1 부재(1,1A)에 추축(36)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부재(2)와,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 중 일방이 타방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동되도록 탄지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을 구비한 회동기구에 있어서,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 중 어느 일방은, 추축(36)의 축선 방향으로 마주보는 1쌍의 돌기부(37,38)를 형성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용의 수납부(35)를 가지며, 1쌍의 돌기부(37,38)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코일형의 양 단부(5a)를 돌기부(37,38)의 축 주위에 유지시킴과 아울러, 추축(36)의 축선 방향에 대해서 양 단부(5a)를 형성하고 있는 코일형의 직경 방향으로 어긋나게 돌출되어 있는 구성이다.

Подробнее
12-10-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전지 모듈용 전극 구성체

Номер: KR0101907723B1

... 축전체 셀의 탭 형상 단자에 대한 내부 접속부와 전지 모듈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 접속부를 구비한 통전 부재와, 이 통전 부재의 외부 접속부에 복수의 전지 모듈의 전극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와, 이 통전 부재의 외부 접속부와 축전체 셀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 부재를 구비한다. 외부 접속부 안쪽에는 사이에 상기 절연 부재를 받아들이는 협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협지부와 절연 부재에 각각, 상기 받아들임에 따라 결합하여 맞추어지는 결합부를 형성시키고 있다.

Подробнее
11-01-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천장 점검 덮개 고정 구조

Номер: KR0101695559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점검 덮개를 천장에 걸림 고정하는 부위가 천장의 표면측에서 보아 눈으로 확인되는 것을 억제한다. (해결수단) 천장의 점검구(3)에 대해서 천장 이면측으로부터 끼워 맞춰진 점검 덮개(4)를 고정 도구(5)에 의해서 점검구(3)의 가장자리부에 고정하여 점검 덮개(4)의 떠오름을 방지한다. 점검구(3)의 외부 가장자리 편(4d)에는 기립편(3a)과 지지부(3b)가 형성되어 있다. 점검 덮개(4)는 외부 가장자리 근방에 삽입 구멍(10)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도구(5)는 삽입 구멍(10)에 삽입되는 조작 축 부재(11)와, 점검 덮개(4)의 이면에 있어서 삽입 구멍(10)에 삽입된 조작 축 부재(11)에 장착되는 걸림고정체(12)를 구비한다. 걸림고정체(12)는 천장 패널(2)의 기립편(3a)에 걸림 고정되는 래치부(24)가 설치되어 있다. 래치부(24)는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점검 덮개(4)의 외부 가장자리 편(4d)과 기립편(3a)의 지지부(3b)가 겹쳐진 상태에 있어서, 점검 덮개(4)의 외부 가장자리 편(4d)과 기립편(3a)의 지지부(3b)를 끼워 넣는다.

Подробнее
08-03-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압상 장치

Номер: KR0101836755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압상 장치(10)는, 케이스(16)와, 케이스(16) 내에 보지되고 케이스(16) 내로부터 돌출해 전진 위치가 되는 로드(20)와, 케이스(16) 내에서 탄축되어 로드(20)를 케이스(16) 내로부터 압출(壓出)하는 돌출방향으로 부세하는 로드 부세 부재(26)와, 로드(20)와 함께 돌출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캠(21)과, 로드(20)의 축 회전으로 슬라이드 캠(21)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한 회전 캠(22)을 구비하고, 케이스(16)와 로드(20)와의 사이에 위치해, 로드 부세 부재(26)의 부세력에 저항해 로드(20)를 압입(壓入) 함으로써, 회전 캠(22)이 슬라이드 캠(21)과 계합해 회전하여, 로드(20)를 케이스(16)의 후퇴 위치에 락(lock) 하는 락 기구와, 회전 캠(22)을 돌출방향을 향해 부세하는 회전 캠 부세 부재(25)를 가진다.

Подробнее
30-11-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가동체의 가동장치

Номер: KR0101924245B1
Автор: 사이토 노리오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가동체의 가동장치는 지지체 및 지지체에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가동체의 한쪽에 고정되어, 지지체 및 가동체의 한쪽으로부터 서로 이간되어 돌출하는 복수의 결합부를 갖는 맞닿음 받침체와, 지지체 및 가동체의 다른 쪽에 설치된 기체와, 가동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가동체가 그 이동 종료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 결합부의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맞닿음체와, 기체 및 맞닿음체 사이에 밀어붙임 가능하게 형성됨과 함께, 밀어붙임에 의한 기체 또는 맞닿음체의 이동을 규제하고, 맞닿음체가 복수의 결합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됨으로써, 기체 또는 맞닿음체의 이동의 규제를 해제 가능한 밀어붙임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Подробнее
07-09-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래치장치

