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HOD FOR PROVIDING CONTENT

11-12-2014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WO2014196684A1
Принадлежит: JANG Young Eun, LEE Young Hee
Контакты:
Номер заявки: KR62-00-201373
Дата заявки: 12-07-2013

컨텐츠 제공 방법
[1]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화 연결 중에 스마트 단말을 통해 컨텐츠를 노출시키는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스마트 단말은 3G(3Genreration)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 단말과 달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것과 무선 인터넷의 사용이 자유롭다는 장점을 가진다.

[3]

각 스마트 단말 제조사들은 스마트 단말의 활용도를 높이고 판매를 늘리고자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의 개발과 판매를 장려하고 있으며, 새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의 원활한 판매 및 구매를 위해 온라인상의 애플리케이션 스토어(Application store)를 운영하고 있다.

[4]

이에 소프트웨어 개발자나 개발 회사들은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 가입하여 자신들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을 전세계 스마트 단말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판매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광고가 제공되고 있다.

[5]

종래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자동으로 광고를 제공하여 많은 사용자들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노출되는 광고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고 있다.

[6]

그 결과,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해 광고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7]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8]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3-0021035호(2013.03.05)의 '이동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 연결시 통화연결화면으로 컨텐츠를 노출시켜 사용자에게 다양한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화 연결시 통화연결화면으로 컨텐츠를 노출시켜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1]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텐츠 노출시 통화연결화면으로 모든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노출하되, 기 설정된 비중에 따라 노출 횟수를 증감시킴으로써, 모든 광고업자가 광고 노출에 따른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면서 광고 노출의 형평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2]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관심 요구 컨텐츠 분야를 지정하여 컨텐츠 다운로드시 지정 분야에 대한 컨텐츠를 다운로드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노출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 또는 광고 효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3]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출되는 광고에 대해 거부감을 줄일 수 있도록 컨텐츠 노출에 대한 리워드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4]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출된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여 컨텐츠에 대응되는 상품 정보 등을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5]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품 정보를 제공하여 상품에 대한 쇼핑 및 구매를 가능하도록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6]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주변의 상품 매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쇼핑 및 구매를 유도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7]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텐츠를 동영상,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출력함으로써 정보 또는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8]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스마트 단말이 통화 수신 신호 또는 통화 발신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통화 수신 신호 또는 상기 통화 발신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스마트 단말이 서비스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및 통화로가 설정될 때까지 통화연결상태에서 상기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화연결화면을 통해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9]

본 발명에서, 상기 컨텐츠는 노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노출되되, 상기 컨텐츠 각각에 설정된 비중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노출 횟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0]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애플리케이션 설치시에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1]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컨텐츠를 상기 통화연결화면으로 노출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상기 컨텐츠에 대한 노출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노출 정보에 따라 새롭게 등록된 신규 컨텐츠를 상기 스마트 단말에 다운로드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신규 컨텐츠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2]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통화로 설정이 해제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노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3]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기 설정된 컨텐츠 분야에 따라 상기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하여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4]

본 발명에서, 상기 컨텐츠 분야는 상기 스마트 단말에 애플리케이션 설치시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5]

본 발명에서, 상기 컨텐츠 분야는 상기 스마트 단말에 애플리케이션 설치시에 사용자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6]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품 정보 또는 쿠폰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상품 정보 또는 상기 쿠폰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상품 정보 또는 상기 쿠폰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 또는 쿠폰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7]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상품 정보 또는 상기 쿠폰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상품 정보 또는 상기 쿠폰 정보을 다른 스마트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8]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상품 정보 또는 상기 쿠폰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상품 정보 또는 상기 쿠폰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을 지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9]

본 발명에서, 상기 통화연결화면으로 상기 컨텐츠가 노출된 횟수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가 포인트를 적립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0]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 화면을 분할하여 분할된 상기 컨텐츠 분할 화면으로 상기 컨텐츠 각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1]

본 발명은 통화 연결시 통화연결화면으로 컨텐츠를 노출시켜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32]

본 발명은 모든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제공하되, 기 설정된 비중에 따라 노출 횟수를 증감시킴으로써 모든 광고업자가 광고 노출에 따른 정보 또는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면서 광고 노출의 형평성을 확보한다.

[33]

본 발명은 노출된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여 이들 컨텐츠에 대응되는 상품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

[34]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 중심으로 주변의 상품 매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편리한 쇼핑 및 구매를 유도한다.

