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21-01-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WO2016010259A1
Контакты:
Номер заявки: KR56-00-201560
Дата заявки: 05-06-2015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1]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크기의 셀을 형성하는 여러 기지국이 동일한 지역에 공존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셀이 공존하는 환경적 특이성을 반영하여 협력통신(Coordinated Multi Point, CoMP)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일반적으로, 협력통신(Coordinated Multi Point, CoMP) 기술은, 높은 셀 간 간섭을 겪는 사용자단말 혹은 셀 경계영역(cell edge)에 위치한 사용자단말에게, 2 이상의 기지국이 협력 송수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단말의 송수신 성능을 개선시키는 기술이다. 이러한 협력통신 기술(이하, CoMP 기술이라 함)은, 송수신 성능 하위의 사용자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성능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3]

이러한 종래의 CoMP 기술은, 매크로 셀 환경에서 같은 규모의 기지국(매크로기지국) 간 협력을 감안한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

[4]

한편, 최근에는 서로 다른 규모의 기지국 즉 서로 다른 크기의 셀을 형성하는 여러 기지국이 동일한 지역에 공존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일반적인 매크로기지국 외, 더 작은 셀 커버리지를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소형기지국들이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기지국들이 중첩된 영역에서 매크로셀 및 소형셀을 형성하며 사용자에게 무선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5]

이러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매크로기지국 및 소형기지국이 CoMP를 수행하게 되면, 매크로기지국의 매크로셀 내 존재하는 다른 소형기지국은 CoMP를 수행하는 매크로기지국 및 소형기지국으로부터 영향을 받게 된다.

[6]

따라서, 서로 다른 크기의 셀이 공존하는 환경적 특이성을 갖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이러한 환경적 특이성을 반영하여 CoMP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7]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이 갖는 환경적 특이성을 반영하여 CoMP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협력통신(Coordinated Multi Point, CoMP)을 위한 특정 인접기지국을 선택하는 기지국선택부; 상기 기지국장치 및 상기 특정 인접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협력통신을 제공받는 단말에 대하여, 상기 특정 인접기지국에서 할당한 무선자원과 동일하게 할당한 무선자원을 블랭크(blank)하는 협력통신제어부; 및 상기 무선자원이 블랭크 되었음을 나타내는 자원할당정보를 상기 특정 인접기지국 외의 타 인접기지국과 공유하여, 상기 타 인접기지국이 상기 자원할당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원할당정보공유부를 포함한다.

[9]

구체적으로, 상기 기지국선택부는,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상기 협력통신을 제공 받을 수 있는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인접기지국 중에서, 상기 기지국장치와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특정 인접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다.

[10]

구체적으로, 상기 자원할당정보는, 상기 기지국장치 및 상기 타 인접기지국 간을 연결하는 백홀(Backhaul), 또는 상기 기지국장치 및 상기 타 인접기지국을 RU(Remote radio Unit)로서 관리하는 BU(baseband unit)을 통해 공유될 수 있다.

[11]

구체적으로, 상기 기지국장치가 매크로기지국인 경우, 상기 특정 인접기지국 및 상기 타 인접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장치의 셀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소형기지국이며, 상기 기지국장치가 소형기지국인 경우, 상기 특정 인접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장치가 위치한 셀 커버리지를 갖는 매크로기지국이며, 상기 타 인접기지국은 상기 특정 인접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소형기지국일 수 있다.

[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특정 단말에 대하여 할당한 무선자원을 블랭크(blank)하는 협력통신(Coordinated Multi Point, CoMP)을 수행하는 인접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자원이 블랭크 되었음을 나타내는 자원할당정보를 확인하는 자원할당정보확인부; 및 상기 자원할당정보를 기초로 인지되는 상기 무선자원을, 상기 기지국장치에 접속된 단말 중 상기 인접기지국에 의한 간섭 발생이 가장 큰 단말에 할당하는 무선자원할당부를 포함한다.

[13]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자원할당부는, 상기 무선자원에 대한 데이터전송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의 레벨을 상승시킬 수 있다.

[1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협력통신(Coordinated Multi Point, CoMP)을 위한 특정 인접기지국을 선택하는 기지국선택단계; 상기 기지국장치 및 상기 특정 인접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협력통신을 제공받는 단말에 대하여, 상기 특정 인접기지국에서 할당한 무선자원과 동일하게 할당한 무선자원을 블랭크(blank)하는 협력통신제어단계; 및 상기 무선자원이 블랭크 되었음을 나타내는 자원할당정보를 상기 특정 인접기지국 외의 타 인접기지국과 공유하여, 상기 타 인접기지국이 상기 자원할당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원할당정보공유단계를 포함한다.

[15]

구체적으로, 상기 타 인접기지국은, 상기 자원할당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장치에서 블랭크한 상기 무선자원을 인지하고, 상기 타 인접기지국에 접속된 단말 중 상기 기지국장치에 의한 간섭 발생이 가장 큰 단말에 상기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16]

구체적으로, 상기 타 인접기지국은, 상기 자원할당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장치에서 블랭크한 상기 무선자원을 인지하고, 상기 무선자원에 대한 데이터전송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의 레벨을 상승시킬 수 있다.

