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운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주 운반차
본 기재는 전주 운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주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는 전선을 가설하기 위한 전력선 및 배전선로용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물이다. 전주는 도로변, 사유지, 농로, 하천제방 등에 설치되기 위해 전주 운반 장치가 설치된 전주 운반차에 의해 설치 현장까지 운반된다. 전주의 운반에 있어서, 전주 운반 장치가 설치된 전주 운반차 및 도로의 노면 상태에 따라 전주가 절손되는 문제가 있다. 일례로, 최근 일반 도로에 설치된 과속 방지턱의 증가로 인해 전주 운반 시 전주에 충격이 가해져 전주가 절손되는 문제가 있으며, 일반 도로 및 비포장 도로를 주행하는 전주 운반차 자체의 진동에 의한 충격으로 인해 전주 설치 후 불평균 장력 등을 이기지 못하고 전주가 절손되는 문제가 있다. 일 실시예는, 전주 운반 시 전주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전주의 건전성을 향상함으로써, 전주의 운반 중 및 전주의 설치 후 전주의 절손을 억제하는 전주 운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주 운반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은 전주의 하측에 위치하는 운반대, 상기 운반대의 전측에서 상기 전주의 상부를 지지하며, 상기 전주의 상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1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이격된 상기 운반대의 후측에서 상기 전주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전주의 하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와 연결되며, 제2 지지부와 이웃하는 상기 전주의 단부를 지지하는 밀림 방지부를 포함하는 전주 운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전주의 상부를 직접 지지하여 상기 제1 충격 흡수부에 결합되는 제1 전주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주 지지부는 상기 전주의 상부가 삽입되는 제1 지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홈은 사다리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충격 흡수부는, 상기 제1 전주 지지부의 양 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1 결합홈들, 및 상기 복수의 제1 결합홈들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전주 지지부의 상기 양 단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1 스프링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주 지지부는 상기 제1 충격 흡수부의 저부로부터 플로팅(floating)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전주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충격 흡수부에 체결되어 상기 전주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1 전주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주 고정부는 반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운반대와 상기 제1 충격 흡수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지지부의 높이를 상기 제2 지지부 대비 높게 위치시키는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전주의 하부를 직접 지지하여 상기 제2 충격 흡수부에 결합되는 제2 전주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주 지지부는 상기 전주의 하부가 삽입되는 제2 지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충격 흡수부는, 상기 제2 전주 지지부의 양 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2 결합홈들, 및 상기 복수의 제2 결합홈들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전주 지지부의 상기 양 단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2 스프링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주 지지부는 상기 제2 충격 흡수부의 저부로부터 플로팅(floating)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전주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충격 흡수부에 체결되어 상기 전주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2 전주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충격 흡수부는 상기 밀림 방지부와 연결되는 연결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림 방지부는, 상기 연결 고리와 연결된 케이블 고정부, 상기 전주의 단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단부 삽입부, 및 상기 케이블 고정부와 상기 단부 삽입부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부 삽입부는 'ㄷ'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일 측면은 차량, 상기 차량에 지지되어 전주의 하측에 위치하는 운반대, 상기 운반대의 전측에서 상기 전주의 상부를 지지하며, 상기 전주의 상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1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이격된 상기 운반대의 후측에서 상기 전주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전주의 