Номер: KR0101655667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통상에 있어서 충분한 걸어맞춤력을 확보하는 한편, 일시적으로 과대한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해방하여 그 파손을 회피할 수 있는 래치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된 슬라이드 이동체와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를 탄지하는 스프링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에 대해서 피벗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피착탈부재가 맞닿았을 때에 회동하여 선단측의 돌조부가 상기 피착탈부재를 걸림 가능하게 하는 걸림 위치 및 상기 피착탈부재를 해방하는 걸림 해제 위치로 전환되는 걸어맞춤체와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가 대기 위치에서 걸림 위치로 전환되고, 또한,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를 후퇴 후의 위치로 로크하며, 후퇴 후의 위치에서 재차 압압하면 후퇴하여 로크 해제하는 핀 부재를 구비하는 래치장치로서, 상기 걸어맞춤체의 측면에 보스를 설치하고 상기 걸어맞춤체를 걸림 위치로 유지함과 아울러, 걸어맞춤체에 소정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회동을 허용하는 각도로 설정된 보스 맞닿음면을 설치했으므로, 통상에 있어서 충분한 걸어맞춤력을 확보하는 한편, 일시적으로 과대한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해방하여 그 파손을 회피할 수 있다.

Подробнее
28-02-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곡관 구조

Номер: KR0101833661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굴곡부(14)의 굴곡방향 내측의 내주면(15)에 있어서의 휨부(14A)는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다. 휨부(14A)를 원호형상으로 함으로써, 굴곡부(14)의 굴곡방향 내측의 내주면(15)에는 축선(13)방향을 따라서 관체(12)의 유로의 단면적을 확대하는 단면적 확대부의 일례로서의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Подробнее
10-06-2015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HOLE PLUG

Номер: KR0101528095B1
Автор: 한다 가즈야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홀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삽입부의 외주면에, 플랜지부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보디 부재와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는 리브를 가짐으로써, 상기 공극 내로 용융 가능 부재가 용융되어 흘러들어가게 함으로써, 홀 플러그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해결수단) 보디 부재(20)에 형성된 관통구멍(21)을 폐색하기 위한 홀 플러그(10)이다. 홀 플러그(10)는 플랜지부(50)와, 플랜지부(50)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관통구멍(21)에 삽입되는 삽입부(60)와, 삽입부(60)에 장착되며 플랜지부(50)와 보디 부재(20)의 사이에 개재되는 용융 가능 부재(40)로 이루어진다. 삽입부(60)의 외주면에는 보디 부재(20)와 걸어 맞추기 위한 걸림부(64)와, 플랜지부(50)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며 보디 부재(20)와의 사이에 공극(70)을 형성하는 리브(65)를 가지고, 상기 걸림부(64)에 대응되는 삽입부(60)의 바닥면에는 바닥면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박육부(薄肉部)(66)를 가지고, 상기 박육부(66)는 외주벽(61)의 하단부에 연접하는 바닥면의 외주연부에 위치되며, 걸림부(64)와의 관계에서는 외주벽(61)을 사이에 두고서 내주측에 위치한다.

Подробнее
09-01-2019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물품유지장치

Номер: KR0101937021B1
Автор: 후지우 다츠로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다양한 크기의 물품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물품유지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저벽(7) 및 이 저벽(7)의 가장자리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벽(9, 10)에 의해서 획정된 수용구멍(6)을 구비하는 케이스(2)와; 저벽(7)에 대해서 상하로 연장되는 기둥부재(15)와; 저벽(7)에 대해서 상하로 연장되고, 기둥부재(15)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하로 간격을 두고서 형성된 복수의 로드측 걸림부(52)를 구비한 로드부재(16)와; 기둥부재(15)에 대해서 상하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며, 받침측 걸림부재(51)를 구비한 받침부재(17)와; 받침부재(17)를 기둥부재(15)에 대해서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받침측 탄지장치(39);를 가지며, 로드부재(16)는 로드측 걸림부(52)가 받침측 걸림부재(51)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받침부재(17)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걸림고정위치와 로드측 걸림부(52)가 받침측 걸림부재(51)에서 떨어짐으로써 받침부재(17)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해제위치의 사이를 변위하는 물품유지장치를 제공한다.