[17]

구체적으로, 상기 기지국선택단계는,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상기 협력통신을 제공 받을 수 있는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인접기지국 중에서, 상기 기지국장치와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특정 인접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다.

[18]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이 갖는 환경적 특이성을 반영하여 CoMP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19]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가 포함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20]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21]

도 3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22]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력통신(CoMP)의 성능 향상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23]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24]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25]

도 1은,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가 포함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을 보여주고 있다.

[26]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서로 다른 크기의 셀을 형성하는 여러 기지국, 즉 매크로셀(C100)을 형성하는 매크로기지국(100), 매크로기지국(100)의 셀 커버리지(C10)에 포함되는 셀(C1,C2...C6)을 형성하는 소형기지국(10,20,30)이 동일한 지역에 공존한다.

[27]

물론,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매크로기지국(100)을 비롯한 여러 개의 매크로기지국이 존재하고, 매크로기지국(100)의 셀(C100) 내에 소형기지국(10,20,30)이 존재하듯이 각 매크로기지국의 셀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소형기지국이 존재할 수 있다.

[28]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도 1과 같이 하나의 매크로기지국(100)을 언급하고, 매크로기지국(100)의 셀(C100) 내에 존재하는 소형기지국(10,20,30)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29]

이러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매크로기지국(100) 및 소형기지국(10,20,30)이 협력통신(Coordinated Multi Point, CoMP)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30]

협력통신(이하, CoMP라 함) 기술은, 높은 셀 간 간섭을 겪는 단말 혹은 셀 경계영역(cell edge)에 위치한 (사용자)단말에게, 2 이상의 기지국이 협력 송수신을 수행함으로써 단말의 송수신 성능을 개선시키는 기술이다. 이러한 CoMP 기술은, 송수신 성능 하위의 사용자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성능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31]

이때, 기지국 간에 서로 협력하여 CoMP를 수행하는 경우, CoMP에 의한 혜택을 주는 주체와 받는 주체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32]

즉, 매크로기지국이 소형기지국과 CoMP를 수행하여 소형기지국에 접속해 있는 단말에 CoMP에 의한 혜택을 주는 경우를 M-S CoMP라 통칭할 수 있고, 소형기지국이 매크로기지국과 CoMP를 수행하여 매크로기지국에 접속해 있는 단말에 CoMP에 의한 혜택을 주는 경우를 S-M CoMP라 통칭할 수 있다.

[33]

그리고, 본 발명은, CoMP 기술 중에서, 특히 무선자원(Resource Block)을 블랭크(blank)하는 DPB(Dynamic Point Blank)에 관한 것이다.

[34]

이하에서는, CoMP 기술 중 하나인 DPB에 관하여, M-S CoMP의 경우에 대해 매크로기지국(100) 및 소형기지국(10)를 예로서 언급하여 간단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35]

매크로기지국(100)은, 소형기지국(10)과 CoMP를 제공할 단말(예 : 1) 즉 소형기지국(10)에 접속해 있는 단말1을 선택한다. 그리고, 매크로기지국(100)은, 선택한 단말1에 대하여, 소형기지국(10)에서 단말1에 할당한 무선자원과 동일하게 할당한 무선자원을 블랭크한다.

[36]

한편, 소형기지국(10)은, 매크로기지국(100)과 CoMP를 제공할 단말1에 대하여, 매크로기지국(100)과 동일하게 할당한 무선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송수신한다.

[37]

이에, 소형기지국(10)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1 측에서는, 매크로기지국(100)의 무선자원 블랭크로 인해, 매크로기지국(100)에 의해서 발생하는 간섭이 회피될 수 있다.

[38]

물론, CoMP 기술 중 하나인 DPB에 관하여, S-M CoMP의 경우, 무선자원을 블랭크하는 주체가 매크로기지국(100)에서 소형기지국(10)로 바뀔 뿐 전술과 동일할 것이다.

[39]

헌데, 전술과 같이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매크로기지국(100) 및 소형기지국(10)이 CoMP를 수행하게 되면, 매크로셀(C100) 내 존재하는 다른 소형기지국(20,30)이 CoMP를 수행하는 매크로기지국(100) 및 소형기지국(예 : 10)으로부터 영향을 받게 된다.

[40]

따라서, 서로 다른 크기의 셀(매크로셀 및 소형셀)이 공존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의 환경적 특이성을 감안하여, 기지국 간에 서로 협력하여 CoMP(특히, DPB)를 수행하는 경우, CoMP 수행에 따른 영향을 CoMP를 수행하는 기지국 외의 다른 소형기지국에서 이용/활용할 수 있다면, CoMP의 성능의 향상 및 극대화를 기대해 볼 수 있다.

[41]

이에, 본 발명에서는, CoMP 기술 중 하나인 DPB의 성능을 향상 및 극대화 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특히 그 방안을 기지국장치를 통해 실현하고자 한다.

[42]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43]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설명하겠다.

[44]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매크로기지국일 수도 있고 소형기지국일 수도 있다.

[45]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가 매크로기지국인 것을 예로서 언급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매크로기지국(100)과 동일한 참조번호를 언급하며, 필요에 따라 기지국장치(100) 및 매크로기지국(100)을 혼용하여 설명하겠다.

