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INAL FLUID INJECTOR, AND MEDICINAL FLUID SUPPLY APPARATUS HAVING SAME

01-09-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WO2016137247A2
Автор: KIM, Young Mu
Принадлежит: 주식회사 이화바이오메딕스
Контакты:
Номер заявки: KR18-00-201657
Дата заявки: 25-02-2016

약액 주입기 및 이를 구비하는 약액 공급 장치
[1]

본 발명은 약액의 공급로에 위치하여 약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방출하는 약액 주입기 및 이를 구비하는 약액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진통제와 같은 약액을 시간당 일정한 양으로 환자에게 공급하는 장치가 당해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약액 공급 장치는 약액을 저장하는 약액 챔버와 약액 챔버로부터 방출되는 약액을 환자의 신체에 삽입된 주사 바늘 또는 카데터 쪽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약액 튜브를 가진다.

[3]

또한, 통증 자가 조절(patient-controlled analgesia)을 위해 환자가 손에 쥐고 작동시킬 수 있는 약액 주입기를 갖춘 약액 공급 장치가 당해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약액 주입기는 약액 공급 장치의 약액 튜브에 연결되어 있으며 소정량의 약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환자 스스로 약액 주입기를 조작함으로써, 약액 주입기에 저장된 약액이 약액 공급 장치가 공급하는 약액과 함께 환자에게 공급되어, 환자에게 공급되는 약액의 양을 일시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국제출원 공개공보 제WO 03/066138 A1호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 공급 장치의 일 예와 약액 주입기의 일 예를 개시한다.

[4]

종래기술에 따른 약액 주입기의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약액 주입기(10)는 하우징 바디(11)와 하우징 바디(11)의 평평한 상면에 노출되어 있고 환자가 누를 수 있는 누름 버튼(12)을 가진다. 또한, 약액 주입기(10)는 하우징 바디(11)의 내부에 누름 버튼(12)의 아래에 약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저버 백(reservoir bag)(도시하지 않음)을 가진다. 약액은 약액 공급 장치의 약액 챔버로부터 튜브(13A)를 통해 상기 레저버 백에 저장된다. 상기 레저버 백이 누름 버튼(12)이 가하는 눌림에 응해 그 안에 저장된 약액을 방출하면, 방출된 약액은 튜브(13B)를 통해 환자에게 주입된다.

[5]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약액 주입기(10)의 하우징 바디(11)는 납작한 형상을 가지며, 누름 버튼(12)은 하우징 바디(11)의 평평한 상면 상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누름 버튼(12)은 부주의하게 또는 의도하지 않게 눌리기 쉽다. 누름 버튼(12)의 눌림에 의해 약액 주입기(10)는 약액을 방출하므로, 누름 버튼(12)의 의도하지 않은 눌림은 불필요한 약액의 주입을 유발한다.

[6]

환자의 한 쪽 팔에는 약액의 주입을 위한 주사 바늘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환자는 통상 다른 쪽 팔의 손을 사용해 약액 주입기(10)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경우,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환자는 약액 주입기(10)의 납작한 하우징 바디(11)를 손바닥에 위치시키고 엄지 손가락을 사용해 누름 버튼(12)을 누른다. 그러나, 납작한 하우징 바디(11)와 그 상면에 위치하는 누름 버튼(12)을 구비하는 약액 주입기(10)는 환자가 한 손만을 사용해 조작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납작한 하우징 바디(11)를 쥔 채로 상면에 위치하는 누름 버튼(12)을 엄지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누를 수 없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의 약액 주입기(10)는 양호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한다.

[7]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의도하지 않은 누름 버튼의 눌림을 방지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킨 약액 주입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기능을 가지며, 모듈화된 내부 부품에 의해 조립이 용이한 약액 주입기를 제공한다.