Подробнее
29-12-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유체분배밸브 및 이것을 구비한 유체공급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Номер: KR0101813742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펌프장치 등의 유체공급원을 복수개 필요로 하는 일 없이 간이한 구성에 의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유체공급경로에 대하여 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유체분배밸브(10)는 워셔펌프(5)에 연통하는 제1 및 제2 분기관(73, 83)과, 2개의 분기관 중 어느 한쪽을 선택적으로 폐쇄함과 함께, 제1 분기관이 폐쇄된 경우에 워셔펌프부터 제2 분기관으로의 유체의 유통을 허용하는 관통구멍(97)을 갖는 밸브 본체(63)를 구비하고, 밸브 본체가 그 초기 상태에 있어서, 제1 분기관을 폐쇄하는 한편, 워셔펌프원으로부터 유체가 공급되었을 때에, 제1 분기관측과 제2 분기관측에서의 유체의 압력차에 따라 변위 또는 변형됨으로써, 제1 분기관을 개방함과 함께 상기 관통구멍을 폐쇄하는 구성으로 한다.

Подробнее
07-07-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댐퍼 및 댐퍼의 제조방법

Номер: KR0101755985B1
Автор: 오노 다카시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토크를 안정하게 할 수 있는 댐퍼 및 댐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통 형상으로 형성된 외통부(21) 및 내통부(22)가 동심원상으로 배치되어 서로의 하단이 저부(23)로 연접되고, 외통부(21)의 상단에 개구단부(24)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주에 홈부(27)가 형성된 수용체(20)와, 개구단부(24)에서 삽입되어 수용체(20)에 수용되는 로터(31)가 구비되며, 홈부(27)에 걸어 맞춰지는 돌기부(33)가 형성된 덮개체(30)로 댐퍼(10)를 구성한다. 외통부(21)에 있어서의 홈부(27) 측 근방에 외통부(21)보다도 두께가 얇은 박육부(28)가 형성되어 있다.

Подробнее
11-07-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STORAGE DEVICE FOR VEHICLE

Номер: KR101877668B1
Принадлежит: NIFCO INC.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having a rotary damper, wherein a damping force does not act at an initial stage of opening a lid. A lid (6) of the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is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a storage device body (4) for accommodating articl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d (6) is attenuated by a damper unit (10) having the lead arm (9) provided with a gear (8) and a pinion (26) engaged with the gear. When the pinion is rotated with respect to a damper holder (14) of the damper unit, a damping force is generated. The damper unit is engaged with the storage device body such that the damping unit can be tilted with respect to the storage device body. A slide contact portion (28) formed on the damper unit comes into contact with a slide contact surface (27) of the lead arm to define the tilting range. In the initial stage of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lid, since the damper unit is tilted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pinion ...

Подробнее
10-08-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댐퍼

Номер: KR0101647562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제동 대상의 이동을 그 전체 과정에 있어서 적정하게 제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소형화 박형화에 적합한 댐퍼를 제공. (해결수단) 로드(1)를 구비한 피스톤(P)과, 상기 피스톤(P)을 수납하는 하우징(H)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스톤(P)의 작동에 의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댐퍼이다. 상기 피스톤(P)은 상기 하우징(H)의 내벽에 대한 밀봉부재(2)와, 상기 피스톤(P)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H)의 내벽에 소정의 마찰력을 가지고 접하는 슬라이더(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동력 발생시에, 상기 슬라이더(3)가 상기 밀봉부재(2)에 압접하여, 상기 밀봉부재(2)에 있어서의 상기 하우징(H)의 내벽에 접하는 부분이 상기 하우징(H)의 외측으로 향하여 변형하도록 되어 있다.

Подробнее
08-12-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급유구 장치

Номер: KR0101807423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급유구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에 파손이나 손모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 경우에, 필러 파이프측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상기 부품의 제거와 그 교환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해결수단) 필러 파이프에 장착되어 급유 노즐에 의해 개폐되는 급유구 장치이다. 상기 급유 노즐의 도입 개구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필러 파이프측(6)에 형성된 걸어 맞춤 부분(46)을 창 구멍(13)에 수납하여 상기 필러 파이프측(6)에 걸어 맞추어지는 커버 부재(1)를 가지고 있다. 상기 필러 파이프의 둘레 방향(R)에 있어서 상기 걸어 맞춤 부분(46)에 인접하여 삽입부(46a)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46a)로 공구의 일부를 찔러 넣어 상기 커버 부재(1)측을 변형 또는 파괴하여 상기 걸어 맞춤을 해제 가능하게 하고 있다.