[46]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협력통신(Coordinated Multi Point, CoMP)을 위한 특정 인접기지국을 선택하는 기지국선택부(110)와, 기지국장치(100) 및 특정 인접기지국으로부터 협력통신을 제공받는 단말에 대하여, 특정 인접기지국에서 할당한 무선자원과 동일하게 할당한 무선자원을 블랭크(blank)하는 협력통신제어부(120)와, 무선자원이 블랭크 되었음을 나타내는 자원할당정보를 특정 인접기지국 외의 타 인접기지국과 공유하여, 타 인접기지국이 자원할당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원할당정보공유부(130)를 포함한다.

[47]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가 매크로기지국인 경우라면, 전술한 특정 인접기지국은 및 타 인접기지국은, 기지국장치(100)의 셀 커버리지(C100) 내에 위치하는 소형기지국일 것이다.

[48]

만약,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가 소형기지국(예 : 도 1의 20)인 경우라면, 전술한 특정 인접기지국은 기지국장치(20)가 위치한 셀 커버리지(C100)를 갖는 매크로기지국(100)이며, 전술한 타 인접기지국은 특정 인접기지국(100)의 셀 커버리지(C100) 내에 위치하는 소형기지국일 것이다.

[49]

다시,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가 매크로기지국인 경우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기지국선택부(110)는, CoMP를 위한 특정 인접기지국을 선택한다.

[5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선택부(100)는, 기지국장치(100)로부터 협력통신 즉 CoMP를 제공 받을 수 있는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인접기지국 중에서, 기지국장치(100)와의 거리를 기초로 특정 인접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다.

[51]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100)에는 단말4,5...가 접속되어 있고, 소형기지국(10)에는 단말1 등, 소형기지국(20)에는 단말2 등, 소형기지국(30)에는 단말3 등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52]

이 경우, 각 기지국장치(100), 소형기지국(10), 소형기지국(20) 및 소형기지국(30)은, 자신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 중 CoMP를 제공 받을 필요가 있는 단말 즉 송수신 성능 하위의 단말을 선정한다.

[53]

예컨대, 기지국장치(100)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된 각 단말4,5는, CRS(common reference signal)와 IMR(interference measurement resource)를 통해 CoMP를 제공받지 않는 Non-CoMP일 때의 SINR(Signal-to-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과 CoMP 일때의 SINR을 각각 측정하여 기지국장치(100)에 피드백 한다.

[54]

기지국장치(100)는, 각 단말4,5 별로 피드백된 SINR에 근거하여 SINR 이득이 기 설정된 최소 SINR이득임계값보다 작은지 판단하고, SINR 이득이 최소 SINR이득임계값보다 작은 단말을 CoMP가 필요한 단말 선정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55]

그리고, 기지국장치(100)는, 각 단말4,5 별로 Non-CoMP인 현재 SINR을 기 설정된 최소 SINR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 SINR이 최소 SINR임계값보다 큰 단말을 CoMP가 필요한 단말 선정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56]

그리고, 기지국장치(100)는, 각 단말4,5 중, 스펙트럼 효율(spectral efficiency) 측면에서 Non-CoMP인 단말의 상위 개수(예 : Non-CoMP 단말 X개)에 속하는 단말을 CoMP가 필요한 단말로 선정할 수 있다.

[57]

이에, 기지국장치(100)는, 자신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4,5 중에서, 전술의 조건들에 모두 부합되는 단말을 CoMP를 제공 받을 필요가 있는 단말로 선정할 수 있다.

[58]

이와 마찬가지로, 소형기지국(10), 소형기지국(20) 및 소형기지국(30) 역시, 전술의 기지국장치(100)과 같은 방식으로 CoMP를 제공 받을 필요가 있는 단말을 선정할 수 있다.

[59]

그리고, 각 기지국장치(100), 소형기지국(10), 소형기지국(20) 및 소형기지국(30)는, 전술한 방식으로 CoMP를 제공 받을 필요가 있는 단말을 선정할 수도 있지만, 이 외의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다른 방식을 채용해서 단말을 선정할 수도 있다.

[60]

이하에서는, 기지국장치(100)는 CoMP를 제공 받을 필요가 있는 단말로서 하나의 단말도 선정하지 않고, 소형기지국(10)은 단말1을 선정하고, 소형기지국(20)은 단말2를 선정하고, 소형기지국(30)은 단말3을 선정하였다고 가정하겠다.

[61]

이처럼, CoMP를 제공 받을 필요가 있는 단말로 선정된 각 단말1,2,3은,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 외에 CoMP를 제공 받을 기지국을 선택하게 된다.

[62]

예를 들어, 단말1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단말1은, 현재 접속되어 있는 소형기지국(10) 외의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CRS 또는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를 측정하여 수신전력(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을 측정하고, 이를 소형기지국(10)으로 피드백한다.

