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에게 휴대용 디지털 통신기기들은 하나의 필수 요소가 되었다. 소비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빠른 속도로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싶어한다. 뿐만 아니라 최근 IoT (Internet of Thing)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우리 생활 속에 존재하는 각종 센서, 가전기기, 통신기기 등은 하나로 네트워크화 되고 있다. 이러한 각종 센서들을 원활하게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무선 전력 송신 시스템이 필요하다. 무선 전력 전송은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명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사용하여 구현되어 전력을 원격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전자기파 방식은 원격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위치에서 수신기의 위치를 큰 정확도 내에서 결정하여 이러한 수신기에 효율적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정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배경 정보로서 제공된다. 위의 사항들 중 어느 것이 본 출원과 관련하여 선행 기술로서 적용될 수 있는지에 관해서는 어떠한 결정도 내려지지 않았으며, 주장 또한 이루어지지 않았다. 종래의 전자기파 방식은, 충전 대상, 예를 들어 전자장치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하여 복수의 방향에 대하여 RF(radio frequency) 웨이브(wave)를 형성하여, 전자장치로부터 전력 수신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장치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복수의 방향에 대한 RF 웨이브 형성 및 전력 관련 정보 수신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며, 전력 소모가 크다. 특히 인체 유해성으로 인하여 충전 대상 감지 이전에는 높은 전력을 송신할 수 없다. 이 개요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설명되는 단순화된 형태의 개념의 선택을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개요는, 청구된 주제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 기능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의 송신 방향을 우선 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자장치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패치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력 전송용 안테나, 복수의 통신용 안테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통신용 안테나를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용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상기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전력 전송용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감지된 방향으로 전력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전자장치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통신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감지된 방향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들, 이점들, 및 현저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이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과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신호의 수신 시각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전자장치까지의 거리를 판단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검출(binary detection)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1a 및 11b는 복수 개의 전자장치에 대한 무선 충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전자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3 내지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전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통해,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도면은 축척이 아니며 도면의 구성 요소의 상대적 크기, 비율 및 묘사는 명확성, 설명 및 편의를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또는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한이 없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한이 없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또는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 게임 콘솔,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한이 없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또는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한이 없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또는 전자 장치는 가구, 건물/구조물 또는 자동차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한이 없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또는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하거나, 또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또는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150,160)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patch antenna)(111 내지 126)를 포함할 수 있다. 패치 안테나(111 내지 126)는 각각이 RF 웨이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안테나라면 제한이 없다. 패치 안테나(111 내지 126)가 발생시키는 RF 웨이브의 진폭 및 위상 중 적어도 하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패치 안테나(111 내지 126) 중 하나가 발생시키는 RF 웨이브를 서브 RF 웨이브라 명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패치 안테나(111 내지 126)에서 발생되는 서브 RF 웨이브 각각의 진폭 및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은 서로 간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한 지점에서는 서브 RF 웨이브들이 서로 보강 간섭되어 서브 RF 웨이브의 세기가 다른 서브 RF 웨이브와 함께 증가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지점에서는 서브 RF 웨이브들이 서로 상쇄 간섭되어 두 서브 RF 웨이브들이 서로를 상쇄시키거나, 또는 하나의 서브 RF 웨이브의 세기가 다른 서브 RF 웨이브에 의하여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제 1 지점(x1,y1,z1)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이 서로 보강 간섭될 수 있도록, 패치 안테나(111 내지 126)가 발생하는 서브 RF 웨이브 각각의 진폭 및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제 1 지점(x1,y1,z1)은 전자 장치(150)의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제 1 지점(x1,y1,z1)에 전자장치(150)가 배치된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장치(150)의 위치는, 예를 들어 전자장치(150)의 전력 수신용 안테나가 위치한 지점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가 전자장치(150)의 위치를 결정하는 구성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전자장치(150)가 높은 송신 효율로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하여서는, 제 1 지점(x1,y1,z1)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제 1 지점(x1,y1,z1)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이 서로 보강 간섭이 되도록 패치 안테나(111 내지 126)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패치 안테나(111 내지 126)를 제어한다는 것은, 패치 안테나(111 내지 126)로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거나 또는 패치 안테나(111 내지 126)로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또는 딜레이)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지점에서 RF 웨이브가 보강 간섭되도록 제어하는 기술인 빔-포밍(beam forming)에 대해서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빔-포밍의 종류에 대하여 제한이 없음 또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참조로서의 미국 공개특허 2016/0099611, 미국 공개특허 2016/0099755, 미국 공개특허 2016/0100124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빔 포밍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빔-포밍에 의하여 형성된 RF 웨이브의 형태를, 에너지 포켓(pockets of energy)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서브 RF 웨이브들에 의하여 형성된 RF 웨이브(130)는 제 1 지점(x1,y1,z1)에서 진폭이 최대가 될 수 있다. 제 1 지점(x1,y1,z1)에서 전자장치(150)는 상대적으로 높은 효율로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제 2 지점(x2,y2,z2)에 전자장치(160)가 배치된 것을 감지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전자장치(160)를 충전하기 위하여 서브 RF 웨이브들이 제 2 지점(x2,y2,z2)에서 보강 간섭이 되도록 패치 안테나(111 내지 126)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RF 웨이브들에 의하여 형성된 RF 웨이브(131)는 제 2 지점(x2,y2,z2)에서 진폭이 최대가 될 수 있다. 