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KE PURIFICATION DEVICE

05-05-2011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KR2011052838A1
Принадлежит:
Контакты:
Номер заявки: KR67-00-200951
Дата заявки: 17-11-2009

호수 정화장치
[1]

본 발명은 호수 등과 같이 정체된 상태의 물의 수면을 폭기함으로써,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수 등의 경관을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음은 물론, 호수 등의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산화처리하여 정화시킬 수 있는 호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2]

일반적으로, 물이 저장되는 연못, 호수 등에는 각종 오염원으로부터 인 및 질소 등의 영양염류가 지속적으로 유입된다.

[3]

이와 같이 유입된 영양염류 등의 유출 경로가 없을때, 호수 내의 조류 및 식물성 플랑크톤은 물속에 용해되어 있는 산소를 소비하면서 과대번식하게 된다.

[4]

따라서, 물속에 용해되어 있는 산소가 고갈되어 부영양화현상이 일어날 수 있고, 이로 인해 어폐류가 폐사될 수 있다.

[5]

수중의 생태계는 일정한 수준으로 균형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태계의 균형은 수중의 영양염류가 일정수준 이하로 유지됨으로써, 수중의 조류 및 플랑크톤의 번식율이 일정수준 이하로 유지되는 경우에 가능하다.

[6]

따라서, 호수의 수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호수 정화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7]

호수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호수 정화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었는데, 근래에는 대부분, 물속에 강제적으로 기포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호수 정화장치는 수중의 용존산소를 증가시키고, 물을 연직 순환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8]

종래의 호수 정화장치는 대게, 원통형의 본체 및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의 저면에 설치된다.

[9]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에는 힌지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힌지에 의해 중량체와 연결되며, 상기 중량체는 호수의 바닥과 인접한다.

[10]

상기 본체의 상부 둘레에는 복수의 부구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 외측 둘레에는 외관이 돌출형성된다.

[11]

상기 본체와 외관 사이에는 상기 본체를 원형으로 감싸는 공기실이 설치되며, 상기 공기실의 하부에는 복수의 기포관이 형성되고, 상기 기포관의 양측에는 기포공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실의 하부에는 U자형 유도관이 연결부재의 상부에 고정된다,

[12]

상기 공기실의 일측 상부에는 주입구가 설치되며, 상기 주입구의 상부에는 외부의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고압호스가 연결된다.

[13]

그러나, 종래의 수질 정화 장치는 복수의 장치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공기방울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공기방울의 표면적이 넓지 않아 용존산소량이 적어 수질 개선의 효과가 미약한 문제점이 있다.

[14]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호수 또는 연못의 수질정화를 위한 시설물로서; (a) 경사가 형성된 상기 호수 또는 연못의 바닥면과; (b)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경사를 따라 형성된 계곡부와; (c) 상기 계곡부의 계곡을 형성하는 비탈면 또는 상기 계곡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봉우리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계곡부의 비탈면을 향하여 설치된 팬 부재를 가지는 팬 구동장치와; (d) 상기 팬 구동장치의 팬 부재의 구동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바닥면의 상기 경사를 따라 계곡부의 골을 따른 물이 흐르는 유로의 끝단에 형성되는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수 또는 연못의 수질정화를 위한 시설물(국내 등록특허 제10-0840548호)이 제안된 바 있다.

[15]

그러나, 상기 호수 또는 연못의 수질정화를 위한 시설물은 상기 팬 구동장치가 상기 계곡부의 비탈면을 향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호수 또는 연못의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호수 또는 연못의 경관을 미려하게 연출할 수 없음은 물론, 호수 또는 연못의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산화처리하여 정화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1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호수 등과 같이 정체된 상태의 물의 수면을 폭기 함으로써,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수 등의 경관을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음은 물론, 호수 등의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산화처리하여 정화시킬 수 있는 호수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17]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수를 정화하는 호수 정화장치에 있어서, 하부가 호수 물속에 일정깊이 잠긴 상태로 회전하도록 복수 설치되어 호수의 수면을 폭기하는 복수의 수차와; 상기 복수 수차의 주변 수중에 각각 설치되어 물을 순환시키는 복수의 이젝터 펌프와;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의 배수구로 자유전자 및 라디칼을 배출시켜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의 배수구로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산화처리하는 자유전자 및 라디칼 발생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수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18]

[19]