하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와 연결되며, 제2 지지부와 이웃하는 상기 전주의 단부를 지지하는 밀림 방지부를 포함하는 전주 운반차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전주의 상부를 직접 지지하여 상기 제1 충격 흡수부에 결합되는 제1 전주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주 지지부는 상기 제1 충격 흡수부의 저부로부터 플로팅(floating)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전주의 상부를 직접 지지하여 상기 제2 충격 흡수부에 결합되는 제2 전주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주 지지부는 상기 제2 충격 흡수부의 저부로부터 플로팅(floating)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주 운반 시 전주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전주의 건전성을 향상함으로써, 전주의 운반 중 및 전주의 설치 후 전주의 절손을 억제하는 전주 운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주 운반차가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운반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운반 장치의 제1 지지부의 제1 전주 지지부를 나타낸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운반 장치의 제1 지지부의 제1 충격 흡수부를 나타낸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운반 장치의 제1 지지부의 제1 전주 고정부를 나타낸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운반 장치의 제2 지지부의 제2 전주 지지부를 나타낸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운반 장치의 제2 지지부의 제2 충격 흡수부를 나타낸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운반 장치의 제2 지지부의 제2 전주 고정부를 나타낸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주 운반차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운반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운반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운반 장치(1000)는 트레일러 및 오가크레인 등의 차량에 설치되어 운반 대상인 전주(10)를 고정 및 운반하며, 전주(10) 운반 시 전주(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전주의 건전성을 향상함으로써, 전주(10)의 운반 중 및 전주(10)의 설치 후 전주(10)의 절손을 억제한다. 전주 운반 장치(1000)가 고정하는 전주(10)는 콘크리트 전주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주(10)는 강관 전주, 목주, 철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주 운반 장치(1000)는 운반대(100), 제1 지지부(200), 제2 지지부(300), 밀림 방지부(400)를 포함한다. 운반대(100)는 기울어져 전주 운반 장치(1000)에 고정된 전주(10)의 하측에 위치한다. 운반대(100)에는 제1 지지부(200) 및 제2 지지부(300)가 고정되어 있다. 운반대(100)는 제1 지지부(200) 및 제2 지지부(300)를 고정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200)는 운반대(100)의 전측에서 전주(10)의 상부(11)를 지지 및 고정한다. 제1 지지부(200)의 높이는 제2 지지부(300)의 높이 대비 높게 위치한다. 제1 지지부(200)는 제1 전주 지지부(210), 제1 충격 흡수부(220), 제1 전주 고정부(230), 각도 조절부(240)를 포함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운반 장치의 제1 지지부의 제1 전주 지지부를 나타낸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2의 (A)는 제1 전주 지지부의 정면도이며, 도 2의 (B)는 제1 전주 지지부의 평면도이며, 도 2의 (C)는 제1 전주 지지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운반 장치의 제1 지지부의 제1 충격 흡수부를 나타낸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3의 (A)는 제1 충격 흡수부의 정면도이며, 도 3의 (B)는 제1 충격 흡수부의 평면도이며, 도 3의 (C)는 제1 충격 흡수부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전주 지지부(210)는 전주(10)의 상부(11)와 접촉하며, 전주(10)의 상부(11)를 직접 지지한다. 제1 전주 지지부(210)는 제1 충격 흡수부(220)에 결합된다. 제1 전주 지지부(210)는 전주(10)의 상부(11)가 삽입되는 제1 지지홈(211)을 포함한다. 제1 지지홈(211)은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 형태의 전주(10)가 삽입되는 원 형태, 타원 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주 지지부(210)의 양 단부(210a)는 제1 충격 흡수부(220)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결합홈(221)들에 삽입되며, 제1 전주 지지부(210)의 양 단부(210a)는 제1 충격 흡수부(220)의 복수의 제1 결합홈(221)들 하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스프링(222)들에 지지된다. 제1 전주 지지부(210)의 양 단부(210a)가 복수의 제1 스프링(222)들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제1 전주 지지부(210)는 제1 충격 흡수부(220)의 저부(220a)로부터 플로팅(floating)된다. 제1 충격 흡수부(220)는 제1 전주 지지부(210)와 결합되며, 전주(10)의 상부(11)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한다. 