[35]

본 발명은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및 음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된 컨텐츠를 출력하여 정보 또는 광고 효과를 높인다.

[36]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37]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38]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화면에 컨텐츠를 노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39]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화면에 컨텐츠를 노출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40]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화면의 컨텐츠 출력 화면을 분할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41]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별 비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42]

도 7 은 도 6 에 도시된 컨텐츠의 비중에 따른 컨텐츠 노출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43]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44]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 페이지에서 상품 또는 쿠폰과 통화연결화면으로 노출된 컨텐츠 목록을 표시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45]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46]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47]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는 스마트 단말(10), 서비스 서버(20) 및 판매 관리 서버(30)를 포함한다.

[48]

스마트 단말(10)은 전화 서비스, 문자 서비스, 음악감상, 동영상 감상, 네비게이션 및 지도 검색 서비스, 게임 서비스, 카메라 서비스, SNS(Sicial Network service) 등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을 포함하며, 스마트 단말(10)로는 스마트폰과 테블릿PC(Tablet PC) 등이 포함된다.

[49]

여기서, 통신망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2세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3세대, LTE(Long Term Evolution)/WiBro 기반의 4세대 또는 그 이상의 세대를 지원하는 무선 환경 및 인터넷 등의 IP(Internet Protocol) 기반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유선 환경을 모두 포함하는 광대역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50]

스마트 단말(10)은 서비스 서버(2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서비스 서버(2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며, 이때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저장한다. 이 경우, 스마트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분야를 입력받아, 선택된 컨텐츠 분야의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사용자가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컨텐츠를 통한 정보 또는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51]

컨텐츠는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및 음성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작되며, 이 컨텐츠로는 광고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용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52]

각 컨텐츠에는 유효기관과 비중이 설정된다. 비중은 해당 컨텐츠가 노출되는 노출 횟수 정보를 정의한 것이다.

[53]

스마트 단말(10)은 통화 발신 신호 또는 통화 수신 신호가 감지되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며, 이때 스마트 단말(10)은 기 저장된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하여 통화연결화면(11)으로 노출시키고, 이후 통화 버튼이 입력되어 통화 상태가 되면, 컨텐츠 노출을 중지시킨다.

[54]

즉, 스마트 단말(10)은 통화 연결시 통화연결화면(11) 상에 컨텐츠를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통화버튼을 입력하기 위해 통화연결화면(11)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통화연결화면(11) 상에 노출된 컨텐츠를 인지하게 된다.

[55]

이를 통해, 기존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강제적으로 노출되는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거부감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통화 버튼 입력 과정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집중도도 높일 수 있어 기존의 광고 제공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56]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컨텐츠에는 유효기간과 비중이 설정되는 바, 애플리케이션은 유효기간과 비중에 따라 컨텐츠의 노출 횟수를 조절한다. 즉, 애플리케이션은 컨텐츠가 다운로드되면, 각 컨텐츠 별로 유효기간과 비중을 체크한다. 이후 애플리케이션은 통화 연결 상태가 될 때마다 유효기간이 만료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노출시키는데, 비중이 높은 컨텐츠일수록 많이 노출시킨다.

[57]

여기서, 유효기간과 비중은 광고 업체와 컨텐츠 노출에 대한 협약 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58]

더욱이, 스마트 단말(10)은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10)을 통해 노출되는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도록 노출된 컨텐츠에 대해 서비스 서버(20)와 연계하여 리워드를 제공한다.

[59]

즉, 스마트 단말(10)은 애플리케이션의 메뉴에 마이 페이지를 제공하고, 이 마이 페이지에는 노출된 컨텐츠의 목록 및 리워드에 대한 정보와 상품 정보 또는 쿠폰 정보 등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품 또는 쿠폰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해당 컨텐츠에 대응되는 상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상품 매장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상품 매장의 위치를 스마트 단말(10)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제공한다. 더욱이, 상품 정보 또는 쿠폰 정보가 선택되면, 스마트 단말(10)은 선택된 상품 정보 또는 쿠폰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을 화면 상에 출력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다른 스마트 단말(10)로 전달하여 상품에 대한 구매를 유도하고, 이때, 선택된 상품 정보 또는 쿠폰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구매한다.