제 2 지점(x2,y2,z2)에서 전자장치(160)는 상대적으로 높은 송신 효율로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50)는 전자 장치(160)에 비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상대적으로 우측에 배치거나 또는 전자 장치(150)에 근접하는 패치 안테나(예를 들어, 114,118,122,126)로부터 형성되는 서브 RF 웨이브들에 상대적으로 더 큰 딜레이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좌측에 배치거나 또는 또는 전자 장치(150)로부터 멀리 배치된 패치 안테나(예를 들어, 111,115,119,123)로부터 형성되는 서브 RF 웨이브들이 먼저 형성된 이후에, 소정의 시간이 흐른 후에 상대적으로 우측에 배치된 패치 안테나(예를 들어, 114,118,122,126)로부터 서브 RF 웨이브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우측의 지점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이 동시에 만날 수 있으며, 즉 상대적으로 우측의 지점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될 수 있다. 만약, 상대적으로 중앙의 지점에 빔-포밍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좌측의 패치 안테나(예를 들어, 111,115,119,123)와 우측의 패치 안테나(예를 들어, 114,118,122,126)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딜레이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좌측의 지점에 빔-포밍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좌측의 패치 안테나(예를 들어, 111,115,119,123)에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의 우측의 패치 안테나(예를 들어, 114,118,122,126)보다 더 큰 딜레이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패치 안테나(111 내지 126) 전체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발진시킬 수 있으며, 상술한 딜레이에 대응되는 위상을 조정함으로써 빔-포밍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전자장치(150,160)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이 되게 하여, 높은 송신 효율로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전자장치(150,160)의 위치 판단에 기초하여, 높은 송신 효율의 무선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21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예를 들어 도 1에서 설명하였던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0)는, 제 1 방향에 대하여, 예를 들어 도 1에서의 전자 장치(150)와 같은 전자 장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용 RF 웨이브를 형성할 수 있다. 22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자장치로부터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신 전력 관련 정보는, 전자장치가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전력과 관련된 정보로서, 예를 들어 특정 지점에서의 전압, 전류, 전력의 크기, 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즉, 수신 전력 관련 정보는 제한이 없으며, 전자장치가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전력의 크기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23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수신 전력 관련 정보에 포함된 전자장치 정류기 출력단에서의 전압값이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정류기 출력단에서의 전압값이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은, 전자장치가 충분한 크기의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240 동작에서, 비교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검출용 RF 웨이브의 형성 방향을 변경 또는 조정할 수 있다.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함은, 전자장치가 충분한 크기 또는 양의 전력을 수신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RF 웨이브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내의 특정 안테나에 의해 생성된 서브 RF 파의 진폭 및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특정 방향으로 RF 파의 송신을 변경 또는 조정하고, 서브 RF 파는 특정 방향의 한 점에서 서로 보강 간섭된다.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25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검출용 RF 웨이브의 방향을 전자장치의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26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결정된 방향으로, 무선 전력 송신을 위하여 RF 웨이브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RF 웨이브의 형성 방향을 변경함에 따라서, 전자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300)는 전력 소스(source)(301),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 프로세서(320), 메모리(330), 통신 회로(340) 및 통신용 안테나(341 내지 34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350)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이며, 전력 수신용 안테나(또는, 전력 수신을 위한 안테나)(351), 정류기(352), 컨터버(353), 차저(charger)(354), 프로세서(355), 메모리(356), 통신 회로(357) 및 통신용 안테나(358)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소스(301)는 송신을 위한 전력을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로 제공할 수 있다. 전력 소스(301)는, 예를 들어 직류 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로 전달하는 인버터(inverter)(미도시)가 무선 전력 송신 장치(300)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력 소스(301)는 교류 전력을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는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들이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에 포함될 수 있다. 패치 안테나의 개수 또는 배열 형태에 대하여서는 제한이 없다.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는 전력 소스(301)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RF 웨이브를 형성할 수 있다.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는 프로세서(320)의 제어에 따라서, 특정 방향으로 RF 웨이브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방향의 일 지점에서의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을 일으키도록, 서브 RF 웨이브들의 진폭 및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특정 방향으로 RF 웨이브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에 연결되는 위상 쉬프터들 각각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도 10a 및 10b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는 전력 전송을 위한 것으로, 전력 전송용 안테나로 명명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320)는 전자장치(350)가 위치한 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방향에 기초하여 RF 웨이브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20)는, 결정된 방향의 일 지점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을 일으키도록, 서브 RF 웨이브들을 발생시키는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의 패치 안테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패치 안테나들 또는 패치 안테나들과 연결된 위상 쉬프터(미도시) 및 전력 증폭기(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패치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서브 RF 웨이브의 진폭 및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통신용 안테나(341 내지 343)에서 수신된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장치(350)가 위치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20)는 통신용 안테나(341 내지 343)에서 수신된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패치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서브 RF 웨이브의 진폭 및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용 안테나(341 내지 343)은 3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통신용 안테나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적어도 두 개의 통신 안테나 (341 내지 342)가 무선 전력 전송 장치 (300)의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통신용 안테나(341 내지 343)는 적어도 3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3차원적인 방향, 예를 들어 구면 좌표계에서의 θ, φ값을 판단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전자장치(350)의 통신용 안테나(358)는 통신 신호(359)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통신 신호(359)에는 전자장치(35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무선 충전에 요구되는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 장치(300)는 무선 충전을 위한 통신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 없이 전자장치(350)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통신용 안테나(341 내지 343)에서 통신 신호(359)가 수신되는 시각은 상이할 수 있다.