Подробнее
14-04-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오일 세퍼레이터

Номер: KR0101727440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오일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블로바이 가스에 함유되는 1 ㎛ 정도의 소직경 오일의 포집 효율을 향상시킨다. (해결 수단) 오일 세퍼레이터 (10) 는, 블로바이 가스의 유로를 형성하고, 하류측을 향하는 환상 숄더면 (42) 을 획정하는 하우징 (12) 과, 상기 유로 내에 배치되고, 그 단면이 상기 환상 숄더면에 맞닿음 및 이간되도록 왕복 가능한 밸브체 (36) 와, 상기 밸브체를 닫도록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수단 (40) 과, 상기 블로바이 가스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크랭크실로 환류시키는 환류 수단 (22) 을 구비한다. 상기 밸브체의 개방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밸브체의 상기 단면과 상기 환상 숄더면의 간극 (B) 은, 상기 블로바이 가스의 유량에 관계없이, 상기 밸브체의 측면 (54) 과 상기 유로의 상기 벽면의 상기 간격 (A) 보다 항상 좁다.

Подробнее
08-01-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CUP HOLDER

Номер: KR0101583977B1
Автор: 도이 아츠시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소품 케이스로서도 사용 가능한 컵 홀더를 얻는다. (해결수단) 컵 홀더(10)의 분할 플랩(18, 20)에 형성한 경사면(44, 46)이 컵 (70)에 의해서 상방에서 하방으로 향하여 압압되면, 분할 플랩(18, 20)이 폐지 위치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분할 플랩(18, 20)의 자유단(18A, 20A)이 맞닿음부(40)의 상단부(40A)로부터 빠지고, 축(22, 24)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한편, 분할 플랩(18, 20)에 형성한 얹어 놓음부 (50, 52)의 바닥부(50A, 52A)가 휴대전화기 등의 소품에 의해서 하방으로 압압된 경우에는, 분할 플랩(18, 20)이 폐지 위치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지 않기 때문에, 분할 플랩(18, 20)은 맞닿음부(40)에 의해서 회전이 방지되게 되어 있다.

Подробнее
08-03-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

Номер: KR0101714178B1
Автор: 네즈 미키오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관형상체를 원터치로 하우징에 로크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중 로크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눈으로 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는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관형상체가 적어도 일단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과 관형상체를 로크 및 해제 가능한 로크 부재와, 하우징의 외주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로크 부재를 로크 위치와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관형상체의 로크 기구로서, 상기 링 부재는 걸림고정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걸림고정부가 상기 하우징의 피걸림고정부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상기 로크 부재에 탄지력을 축적한 상태에서 상기 로크 부재를 해제 위치로 유지하고, 상기 관형상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고정부가 걸림 고정 해제되어 상기 로크 부재에 축적된 탄지력이 해방됨으로써, 상기 로크 부재가 상기 링 부재와 함께 로크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관형상체를 로크하며, 로크 후에 상기 링 부재를 상기 관형상체의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링 부재에 설치된 끼워맞춤부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피끼워맞춤부에 끼워 맞춰 상기 링 부재의 회동을 방지하므로, 관형상체를 원터치로 로크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중 로크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눈으로 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Подробнее
21-08-2015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CLIP

Номер: KR0101543878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클립에 관한 것으로, 핀이 그로밋의 다리편의 사이를 옆으로 벗어나는 일없이 곧바로 슬라이드 가이드 되도록 한 것이다.(해결수단) 핀(50)의 축 방향으로 그로밋(40)의 복수의 다리편(71)의 양단부를 슬라이드 하여 다리편(71)이 다리편의 팽출부(72)에 의해 벌어질 때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92)를 설치한다. 가이드부(92)는 박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판형상 부재(20)에 개방 설치된 장착구멍(21) 내를 통과할 때에는, 1쌍의 세로벽(92a)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92) 내를 다리편(71)이 방사 방향의 내측으로 탄성 변형한다. 가이드부(92)와 다리편(71)의 내측에 설치한 리브(73)와 협동에 의한 핀(50)의 슬라이드 가이드를 했다. 또, 1쌍의 세로벽(92a)은, 다리편(71)이 끼워지는 간격을 유지하여 떨어져서 대향하고, 기단부측에서 선단부측으로 향하여 대향 간격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형성되었다. 또한, 그로밋(40, 110)의 4개의 다리편(71, 141)은 2개라도, 4개라도 좋다.