[60]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확인하여 가까운 위치에 있는 업체나 영업소를 방문하여 컨텐츠에 대응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고, 상품 구매와 쿠폰과 연계된 다양한 쿠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61]

또한 스마트 단말(10)은 통화연결화면에서 통화키 입력에 의해 통화 상태가 되면, 노출한 컨텐츠에 대한 노출 정보, 예를 들어 노출된 컨텐츠의 이름 및 컨텐츠의 노출 시간 및 컨텐츠를 노출한 스마트 단말(10)의 사용자 정보 등을 서비스 서버(2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20)는 스마트 단말(10)에서 노출된 컨텐츠에 대한 노출 정보를 등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신규 컨텐츠를 스마트 단말(10)에 전송하여 스마트 단말(10)이 컨텐츠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서비스 서버(20)에 노출된 컨텐츠에 대한 노출 정보 등록 및 스마트 단말(10)에 신규 컨텐츠를 업데이트 하는 과정은 설정에 따라 주기적으로 일괄 처리할 수 있다.

[62]

판매 관리 서버(30)는 제조 및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저장하며, 이를 기반으로 상품에 대한 컨텐츠 목록 정보를 제작하여 서비스 서버(20)에 등록한다. 판매 관리 서버(30)는 컨텐츠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컨텐츠 등록 협약에 따른 비용을 지불하고, 이에따라 해당 컨텐츠의 유효기간과 노출 옵션이 결정된다. 노출 옵션은 목록의 노출 위치, 색상, 글씨체, 플래쉬 현상 등으로 노출시 차별화를 제공한다.

[63]

또한 판매 관리 서버(30)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쿠폰 정보를 발행하여 서비스 서버(20)에 등록한다.

[64]

서비스 서버(20)는 정보 및 광고에 대한 컨텐츠와 관리 정보를 저장하며, 스마트 단말(10)에 정보 및 광고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65]

또한, 서비스 서버(20)는 정보 및 광고에 대한 컨텐츠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정보 및 광고 제공을 요청하는 업체와의 컨텐츠 등록 협약에 따른 비용이 지불되면 이 협약에 따라 해당 컨텐츠의 유효기간과 노출 비중을 결정하여 등록하며, 스마트 단말(10)에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유효기간과 노출 비중 설정 정보를 제공한다.

[66]

서비스 서버(20)는 스마트 단말(10)로부터 노출된 컨텐츠에 대한 노출 정보를 받아 관리하며, 리워드를 관리하고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

[67]

서비스 서버(20)는 판매 관리 서버(30)로부터 전달받은 상품 및 쿠폰에 대한 목록 정보를 제공 및 관리한다.

[68]

서비스 서버(20)는 애플리케이션을 기 저장하고, 스마트 단말(1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가 요청되면, 해당 스마트 단말(10)로 애플리케이션과 컨텐츠를 다운로드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 단말(10)은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다.

[69]

서비스 서버(20)는 각 스마트 단말(10)로부터 노출된 컨텐츠에 대한 노출 정보를 전달받아 각 스마트 단말(10) 별로 현재까지 노출한 컨텐츠에 대한 노출 정보를 등록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20)는 각 스마트 단말(10) 별로 해당 컨텐츠 분야에 신규 컨텐츠가 새롭게 등록되었는지를 체크하며, 서비스 서버(20)는 신규 컨텐츠가 새롭게 등록되어 있으면, 해당 신규 컨텐츠를 스마트 단말(10)로 전달한다.

[70]

[71]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 2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72]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화면에 컨텐츠를 노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화면에 컨텐츠를 노출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화면의 컨텐츠 출력 화면을 분할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별 비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7 은 도 6 에 도시된 컨텐츠의 비중에 따른 따른 노출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73]

도 2 를 참조하면, 먼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단말(10)은 통화 발신 신호 또는 통화 수신 신호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S110).

[74]

판단 결과, 통화 발신 신호 또는 통화 수신 신호가 감지되면, 스마트 단말(10)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저장된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별하여 통화연결화면(11)에 출력한다(S120).

[75]

도 3 을 참조하면, 통화연결화면(11)은 발신자 정보 또는 수신자 정보 출력 화면(113), 버튼 입력화면(112) 및 컨텐츠 출력화면(111)으로 구분된다. 발신자 정보 또는 수신자 정보 출력화면(113)은 스마트 단말(10) 통화 발신자 또는 통화 수신자의 정보가 노출되는 화면이고, 버튼 입력화면(112)은 통화키나 숫자키 등의 버튼 입력을 위해 제공되는 화면이고, 컨텐츠 출력화면(111)은 컨텐츠를 출력하는 화면이다.