제1 충격 흡수부(220)는 복수의 제1 결합홈(221)들 및 복수의 제1 스프링(222)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결합홈(221)들은 제1 충격 흡수부(220)의 양 단부에 위치한다. 복수의 제1 결합홈(221)들에는 제1 전주 지지부(210)의 양 단부(210a)가 삽입된다. 복수의 제1 결합홈(221)들은 제1 전주 지지부(210)의 양 단부(210a)가 삽입되는 공지된 다양한 그루브(groove)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1 스프링(222)들은 복수의 제1 결합홈(221)들의 하측에 위치한다. 복수의 제1 스프링(222)들은 제1 전주 지지부(210)의 양 단부(210a)를 지지한다. 복수의 제1 스프링(222)들은 제1 전주 지지부(210)의 양 단부(210a)와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전주 지지부(210)의 양 단부(210a)를 간접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스프링(222)들은 공지된 다양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공지된 다양한 탄성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충격 흡수부(220)의 복수의 제1 스프링(222)들이 전주(10)의 상부(11)를 지지하는 제1 전주 지지부(210)의 지지점 하부 양단에 위치하는 양 단부(210a)를 지지하여 제1 전주 지지부(210)가 제1 충격 흡수부(220)의 저부(220a)로부터 플로팅됨으로써, 제1 충격 흡수부(220)가 전주(10)의 상부(11)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전주(10) 운반 시 전주(1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어 전주(10)의 건전성이 향상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운반 장치의 제1 지지부의 제1 전주 고정부를 나타낸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4의 (A)는 제1 전주 고정부의 정면도이며, 도 4의 (B)는 제1 전주 고정부의 평면도이며, 도 4의 (C)는 제1 전주 고정부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1을 참조하면, 제1 전주 고정부(230)는 전주(10)의 상부(11)를 지지하는 제1 전주 지지부(210)를 사이에 두고 제1 충격 흡수부(220)에 체결된다. 제1 전주 고정부(230)는 전주(10)의 상부(11)를 사이에 두고 제1 전주 지지부(210) 상측에 위치한다. 제1 전주 고정부(230)는 전주(10)의 상부(11)를 커버하며, 제1 충격 흡수부(220)에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제1 전주 지지부(210)에 지지된 전주(10)의 상부(11)의 이탈을 방지한다. 제1 전주 고정부(230)는 반원 형태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 형태의 전주(10)가 삽입되는 사다리꼴 형태, 다각형 형태, 또는 타원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주 고정부(230)는 전주(10)의 상부(11)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231), 제1 커버부(231)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제1 체결부(232) 및 제2 체결부(233)를 포함한다. 제1 커버부(231)는 반원 형태를 가진다. 제1 체결부(232) 및 제2 체결부(233)는 제1 충격 흡수부(220)에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위해 체결되는 부분이다. 제1 체결부(232) 및 제2 체결부(233) 각각은 서로 다른 방향인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각각으로 체결 수단에 의해 제1 충격 흡수부(220)에 체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각도 조절부(240)는 운반대(100)와 제1 충격 흡수부(220) 사이에 위치한다. 각도 조절부(240)는 제1 지지부(200)의 높이를 제2 지지부(300)의 높이 대비 높게 위치시킨다. 각도 조절부(240)는 제1 지지부(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리프트(lift) 장치 등의 공지된 다양한 높이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240)에 의해 제1 지지부(200)의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전주 운반 장치(1000)에 기울어져 지지되는 전주(10)의 기울기 각도가 조절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 지지부(300)는 제1 지지부(200)와 이격된 운반대(100)의 후측에서 전주(10)의 하부(12)를 지지 및 고정한다. 제2 지지부(300)의 높이는 제1 지지부(200)의 높이 대비 낮게 위치한다. 제2 지지부(300)는 제2 전주 지지부(310), 제2 충격 흡수부(320), 제2 전주 고정부(330)를 포함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운반 장치의 제2 지지부의 제2 전주 지지부를 나타낸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5의 (A)는 제2 전주 지지부의 정면도이며, 도 5의 (B)는 제2 전주 지지부의 평면도이며, 도 5의 (C)는 제2 전주 지지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운반 장치의 제2 지지부의 제2 충격 흡수부를 나타낸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6의 (A)는 제2 충격 흡수부의 정면도이며, 도 6의 (B)는 제2 충격 흡수부의 평면도이며, 도 6의 (C)는 제2 충격 흡수부의 측면도이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전주 지지부(310)는 전주(10)의 하부(12)와 접촉하며, 전주(10)의 하부(12)를 직접 지지한다. 제2 전주 지지부(310)는 제2 충격 흡수부(320)에 결합된다. 제2 전주 지지부(310)는 전주(10)의 하부(12)가 삽입되는 제2 지지홈(311)을 포함한다. 