Подробнее
14-07-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다점식 버클

Номер: KR0101758426B1

... [과제] 강성이 높고, 결합 상태가 견고하며, 조작이 용이한 다점식 버클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벨트의 단부가 장착된 복수의 제1 결합 부재(20) 및 복수의 제2 결합 부재(30)가 결합 가능하고, 제1 결합 부재(20)가 결합하는 결합구(13)가 양 옆쪽에 개구하며, 제2 결합 부재(30)가 인접하여 끼워맞춤 하는 끼워맞춤부(18)가 제1 결합 부재(20)의 결합 방향에 교차하는 한쪽 방향으로 형성한 버클 본체(10)에, 제1 결합 부재(20) 및 제2 결합 부재(30)를 결합하여 다점식 버클을 구성한다. 끼워맞춤부(18)를, 버클 본체(10)의 본체 주면(15)으로부터 돌출한 본체 돌부(16)와, 본체 주면(15)의 내측에 형성한 중실부(14)로 구성하며, 제2 결합 부재(30)의 제2 부재 주면(35)에 본체 돌부(16)와 끼워맞춤 하는 제2 부재 홈부(36)를 개구한다.

Подробнее
10-08-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풍향 조정 장치

Номер: KR0101647560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풍향 조정에 우수한 것에 부가하여 간이 구성 및 경량화를 도모하기 쉽게 한다.(해결수단) 전단측이 공기 분출구(2a)이며 후단측이 공기 흡입구(2b)로 설정된 하우징체(2)와, 하우징체(2) 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핀(3)과, 핀(3)의 방향을 조작부(5)의 회전에 의해 조정 가능하게 하는 기어 기구를 구비한 풍향 조정 장치이다. 주요부는, 핀(3)은 하우징체(2) 내의 좌우 또는 상하로 배치된 한 쌍의 블레이드(3A, 3B)로 이루어지며, 각 블레이드(3A, 3B)는 판 폭 방향으로 설정된 공통의 추축선(N) 상을 지지점으로 하여 각각 하우징체(2)의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된 상대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각 블레이드(3A, 3B)에 돌출 형성된 추축용의 축부(32)와 각 블레이드(3A, 3B)에 일체로 형성된 기어부(6)는 공통의 추축선(N) 상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에 있다.

Подробнее
04-08-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컵 홀더

Номер: KR0101645843B1
Автор: 도이 아츠시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컵 홀더(10)는 용기수납부(14)의 바닥부에 있는 볼록부(30) 내에 배치 설치된 서미스트(26)가 검출하는 온도(T)에 의거하여, 제어부(28)는 용기수납부 온도구배(ΔT)를 산출한다. 제어부(28)는 용기수납부 온도구배(ΔT)가 가열기준 온도구배(α) 이상인지, 또는 냉각기준 온도구배(β) 이하인지에 의거하여 용기수납부(14)에 대한 가열ㆍ냉각을 자동적으로 실행한다. 이와 같이 용기수납부 온도구배(ΔT)에만 의거하여 가열ㆍ냉각의 판단을 실행하고 있기 때문에, 1개의 온도센서만으로 정밀도 좋게 가열ㆍ냉각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Подробнее
12-06-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댐퍼

Номер: KR0101867172B1
Автор: 시모자키 게이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피스톤의 복동시의 저항을 복동 개시와 동시에 가급적으로 감소 가능하게 한다. (해결수단) 피스톤(1)과 이것을 수납하는 실린더(2)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1)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의거하는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댐퍼이다. 상기 피스톤(1)은 몸통부(10)와, 상기 몸통부(10)를 둘러싸는 밀봉 링(11)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밀봉 링(11)에 있어서의 외주부(11d)에 상기 실린더(2)의 내벽에 대한 제 1 밀봉부(11a)가 형성되고, 또한, 압력실(4)측에 위치하는 전단부(11e)에 상기 몸통부(10)로부터 돌출되는 둘레 벽부(10d)에 대한 제 2 밀봉부(11b)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몸통부(10)의 외측에 상기 피스톤(1)의 이동 방향(x)을 따른 상기 밀봉 링(11)의 소정 범위의 이동을 상기 몸통부(10)와 상기 밀봉 링(11)의 내주부(11c)의 사이에 유체의 이동 틈새(s)를 형성시킨 상태에서 허용하는 지지 리브부(10g)를 구비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Подробнее
15-03-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가동체의 어시스트 장치 및 하우징

Номер: KR0101839176B1
Автор: 사이토 노리오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실시형태에 따른 어시스트 장치의 하우징은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상대적으로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동체 중 어느 한쪽 측에 형성된 수용부에 설치되는 어시스트 장치의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수용부의 지지면 위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이간되는 이간부를 갖는다.