[8]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약액이 공급되는 공급 튜브와 약액이 방출되는 방출 튜브에 연결되어 상기 약액을 저장하고 방출하는 약액 주입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는 약액 주입기의 외곽체를 형성하는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의 내부에 고정되고 약액을 저장하고 방출하는 레저버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바디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축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 바디는, 외주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길이가 상기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폭보다 큰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에 인접하게 일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버튼 보호 아암을 구비한다. 상기 레저버 모듈은 상기 하우징 바디 내에서 상기 하우징 바디에 고정되며, 레저버 백과 누름 버튼을 구비한다. 상기 레저버 백은 상기 공급 튜브와 상기 방출 튜브에 유체유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약액을 저장한다.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레저버 백을 눌러서 상기 레저버 백 내의 약액을 방출시킨다. 상기 누름 버튼의 일부는 상기 버튼 보호 아암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하우징 바디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9]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저버 백은 상기 공급 튜브에 유체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입구 튜브와 상기 방출 튜브에 유체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출구 튜브를 구비한다. 상기 레저버 모듈은 상기 레저버 백을 수용하고 상기 누름버튼을 상기 중심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저버 하우징과 상기 누름 버튼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레저버 백의 입구 튜브 및 출구 튜브 중 하나를 개방하고 폐색하는 로커를 더 구비한다.

[10]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상기 레저버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입구 튜브 및 출구 튜브 중 하나를 누르는 로킹 레버와 상기 로킹 레버가 상기 입구 튜브 및 출구 튜브 중 하나를 누르도록 상기 로킹 레버를 바이어스하는 로커 스프링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로킹 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레저버 하우징은 상기 구동 아암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중심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가이드 슬롯을 구비한다. 상기 로킹 레버는 상기 구동 아암과 접촉하는 피동 아암과 상기 입구 튜브 및 출구 튜브 중 하나를 누르는 누름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로커 스프링은 상기 구동 아암에 의해 상기 피동 아암이 회전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로킹 레버를 바이어스한다. 또한, 상기 구동 아암의 적어도 측부와 접촉하는 상기 피동 아암의 일부는 사면으로 되며, 상기 사면은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11]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저버 하우징은 상기 레저버 백이 놓이는 바닥과 상기 바닥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측벽과 상기 바닥에 인접하여 상기 측벽을 관통해 형성된 삽입 슬롯을 구비한다. 상기 레저버 백은 상기 삽입 슬롯을 통해 상기 레저버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저버 모듈은 상기 레저버 하우징의 바닥과 상기 레저버 백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판을 더 구비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는 내면에, 상기 레저버 하우징의 바닥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 리브와 상기 레저버 하우징의 측벽의 상단이 접촉하는 걸림 리브와 상기 레저버 하우징의 삽입 슬롯에 삽입되는 삽입 리브를 구비한다.

[12]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저버 하우징은 상기 누름 버튼의 상기 버튼 보호 아암 쪽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버튼 스토퍼를 구비한다. 상기 버튼 스토퍼는 상기 레저버 하우징의 내측과 외측으로 탄성 변형가능하다.

[13]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저버 모듈은 상기 레저버 백과 상기 누름 버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누름 버튼의 눌림에 의해 상기 레저버 백을 누르는 누름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누름판은 상기 레저버 백의 상면의 일부에 면접촉하는 쿠션 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누름 버튼의 하면과 상기 누름판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누름 버튼을 상기 버튼 보호 아암 쪽으로 바이어스하는 버튼 스프링을 구비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의 약액 주입기는, 상기 버튼 보호 아암과 상기 누름 버튼의 사이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되는 코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코터에 의해 상기 누름 버튼이 눌려 상기 레저버 백이 상기 중심축의 방향에서 최소로 수축된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코터는 상기 버튼 보호 아암에 상기 누름 버튼이 눌리도록 제거가능하게 끼워맞춤된다.

[14]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약액 주입기는 상기 하우징 바디 내에 상기 레저버 모듈에 인접하게 고정되는 모세관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모세관 모듈은 제1 모세관과, 상기 공급 튜브로부터 상기 제1 모세관을 통해 상기 레저버 백으로 약액이 공급되는 제1 약액 유로와, 제2 모세관과, 상기 공급 튜브로부터 상기 제2 모세관을 통해 상기 방출 튜브로 상기 약액이 흐르고 상기 레저버 백 내에 저장된 약액이 공급되는 제2 약액 유로를 구비한다.