[76]

컨텐츠 출력 화면(112)은 컨텐츠의 특성과 종류에 따른 다양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 단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77]

또한, 컨텐츠는 컨텐츠 출력화면(111) 전체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그러나, 컨텐츠는 복수 개가 출력될 수 있는 바, 복수 개의 컨텐츠 각각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컨텐츠 출력화면(111) 각각으로 출력될 수 있다.

[78]

스마트 단말(10)은 기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출력 순서에 따라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하여 출력한다.

[79]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컨텐츠 분야에 컨텐츠 A 내지 컨텐츠 E 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스마트 단말(10)은 컨텐츠 A 내지 컨텐츠 E 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80]

또한, 컨텐츠 A는 비중이 1로 설정되고, 컨텐츠 B와 컨텐츠 C가 비중이 2이며, 컨텐츠 D가 비중이 3이며, 컨텐츠 E가 비중이 4일 경우, 스마트 단말(10)은 컨텐츠 A 내지 컨텐츠 E 모두를 순차적으로 노출시키되, 그 노출 횟수는 상기한 비중에 따라 결정된다.

[81]

즉,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10)은 첫번째 텀(term)에서는 컨텐츠 A부터 컨텐츠 E까지 한번씩 노출하고, 이후 텀에서는 각 컨텐츠 별로 그 비중에 따라 노출 여부가 결정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 단말(10)은 두번째 텀에서는 비중이 1 이하인 컨텐츠 A를 노출시키지 않으며, 세번째 텀에서는 비중이 2 이하인 컨텐츠 A, 컨텐츠 B 및 컨텐츠 C를 노출시키지 않으며, 네번째 텀에서는 비중이 3 이하인 컨텐츠 A, 컨텐츠 B 컨텐츠 C 및 컨텐츠 D를 노출시키지 않는다. 즉, 스마트 단말(10)은 모든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노출시키되, 그 노출 횟수는 비중에 따라 노출 여부를 결정한다.

[82]

한편, 스마트 단말(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컨텐츠를 노출시키는 과정에서, 통화키가 입력되어 통화로가 연결되는 지를 판단(S130)하고, 판단 결과 통화로가 연결되면, 컨텐츠 출력을 중지한다(S140).

[83]

이후, 스마트 단말(10)은 노출한 컨텐츠에 대한 노출 정보를 서비스 서버(20)에 전달하여 서비스 서버(20)가 해당 스마트 단말(10)에서 노출된 컨텐츠에 대한 노출 정보를 등록한다(S250).

[84]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20)는 각 스마트 단말(10) 별로 노출된 컨텐츠의 노출 여부 및 노출 횟수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85]

서비스 서버(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10) 별로 노출된 컨텐츠의 이름, 컨텐츠의 노출 시간, 스마트 단말(10)의 사용자 정보, 컨텐츠의 노출 여부 및 컨텐츠의 노출 횟수를 인식한 후에는, 해당 스마트 단말(10)이 컨텐츠를 모두 노출했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컨텐츠 노출 서비스 해지 정보와 신규 컨텐츠를 스마트 단말(10)로 전달한다. 이때, 스마트 단말(10)은 새로운 신규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저장하여 신규 컨텐츠를 업데이트한다.

[86]

이외에도 서비스 서버(20)는 주기적으로 신규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20)는 1일이나 3일 또는 1주일 마다 신규 컨텐츠가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신규 컨텐츠가 등록되었으면, 이 신규 컨텐츠를 스마트 단말(10)로 전달한다. 이때 스마트 단말(10)은 신규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저장하여 신규 컨텐츠를 업데이트하고, 노출 서비스 해지 정보에 따라 스마트 단말(10)에서 해당 컨텐츠를 삭제한다.

[87]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88]

도 8 을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10)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스마트 단말(10)이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서비스 서버(20)에 요청한다(S210).

[89]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20)는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 단말(10)에 다운로드하고(S220), 스마트 단말(10)은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 서버(20)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한다(S230).

[90]

스마트 단말(10)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스마트 단말(10)은 컨텐츠 분야를 선택하도록 모든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분야를 디스플레이하고, 컨텐츠 분야를 선택하도록 요청한다(S240).