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350)는 제 1 지점(410)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장치(350)는 통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데, 통신 신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면파의 형태로 공간으로 진행할 수 있다. 구면파는 제 1 지점(410)을 중심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제1지점(410)은 통신용 안테나(358)가 배치된 지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통신용 안테나(341)에 통신 신호가 수신되는 시각, 제 2 통신용 안테나(342)에 통신 신호가 수신되는 시각 및 제 3 통신용 안테나(343)에 통신 신호가 수신되는 시각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지점(410)에 가장 가까운 제 1 통신용 안테나(341)가 가장 먼저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통신용 안테나(342)가 그 다음으로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제 3 통신용 안테나(343)가 마지막으로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통신 신호가 지향성 파형을 가진 경우에도 통신용 안테나들(341,342,343) 각각에 수신되는 시각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300)는 3개 이상의 통신용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3차원 상에서의 통신 신호의 수신 방향을 판단하기 위함이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300)의 프로세서(320)는 통신용 안테나(341,342,343)에서 통신 신호가 수신된 시각(예를 들어, t1, t2, t3)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300)에 대한 전자장치(350)의 상대적인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t1-t2, t2-t3, t3-t1의 시각 차이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300)에 대한 전자장치(350)의 상대적인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1-t2가 0에 가까울수록 전자장치(350)는 통신용 안테나(341) 및 통신용 안테나(342)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심을 직교하여 통과하는 선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아울러, t1-t2가 상대적으로 큰 양의 값을 가질수록 전자장치(350)는 통신용 안테나(342) 측에 가까운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t1-t2가 상대적으로 작은 음의 값을 가질수록 전자장치(350)는 통신용 안테나(341) 측에 가까운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300)는 t1-t2뿐만 아니라, t2-t3와 t3-t1을 모두 고려함으로써, 무선 전력 송신 장치(300)에 대한 전자장치(350)의 3차원적인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예를 들어 메모리(330)에 저장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방법 또는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전자장치(350)의 상대적인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320)는, 예를 들어 메모리(330)에 저장된 통신용 안테나별 수신 시각의 차이와 전자장치의 방향 사이의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전자장치(350)의 상대적인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300)(또는, 프로세서(320))는 다양한 방식으로 전자장치(350)의 상대적인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또는 FDOA(frequency difference of arrival)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전자장치(350)의 상대적인 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수신 신호의 방향을 결정하는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장치(350)는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위상에 기초하여 전자장치(350)의 상대적인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350)의 통신용 안테나(358)과 무선 전력 송신 장치(300)의 통신용 안테나들(341,342,343) 각각과의 거리가 상이하다. 이에 따라, 통신용 안테나(358)로부터 발진된 통신 신호가 통신용 안테나들(341,342,343) 각각에서 수신되는 경우의 위상이 상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통신용 안테나들(341,342,343) 각각에서의 통신 신호의 위상의 차이에 기초하여 전자장치(350)의 방향을 판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20)는 전자장치(350)의 방향에 기초하여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를 제어함으로써, 전자장치(350)의 방향으로 RF 웨이브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20)는 통신 신호(359) 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장치(350)를 식별할 수도 있다. 통신 신호(359)는 전자장치의 고유 식별자 또는 고유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340)는 통신 신호(359)를 처리하여 정보를 프로세서(320)로 제공할 수 있다. 통신 회로(340) 및 통신용 안테나(341,342,343)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및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의 다양한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통신 방식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통신 신호(359)는 전자장치(350)의 정격 전력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프로세서(320)는 전자장치(350)의 고유 식별자, 고유 어드레스 및 정격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자장치(350)의 충전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2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미니 컴퓨터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 장치(300)는 전자장치(350)를 식별하거나, 전자장치(350)에 전력 송신을 허락하거나, 전자장치(350)에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요청하거나, 전자장치(350)로부터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데 통신 신호(359)를 이용할 수 있다. 즉, 통신 신호(359)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300) 및 전자장치(350) 사이의 가입, 명령 또는 요청 과정에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20)는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310)를 제어하여 결정된 전자장치(350)의 방향으로 RF 웨이브(311)를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검출용 RF 웨이브를 형성하고, 이후에 피드백으로 수신되는 또 다른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장치(350)까지의 거리를 판단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320)는 전자장치(350)의 방향 및 전자장치(350)까지의 거리를 모두 결정할 수 있으며, 결국 전자장치(35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전자장치(350)의 위치에서 패치 안테나들이 발생하는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이 되도록, 패치 안테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RF 웨이브(311)는 상대적으로 높은 송신 효율로 전력 수신용 안테나(351)로 전달될 수 있다. 전자 장치(350)에서의 전력 수신용 안테나(351)는 RF 웨이브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전력 수신용 안테나(351) 또한 복수 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어레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력 수신용 안테나(351)에서 수신된 교류 전력은 정류기(352)에 의하여 직류 전력으로 정류될 수 있다. 컨버터(353)는 직류 전력을 요구되는 전압으로 컨버팅하여 차저(354)로 제공할 수 있다. 차저(354)는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컨버터(353)는 컨버팅된 전력을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미도시)로 제공할 수도 있으며, PMIC(미도시)는 전자장치(350)의 각종 하드웨어로 전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355)는 정류기(352)의 출력단의 전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기(352)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전압계가 전자장치(350)에 더 포함될 수도 있으며, 프로세서(355)는 전압계로부터 전압값을 제공받아 정류기(352)의 출력단의 전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프로세서(355)는 정류기(352)의 출력단의 전압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통신 회로(357)로 제공할 수 있다. 차저(354), 컨버터(353) 및 PMIC는 서로 상이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나, 적어도 두 개의 요소가 하나의 하드웨어로 통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전압계는, 전류력계형(electro dynamic instrument) 전압계, 정전기형 전압계, 디지털 전압계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통신 회로(357)는 통신용 안테나(358)를 이용하여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수신 전력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정류기(352)의 출력단의 전압과 같은 수신되는 전력의 크기와 연관되는 정보일 수 있으며, 정류기(352)의 출력단의 전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350)는 정류기(352)의 출력단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전류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류계는 직류 전류계, 교류 전류계, 디지털 전류계 등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아울러,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위치 또한 정류기(352)의 출력단 또는 입력단 뿐만 아니라, 전자장치(350)의 어떠한 지점이라도 제한이 없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355)는 전자장치(35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359)를 송신할 수도 있다. 