[15]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의 한 쌍의 버튼 보호 아암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버튼 보호 아암은 환형을 형성할 수 있다.

[16]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는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 바디의 절반부로 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 바디의 또 하나의 절반부로 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하우징은 하단 가장자리에 한 쌍의 튜브 고정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하단 가장자리에 상기 튜브 고정 돌기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튜브 고정 돌기의 돌출 길이보다 깊은 한 쌍의 튜브 고정 리세스를 구비한다.

[17]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의 상기 그립부에서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및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18]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약액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약액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 장치는, 약액을 저장하는 약액 챔버를 가지는 챔버 조립체와, 상기 약액 챔버와 사용자를 연결하는 튜브 조립체와, 전술한 실시예 중 하나의 약액 주입기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 조립체는 상기 약액 챔버로부터 상기 약액 주입기로 상기 약액이 공급되는 공급 튜브와 상기 약액 주입기로부터 약액이 방출되는 방출 튜브를 구비한다. 상기 약액 주입기의 레저버 백은 상기 공급 튜브 및 상기 방출 튜브에 유체유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19]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에 의하면, 기다란 하우징 바디의 일단에 한 쌍의 버튼 보호 아암이 마련되어 있고 버튼 보호 아암의 사이에 누름 버튼이 배치되며 누름 버튼은 하우징 바디의 길이방향에서만 눌릴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에 의하면 부주의한 또는 의도하지 않은 누름 버튼의 눌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바디는 기다란 원통 또는 각통 형상의 그립부를 가지며 누름 버튼이 그립부의 길이방향에서의 일단에 인접하게 위치하므로, 사용자는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를 한 손만을 사용해 편리하게 쥘 수 있고 누름 버튼을 용이하게 누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는, 약액의 저장과 방출을 위한 부품이 조립되어 있는 레저버 모듈과 약액 주입기 내에서의 약액의 유로를 제공하기 위한 부품이 조립되어 있는 모세관 모듈을 구비하여, 용이한 조립의 실현이 가능하다.

[20]

도 1은 종래기술의 약액 주입기의 일예로서, 종래기술의 약액 주입기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21]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22]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미사용 상태의 약액 주입기를 도시한다.

[23]

도 4는 코터가 제거된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또한, 사용자가 약액 주입기를 쥐는 일 예를 도시한다.

[24]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약액 주입기의 정면도이다.

[25]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약액 주입기의 측면도이다.

[26]

도 7은 도 6의 Ⅶ-Ⅶ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27]

도 8은 도 4에 도시하는 약액 주입기의 제1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28]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제1 하우징의 후방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29]

도 10은 도 4에 도시하는 약액 주입기의 제2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30]

도 11 은 도 10에 도시하는 제2 하우징의 후방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31]

도 12는 도 4에 도시하는 약액 주입기의 하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32]

도 13은 도 4에 도시하는 약액 주입기의 레저버 모듈과 모세관 모듈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33]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레저버 모듈의 하방 사시도이다.

[34]

도 15는 도 13에 도시하는 레저버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35]

도 16은 도 13에 도시하는 레저버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36]

도 17은 도 13에 도시하는 레저버 모듈의 평면도이다.

[37]

도 18은 도13에 도시하는 레저버 모듈의 저면도이다.

[38]

도 19는 로커의 로킹 레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39]

도 20은 도 13에 도시하는 모세관 모듈의 사시도이다.

[40]

도 21은 도 20의 ⅩⅩⅠ-ⅩⅩⅠ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41]

도 22는 도 20의 ⅩⅩⅡ-ⅩⅩⅡ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42]

도 23은 도 20의 ⅩⅩⅢ-ⅩⅩⅢ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43]

도 24는 도 3에 도시하는 약액 주입기의 상부를 종단면과 함께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44]

도 25는 코터에 의해 레저버 백이 최소로 수축되어 있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45]

도 26은 코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약액 주입기의 사시도이다.

[46]

도 27은 버튼 보호 아암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약액 주입기의 정면도이다.