[63]

이에, 소형기지국(10)은 단말1로부터 피드백된 다른 기지국의 수신전력에 근거하여, 가장 높은 수신전력 값이 측정된 기지국 예컨대 매크로기지국(100)을, 단말1이 CoMP를 제공 받을 기지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

[64]

이처럼, 단말1은, 현재 접속되어 있는 소형기지국(10) 외의 다른 기지국 중, 가장 높은 수신전력 값이 측정된 기지국 예컨대 매크로기지국(100)을, CoMP를 제공 받을 기지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

[65]

이와 마찬가지로, CoMP를 제공 받을 필요가 있는 단말로 선정된 단말2,3 역시, 전술의 단말1과 같은 방식으로 CoMP를 제공 받을 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다.

[66]

한편, 전술에서는, CoMP를 제공 받을 필요가 있는 단말을 선정한 후 선정된 단말이 CoMP를 제공 받을 기지국으로 선택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단말이 CoMP를 제공 받을 기지국으로 선택한 후 선택된 기지국이 자신을 선택한 단말에 대해 CoMP를 제공 받을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67]

이하에서는, CoMP를 제공 받을 필요가 있는 단말로 선정된 각 단말1,2,3 모두가 매크로기지국(100)을 CoMP를 제공 받을 기지국으로 선택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68]

이 경우, 기지국선택부(100)는, 기지국장치(100)로부터 CoMP를 제공 받을 수 있는 단말1,2,3이 접속되어 있는 인접기지국 즉 소형기지국(10,20,30) 중에서, 기지국장치(100)와의 거리를 기초로 특정 인접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다.

[69]

예컨대, 기지국선택부(100)는, 소형기지국(10,20,30) 중에서 기지국장치(100)와의 거리를 기초로, 기지국장치(100)와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소형기지국(예 : 10)을 특정 인접기지국으로 선택한다.

[70]

이는, 기지국장치(100)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기지국장치(100)의 신호에 의한 간섭 발생이 클 것이라는, 환경적 특성에 기반한 선택이다.

[71]

따라서, 기지국선택부(100)는, 기지국장치(100)와의 거리에 기초한 선택 방식 이외에도, 기지국장치(100)로부터 CoMP를 제공 받을 수 있는 단말1,2,3이 접속되어 있는 소형기지국(10,20,30) 중에서, 기지국장치(100)의 신호에 의한 간섭 발생이 가장 큰 소형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무엇이든 채택할 수 있다.

[72]

예를 들면, 기지국선택부(100)는, 기지국장치(100)로부터 CoMP를 제공 받을 수 있는 단말1,2,3에서 측정되는 SINR에 기초하여, 단말1,2,3이 접속되어 있는 소형기지국(10,20,30) 중에서 SINR이 가장 낮은 단말(예 : 단말1)이 접속된 소형기지국(예 : 10)을 특정 인접기지국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73]

이 역시, 기지국장치(100)로부터 CoMP를 제공 받을 수 있는 단말이 접속된 소형기지국 중에서 SINR이 낮은 단말이 접속된 소형기지국일수록 기지국장치(100)의 신호에 의한 간섭 발생이 클 것이라는, 환경적 특성에 기반한 선택이다.

[74]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지국선택부(100)이 특정 인접기지국으로서 소형기지국(10)을 선택한 경우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75]

협력통신제어부(120)는, 기지국장치(100) 및 특정 인접기지국 즉 소형기지국(10)으로부터 CoMP을 제공받는 단말1에 대하여, 소형기지국(10)과 동일하게 할당한 무선자원을 블랭크(blank)한다.

[76]

다시 말해, 협력통신제어부(120)는, 소형기지국(10)과 함께 CoMP를 제공할 단말1에 대하여, 소형기지국(10)과 동일하게 할당한 무선자원을 블랭크하는 CoMP를 수행하는 것이다.

[77]

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 즉 매크로기지국(100)은, CoMP를 위해 할당 가능한 무선자원(CoMP RBs) 중에서 단말1에 할당한 무선자원(CoMP RBs)을 블랭크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 즉 매크로기지국(100)은, 자신의 무선자원 중 CoMP를 위해 할당 가능한 무선자원이 아닌 나머지 무선자원(Non-CoMP RBs)은 자신에 접속된 다른 단말에 할당할 것이다.

[78]

한편 소형기지국(10)은, 단말1에 대하여 기지국장치(100)과 동일하게 할당한 무선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79]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기지국(10)은, 매크로기지국(100) 측에서는 블랭크한 무선자원(CoMP RBs)에 단말1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송수신하는 것이다. 따라서 단말1 측에서는, 기지국장치(100)의 무선자원 블랭크로 인해, 기지국장치(100)에 의해서 발생하는 간섭이 회피될 수 있다.

[80]

이에, 기지국장치(100) 및 소형기지국(10)은, 전술과 같이 단말1에 대하여 CoMP 보다 구체적으로는 M-S CoMP를 수행함으로써, 소형기지국(10)에 접속해 있는 단말1에 CoMP에 의한 혜택 즉 간섭 회피로 인한 단말1의 송수신 성능(예 : 단말 처리량) 개선의 효과(혜택)를 제공하는 것이다.

[81]

이때, 자원할당정보공유부(130)는, 협력통신제어부(120)에 의해 무선자원이 블랭크 되었음을 나타내는 자원할당정보를, 금번 CoMP 협력한 소형기지국(10) 외의 타 인접기지국 즉 다른 소형기지국(20,30)과 공유한다.