여기서,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의 배수구에 중간부분에 내경이 좁아지는 협관부가 구비된 배수관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배수관의 협관부를 통과한 물에 자유전자 및 라디칼을 배출시키도록 상기 자유전자 및 라디칼 발생장치와 연결된 연결관이 상기 배수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

[21]

그리고,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의 배수구에 배수관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관의 일측에 분기형성되는 분기관이 구비되고, 상기 분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수차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2]

[23]

나아가, 상기 복수의 수차의 상측에 태양전지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수차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4]

본 발명은 복수의 수차의 하부가 호수 물속에 일정깊이 잠긴 상태로 회전하도록 복수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수차가 회전할 시 호수의 수면이 폭기됨으로써,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복수의 수차로 인해 호수의 경관을 보다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자유전자 및 라디칼 발생장치가 복수의 이젝터 펌프의 배수구로 자유전자 및 라디칼을 배출시켜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의 배수구로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산화처리함으로써, 호수 등과 같이 정체된 상태의 물을 보다 용이하게 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5]

그리고,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의 배수구에 중간부분에 내경이 좁아지는 협관부가 구비된 배수관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배수관의 협관부를 통과한 물에 자유전자 및 라디칼을 배출시키도록 상기 자유전자 및 라디칼 발생장치와 연결된 연결관이 상기 배수관에 연결되기 때문에 호수 등과 같이 정체된 상태의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에 대한 산화처리 효율이 보다 상승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26]

아울러,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의 배수구에 배수관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관의 일측에 분기형성되는 분기관이 구비되고, 상기 분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수차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수차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호수의 수면이 보다 원활하게 폭기됨으로써, 용존산소량을 보다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7]

더불어, 상기 복수의 수차의 상측에 태양전지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수차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수차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력을 사용한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28]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호수 정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29]

도 2는 물을 순환시키는 이젝터 펌프에 의해 수차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30]

도 3은 배수관과, 연결관 및 분기관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31]

도 4는 이젝터 펌프의 배수구에 중간부분에 내경이 좁아지는 협관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32]

도 5는 수차의 상측에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33]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4]

9; 호수, 9a; 수면,

[35]

91; 바닥, 10; 수차,

[36]

110; 안착부, 120; 일측 수직부,

[37]

130; 타측 수직부, 140; 회전축,

[38]

30; 이젝터 펌프, 40; 배수관,

[39]

410; 협관부, 430; 분기관,

[40]

50; 자유전자 및 라디칼 발생장치, 60; 연결관,

[41]

70; 태양전지모듈.

[42]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43]

[44]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호수 정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45]

[46]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호수 정화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복수의 수차(10), 복수의 이젝터 펌프(30)와 자유전자 및 라다칼 발생장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47]

먼저, 상기 복수의 수차(10)는 호수(9)의 수면(9a)을 폭기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가 호수(9) 물속에 일정깊이 잠긴 상태로 회전하도록 복수 설치된다.

[48]

이때, 상기 복수의 수차(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호수(9)의 바닥(도 2의 91)에 구비되는 복수의 안착부(110)의 상부면에 하단이 고정된 상태로 각각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수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일측 및 타측 수직부(120, 130)의 상부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일측 및 타측 수직부(120, 130)와 상기 복수의 수차(1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회전축(140)에 의해 하부가 호수(9) 물속에 일정깊이 잠긴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복수 설치될 수 있다.

[49]

한편, 상기 복수의 수차(10)는 반드시 호수(9)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호수(9) 및 저수지 등과 같이 정체된 상태의 물이 저장된 곳이라면 모두 설치될 수 있다.

[50]

[51]

도 2는 물을 순환시키는 이젝터 펌프(30)에 의해 수차(10)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배수관(40)과, 연결관(60) 및 분기관(430)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52]

[53]

다음으로,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30)는 호수(9)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수차(10)의 주변 수중에 각각 설치되어 물을 순환시킨다.

[54]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ON/OFF의 누름식 버튼으로 이루어진 제어부(미도시)의 ON 버튼을 누를 경우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3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수차(10)의 주변 수중의 물을 흡입함과 동시에 고수압 상태로 배수구(미도시)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55]

이때,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30)의 배수구(미도시)를 통해 배출되는 고수압 상태의 물은 호수(9) 수중의 물을 순환시킴과 동시에 하부가 호수(9) 물속에 일정깊이 잠긴 상태의 상기 복수의 수차(10)의 하부를 상부방향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복수의 수차(10)를 회전시키게 된다.