[47]

도 28은 그립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약액 주입기의 저면도이다.

[48]

도 29는 그립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약액 주입기의 저면도이다.

[49]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주입기와 약액 공급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 또는 부품을 지시한다.

[50]

본 명세서에 사용된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약액 주입기에서 누름 버튼이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약액 주입기는 달리 놓일 수도 있으며, 상기 방향지시어들은 그에 맞추어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유체유동 가능한 연결(fluidically connected)'이라는 표현은 직접적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튜브를 사용해 두 부품 간에 유체(즉, 약액)가 유동가능하도록 두 부품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51]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를 구비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 장치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하는 약액 공급 장치(100)는, 약액을 저장하고 저장된 약액을 방출하는 챔버 조립체(110)와, 약액의 유동을 위한 튜브 조립체(120)와, 튜브 조립체(120)에 연결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1000)를 구비한다.

[52]

챔버 조립체(110)는 약액을 저장하는 약액 챔버(111)를 구비한다. 약액 챔버(111)는 약액을 밀어내기 위한 플런저를 갖춘 원통체가 될 수 있지만, 다른 예로서, 상기 약액 챔버는 약액을 저장하고 팽창 및 수축 가능한 벌룬(balloon)이 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챔버 조립체(110)는 약액 챔버(111)와, 가스발생기(112)와, 마개(113)와, 플런저(114)를 가진다. 가스발생기(112)는 약액 챔버(111)의 일단에 기밀하게 결합되어 있다. 가스발생기(112)는, 예컨대 탄산수소나트륨과 구연산의 반응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거의 균일한 압력으로 발생시킨다. 마개(113)는 약액 챔버(111)의 타단에 기밀하게 결합되어 있다. 약액 챔버(111)의 내부에는 가스발생기(112)의 노즐의 앞에 플런저(114)가 배치되어 있으며, 플런저(114)는 가스발생기(112)가 발생시키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약액 챔버(111) 내에서 마개(113) 쪽으로 추진된다. 약액 챔버(111)의 내부에 마개(113)와 플런저(114)의 사이에 약액이 저장된다. 약액 챔버(111) 내부에 저장되는 약액은 임의의 진통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실시예의 챔버 조립체(110)는 가스발생기(112)가 발생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플런저(114)을 마개(113) 쪽으로 추진시키며, 가스발생기(112)가 발생시키는 거의 균일한 가스 압력에 의해 플런저(114)가 거의 균일한 속도로 이동하여, 약액 챔버(111) 내의 약액은 시간당 일정한 양으로 공급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약액 공급 장치의 챔버 조립체는, 원통형 또는 원뿔형의 하우징과 이러한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약액이 저장되며 팽창 및 수축 가능한 벌룬(balloon)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예의 챔버 조립체는 상기 벌룬의 수축력에 의해 그 내부의 약액을 공급한다.

[53]

튜브 조립체(120)는 챔버 조립체(110)의 약액 챔버(111)와 약액이 투여될 사용자를 연결한다. 튜브 조립체(120)는 복수개의 튜브(121A, 121B, 121C, 121D)를 가지며, 이들 튜브(121A, 121B, 121C, 121D)가 연이어져 약액의 제1 공급로(SP1)를 형성한다. 튜브 조립체(120)는 약액이 주입되는 밸브장치(122), 튜브(121B)를 눌러서 약액의 공급을 차단하는 클램프(123), 약액을 여과하는 필터(124), 환자의 신체에 삽입되는 주사바늘 또는 카데터에 연결되는 커넥터(125)를 구비한다.

