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1-2019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KR0101941502B1
... 본 발명인 파일구조물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복수가 연결된 파일(100); 파일(100)에 작용하는 축 하중을 측정하도록, 이웃하는 한 쌍의 파일(100) 사이에 결합되는 축하중측정장치(200);를 포함하되, 축하중측정장치(200)는 상부파일(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결합부(210); 상부결합부(210)의 하면에 결합된 하중계(220); 하중계(220)의 하면에 결합됨과 아울러, 하부파일(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결합부(230);를 포함한다. 파일은 주면마찰력(파일의 외주와 지반 사이의 마찰력)과 선단지지력에 의해 강도를 발휘하게 되는데, 주면마찰력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그 전제로 파일의 외주와 지반 사이에 변위가 발생할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종래의 공법에 의해 추가파일을 설치하는 경우, 추가파일의 외주와 지반 사이에 변위가 발생하지 않거나 미미한 상태에서 확대된 구조물(2)을 시공하게 되므로, 추가파일의 주면마찰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기존파일이 더 많은 하중을 부담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조저판(20)에 대하여 파일(100)을 설치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파일(100)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파일(100)과 지반 사이에 연직방향 변위가 형성되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이 파일(100)과 지반 사이에 변위가 발생하도록 한 후, 기존 구조물을 증축하는 경우, 위 변위로 인하여 파일(100)이 선단지지력 뿐만아니라 주면마찰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므로, 증축된 구조물의 추가 하중을 추가되는 파일(100)이 제대로 분담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기존파일(10)에 하중이 추가되는 부담을 없애거나 줄일 수 있다. 이때, 추가되는 파일(100)에 대하여 인가되는 하중이 너무 작으면 기존파일(10)과의 하중 분담효과를 별로 기대할 수 없고, 반대로 너무 크면 추가되는 파일(100)에 대하여 과도한 하중의 부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추가되는 파일(100)에 대하여 인가되는 하중은 적절한 범위 내에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
Подробне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