[91]

컨텐츠 분야로는 자동차, 패션, 아동, 전자, 통신, 건축, 예술, 뷰티, 음식, 여행, 영화, 음악, 스포츠 등 컨텐츠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상품에 대한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92]

스마트 단말(10)은 컨텐츠 분야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는지를 판단한다(S250).

[93]

판단 결과 컨텐츠 분야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스마트 단말(10)은 스마트 단말(10)의 사용자, 성별, 연령, 기념일, 지역 등의 선택된 컨텐츠 분야를 서비스 서버(20)에 전달하고,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가 해당 컨텐츠 분야를 등록한다(S260).

[94]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20)는 스마트 단말(10)에서 등록된 컨텐츠 분야의 컨텐츠를 추출하여 스마트 단말(10)에 다운로드(S270)하고, 스마트 단말(10)은 서비스 서버(20)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컨텐츠를 저장한다(S280).

[95]

이후, 스마트 단말(10)은 통화 연결시 상기한 바와 같이 선택된 컨텐츠 분야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통화연결화면(11)으로 출력한다.

[96]

한편, 스마트 단말(10)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는데, 특히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중 마이 페이지는 노출된 컨텐츠 목록과 리워드 정보, 상품 정보, 쿠폰 정보 등을 제공한다.

[97]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분야를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시에 선택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다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도 포함한다.

[98]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 페이지에서 상품 또는 쿠폰과 통화연결화면으로 노출된 컨텐츠 목록을 표시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99]

도 9 를 참조하면, 마이 페이지는 노출된 상품과 쿠폰 및 컨텐츠 목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한다.

[100]

상품, 쿠폰 및 컨텐츠 목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과정에서, 컨텐츠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스마트 단말(10)은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해당 컨텐츠에 대응되는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 매장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해당 상품을 구입하도록 유도하고,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101]

게다가, 상품 정보 또는 쿠폰 정보가 선택되면, 스마트 단말(1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품 정보 또는 쿠폰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상품 구입 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다른 스마트 단말(10)로 전달하여 다른 사용자가 상품 정보를 확인하거나 쿠폰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마트 단말(10)은 선택된 상품 정보 및 쿠폰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102]

또한, 서비스 서버(20)는 스마트 단말(10)로부터 노출된 컨텐츠에 대한 노출 정보를 전달받으면, 컨텐츠 노출에 따른 포인트를 해당 스마트 단말(10)에 부여하여 해당 스마트 단말(10)의 포인트를 누적시킨다.

[103]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에게 부여된 포인트를 이용하여 통화 요금이나 기타 상품 또는 쿠폰 구매에 대한 결제시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104]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5]



[1]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smart device detecting a call reception signal or call transmission signal; the smart device extracting content downloaded from a service server if the call reception signal or call transmission signal is detected; and the smart device exposing at least one of the content items on a call connection screen in a call connection state until a call path is configured.

[2]



스마트 단말이 통화 수신 신호 또는 통화 발신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통화 수신 신호 또는 상기 통화 발신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스마트 단말이 서비스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및

통화로가 설정될 때까지 통화연결상태에서 상기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화연결화면을 통해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노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노출되되, 상기 컨텐츠 각각에 설정된 비중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노출 횟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애플리케이션 설치시에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컨텐츠를 상기 통화연결화면으로 노출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상기 컨텐츠에 대한 노출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노출 정보에 따라 새롭게 등록된 신규 컨텐츠를 상기 스마트 단말에 다운로드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신규 컨텐츠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통화로 설정이 해제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노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기 설정된 컨텐츠 분야에 따라 상기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하여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분야는 상기 스마트 단말에 애플리케이션 설치시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분야는 상기 스마트 단말에 애플리케이션 설치시에 사용자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통화연결화면으로 노출된 상기 컨텐츠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품 정보 또는 쿠폰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상품 정보 또는 상기 쿠폰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상품 정보 또는 상기 쿠폰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 또는 쿠폰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상품 정보 또는 상기 쿠폰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상품 정보 또는 상기 쿠폰 정보을 다른 스마트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상품 정보 또는 상기 쿠폰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상품 정보 또는 상기 쿠폰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을 지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연결화면으로 상기 컨텐츠가 노출된 횟수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가 포인트를 적립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 화면을 분할하여 분할된 상기 컨텐츠 분할 화면으로 상기 컨텐츠 각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