메모리(356)는 전자장치(350)의 각종 하드웨어 장치 또는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또는 프로세스를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51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또는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로부터의 통신 신호를 복수 개의 통신용 안테나 각각에서 수신할 수 있다. 52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복수 개의 통신용 안테나 각각을 통해 수신된 통신 신호들간의 수신 시각 차이 및 통신 신호들간의 위상 차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전자장치로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53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또는,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들)는 판단된 방향으로,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들을 제어하여 검출용 RF 웨이브를 복수 개의 테스트 거리만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54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자장치로부터의 수신 전력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전자장치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에 제 1 크기의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RF 웨이브가 제 1 거리로 형성될 수 있고,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자장치로부터 수신 전력 관련 정보(예를 들어, 전자장치의 정류기의 출력단의 전압)를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에 제 2 크기의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RF 웨이브가 제 2 거리로 형성될 수 있고,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자장치로부터 수신 전력 관련 정보(예를 들어, 전자장치의 정류기의 출력단의 전압)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RF 웨이브의 형성 거리를 변경한다는 것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을 일으키는 지점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패치 안테나에 인가되는 전력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RF 웨이브의 형성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자장치가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제 2 거리만큼 떨어진 경우에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제 2 거리의 RF 웨이브를 형성한 경우에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의 정류기의 출력단의 전압값이 상대적으로 큰 크기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자장치로부터의 수신 전력 관련 정보(예를 들어, 정류기의 출력단의 전압)에 기초하여, 전자장치가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제 2 거리만큼 떨어진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인가하는 전력의 크기와 거리와의 관계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으며,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자장치까지의 거리를 판단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자장치의 방향 및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의 거리를 결정함으로써 전자장치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자장치의 위치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을 일으키도록,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들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의 실시예는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전자장치(750)까지의 거리를 판단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610 동작에서,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는 결정된 방향(θ,φ)으로 검출용 RF 웨이브를 형성하도록 각 패치 안테나(711 내지 726)별로 발진되는 서브 RF 웨이브의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로부터 상대적으로 우측에 전자장치(750)가 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750)에 대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 내의 패치 안테나(711 내지 726) 각각의 위치를 고려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의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한 패치 안테나들로부터 생성되는 서브 RF 웨이브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우측에 배치된 패치 안테나에서 발생되는 서브 RF 웨이브에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딜레이를 적용함으로써,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711 내지 726)들 각각으로부터의 서브 RF 웨이브들이 상대적으로 우측에서 보강 간섭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의 우측에 배치된 패치 안테나로부터의 서브 RF 웨이브는 상대적으로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의 좌측에 배치된 패치 안테나로부터의 서브 RF 웨이브보다 이후에 또는 기설정된 시간 딜레이 이후에 발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우측의 지점에서 패치 안테나들로부터의 서브 RF 웨이브가 동시에 만남, 즉 보강 간섭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는 모든 패치 안테나(711 내지 726)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점에 서브 RF 웨이브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는 패치 안테나(711 내지 726)별로 발진되는 서브 RF 웨이브의 위상을 조정함으로써, 서브 RF 웨이브들이 상대적으로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의 우측에서 보강 간섭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장치(750)가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로부터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대적으로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의 상측에 배치된 패치 안테나에서 발생되는 서브 RF 웨이브에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딜레이를 적용함으로써,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711 내지 726)들 각각으로부터의 서브 RF 웨이브들이 상대적으로 상측에서 보강 간섭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된 패치 안테나로부터의 서브 RF 웨이브는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된 패치 안테나로부터의 서브 RF 웨이브보다 이후에 또는 다름 차례에 발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상측의 지점에서 패치 안테나들로부터의 서브 RF 웨이브가 동시에 만남, 즉 보강 간섭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는 2차원으로 배치되는 패치 안테나(711 내지 726)들 각각에 상이한 딜레이를 적용함으로써, 패치 안테나(711 내지 726)들 각각이 발생시키는 RF 웨이브의 위상이 상이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62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는 제 1 테스트 거리에 대응하여 검출용 RF 웨이브(731)가 형성되도록, 각 패치 안테나(711 내지 726)별 인가되는 전력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는 거리를 판단하지 않고, 바로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711 내지 726)에 제공되는 제 1 테스트용 전력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테스트 거리 또는 제 1 테스트용 전력의 크기는 디폴트된 값일 수 있다. 63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는 결정된 각 패치 안테나(711 내지 726)별 발생되는 RF 웨이브의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와, 결정된 각 패치 안테나(711 내지 726)별 인가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검출용 RF 웨이브(731)를 제 1 테스트 거리에 대응하여 형성할 수 있다. 64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는 전자장치(750)로부터 전자장치(750)가 수신한 전력 관련 정보, 즉 수신 전력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65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는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는 수신 전력 관련 정보인 전자장치(750)의 정류기 출력단의 전압이 기설정된 임계치, 예를 들어 전자 장치 (750)가 최적 용량으로 동작하기 위한 최적 전력 동작 임계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못하면, 66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는 다음 테스트 거리에 대응하여 검출용 RF 웨이브(732)가 형성되도록, 각 패치 안테나(711 내지 726)별 인가되는 전력을 조정하여, 검출용 RF 웨이브(732)를 다음 테스트 거리에 