[54]

튜브 조립체(120)의 필터(124)와 커넥터(125)의 사이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1000)가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튜브 조립체(120)는 약액 챔버(111)로부터 약액 주입기(1000)로 약액이 공급되는 공급 튜브(121C)와, 약액 주입기(1000)로부터 약액이 방출되는 방출 튜브(121D)를 구비한다. 약액 주입기(1000)는 공급 튜브(121C)와 방출 튜브(121D)에 연결되어 약액 챔버(111)로부터 공급된 약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방출한다. 약액 챔버(111)에서 방출된 약액은 공급 튜브(121C)를 통해 약액 주입기(1000)로 도입되고, 약액 주입기(1000)를 통과하여 방출 튜브(121D)를 통해 커넥터(125)로 들어간다. 약액 주입기(1000)는 약액 챔버(111)로부터 커넥터(125)로 이어지는 약액의 제1 공급로(SP1)에서 분기되고 다시 제1 공급로(SP1)로 이어지는 약액의 제2 공급로(SP2)를 가진다. 약액 주입기(1000)는 이러한 분기된 제2 공급로(SP2)에 위치하고 약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저버 백(reservoir bag)(도 7의 도면부호 "1210" 참조)을 구비한다. 상기 레저버 백은 공급 튜브(121C) 및 방출 튜브(121D)에 유체유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챔버 조립체(110)로부터 사용자에게 시간당 일정량의 약액이 공급되는 상황에서,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 약액 주입기(1000)를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약액의 양을 일회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55]

도 3 내지 도 25는 약액 공급 장치에 채용되는 일 실시예의 약액 주입기와 이를 구성하는 여러 부품을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의 약액 주입기를 설명한다.

[56]

도 3은 미사용 상태에 있는 일 실시예의 약액 주입기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하는 약액 주입기(1000)는 약액 공급 장치(100)와 함께 제공되며, 아직 내부에 약액이 충전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액이 충전되지 않은 약액 주입기(1000)는 제거 가능한 코터(cotter)(1400)에 의해 누름 버튼(1220)이 최대로 눌러진 상태로 제공된다. 사용자(의사, 간호사, 환자 등)가 코터(1400)를 제거하면, 누름 버튼(1220)이 돌출되어, 약액 주입기(1000)가 사용 상태로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미사용 상태의 약액 주입기(1000)로부터 코터(1400)를 제거하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액 주입기(1000)는 누름 버튼(1220)이 돌출하여 사용 가능한 상태로 된다.

[57]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1000)는, 약액 주입기의 외곽체로서 기능하는 하우징 바디(1100)와, 하우징 바디(1100)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 바디(1100)에 고정되는 레저버 모듈(1200)과, 하우징 바디(1100) 내에 레저버 모듈(1200)의 아래에 배치되고 하우징 바디(1100)에 고정되는 모세관 모듈(1300)을 구비한다. 레저버 모듈(1200)은 예컨대 약액 공급 장치(100)의 약액 챔버(111)로부터 공급된 약액을 저장하고 방출한다. 모세관 모듈(1300)은 약액을 유동시키고 약액의 흐름을 분기시킨다.

[58]

하우징 바디(1100)는 약액의 저장과 방출을 위한 부품(즉, 레저버 모듈(1200)과 모세관 모듈(1300))을 그 내부에 수용하고 고정한다. 하우징 바디(1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하우징 바디(110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재료로 형성된다.

[59]

하우징 바디(1100)는 폭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하우징 바디(1100)는 그 길이방향(예컨대, 도 5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축(CA)을 가진다. 하우징 바디(1100)는 그 길이방향 및 둘레방향에서의 외주면 중 일부를 형성하며 사용자가 쥘 수 있는 그립부(1111)를 구비한다. 하우징 바디(1100)의 그립부(1111)에 있어서, 그립부(1111)의 하우징 바디(1100)의 길이방향에서의 길이(LGP)는 하우징 바디(1100)의 상기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폭(WGP)보다 길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그립부(1111)는 폭보다 길이가 긴 원통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그립부(1111)에서의 하우징 바디(1100)의 횡단면을 취할 때, 그 횡단면 형상은 원형을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 바디(1100)는 그 일단에 그립부(1111)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한 쌍의 버튼 보호 아암(1112)을 구비한다. 버튼 보호 아암(1112)은 그립부(1111)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중심축(CA)을 따라 연장하며 약간의 곡률로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버튼 보호 아암(1112)의 사이에는 구멍이 한정되는데, 이 구멍은 사용자가 약액 주입기(1000)를 사용할 때 손가락(예컨대, 엄지 손가락 또는 검지 손가락 등)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1113)로서 기능한다. 삽입구(1113)는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우징 바디(1100)에 뚫려 있다. 그립부(1111)의 표면(즉, 하우징 바디(1111)의 그립부에서의 외주면)은 매끈한 표면 또는 소정의 표면거칠기를 가지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 바디(1100)의 한 쌍의 버튼 보호 아암(1112)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한 쌍의 버튼 보호 아암(1112)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1114)를 가진다. 한 쌍의 버튼 보호 아암(1112)의 내측면은 누름 버튼(1220)의 각 측면과 대향하고, 연결부(1114)의 내측면은 누름 버튼(1220)의 상면과 대향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한 쌍의 버튼 보호 아암(1112)과 연결부(1114)는, 약액 주입기(1000)를 전방 또는 후방에서 볼 때, 대략 환형(環形)을 형성한다.