[56]

이로 인해 상기 복수의 수차(10)가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30)의 배수구(미도시)를 통해 배출되는 고수압 상태의 물에 의해 회전함과 동시에 호수(9)의 수면(9a)을 폭기시킴으로써, 호수(9)의 수중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57]

[58]

여기서,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30)의 배수구(미도시)에 배수관(40)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관(40)의 일측에 분기형성되는 분기관(430)이 구비되고, 상기 분기관(43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수차(10)를 회전시키는 것이 좋다.

[59]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30)의 배수구(미도시)에 배수관(40)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관(40)의 일측에 분기형성되는 분기관(430)이 구비될 경우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30)의 배수구(미도시)를 통해 배출되는 고수압 상태의 물이 상기 배수구(미도시)를 통과함과 동시에 상기 배수관(40)의 일측에 분기형성되는 상기 분기관(430)을 통해 상기 복수의 수차(10)의 상부로 낙하하게 된다.

[60]

이때, 상기 복수의 수차(10)의 상부로 낙하하는 물의 수압이 고수압인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수차(1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61]

이와 같이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30)의 배수구(미도시)에 상기 배수관(40)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관(40)의 일측에 분기형성되는 상기 분기관(430)이 구비되고, 상기 분기관(43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수차(10)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수차(10)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호수(9)의 수면(9a)이 보다 원활하게 폭기됨으로써, 용존산소량을 보다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62]

[63]

이와 달리 사용자가 ON/OFF의 누름식 버튼으로 이루어진 제어부(미도시)의 OFF 버튼을 누를 경우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3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수차(10)의 주변 수중의 물을 흡입하는 것을 멈추게 된다.

[64]

따라서, 고수압 상태의 물이 호수(9) 수중의 물을 순환시키지 않고, 호수(9) 물속에 일정깊이 잠긴 상태의 상기 복수의 수차(10)의 하부를 상부방향으로 밀어올리지 않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수차(10)를 회전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복수의 수차(10)가 호수(9)의 수면(9a)을 폭기시키지 않게 된다.

[65]

[66]

다음으로, 상기 자유전자 및 라디칼 발생장치(50)는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30)의 배수구(미도시)로 자유전자 및 라디칼을 배출시켜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30)의 배수구(미도시)로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산화처리하는 것이다.

[67]

상기 자유전자 및 라디칼 발생장치(50)로는 본 발명자가 제시한 고전압 및 고주파 펄스방식의 오염물질 처리용 전자발생장치(국내 등록특허 제10-0529749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68]

한편, 상기 자유전자 및 라디칼 발생장치(50)에 관한 설명은 상기 고전압 및 고주파 펄스방식의 오염물질 처리용 전자발생장치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69]

[70]

도 4는 이젝터 펌프(30)의 배수구(미도시)에 중간부분에 내경이 좁아지는 협관부(410)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71]

[72]

여기서,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30)의 배수구(미도시)에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경이 좁아지는 협관부(410)가 구비된 배수관(40)이 구비되고,

[73]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30)의 배수구(미도시)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배수관(40)의 협관부(410)를 통과한 물에 자유전자 및 라디칼을 배출시키도록 상기 자유전자 및 라디칼 발생장치(50)와 연결된 연결관(60)이 상기 배수관(40)에 연결되는 것이 좋다.

[74]

한편, 상기 배수관(40)으로는 공지된 벤츄리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벤츄리관에 관한 설명은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75]

[76]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ON/OFF의 누름식 버튼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ON 버튼을 누를 경우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3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수차(10)의 주변 수중의 물을 흡입함과 동시에 고수압 상태로 배수구(미도시)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77]

이때,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30)의 배수구(미도시)를 통해 배출되는 고수압 상태의 물은 상기 배수관(40)의 협관부(410)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물의 속력은 증가하고, 수압은 낮아지게 된다.

[78]

그리고, 상기 배수관(40)의 협관부(410)를 통과한 속력은 증가하고, 수압은 낮아진 상태의 물은 다시 상기 협관부(410) 보다 직경이 넓은 상기 배수관(40)을 통과하게 된다.

[79]

이때, 다시 상기 협관부(410) 보다 직경이 넓은 상기 배수관(40)을 통과하는 물은 그 속력이 감소하고, 수압은 높아지게 된다.