Подробнее
12-05-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LID DEVICE

Номер: KR0101620737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소형화되어 조립작업성이 개선된 리드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리드장치(20)는 힌지(12)에 의해서 개폐하는 리드(10)를 폐쇄위치에서 해제 가능하게 로크한다. 리드장치는 리드를 밀어넣을 때마다 리드를 개폐시키는 푸시 리프터(38)와, 푸시 리프터의 근방에 배치되는 모터(54)와, 로크부재(18)와, 구동장치의 구동력을 로크부재에 전달하는 전달기구(60, 64)를 구비한다. 푸시 리프터 및 구동장치가 푸시 리프터의 길이 방향과 구동장치의 길이 방향이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구동장치는 그 길이 방향에서 보아 적어도 일부가 푸시 리프터와 겹쳐지도록 배치된 것에 의해서, 리드장치는 소형화되어 조립작업성이 개선된다.

Подробнее
11-08-2015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BUCKLE

Номер: KR0101543795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수부재와 암부재의 접속조작을 쉽게 하면서, 이 조작후의 접속상태를 가능한 한 강고한 것으로 한다. [해결수단] 수부재(1)와, 제1 편부분(20)과 제2 편부분(21)을 갖고, 양자 사이에 한쪽 선단측으로부터 제2 편부분(21)의 휨에 의해 수부재(1)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암부재(2)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이 수용종료위치에서의 제2 편부분(21)의 휨복귀에 의해 수부재(1)에 형성된 피걸림부(10b)에 걸리는 걸림부(20c)가 제1 편부분(20)에 형성되어 있다.

Подробнее
11-04-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PIPE COUPLING FOR FUEL TANK

Номер: KR0101611800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금속제의 보강용 칼라를 이용하는 일없이, 접속관부에 있어서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연료탱크용 파이프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벽면에 설치된 개구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맞닿는 플랜지부(20)와, 상기 플랜지부에서 연료탱크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접속관부(30)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관부(30)의 내측에 보강용 리브(60)가 걸쳐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파이프 커플링(10)이다.

Подробнее
18-01-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CONNECTOR

Номер: KR0101586535B1
Автор: 네즈 미키오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부주의한 해제를 방지해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돌출되는 부분이 없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호스가 접속되는 커넥터 하우징과,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수부재와, 커넥터 하우징과 수부재를 걸어 맞춤 및 해제하는 것이 가능한 로크부재로 이루어지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로크부재를 안내하는 로크부재 안내벽과, 로크부재의 일부와 걸어 맞추어 로크부재의 하강을 제한하는 걸어 맞춤 돌기와, 로크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선단부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이동면과, 상기 로크부재 안내벽에 유지된 로크부재의 일부가 통과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된 수부재의 외주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걸어 맞추도록 형성된 투과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걸어 맞춤 돌기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걸어 맞춤 돌기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한 후, 하강하여 걸어맞춤부로부터 빠지므로, 부주의한 해제를 방지해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돌출되는 부분을 없앨 수 있다.

Подробнее
07-11-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스프레이 노즐

Номер: KR0101673700B1
Автор: 유다 슈이치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자기 발진 타입의 스프레이 노즐과 같은 높은 액체 분사 성능을 실현함과 동시에, 조립성이나 성형성이 양호한 스프레이 노즐을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본 발명은, 액체가 공급되는 공급구와 액체가 분사되는 분사구를 가지는 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노즐은 복수의 노즐 분할체가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노즐 분할체의 각각에는 상기 공급구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선회시키는 베인 요소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노즐이다.

Подробнее
08-11-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접지용 클립

Номер: KR0101917030B1
Автор: 모리 다이스케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접지용 클립에, 접지처리대상을 비도전성의 부착대상에 연결시키는 기능과, 이 연결에 수반해서 상기 접지처리대상을 기준 전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기능을 적절하게 구비시킨다. (해결수단) 접지처리대상(1)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비도전성의 부착대상(2)에 형성된 부착구멍(2c)에 감입(嵌入)되어 상기 접지처리대상(1)을 상기 부착대상(2)에 연결시키는 도전성 수지제의 그로밋체(4)와, 상기 그로밋체(4)에 조립됨과 아울러, 상기 그로밋체(4)의 감입처측(Fw)에 위치되는 기준 전위체(3)에 대한 탄성 접촉부(50)를 구비한 금속제의 콘택트체(5)를 구비해서 이루어진다.