[60]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하우징 바디(1100)의 그립부(1111)를 손바닥에 위치시키고 그립부(1111)를 손가락으로 감싸쥐는 방식으로 약액 주입기(1000)를 잡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하우징 바디(1100)의 그립부(1111)를 감싸쥔 상태에서, 사용자는 예컨대 엄지손가락을 하우징 바디(1100)의 삽입구(1113)에 삽입하여 누름 버튼(1220)을 누를 수 있다. 하우징 바디(1100)의 그립부(1111)가 원통 형상을 가지므로, 사용자는 이물감 없이 그립부(1111)를 쥘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1000)는 사용자 편의성을 현저하게 증대시킨다. 또한, 누름 버튼(1220)이 버튼 보호 아암(1112)으로 보호되고, 삽입구(1113)에 삽입된 손가락에 의해서만 조작되므로, 약액 주입기(1000)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작동할 수 없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는 약액의 의도하지 않은 투여를 방지할 수 있다.

[61]

레저버 모듈(1200)은 적어도 레저버 백(1210)과 레저버 백(1210)을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의 방향에서 누르기 위한 누름 버튼(1220)을 구비한다. 또한, 이 실시예와 같이, 레저버 모듈(1200)은 레저버 백(1210)을 수용하고 누름 버튼(1220)을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의 방향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저버 하우징(1230)을 구비한다. 약액은 레저버 백(1210)에 일시적으로 저장되며, 누름 버튼(1220)이 레저버 백(1210)을 하방으로 눌러서 레저버 백(1210) 내에 저장된 약액을 방출시킨다. 레저버 하우징(1230)은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을 따라 연장하는 원통형상을 가진다. 누름 버튼(1220)은 레저버 하우징(1230)에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을 따라 이동하도록 결합된다. 레저버 모듈(1200)이 하우징 바디(1100)에 결합되어 있을 때, 누름 버튼(1220)의 일부가 하우징 바디(1100)의 그립부(1111)의 상단에 마련된 버튼 슬롯(1123F, 1123R)을 통해 돌출하여 버튼 보호 아암(1112)의 사이에 위치한다. 누름 버튼(1220)이 레저버 하우징(1230)에 의해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을 따라서만 이동하므로, 누름 버튼(1220)은 하우징 바디(110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향하는 방향으로만 눌러질 수 있다. 또한, 버튼 보호 아암(1112)이 그립부(1111)로부터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을 따라 연장하므로, 누름 버튼(1220)은 상기 하우징 바디(1100)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는 방향 이외의 방향에서의 눌림 또는 접촉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62]

모세관 모듈(1300)은 하우징 바디(1100) 내에서 레저버 모듈(1200)의 아래에 위치한다. 모세관 모듈(1300)은 약액 공급 장치(100)의 공급 튜브(121C) 및 방출 튜브(121D)와 연결되며, 또한 레저버 백(1210)과 유체유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모세관 모듈(1300)은 전술한 약액 공급 장치(100)의 제1 공급로(SP1)의 일부를 구성하는 약액 유로를 가진다. 또한, 모세관 모듈(1300)은 제1 공급로(SP1)로부터 분기되고 레저버 백(1210)으로 약액이 들어가는 약액 유로와 레저버 백(1210)으로부터의 약액이 추가되는 약액 유로를 가진다.