제2 지지홈(311)은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 형태의 전주(10)가 삽입되는 원 형태, 타원 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 제2 전주 지지부(310)의 양 단부(310a)는 제2 충격 흡수부(320)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결합홈(321)들에 삽입되며, 제2 전주 지지부(310)의 양 단부(310a)는 제2 충격 흡수부(320)의 복수의 제2 결합홈(321)들 하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스프링(322)들에 지지된다. 제2 전주 지지부(310)의 양 단부(310a)가 복수의 제2 스프링(322)들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제2 전주 지지부(310)는 제2 충격 흡수부(320)의 저부(320a)로부터 플로팅(floating)된다. 제2 충격 흡수부(320)는 제2 전주 지지부(310)와 결합되며, 전주(10)의 하부(12)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한다. 제2 충격 흡수부(320)는 복수의 제2 결합홈(321)들, 복수의 제2 스프링(322)들, 및 연결 고리(323)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2 결합홈(321)들은 제2 충격 흡수부(320)의 양 단부에 위치한다. 복수의 제2 결합홈(321)들에는 제2 전주 지지부(310)의 양 단부(310a)가 삽입된다. 복수의 제2 결합홈(321)들은 제2 전주 지지부(310)의 양 단부(310a)가 삽입되는 공지된 다양한 그루브(groove)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2 스프링(322)들은 복수의 제2 결합홈(321)들의 하측에 위치한다. 복수의 제2 스프링(322)들은 제2 전주 지지부(310)의 양 단부(310a)를 지지한다. 복수의 제2 스프링(322)들은 제2 전주 지지부(310)의 양 단부(310a)와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전주 지지부(310)의 양 단부(310a)를 간접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스프링(322)들은 공지된 다양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공지된 다양한 탄성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고리(323)는 제2 충격 흡수부(320)의 하부 중앙에 위치한다. 연결 고리(323)는 밀림 방지부(400)와 연결된다. 연결 고리(323)는 밀림 방지부(400)의 케이블 고정부(410)와 연결된다. 연결 고리(323)는 케이블 고정부(410)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힌지(hinge) 형태를 가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블 고정부(410)와 연결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연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충격 흡수부(320)의 복수의 제2 스프링(322)들이 전주(10)의 하부(12)를 지지하는 제2 전주 지지부(310)의 지지점 하부 양단에 위치하는 양 단부(310a)를 지지하여 제2 전주 지지부(310)가 제2 충격 흡수부(320)의 저부(320a)로부터 플로팅됨으로써, 제2 충격 흡수부(320)가 전주(10)의 하부(12)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전주(10) 운반 시 전주(1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어 전주(10)의 건전성이 향상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운반 장치의 제2 지지부의 제2 전주 고정부를 나타낸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7의 (A)는 제2 전주 고정부의 정면도이며, 도 7의 (B)는 제2 전주 고정부의 평면도이며, 도 7의 (C)는 제2 전주 고정부의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1을 참조하면, 제2 전주 고정부(330)는 전주(10)의 하부(12)를 지지하는 제2 전주 지지부(310)를 사이에 두고 제2 충격 흡수부(320)에 체결된다. 제2 전주 고정부(330)는 전주(10)의 하부(12)를 사이에 두고 제2 전주 지지부(310) 상측에 위치한다. 제2 전주 고정부(330)는 전주(10)의 하부(12)를 커버하며, 제2 충격 흡수부(320)에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제2 전주 지지부(310)에 지지된 전주(10)의 하부(12)의 이탈을 방지한다. 제2 전주 고정부(330)는 반원 형태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 형태의 전주(10)가 삽입되는 사다리꼴 형태, 다각형 형태, 또는 타원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 제2 전주 고정부(330)는 전주(10)의 하부(12)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331), 제2 커버부(331)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제3 체결부(332) 및 제4 체결부(333)를 포함한다. 제2 커버부(331)는 반원 형태를 가진다. 제3 체결부(332) 및 제4 체결부(333)는 제2 충격 흡수부(320)에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위해 체결되는 부분이다. 제3 체결부(332) 및 제4 체결부(333)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체결 수단에 의해 제2 충격 흡수부(320)에 체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밀림 방지부(400)는 제2 지지부(300)의 연결 고리(323)에 연결되며, 제2 지지부(300)와 이웃하는 전주(10)의 단부를 지지하여 전주(10)의 이탈을 방지한다. 밀림 방지부(400)는 케이블 고정부(410), 단부 삽입부(420), 케이블(430)을 포함한다. 케이블 고정부(410)는 연결 고리(323)와 연결된다. 케이블 고정부(410)는 단부 삽입부(420)에 연결된 케이블(4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케이블(430)을 고정한다. 