대응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는 테스트 거리에 대한 판단 없이, 다음 테스트용 전력의 크기를 결정하여, 이를 각 패치 안테나(711 내지 726)에 인가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가 테스트 거리를 증가, 즉 인가하는 전력의 크기를 증가하는 것과 같이 도시되었지만,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는 테스트 거리를 감소, 즉 인가하는 전력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는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은 만족할 때까지 각 패치 안테나(711 내지 726)에 인가되는 전력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67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는 RF 웨이브를 송신하기 위한 각 패치 안테나별 인가되는 전력을 유지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제 3 테스트 거리로 형성된 RF 웨이브(733)가 형성된 경우,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는 제 3 테스트 거리로 RF 웨이브(733)의 형성이 유지되도록, 패치 안테나(711 내지 726) 각각에 인가하는 전력의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는 전자장치(750)까지의 거리가 제 3 테스트 거리(R)라는 것을 판단할 수도 있고, 또는 전자장치(750)까지의 거리에 대한 판단 없이 패치 안테나(711 내지 726) 각각에 인가하는 전력만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700)는 전자장치(750)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으며, 해당 지점에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되도록 패치 안테나를 제어함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높은 송신 효율로 전력이 무선 송신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의 실시예는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검출(binary detection)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동작들 810 내지 830은 도 6의 동작들 610 내지 630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며, 이들 기능들에 대해 이전에 제공된 설명이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840 동작에서, 도 9에서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제 1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조건은, 전자장치와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을 일으키는 지점 사이의 거리가 제 1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대응되는 조건일 수 있다.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을 일으키는 지점과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전자 장치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전력을 수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정류기의 출력단의 전압이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지게 된다. 결국, 전자 장치와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을 일으키는 지점 사이의 거리는, 전자 장치의 수신 전력 관련 정보, 예를 들어 정류기의 출력단의 전압 등과 연관된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의 정류기 출력단의 전압이 5 V 초과 10 V 이하인 것이 제 1 조건일 수 있으며, 10V 초과인 것이 제 2 조건일 수 있으며, 상기의 전압 수치들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다. 제 2 조건은 전자장치와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을 일으키는 지점 사이의 거리가 제 2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대응되는 조건일 수 있으며, 제 2 임계치는 제 1 임계치보다 작은 수치일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조건들은 전자장치의 종류별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제 1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85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제 1 전력만큼 패치 안테나(910)에 인가되는 전력을 증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최초에는 패치 안테나(910)가 R1의 거리로 RF 웨이브(911)를 형성하고 있다가, R2의 거리로 RF 웨이브(912)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패치 안테나(910)에 인가되는 전력이 제 1 전력만큼 증가한 것에서 기인할 수 있다. 한편,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제 1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패치 안테나(910)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 1 전력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치 안테나(910)로부터 R3, R4 지점에 RF 웨이브(913,914)가 형성될 수 있다.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제 1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86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제 2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제 2 조건을 만족하는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87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각 패치 안테나(910)에 인가되는 전력을, 기존 조정된 전력의 절반만큼을 재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각 패치 안테나(910)에 인가되는 전력을, 기존 조정된 전력인 제 1 전력의 절반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R4의 지점으로부터 R5만큼 후퇴한 거리에 RF 웨이브(915)가 형성될 수 있다.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88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해당 전력의 각 패치 안테나 별 인가되는 전력의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950의 지점에 배치된 경우라면, 제 2 조건이 만족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950 지점에 배치된 전자 장치에 대한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른 이점의 적어도 일부는, 신속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전자장치 사이의 거리 판단, 또는 신속한 무선 충전 수행을 위한 각 패치 안테나 별 인가 전력의 크기 판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0a를 참조하면, 전력 소스(1001)는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1002)에 연결될 수 있다. 전력 증폭기(1002)는 전력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증폭할 수 있으며, 전력 증폭기(1002)의 증폭 이득은 프로세서(103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30)는 통신 회로(1040)로부터 전달받은 전자장치의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장치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판단된 방향에서 전자장치 및 무선 전력 송신 장치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거나 또는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패치 안테나별 인가 전력의 크기를 판단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RF 웨이브들을 형성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1030)는 전력 증폭기(1002)의 증폭 이득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력 증폭기(1002)로부터 증폭된 전력은 분배기(1003)로 제공될 수 있다. 분배기(1003)는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1005,1007,1009)로 전력을 분배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분배기(1003) 및 패치 안테나(1005,1007,1009) 사이에는 위상 쉬프터(phase shifter)(1004,1006,1008)가 배치될 수 있다. 위상 쉬프터 및 패치 안테나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이며, 다른 개수의 위상 쉬프터 및 패치 안테나도 가능하다. 위상 쉬프터는 예를 들어 HMC642 또는 HMC1113 등과 같은 하드웨어 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위상 쉬프터(1004,1006,1008)는 입력받은 교류 전력의 위상을 쉬프트시킬 수 있으며, 프로세서(1030)는 위상 쉬프터(1004,1006,1008) 각각의 쉬프트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30)는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판단한 전자장치의 방향으로 RF 웨이브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위상 쉬프터(1004,1006,1008) 각각에 입력되는 쉬프트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0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0a의 실시예에서, 모든 패치 안테나(1005,1007,1009)들이 하나의 분배기(1003) 및 하나의 전력 증폭기(1002)에 연결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도 10b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복수 개의 전력 증폭기(1011,1021)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복수 개의 전력 증폭기(1011,1021) 각각에 연결되는 분배기(1012,1022)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1012)에는 위상 쉬프터(1013,1015,1017) 및 위상 쉬프터(1013,1015,1017)에 연결되는 패치 안테나(1014,1016,1018)가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분배기(1022)에는 위상 쉬프터(1023,1025,1027) 및 위상 쉬프터(1023,1025,1027)에 연결되는 패치 안테나(1024,1026,1028)가 연결될 수 있다. 