Подробнее
08-12-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급유구 장치

Номер: KR0101807426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급유구 장치를 구성하는 앞측 통과구(6)를 폐쇄하는 폐쇄 부재를 1쌍의 플랩체로 구성하면서, 삽입된 급유 노즐을 원활하게 상기 폐쇄 부재의 안측에 위치하는 안측 통과구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상기 폐쇄 부재(11)는 1쌍의 플랩체(14, 14)와, 각 플랩체(14)를 탄성 지지에 의해 급유 노즐(N)의 앞측 통과구(6)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위치 부여하는 탄성 지지 수단(15)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1쌍의 플랩체(14, 14)는 각각, 회동의 중심이 되는 회동 조립부(141)와, 타방의 플랩체(14)에 대한 맞닿음부(142)를 구비함과 아울러, 폐쇄 부재(11)의 안측에는 급유 노즐(N)의 안측 통과구(7)와, 상기 안측 통과구(7)의 입구 가장자리를 경사 하단(23a)으로 하고 앞측 통과구(6) 근방을 경사 상단(23b)으로 하는 경사면으로서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플랩체(14)의 맞닿음부(142)의 직하 위치(x)를 포함하여 상기 직하 위치(x)의 양측에 형성된 급유 노즐(N)의 가이드 경사면(23)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Подробнее
07-12-2015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CLIP

Номер: KR0101575402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삽입력의 증대를 억제함과 동시에, 장착구멍의 형상의 영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클립의 제공.(해결수단)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클립은, 장착대상에 설치된 장착구멍에 걸어 고정되는 클립으로서, 상기 장착구멍으로의 삽입시에 상기 장착구멍에 간섭해서 내측으로 변형하는 다리부를 가지며, 상기 다리부의 표면에 삽입방향을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돌조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부의 표면에 복수의 상기 돌조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돌조는 서로 상기 삽입방향에 관해서 오프셋함과 동시에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배열되고, 상기 다리부의 외면은 선단부보다도 확대됨과 동시에 상기 장착구멍에 걸어 고정되는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걸림부의 외측면에 상기 돌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Подробнее
26-12-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조명 장치

Номер: KR0101812430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1 개 지점에 광의 입사부를 구비한 주회상을 이루고, 입사광을 전파하여 전체를 빛낼 수 있는 도광체와, 상기 도광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입사부에 대한 광원과 반대의 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체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 커버를 가지고 있다. 상기 확산 커버는, 상기 도광체에 있어서의 상기 입사부측을 덮는 판상 기부와, 외주부를 상기 판상 기부에 일체화시켜 상기 도광체의 그 나머지 지점을 덮는 환상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Подробнее
31-05-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플랩 밸브 장치 및 플랩 밸브 장치를 구비한 기액 분리 장치

Номер: KR0101862958B1
Автор: 아베 료타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플랩 밸브 장치 및 플랩 밸브 장치를 구비한 기액 분리 장치에 있어서, 플랩 밸브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개구(4)를 갖는 본체(5)와, 개구를 개폐하는 플랩(6)과, 본체와 플랩 사이에 마련되고, 플랩을 개방 방향으로 부세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7)을 갖는 상시 개방형의 플랩 밸브 장치(2)로서, 본체에 마련된 본체측 베어링(21)과, 플랩에 마련된 플랩측 베어링(25)과, 본체측 베어링, 플랩측 베어링, 및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부(7A)를 모두 관통하고, 플랩의 회동축이 되는 힌지 축부(27A), 및 힌지 축부의 일단으로부터 플랩의 외면부(6B)로 연장되는 연장부(27B)를 갖는 결합 부재(27)와, 본체에 마련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일단을 고정하는 스프링 고정부(43)를 갖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타단이 연장부에 고정되고, 연장부가 플랩의 외면부에 고정되도록 했다.

Подробнее
10-12-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노즐장치

Номер: KR0101927612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간이화를 유지하며, 유체가 선회류로 되어 균일한 분사 분포 패턴을 형성 가능하게 한다.(해결수단) 일단측에 토출구를 형성한 통형상의 노즐 본체(1)와 이 노즐 본체 내에 조립된 팁(2)을 구비하고, 노즐 본체의 내주면과 팁의 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되되 노즐 본체의 타단측에서 토출구 측으로 연장되는 유체통로(FP)를 가지며, 노즐 본체 내로 도입되는 유체를 유체통로(FP)에 의해서 선회류로 하여 토출구에서 분사하는 노즐장치(3)로서, 노즐 본체(1)는 토출구를 일단측에 가짐과 아울러 팁(2)을 내측에 설치하는 통형상부(10)와, 통형상부의 외주부에 형성된 구멍부(19) 및 외주부에 연결되어 유체를 구멍부에서 통형상부 내로 도입 가능하게 하는 접속부(17)를 가지고 있고, 팁(2)은 구멍부(19)에 대향하여 형성된 유체 분기부(28)와, 유체통로(FP)의 팁 측을 구획 형성함과 아울러 유체 분기부에서 좌우방향으로 나눠져 있는 대략 나선형상 내지는 원호형상의 2개의 통로홈(29a, 29b)을 가지고 있다.