케이블 고정부(410)는 케이블(430)의 길이를 조절 및 고정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단부 삽입부(420)는 전주(10)의 단부에 형성된 홀(13)에 삽입되어 전주(10)의 단부를 지지한다. 단부 삽입부(420)는 일부가 전주(10)의 단부의 홀(13)에 삽입되어 나머지가 전주(10)의 단부를 지지하는 'ㄷ'자 형태를 가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주(10)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케이블(430)은 케이블 고정부(410)와 단부 삽입부(420) 사이를 연결한다. 케이블(430)의 길이는 제2 지지부(300)와 전주(10)의 단부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케이블 고정부(410)에 의해 조절된다. 케이블(430)은 공지된 다양한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운반 장치(1000)는 전주(10)의 상부(11)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200)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1 충격 흡수부(220) 및 전주(10)의 하부(12)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300)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 충격 흡수부(320)를 포함함으로써, 전주(10)의 상부(11) 및 하부(12) 각각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전주(10) 운반 시 전주(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전주(10)의 건전성을 향상한다. 즉, 전주(10) 운반 시 전주(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전주(10)의 건전성을 향상함으로써, 전주(10)의 운반 중 및 전주(10)의 설치 후 전주(10)의 절손을 억제하는 전주 운반 장치(1000)가 제공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주 운반차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운반 장치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주 운반차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주 운반차(2000)는 운반 대상인 전주(10)를 고정 및 운반하며, 전주(10) 운반 시 전주(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전주의 건전성을 향상함으로써, 전주(10)의 운반 중 및 전주(10)의 설치 후 전주(10)의 절손을 억제한다. 전주 운반차(2000)는 차량(600), 운반대(100), 제1 지지부(200), 제2 지지부(300), 밀림 방지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운반대(100), 제1 지지부(200), 제2 지지부(300), 밀림 방지부(400)는 전주 운반 장치(1000)를 구성할 수 있다. 차량(600)은 트레일러 및 오가크레인 등의 공지된 다양한 차량을 포함한다. 차량(600)의 후측에는 운반대(100), 제1 지지부(200), 제2 지지부(300), 밀림 방지부(400)가 위치하며, 운반대(100)는 차량(600)에 지지된다. 제1 지지부(200)의 제1 충격 흡수부(220)가 제1 전주 지지부(210)의 양 단부를 지지하여 제1 전주 지지부(210)가 제1 충격 흡수부(220)의 저부(220a)로부터 플로팅됨으로써, 제1 충격 흡수부(220)가 전주(10)의 상부(11)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전주(10) 운반 시 전주(1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어 전주(10)의 건전성이 향상된다. 제2 지지부(300)의 제2 충격 흡수부(320)가 제2 전주 지지부(310)의 양 단부를 지지하여 제2 전주 지지부(310)가 제2 충격 흡수부(320)의 저부(320a)로부터 플로팅됨으로써, 제2 충격 흡수부(320)가 전주(10)의 하부(12)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전주(10) 운반 시 전주(1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어 전주(10)의 건전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주 운반차(2000)는 전주(10)의 상부(11)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200)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1 충격 흡수부(220) 및 전주(10)의 하부(12)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300)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 충격 흡수부(320)를 포함함으로써, 전주(10)의 상부(11) 및 하부(12) 각각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전주(10) 운반 시 전주(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전주(10)의 건전성을 향상한다. 즉, 전주(10) 운반 시 전주(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전주(10)의 건전성을 향상함으로써, 전주(10)의 운반 중 및 전주(10)의 설치 후 전주(10)의 절손을 억제하는 전주 운반차(2000)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주(10), 운반대(100), 제1 지지부(200), 제1 전주 지지부(210), 제1 충격 흡수부(220), 제1 전주 고정부(230), 제2 지지부(300), 제2 전주 지지부(310), 제2 충격 흡수부(320), 제2 전주 고정부(330), 밀림 방지부(400) 전주 운반 장치는 전주의 하측에 위치하는 운반대, 상기 운반대의 전측에서 상기 전주의 상부를 지지하며 상기 전주의 상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1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이격된 상기 운반대의 후측에서 상기 전주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전주의 하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와 연결되며 제2 지지부와 이웃하는 상기 전주의 단부를 지지하는 밀림 방지부를 포함한다. 