도 11a 및 11b는 복수 개의 전자장치에 대한 무선 충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1a의 실시예는 도 12a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a를 참조하면, 121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0)는 복수 개의 전자장치(1151,1152)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0)는 제1 전자장치(1151)로부터의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151)의 방향을 결정하고, 제2 전자장치(1152)로부터의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152)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122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0)는 복수 개의 전자장치(1151,1152) 각각을 충전하기 위한 패치 안테나 그룹(1101,1102)을 판단할 수 있다. 123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0)는 패치 안테나 그룹(1101,1102)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전자장치(1151,1152)에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0)는 패치 안테나 그룹(1101)을 이용하여 제 1 전자장치(1151)와의 거리를 판단하고, 판단된 거리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0)는 패치 안테나 그룹(1102)을 이용하여 제 2 전자장치(1152)와의 거리를 판단하고, 판단된 거리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0)는 거리의 판단 없이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0)는 복수 개의 전자장치(1151,1152) 각각의 방향에 따라 패치 안테나 그룹(1101,1102)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0)의 상대적으로 좌측에 배치된 것으로 판단된 제 1 전자장치(1151)에 대하여서는 상대적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패치 안테나 그룹(1101)을 선택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0)의 상대적으로 우측에 배치된 것으로 판단된 제 2 전자장치(1152)에 대하여서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0)의 상대적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패치 안테나 그룹(1102)을 선택할 수 있다. 패치 안테나 그룹(1101)은 제 1 전자장치(1151)을 충전하기 위한 RF 웨이브(1111)를 형성할 수 있으며, 패치 안테나 그룹(1102)은 제 2 전자장치(1152)를 충전하기 위한 RF 웨이브(1112)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0)는 복수 개의 전자장치(1151,1152) 각각의 정격 전력에 기초하여 패치 안테나 그룹에 포함되는 패치 안테나 개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높은 정격 전력의 전자장치에 대하여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의 패치 안테나를 할당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서, 복수 개의 전자장치(1151,1152)가 동시에 충전될 수 있다. 도 11b의 실시예는 도 12b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b를 참조하면, 121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0)는 복수 개의 전자장치(1151,1152)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1221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0)는 복수 개의 전자장치(1151,1152) 각각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시간을 분배할 수 있다. 1231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0)는 분배된 충전 시간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전자장치(1151,1152)에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시간(t1) 동안에는 모든 패치 안테나(1103) 각각이 서브 RF 웨이브를 형성하도록 제어하여 제 1 전자장치(1151)를 충전하기 위한 RF 웨이브(1113)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 2 시간(t2) 동안에는 패치 안테나 전체(1103)를 이용하여 제 2 전자장치(1152)를 충전하기 위한 RF 웨이브(1114)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0)는 전자장치(1151,1152)의 우선 순위에 따라서 먼저 충전을 수행할 전자장치(1151 또는 1152)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0)는 우선 순위가 높은 전자 장치의 충전을 완료한 이후에, 다음 우선 순위를 가지는 전자 장치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0)는 전자장치(1151,1552)에 대하여 번갈아 가면서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0)는 우선 순위가 높은 전자 장치의 충전이 완료되기 이전이라도, 일정 시간 충전 이후에는 다음 우선 순위를 가지는 전자 장치를 일정 시간 충전하고, 또 다시 우선 순위가 높은 전자 장치의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131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자장치에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의 방향 및 전자장치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132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자장치의 이동을 검출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자장치로부터의 수신 전력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장치의 이동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장치가 이동함에 따라, 전자장치는 기존의 위치했던 지점에서의 보강 간섭에 의하여 생성되는 RF 웨이브에 의하여 충분한 전력을 수신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전자장치의 정류기 출력단의 전압 또한 감소하고,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에 대응하여 전자장치의 이동을 검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자장치로부터의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장치의 이동을 검출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자장치로부터의 통신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장치의 방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자장치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의 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자장치로부터 이동 정보를 직접 수신할 수도 있다. 전자장치는 이동을 검출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 리니어 센서, 지자계 센서 및 GPS 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장치의 이동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동 정보를 통신 신호로서 생성하여, 통신 신호를 포함시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수신된 이동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장치의 이동을 검출할 수 있다. 133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자장치의 이동에 대응하여 각 패치 안테나별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각 패치 안테나별 인가되는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134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결정된 각 패치 안테나별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와, 결정된 각 패치 안테나별 인가되는 전력에 기초하여 RF 웨이브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이동 후의 전자장치의 위치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되도록, 각 패치 안테나를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이동 이후의 전자장치의 위치를 상술한 방식에 따라서 다시 검출할 수도 있거나, 또는 이동 정보를 직접 이용하여 패치 안테나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141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자장치로부터의 신호를 복수 개의 통신용 안테나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142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복수 개의 통신용 안테나에서 수신된 통신 신호들 간의 수신 시각의 차이 및 통신 신호들 간의 위상 차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전자장치로의 방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가 이동함에 따라서, 각 통신용 안테나 사이의 수신 시각 차이 또는 위상 차이 또한 변경될 수 있다. 143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전자장치의 이동을 검출할 수 있다. 144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자장치의 이동에 대응하여 각 패치 안테나별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각 패치 안테나별 인가되는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이동 이후의 전자장치의 위치에 대응하여 각 패치 안테나별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각 패치 안테나별 인가되는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145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결정된 각 패치 안테나별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와, 결정된 각 패치 안테나별 인가되는 전력에 기초하여 RF 웨이브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이후의 전자장치의 위치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151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자장치의 