[82]

여기서, 전술의 자원할당정보는, 기지국장치(100) 및 타 인접기지국 즉 다른 소형기지국(20,30) 간을 연결하는 백홀(Backhaul), 또는 기지국장치(100) 및 소형기지국(20,30)을 RU(Remote radio Unit)로서 관리하는 BU(baseband unit)을 통해 공유될 수 있다.

[83]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 즉 매크로기지국(100)과, 소형기지국(10,20,30) 간에는, 별도의 백홀(Backhaul)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84]

또는, 무선자원을 관리하는 BU(Baseband Unit) 및 물리적인 신호 송수신을 담당하는 RU(Remote radio Unit)가 분리된 구조의 통신 시스템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 즉 매크로기지국(100) 및 소형기지국(10,20,30)은 하나의 BU에 의해 관리되는 각 RU에 해당될 수 있다.

[85]

이 경우라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 즉 매크로기지국(100)과, 소형기지국(10,20,30) 간에는, 별도의 백홀 없이도, 하나의 BU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86]

이에, 자원할당정보공유부(130)는, 백홀 또는 BU에 의한 연결 관계를 이용하여, 협력통신제어부(120)에 의해 무선자원이 블랭크 되었음을 나타내는 자원할당정보를, 금번 CoMP 협력한 소형기지국(10) 외의 다른 소형기지국(20,30)과도 공유할 수 있다.

[87]

이에, 기지국장치(100)와 금번 CoMP 협력한 소형기지국(10) 외의 다른 소형기지국(20,30)에서도, 기지국장치(100)로부터 공유되는 자원할당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원할당정보를 이용하여 전술과 같이 기지국장치(100) 및 소형기지국(10)이 수행한 CoMP에 의한 혜택(효과)을 간접적으로 취할 수 있다.

[88]

한편, 전술에서는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가 매크로기지국인 경우로서 M-S CoMP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가 소형기지국인 경우의 S-M CoMP에서도 전술한 각 기능을 통해 본 발명의 달성됨을 자명할 것이다.

[89]

다시 말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가 소형기지국(예 : 30)인 경우라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30)는, 전술과 같이 CoMP를 위한 특정 인접기지국으로서 매크로기지국(100)을 선택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30)는, 매크로기지국(100)과 함께 CoMP을 제공할 단말(매크로기지국(100)에 접속된 단말, 미도시)에 대하여 매크로기지국(100)과 동일하게 할당한 무선자원을 블랭크하는 CoMP 즉 S-M CoMP를 수행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30)는, 무선자원이 블랭크 되었음을 나타내는 자원할당정보를 매크로기지국(100) 외의 타 인접기지국 즉 다른 소형기지국(10,20)과 공유하여, 소형기지국(10,20)이 자원할당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90]

한편,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설명하겠다.

[91]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소형기지국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술의 도 2를 참조한 설명에서 매크로기지국(100) 및 소형기지국(10)이 수행한 CoMP에 의한 혜택(효과)을 간접적으로 취하는 소형기지국에 해당된다.

[92]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가 소형기지국(20)인 것을 예로서 언급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소형기지국(20)과 동일한 참조번호를 언급하며 필요에 따라 기지국장치(20) 및 소형기지국(20)을 혼용하여 설명하겠다.

[93]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20)는, 특정 단말에 대하여 할당한 무선자원을 블랭크(blank)하는 협력통신(CoMP)을 수행하는 인접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자원이 블랭크 되었음을 나타내는 자원할당정보를 확인하는 자원할당정보확인부(23)와, 상기 자원할당정보를 기초로 인지되는 상기 무선자원을, 기지국장치(20)에 접속된 단말 중 상기 인접기지국에 의한 간섭 발생이 가장 큰 단말에 할당하는 무선자원할당부(26)를 포함한다.

[94]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의 도 2를 참조한 설명과 같이, 매크로기지국(100) 및 소형기지국(10)가 단말1에 대하여 서로 CoMP 협력하는 경우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95]

이 경우라면, 전술의 특정 단말은 매크로기지국(100) 및 소형기지국(10)로부터 CoMP를 제공받는 단말1이고, 전술의 인접기지국은 CoMP 협력 시 무선자원을 블랭크하는 주체인 매크로기지국(100) 또는 소형기지국(10)일 것이다.

[96]

이에, 자원할당정보확인부(23)는, 단말1에 대하여 할당한 무선자원을 블랭크(blank)하는 협력통신(CoMP)을 수행하는 인접기지국 예컨대 매크로기지국(100)으로부터, 무선자원이 블랭크 되었음을 나타내는 자원할당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97]

이때, 자원할당정보확인부(23)는,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20) 즉 소형기지국(20) 및 매크로기지국(100) 간을 연결하는 백홀(Backhaul), 또는 소형기지국(20) 및 매크로기지국(100)을 RU로서 관리하는 BU을 통한 공유에 기초하여, 매크로기지국(100)로부터 자원할당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98]

무선자원할당부(26)는, 자원할당정보를 기초로 무선자원 즉 매크로기지국(100)에서 블랭크한 무선자원을 인지하고, 인지한 무선자원을 기지국장치(20)에 접속된 단말 중 매크로기지국(100)에 의한 간섭 발생이 가장 큰 단말에 할당한다.