전주의 하측에 위치하는 운반대;상기 운반대의 전측에서 상기 전주의 상부를 지지하며, 상기 전주의 상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1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상기 제1 지지부와 이격된 상기 운반대의 후측에서 상기 전주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전주의 하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제2 지지부; 및상기 제2 지지부와 연결되며, 제2 지지부와 이웃하는 상기 전주의 단부를 지지하는 밀림 방지부를 포함하는 전주 운반 장치. 제1항에서,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전주의 상부를 직접 지지하여 상기 제1 충격 흡수부에 결합되는 제1 전주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전주 운반 장치. 제2항에서,상기 제1 전주 지지부는 상기 전주의 상부가 삽입되는 제1 지지홈을 포함하는 전주 운반 장치. 제3항에서,상기 제1 지지홈은 사다리꼴 형태인 전주 운반 장치. 제2항에서,상기 제1 충격 흡수부는,상기 제1 전주 지지부의 양 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1 결합홈들; 및상기 복수의 제1 결합홈들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전주 지지부의 상기 양 단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1 스프링들을 포함하는 전주 운반 장치. 제2항에서,상기 제1 전주 지지부는 상기 제1 충격 흡수부의 저부로부터 플로팅(floating)된 전주 운반 장치. 제2항에서,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전주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충격 흡수부에 체결되어 상기 전주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1 전주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전주 운반 장치. 제7항에서,상기 제1 전주 고정부는 반원 형태인 전주 운반 장치. 제1항에서,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운반대와 상기 제1 충격 흡수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지지부의 높이를 상기 제2 지지부 대비 높게 위치시키는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전주 운반 장치. 제1항에서,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전주의 하부를 직접 지지하여 상기 제2 충격 흡수부에 결합되는 제2 전주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전주 운반 장치. 제10항에서,상기 제2 전주 지지부는 상기 전주의 하부가 삽입되는 제2 지지홈을 포함하는 전주 운반 장치. 제10항에서,상기 제2 충격 흡수부는,상기 제2 전주 지지부의 양 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2 결합홈들; 및상기 복수의 제2 결합홈들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전주 지지부의 상기 양 단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2 스프링들을 포함하는 전주 운반 장치. 제10항에서,상기 제2 전주 지지부는 상기 제2 충격 흡수부의 저부로부터 플로팅(floating)된 전주 운반 장치. 제10항에서,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전주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충격 흡수부에 체결되어 상기 전주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2 전주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전주 운반 장치. 제1항에서,상기 제2 충격 흡수부는 상기 밀림 방지부와 연결되는 연결 고리를 포함하는 전주 운반 장치. 제15항에서,상기 밀림 방지부는,상기 연결 고리와 연결된 케이블 고정부;상기 전주의 단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단부 삽입부; 및상기 케이블 고정부와 상기 단부 삽입부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주 운반 장치. 제16항에서,상기 단부 삽입부는 'ㄷ'자 형태인 전주 운반 장치. 제16항에서,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는 전주 운반 장치. 차량;상기 차량에 지지되어 전주의 하측에 위치하는 운반대;상기 운반대의 전측에서 상기 전주의 상부를 지지하며, 상기 전주의 상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1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상기 제1 지지부와 이격된 상기 운반대의 후측에서 상기 전주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전주의 하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제2 지지부; 및상기 제2 지지부와 연결되며, 제2 지지부와 이웃하는 상기 전주의 단부를 지지하는 밀림 방지부를 포함하는 전주 운반차. 제19항에서,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전주의 상부를 직접 지지하여 상기 제1 충격 흡수부에 결합되는 제1 전주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상기 제1 전주 지지부는 상기 제1 충격 흡수부의 저부로부터 플로팅(floating)된 전주 운반차. 제19항에서,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전주의 상부를 직접 지지하여 상기 제2 충격 흡수부에 결합되는 제2 전주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상기 제2 전주 지지부는 상기 제2 충격 흡수부의 저부로부터 플로팅(floating)된 전주 운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