이동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152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이동 정보를 분석하여 전자장치의 이동을 검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는 이동을 검출하도록 설정된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동 정보를 포함한 통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1530 동작 및 1540 동작은, 도 14에서의 1440 동작 및 1450 동작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전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1610 동작에서, 전자장치는 전자장치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다양한 실내 측위 방법에 기초하여 전자장치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는 실내 지자기 맵을 획득하고, 지자계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획득한 지자기 맵과 비교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전자장치의 실내에서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전자장치는 Wi-fi 신호 기반 실내 측위 방식에 기초하여 전자장치의 실내에서의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전자장치가 실외에 배치된 경우에서는, GPS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장치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1620 동작에서, 전자장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163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자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각 패치 안테나별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각 패치 안테나별 인가되는 전력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1640 동작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결정된 각 패치 안테나별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와, 결정된 각 패치 안테나별 인가되는 전력에 기초하여 RF 웨이브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 내의 복수의 통신용 안테나 각각에 의하여 전자 장치로부터의 제 1 통신 신호의 수신 시각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 제 1 크기의 서브 RF 웨이브들이 결정된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보강 간섭되도록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내의 패치 안테나를 제어하는 동작,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 2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를 제 1 크기로 충전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전자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의 위치를 포함하는 제 1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전자 장치의 위치에서 서브 RF 웨이브들이 보강 간섭되도록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포함된 패치 안테나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명령들은 외부 서버에 저장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같은 전자 장치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외부 서버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다운로드할 수 있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로부터의 통신 신호를 사용하여 전력 전송 방향을 결정하고, 전자 장치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실시 예의 다양한 장점에 따라,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고 유해한 라디오 웨이브의 송신을 위한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도 1, 3, 10a 및 10b 내의 명세서 내의 동작을 수행하는 전송기, 장치들, 구성 요소 분할기, 쉬프터들 및 다른 구조적 요소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명세서에 의하여 기재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하드웨어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컨트롤러, 센서, 제너레이터, 드라이버, 메모리, 비교기, 산술 논리 유닛, 가산기, 감산기, 승수, 분배기, 적분기 및 기타 전자 부품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 된 작동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의 예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들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 된 동작들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또는 컴퓨터들에 의해 하드웨어를 컴퓨팅함으로써 구현된다.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는, 원하는 결과를 얻도록 하는 정의된 방식 내의 명령을 수행하며 응답하도록 설정된 장치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장치 또는 하나 또는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 제어기 및 산술 논리 유닛,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 컴퓨터, 프로그램 가능 논리 제어기,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래머블 논리 어레이,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처리 요소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 또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거나 연결된다.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는 운영 체제 (OS) 및 본 명세서에서 설명 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OS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명령 또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 하드웨어 구성 요소는 또한 명령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에 액세스하고, 조작하고, 처리하고,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해, 단수의 용어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에 대한 설명에 사용될 수 있지만, 다른 예들에서 다수의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가 사용될 수 있거나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는 다수의 프로세싱 요소, 또는 여러 유형의 처리 요소 또는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하드웨어 구성 요소 또는 둘 이상의 하드웨어 구성 요소가 단일 프로세서 또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 및 컨트롤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 및 제어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다른 하드웨어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 및 다른 제어기에 의해 구현 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와 컨트롤러는 단일 하드웨어 구성 요소 또는 둘 이상의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구현할 수 있다. 하드웨어 구성 요소는 하나 또는 이상의 상이한 처리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단일 프로세서, 독립 프로세서, 병렬 프로세서, SISD (single-instruction single-data) 다중 처리, SIMD (single-instruction multiple-data) 다중 처리, MISD (Multiple-Instruction Single-Data) 멀티 프로세싱 및 MIMD (Multiple-Instruction Multiple-Data) 멀티 프로세싱 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도 2, 5, 6, 8, 12a, 12b와 도 13 내지 16에서 설명된 방법은 컴퓨팅 하드웨어, 예를 들어, 하나 또는 이상의 프로세서들 또는 컴퓨터들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방법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본 명세서에서 서술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인스트럭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동작 또는 둘 이상의 동작이 단일 프로세서, 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 및 제어기에 의해 수행 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동작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 및 제어기에 의해 수행 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 및 다른 제어기에 의해 수행 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 및 컨트롤러는 단일 동작 또는 둘 이상의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또는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와 같은 컴퓨팅 하드웨어를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고 하드웨어 구성 요소로 구현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 또는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세그먼트, 인스트럭션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기술될 수 있으며, 이는 전술 한 바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 요소 및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기계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로서 동작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를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 적으로 지시 또는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일례에서, 명령 또는 소프트웨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기계 코드와 같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에 의해 직접 실행되는 기계 코드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명령 또는 소프트웨어는 인터프리터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상위 레벨 코드를 포함한다. 