[99]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소형셀(C20)의 셀 경계영역에 위치한 단말일수록 매크로기지국(100)에 의한 간섭 발생이 크기 때문에, 기지국장치(20) 즉 소형기지국(20)에 접속된 단말 중 단말2가 매크로기지국(100)에 의한 간섭 발생이 가장 큰 단말일 것이다.

[100]

이에, 무선자원할당부(26)는, 매크로기지국(100)에서 블랭크한 무선자원을 다른 단말에 할당한 상태인 경우라면, 단말에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재 수행함으로써 매크로기지국(100)에 의한 간섭 발생이 가장 큰 단말2에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101]

물론, 무선자원할당부(26)는, 매크로기지국(100)에서 블랭크한 무선자원을 이미 단말2에 할당한 상태인 경우라면, 스케줄링을 재 수행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102]

이에, 단말2 측에서는, 매크로기지국(100)으로부터 CoMP를 직접 제공받지는 못하지만, 매크로기지국(100) 및 소형기지국(10)이 수행하는 CoMP에 의해 블랭크된 무선자원을 통해서 매크로기지국(100)의 간섭이 회피되는 간접적 CoMP 혜택(효과)을 얻을 수 있다.

[103]

이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는 소형기지국(30) 역시 자원할당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장치(100)에서 블랭크한 무선자원을 인지하면, 자신에 접속된 단말 중 기지국장치(100)에 의한 간섭 발생이 가장 큰 단말(에 : 3)에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재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104]

이에,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형기지국(20,30)의 단말2, 단말3은, 매크로기지국(100)으로부터 CoMP를 직접 제공받지는 못하지만, 매크로기지국(100) 및 소형기지국(10)이 수행하는 CoMP에 의해 블랭크된 무선자원을 통해서, 매크로기지국(100)에 의해서 발생하는 간섭이 회피되는 간접적 CoMP 혜택(효과)을 얻을 수 있다.

[105]

더 나아가, 무선자원할당부(26)는, 자원할당정보를 이용하여 매크로기지국(100)에서 블랭크한 무선자원을 인지하고, 인지된 무선자원에 대한 데이터전송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의 레벨을 상승시킬 수 있다.

[106]

즉, 무선자원할당부(26)는, 매크로기지국(100)에서 블랭크한 무선자원을 인지하면, 무선자원에 대한 데이터전송방식(MCS) 다시 말해 변조및부호화방식의 레벨을 상승시킴으로써, 무선자원을 통해 보다 높은 부호화율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107]

이에, 기지국장치(20) 즉 소형기지국(20)으로부터 무선자원을 기 할당받은 단말 측에서는, 매크로기지국(100)으로부터 CoMP를 직접 제공받지는 못하지만, 매크로기지국(100) 및 소형기지국(10)이 수행하는 CoMP에 의한 블랭크 무선자원을 활용한 MCS의 레벨 상승을 통해서 데이터 송수신 성능(예 : 단말 처리량)이 개선되는 간접적 CoMP 혜택(효과)을 얻을 수 있다.

[108]

물론, 무선자원할당부(26)는, 매크로기지국(100)에서 블랭크한 무선자원을 인지하면, 전술에서 언급한 데이터전송방식(MCS)의 레벨 상승 및 재 스케줄링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다.

[109]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에 의하면,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의 환경적 특이성을 감안하여, 매크로기지국 및 소형기지국 간에 서로 협력하여 CoMP(특히, DPB)를 수행하는 경우, CoMP 수행에 따른 영향을 CoMP를 수행하는 기지국 외의 다른 소형기지국에서 이용/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CoMP의 성능을 보다 향상 및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110]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의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111]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가 매크로기지국인 것을 예로서 언급하고, 도 1에 도시된 매크로기지국(100)과 동일한 참조번호를 언급하며 필요에 따라 기지국장치(100) 및 매크로기지국(100)을 혼용하여 설명하겠다.

[1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장치(100)로부터 협력통신 즉 CoMP를 제공 받을 수 있는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인접기지국 중에서, 기지국장치(100)와의 거리를 기초로 특정 인접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다(S100 Yes).

[113]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100)에는 단말4,5가 접속되어 있고, 소형기지국(10)에는 단말1, 소형기지국(20)에는 단말2, 소형기지국(30)에는 단말3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114]

이 경우, 각 기지국장치(100), 소형기지국(10), 소형기지국(20) 및 소형기지국(30)은, 자신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 중 CoMP를 제공 받을 필요가 있는 단말 즉 송수신 성능 하위의 단말을 선정한다.

[115]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100)에는 단말4,5...가 접속되어 있고, 소형기지국(10)에는 단말1 등, 소형기지국(20)에는 단말2 등, 소형기지국(30)에는 단말3 등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116]

이 경우, 기지국장치(100), 소형기지국(10), 소형기지국(20) 및 소형기지국(30)은, 자신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 중 CoMP를 제공 받을 필요가 있는 단말 즉 송수신 성능 하위의 단말을 선정한다.