[63]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1000)의 하우징 바디(1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64]

하우징 바디(1100)는 중심축(CA)을 기준으로 하여 외면의 형상이 거의 대칭인 한 쌍의 절반부 하우징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즉, 하우징 바디(1100)는 중심축(CA)을 기준으로 하여 하우징 바디(1100)의 전방의 절반부로 되는 제1 하우징(1120F)과, 중심축(CA)을 기준으로 하여 하우징 바디(1100)의 후방의 절반부로 되는 제2 하우징(1120R)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1120F)과 제2 하우징(1120R)은 끼워맞춤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제1 하우징(1120F)과 제2 하우징(1120R) 간의 끼워맞춤을 위해, 제1 하우징(1120F)은 그 가장자리에서 돌출하는 복수의 다월(dowel)(1124F)을 가지며, 제2 하우징(1120R)은 그 가장자리에 다월(1124F)이 끼워맞춤되는 복수의 다월 홀(1124R)을 가진다.

[65]

제1 하우징(1120F)은 그립부(1111)의 전방의 절반에 해당하는 제1 그립부(1121F)와 버튼 보호 아암(1112)의 전방의 절반에 해당하는 제1 버튼 보호 아암(1122F)을 구비한다. 또한, 제2 하우징(1120R)은 그립부(1111)의 후방의 절반에 해당하는 제2 그립부(1121R)와 버튼 보호 아암(1112)의 후방의 절반에 해당하는 제2 버튼 보호 아암(1122R)을 구비한다. 제1 하우징(1120F)의 제1 그립부(1121F)의 상단에는 아치형의 버튼 슬롯(1123F)이 형성되어 있고, 제2 하우징(1120R)의 제2 그립부(1121R)의 상단에는 아치형의 버튼 슬롯(1123R)이 형성되어 있다. 레저버 모듈(1200)이 하우징 바디(1100)에 조립되면, 누름 버튼(1220)은 버튼 보호 아암(1112)의 사이에서 버튼 슬롯(1123F, 1123R) 내에 이동가능하게 위치한다.

[66]

레저버 모듈(1200)과 모세관 모듈(1300)은 하우징 바디(1100)내에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을 따라 배치된다. 하우징 바디(1100)는 레저버 모듈(1200)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상방 수용부(1115U)와 모세관 모듈(1300)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하방 수용부(1115L)를 구비한다. 하우징 바디(1100)는 그 내면에 레저버 모듈(1200)을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돌기부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저버 모듈용 돌기부의 예로서, 제1 하우징(1120F)은 그 내면에, 레저버 하우징(1230)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 리브(1125FL)와, 레저버 하우징(1230)의 일부에 삽입되는 삽입 리브(1125FU)와 레저버 하우징(1230)의 상단이 접촉하는 걸림 리브(1126F)를 가진다. 또한, 상기 레저버 모듈용 돌기부의 예로서, 제2 하우징(1120R)은 그 내면에, 레저버 하우징(1230)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 리브(1125RL)와, 레저버 하우징(1230)의 일부에 삽입되는 삽입 리브(1125RU)와, 레저버 하우징(1230)의 상단이 접촉하는 걸림 리브(1126R)를 가진다. 하우징 바디(1100)는 그 내측에 모세관 모듈(1300)을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돌기부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 모듈용 돌기부의 예로서, 제1 하우징(1120F)은 그 내면에, 모세관 모듈(1300)의 제1 및 제2 플로우 캡의 전면과 각각 접촉하는 접촉 리브(1127FU, 1127FL)를 가지며, 제2 하우징(1120R)은 그 내면에, 모세관 모듈(1300)의 제1 및 제2 플로우 캡의 후면과 접촉하는 지지 리브(1128R)를 가진다.