Подробнее
10-08-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호스 커넥터

Номер: KR0101647556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하고 쉬운 조작으로 호스를 연결할 수 있는 호스 커넥터를 제공한다.(해결수단) 호스 커넥터(10)는 커넥터 본체(12)와, 커넥터 본체(12)에 바깥에서 끼우는 로크부재(14)를 구비한다. 호스 커넥터(10)는 로크부재(14)를 커넥터 본체(12)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좌회전 또는 우회전했을 때에, 로크부재(14)가 커넥터 본체(12)에서 축선 방향으로 로크 위치와 비로크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하는 캠기구를 구비한다. 호스는 로크부재(14)를 커넥터 본체(12)와 조합하여 비로크 위치로 한 상태에서, 커넥터 본체(12) 및 로크부재(14) 사이의 환 형상 공극(80) 내로 돌입된다. 로크부재(14)를 회전시켜서 로크 위치로 하면, 커넥터 본체(12)의 환 형상 확경부(24)와 로크부재(14)의 환 형상 축경부가 근접하기 때문에, 호스를 고정함과 아울러 호스를 흐르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Подробнее
08-11-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조명장치 및 서랍장치

Номер: KR0101917048B1
Автор: 교야마 다카시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광원과 상기 광원의 전방에 위치되는 도광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조명장치이다. 상기 도광체는 상기 광원 측에 형성된 제 1 면부와, 상기 제 1 면부의 반대 측에 형성된 제 2 면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1 면부는 평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면부는 상기 광원의 광축에 대해서 직각을 제외한 각도로 교차하는 경사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과 상기 광축이 상기 광원 측에서 이루는 각도가 상기 광축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면부의 중앙 측에서 작고, 상기 제 2 면부의 주변 측에서 크게 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Подробнее
20-04-2018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래치 장치

Номер: KR0101851088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래치 장치(10)는, 케이스(16)와, 케이스(16) 내에 보지(保持)되어, 케이스(16) 내로부터 돌출해 전진 위치가 되는 로드(rod)(20)와, 케이스(16) 내에서 탄축되어 로드(20)를 케이스(16) 내로부터 압출(壓出)하는 돌출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로드 부세 부재(26)와, 로드(20)와 함께 돌출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캠(21)과, 로드(20)의 축 회전으로 슬라이드 캠(21)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회전 캠(22)을 구비하고, 로드 부세 부재(26)의 부세력에 저항해 로드(20)를 압입(壓入) 함으로써, 회전 캠(22)이 슬라이드 캠(21)과 계합하여 회전하고, 로드(20)를 케이스(16)의 후퇴 위치에 락(lock) 하는 락 기구와, 로드(20)의 진퇴 시에 로드(20)를 축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가이드 기구와, 로드(20)가 락 되었을 때에 피결합부(69)에 계합하는 계합부(67)를 가진다.

Подробнее
10-10-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댐퍼 장치

Номер: KR0101664653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과제) 점성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밀봉 부재를, 댐퍼 장치의 구성 부재에 대해, 적절하고 합리적으로 일체 성형에 의해 구비하도록 한다. (해결수단) 스테이터(1)와, 로터(2)와, 이들 사이에 충전되어 상기 로터(2)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는 점성 유체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을 제동력으로 하는 댐퍼 장치이다. 로터(2)에, 연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환 형상 밀봉부(3)를 일체 성형에 의해 구비하도록 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로터(2)에, 그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3a)을 환 형상 밀봉부(3)에 구비하도록 하는, 오목부(5)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Подробнее
14-08-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압상장치

Номер: KR0101768266B1
Принадлежит: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퓨얼 리드를 열림 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압상장치(10)의 코일스프링(26)은 피치가 다른 대피치부(26 A)와 소피치부(26 B, 26 C)를 갖고 있다. 따라서, 퓨얼 리드를 닫을 때의, 로드(20)를 케이스(16) 내로 밀어넣는 코일스프링(26)에서의 초기의 스트로크에 대한 밀어붙이는 힘의 증가율이 초기의 스트로크에 이어지는 후기의 스트로크에 대한 밀어붙이는 힘의 증가율에 비해 작아져 있다.

Подробне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