인스트럭션 또는 소프트웨어는 도면과 대응되는 명서서 내의 설명에서 설명된 흐름도 및 블록도에 기초한 임의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기술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및 상술한 방법들에 의하여 수행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구현하기 위한 하나 또는 이상의 프로세서들 또는 컴퓨터들과 같은 컴퓨팅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또는 인스트럭션들, 임의의 데이터,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는 하나 또는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기록, 저장 또는 고정될 수 있다.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예로는 ROM (read-only memory), RAM (random-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CD-ROM, CD-R, CD + R, CD-RW, CD + RW DVD-R, DVD-RW, DVD + RW, DVD-RAM, BD-ROM, BD-R, BD-R LTH, BD-RE,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반도체 디스크 및 지시 또는 소프트웨어 및 임의의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를 비 일시적 방식으로 저장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장치를 포함 할 수 있으며, 명령 또는 소프트웨어 및 임의의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에 전송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가 명령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일례에서, 명령 또는 소프트웨어 및 임의의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는 네트워크 결합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분산되어 명령 및 소프트웨어 및 임의의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가 저장되고 액세스되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에 의해 분산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은 구체적인 예를 포함하지만, 청구 범위 및 그 균등 물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의 형태 및 형태의 다양한 변경이이 예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 된 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 만 고려되어야 하며, 제한의 목적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각 예에서의 특징 또는 양상의 설명은 다른 예에서의 유사한 특징 또는 양태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설명된 기술들이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는 경우, 및 / 또는 기술된 시스템, 아키텍처, 장치 또는 회로 내의 구성 요소들이 상이한 방식으로 결합되고, 및 /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그들의 등가물 의해 대체되거나 보충되는 경우, 적절한 결과가 달성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정의되며,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 범위의 모든 변형은 본 개시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mprises: a power transmission antenna including a plurality of patch antennas which wirelessly transmit power; and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antennas configured to receive a communication signal from an electronic devic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lso comprises a processor, wherein the processor sens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is located, on the basis of the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antennas, and controls the power transmission antenna to transmit the power in the sensed direction.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패치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력 전송용 안테나; 복수의 통신용 안테나; 및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통신용 안테나를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용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상기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전력 전송용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감지된 방향으로 전력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통신용 안테나 각각에서 상기 통신 신호를 수신한 시각의 차이 및 상기 통신 신호의 위상의 차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판단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장치의 방향으로 제 1 크기의 복수 개의 서브 RF 웨이브가 보강 간섭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신호 이후에 수신된 제 2 통신 신호에 포함된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제 1 크기의 상기 복수 개의 서브 RF 웨이브의 크기를 조정할 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2 크기의 상기 복수 개의 서브 RF 웨이브가 보강 간섭되도록 상기 복수의 패치 안테나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 3 통신 신호에 포함된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제 2 크기의 상기 복수의 서브 RF 웨이브의 크기를 조정할 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제 5 항에 있어서, 전력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전력 소스(source); 및 상기 전력을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력 증폭기의 증폭 이득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서브 RF 웨이브의 크기를 상기 제 1 크기로부터 상기 제 2 크기로 변경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상기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에 제공되는 전력을 조정하고, 상기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에 제공되는 전력의 크기를 유지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방향에서 상기 제 1 크기의 상기 복수 개의 서브 RF 웨이브가 서로 보강 간섭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 각각으로 입력되는 전력의 위상을 조정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신호는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전자장치의 정격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전자장치의 정격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에 충전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장치를 충전하는 것으로 결정하여 상기 제 1 크기의 상기 복수 개의 RF 웨이브로 상기 전자장치를 충전하는 중에, 상기 전자장치의 이동을 검출하고, 상기 전자장치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결정된 방향 및 상기 복수 개의 RF 웨이브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전자장치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자장치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통신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감지된 방향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방향을 감지하는 동작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통신용 안테나 각각에서 상기 통신 신호를 수신한 시각의 차이 및 상기 통신 신호의 위상의 차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판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방향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장치가 위치한 방향으로 제 1 크기의 복수 개의 서브 RF 웨이브가 보강 간섭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포함된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를 제어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신호 이후에 수신된 제 2 통신 신호에 포함된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제 1 크기의 상기 복수 개의 서브 RF 웨이브로 상기 전자장치를 충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2 크기의 상기 복수 개의 서브 RF 웨이브가 보강 간섭되도록 상기 복수의 패치 안테나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 3 통신 신호에 포함된 수신 전력 관련 정보가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제 2 크기의 상기 복수의 서브 RF 웨이브로 상기 전자장치를 충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