[80]

이와 동시에 상기 자유전자 및 라디칼 발생장치(50)가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연결관(40)을 통해 다시 상기 협관부(410) 보다 직경이 넓은 상기 배수관(40)을 통과하여 그 속력이 감소하고, 수압은 높아진 상태의 물에 자유전자 및 라디칼을 배출시키게 된다.

[81]

이로 인해 보다 넓고, 보다 많은 양의 호수(9)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산화처리함으로써,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82]

이와 같이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30)의 배수구(미도시)에 중간부분에 내경이 좁아지는 상기 협관부(410)가 구비된 상기 배수관(40)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30)의 배수구(미도시)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배수관(40)의 협관부(410)를 통과한 물에 자유전자 및 라디칼을 배출시키도록 상기 자유전자 및 라디칼 발생장치(50)와 연결된 상기 연결관(60)이 상기 배수관(40)에 연결되기 때문에 호수 등과 같이 정체된 상태의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에 대한 산화처리 효율이 보다 상승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83]

[84]

도 5는 수차(10)의 상측에 태양전지모듈(70)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85]

[86]

나아가, 상기 복수의 수차(10)의 상측에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태양전지모듈(70)을 구비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7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수차(10)를 회전시키는 것이 좋다.

[87]

이와 같이 상기 복수의 수차(10)의 상측에 상기 태양전지모듈(70)을 구비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70)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구동모터(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수차(10)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수차(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력을 사용한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88]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수차(10)의 하부가 호수(9) 물속에 일정깊이 잠긴 상태로 회전하도록 복수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수차(10)가 회전할 시 호수(9)의 수면(9a)이 폭기됨으로써,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복수의 수차(10)로 인해 호수(9)의 경관을 보다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자유전자 및 라디칼 발생장치(50)가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30)의 배수구(미도시)로 자유전자 및 라디칼을 배출시켜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30)의 배수구(미도시)로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산화처리함으로써, 호수 등과 같이 정체된 상태의 물을 보다 용이하게 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89]

[90]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수차의 하부가 호수 물속에 일정깊이 잠긴 상태로 회전하도록 복수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수차가 회전할 시 호수의 수면이 폭기됨으로써,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복수의 수차로 인해 호수의 경관을 보다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자유전자 및 라디칼 발생장치가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의 배수구로 자유전자 및 라디칼을 배출시켜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의 배수구로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산화처리함으로써, 호수 등과 같이 정체된 상태의 물을 보다 용이하게 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0000]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ke purifica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lake purification device for purifying lakes, comprising: a plurality of water wheels for aerating the surface of the lake, which are provided so as to rotate with their bottom parts submerg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lake water; a plurality of ejector pumps for circulating water,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water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water wheels; and a free electron and radical generating device for expelling free electrons and radicals at the water-discharging ports of the plurality of ejector pumps, thereby subjecting contaminant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ter expelled at the water-discharging ports of the plurality of ejector pumps to an oxidation treatment. Because the plurality of water wheels are provided so as to rotate with their bottom parts submerg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lake wat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dvantageous effects not only in that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can be increased by the aeration of the surface of the lake during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water wheels and in that the lake scene can be given a more aesthetically appealing aspect due to the plurality of water wheels but also in that water in a pooled state such as lake water can be purified relatively easily as it is relatively easy to carry out the oxidation treatment on the contaminant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ter expelled at the water-discharging ports of the plurality of ejector pumps by having the free electron and radical generating devices expel free electrons and radicals at the water-discharging ports of the plurality of ejector pumps.

[1]



호수를 정화하는 호수 정화장치에 있어서,

하부가 호수 물속에 일정깊이 잠긴 상태로 회전하도록 복수 설치되어 호수의 수면을 폭기하는 복수의 수차와;

상기 복수 수차의 주변 수중에 각각 설치되어 물을 순환시키는 복수의 이젝터 펌프와;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의 배수구로 자유전자 및 라디칼을 배출시켜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의 배수구로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산화처리하는 자유전자 및 라디칼 발생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수 정화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의 배수구에 중간부분에 내경이 좁아지는 협관부가 구비된 배수관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배수관의 협관부를 통과한 물에 자유전자 및 라디칼을 배출시키도록 상기 자유전자 및 라디칼 발생장치와 연결된 연결관이 상기 배수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수 정화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젝터 펌프의 배수구에 배수관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관의 일측에 분기형성되는 분기관이 구비되고, 상기 분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수차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수 정화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차의 상측에 태양전지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수차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수 정화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