[117]

이에, 기지국장치(100)는 CoMP를 제공 받을 필요가 있는 단말로서 하나의 단말도 선정하지 않고, 소형기지국(10)은 단말1을 선정하고, 소형기지국(20)은 단말2를 선정하고, 소형기지국(30)은 단말3을 선정하였다고 가정하겠다.

[118]

이처럼, CoMP를 제공 받을 단말로 선정된 각 단말1,2,3은,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 외에 CoMP를 제공 받을 기지국을 선택하게 된다.

[119]

이하에서는, CoMP를 제공 받을 단말로 선정된 각 단말1,2,3 모두가 매크로기지국(100)을 CoMP를 제공 받을 기지국으로 선택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120]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장치(100)로부터 CoMP를 제공 받을 수 있는 단말1,2,3이 접속되어 있는 인접기지국 즉 소형기지국(10,20,30) 중에서, 기지국장치(100)와의 거리를 기초로 기지국장치(100)와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소형기지국(예 : 10)을 특정 인접기지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S100 Yes).

[121]

만약,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CoMP를 협력 수행할 특정 인접기지국을 선택하지 못한 경우(S100 No), 후술할 S110단계 내지 S130단계를 수행하지 않을 것이다.

[12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인접기지국으로서 소형기지국(10)을 선택한 경우로 설명하면, 기지국장치(100) 및 소형기지국(10)으로부터 협력통신(CoMP)을 제공받는 단말1에 대하여, 소형기지국(10)과 동일하게 할당한 무선자원을 블랭크(blank)한다(S110).

[123]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소형기지국(10)과 함께 CoMP를 제공할 단말1에 대하여, 소형기지국(10)과 동일하게 할당한 무선자원을 블랭크하는 CoMP를 수행하는 것이다.

[124]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S110단계에서 무선자원이 블랭크 되었음을 나타내는 자원할당정보를, 금번 CoMP 협력한 소형기지국(10) 외의 타 인접기지국 즉 다른 소형기지국(20,30)과 공유한다(S120).

[125]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백홀 또는 BU에 의한 연결 관계를 이용하여, 무선자원이 블랭크 되었음을 나타내는 자원할당정보를, 금번 CoMP 협력한 소형기지국(10) 외의 다른 소형기지국(20,30)과도 공유할 수 있다.

[126]

이에, 기지국장치(100)와 금번 CoMP 협력한 소형기지국(10) 외의 다른 소형기지국(20,30)에서도, 기지국장치(100)로부터 공유되는 자원할당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원할당정보를 이용하여 전술과 같이 기지국장치(100) 및 소형기지국(10)이 수행한 CoMP에 의한 혜택(효과)을 간접적으로 취할 수 있다(S130).

[127]

소형기지국(20,30)에서, 자원할당정보를 이용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28]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형기지국(20) 및 소형기지국(30)은, 전술의 공유된 자원할당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장치(100)에서 블랭크한 무선자원을 인지하고, 자신에 접속된 단말 중 기지국장치(100)에 의한 간섭 발생이 가장 큰 단말에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129]

예컨대, 소형기지국(20)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소형기지국(20)는, 자원할당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장치(100)에서 블랭크한 무선자원을 인지하면, 자신에 접속된 단말 중 기지국장치(100)에 의한 간섭 발생이 가장 큰 단말에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130]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소형셀(C20)의 셀 경계영역에 위치한 단말일수록 기지국장치(100)에 의한 간섭 발생이 크기 때문에, 소형기지국(20)에 접속된 단말 중 단말2가 기지국장치(100)에 의한 간섭 발생이 가장 큰 단말일 것이다.

[131]

이에, 소형기지국(20)는, 기지국장치(100)에서 블랭크한 무선자원을 인지한 후, 기지국장치(100)에서 블랭크한 무선자원을 다른 단말에 할당한 상태인 경우라면 단말에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재 수행함으로써, 매크로기지국(100)에 의한 간섭 발생이 가장 큰 단말2에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132]

물론, 소형기지국(20)는, 기지국장치(100)에서 블랭크한 무선자원을 인지한 후, 기지국장치(100)에서 블랭크한 무선자원을 이미 단말2에 할당한 상태인 경우라면, 스케줄링을 재 수행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133]

이에, 단말2 측에서는, 기지국장치(100)으로부터 CoMP를 직접 제공받지는 못하지만, 기지국장치(100) 및 소형기지국(10)이 수행하는 CoMP에 의한 블랭크 무선자원을 통해서 기지국장치(100))의 간섭이 회피되는 간접적 CoMP 혜택(효과)을 얻을 수 있다.

[134]

이와 마찬가지로, 소형기지국(30) 역시 자원할당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장치(100)에서 블랭크한 무선자원을 인지하면, 자신에 접속된 단말 중 기지국장치(100)에 의한 간섭 발생이 가장 큰 단말(에 : 3)에 해당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재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135]

이에,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소형기지국(20)의 단말2, 소형기지국(30)의 단말3은, 기지국장치(100)으로부터 CoMP를 직접 제공받지는 못하지만, 기지국장치(100) 및 소형기지국(10)이 수행하는 CoMP에 의한 블랭크 무선자원으로 인해, 기지국장치(100)에 의해서 발생하는 간섭이 회피되는 간접적 CoMP 혜택(효과)을 얻을 수 있다.

[136]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형기지국(20), 소형기지국(30)은, 전술의 공유된 자원할당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장치(100)에서 블랭크한 무선자원을 인지하고, 인지된 무선자원에 대한 데이터전송방식(MCS)의 레벨을 상승시킬 수 있다.

[137]

예컨대, 소형기지국(20)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소형기지국(20)는, 기지국장치(100)에서 블랭크한 무선자원을 인지하면, 무선자원에 대한 데이터전송방식(MCS) 다시 말해 변조및부호화방식의 레벨을 상승시킴으로써 무선자원을 통해 보다 높은 부호화율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138]

이에, 소형기지국(20)으로부터 무선자원을 기 할당받은 단말 측에서는, 기지국장치(100)으로부터 CoMP를 직접 제공받지는 못하지만, 기지국장치(100) 및 소형기지국(10)이 수행하는 CoMP에 의한 블랭크 무선자원을 활용한 MCS의 레벨 상승을 통해서 데이터 송수신 성능(예 : 단말 처리량)이 개선되는 간접적 CoMP 혜택(효과)을 얻을 수 있다.

[139]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형기지국(20), 소형기지국(30)은, 전술의 공유된 자원할당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장치(100)에서 블랭크한 무선자원을 인지하면, 전술에서 언급한 데이터전송방식(MCS)의 레벨 상승 및 재 스케줄링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다.

[14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에 따르면,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의 환경적 특이성을 감안하여, 매크로기지국 및 소형기지국 간에 CoMP(특히, DPB)를 수행하는 경우, CoMP 수행에 따른 영향을 CoMP를 수행하는 기지국 외의 다른 소형기지국에서도 이용/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CoMP의 성능을 보다 향상 및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14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142]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1]

Disclosed are a base st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same, the base station device, in a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in which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that form cells of different sizes coexist in the same area, enabling performance enhancement of coordinated multi-point (CoMP) communication by having applied environment specificity in which cells of different sizes coexist.

[2]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협력통신(Coordinated Multi Point, CoMP)을 위한 특정 인접기지국을 선택하는 기지국선택부;

상기 기지국장치 및 상기 특정 인접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협력통신을 제공받는 단말에 대하여, 상기 특정 인접기지국에서 할당한 무선자원과 동일하게 할당하는 무선자원을 블랭크(blank)하는 협력통신제어부; 및

상기 무선자원이 블랭크 되었음을 나타내는 자원할당정보를 상기 특정 인접기지국 외의 타 인접기지국과 공유하여, 상기 타 인접기지국이 상기 자원할당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원할당정보공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선택부는,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상기 협력통신을 제공 받을 수 있는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인접기지국 중에서, 상기 기지국장치와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특정 인접기지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정보는,

상기 기지국장치 및 상기 타 인접기지국 간을 연결하는 백홀(Backhaul), 또는 상기 기지국장치 및 상기 타 인접기지국을 RU(Remote radio Unit)로서 관리하는 BU(baseband unit)을 통해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가 매크로기지국인 경우, 상기 특정 인접기지국 및 상기 타 인접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장치의 셀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소형기지국이며,

상기 기지국장치가 소형기지국인 경우, 상기 특정 인접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장치가 위치한 셀 커버리지를 형성하는 매크로기지국이며, 상기 타 인접기지국은 상기 특정 인접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소형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특정 단말에 대하여 할당한 무선자원을 블랭크(blank)하는 협력통신(CoMP)을 수행하는 인접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자원이 블랭크 되었음을 나타내는 자원할당정보를 확인하는 자원할당정보확인부; 및

상기 자원할당정보를 기초로 인지되는 상기 무선자원을, 상기 기지국장치에 접속된 단말 중 상기 인접기지국에 의한 간섭 발생이 가장 큰 단말에 할당하는 무선자원할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자원할당부는,

상기 무선자원에 대한 데이터전송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의 레벨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협력통신(CoMP)을 위한 특정 인접기지국을 선택하는 기지국선택단계;

상기 기지국장치 및 상기 특정 인접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협력통신을 제공받는 단말에 대하여, 상기 특정 인접기지국에서 할당한 무선자원과 동일하게 할당하는 무선자원을 블랭크(blank)하는 협력통신제어단계; 및

상기 무선자원이 블랭크 되었음을 나타내는 자원할당정보를 상기 특정 인접기지국 외의 타 인접기지국과 공유하여, 상기 타 인접기지국이 상기 자원할당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원할당정보공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 인접기지국은,

상기 자원할당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장치에서 블랭크한 상기 무선자원을 인지하고, 상기 타 인접기지국에 접속된 단말 중 상기 기지국장치에 의한 간섭 발생이 가장 큰 단말에 상기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 인접기지국은,

상기 자원할당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장치에서 블랭크한 상기 무선자원을 인지하고, 상기 무선자원에 대한 데이터전송방식(MCS)의 레벨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선택단계는,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상기 협력통신을 제공 받을 수 있는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인접기지국 중에서, 상기 기지국장치와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특정 인접기지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