[67]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1100)를 측방에서 볼 때, 버튼 보호 아암(1112)은 그립부(1111)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진다. 따라서, 제1 하우징(1120F)의 외면에는 제1 그립부(1121F)로부터 제1 버튼 보호부(1122F)로 천이하는 천이면(1116F)이 형성되고, 제2 하우징(1120R)의 외면에는 제2 그립부(1121R)로부터 제2 버튼 보호부(1122R)로 천이하는 천이면(1116R)이 형성된다. 천이면(1116F, 1116R)에는 제조업체명, 1회 주입량 등의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 또는 숫자가 양각 또는 음각될 수 있다.

[68]

약액 공급 장치(100)의 제1 공급로(SP1)를 구성하는 튜브중 약액 주입기(1000)와 연결되는 공급 튜브(121C)와 방출 튜브(121D)는 하우징 바디(1100)의 하단 가장자리에 끼워진다. 공급 튜브(121C)와 방출 튜브(121D)를 하우징 바디(1100)에 고정하기 위해,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하우징(1120R)의 하단의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U자형의 튜브 고정 리세스(1117R)가 형성되어 있고, 제1 하우징(1120F)의 하단의 가장자리에는 튜브 고정 리세스(1117R)에 각각 삽입되어 공급 튜브(121C)와 방출 튜브(121D)를 튜브 고정 리세스(1117R)에 각각 고정하는 한 쌍의 튜브 고정 돌기(1117F)가 형성되어 있다. 튜브 고정 리세스(1117R)의 깊이는 공급 튜브(121C)와 방출 튜브(121D)의 외경보다 크다. 따라서, 약액 주입기(1000)의 조립 시 제2 하우징(1120R)에 모세관 모듈(1300)을 위치시킬 때, 공급 튜브(121C)와 방출 튜브(121D)가 튜브 고정 리세스(1117R) 내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튜브 고정 리세스(1117R)의 깊이는 튜브 고정 돌기(1117F)의 돌출 길이보다 깊으며, 튜브 고정 돌기(1117F)는 그 선단에 공급 튜브(121C) 및 방출 튜브(121D)의 외면에 대응하는 곡면을 가진다. 따라서, 제1 하우징(1120F)과 제2 하우징(1120R)이 상호 조립되면, 공급 튜브(121C)와 방출 튜브(121D)는 튜브 고정 리세스(1117R) 내에 튜브 고정 돌기(1117F)에 의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69]

도 4 내지 도 7 및 도 13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1000)의 레저버 모듈(12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70]

레저버 모듈(1200)은 약액 공급 장치(100)의 약액 챔버(111)로부터 공급된 소정량의 약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누름 버튼(1220)의 눌림에 의해 저장된 약액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레저버 모듈(1200)은, 약액 공급 장치(100)의 제1 공급로(SP1)를 통해 공급된 약액을 저장하는 레저버 백(1210)과, 레저버 백(1210) 내의 약액을 방출시키기 위해 레저버 백(1210)을 누르기 위한 누름 버튼(1220)과, 레저버 백(1210)을 수용하고 누름 버튼(1220)을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저버 하우징(1230)을 구비한다. 또한, 레저버 모듈(1200)은, 레저버 백(1210)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판(1240)과, 레저버 백(1210)의 상면의 일부에만 면접촉하여 누름 버튼(1220)의 눌림에 의해 레저버 백(1210)을 누르는 누름판(1250)과, 레저버 백(1210)으로 약액이 공급되는 튜브 또는 레저버 백(1210)으로부터 약액이 방출되는 튜브를 누름 버튼(1220)의 이동에 연동하여 개방하고 폐색하는 로커(locker)(1260)를 구비한다.

[71]

레저버 백(1210)은 예컨대 PVC로 이루어진 2매의 쉬트(1210U, 1210L)를 그 둘레를 따라 고주파 융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레저버 백(1210)은, 상방에서 볼 때 대략 원형인 저장부(1211)와, 저장부(121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입구 플랩(1212)과 입구 플랩(1212)과 대향하여 저장부(121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출구 플랩(1213)을 가진다. 저장부(1211)는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을 따라 팽창하고 수축하며, 그 내부(1211I)에 약액을 저장한다. 입구 플랩(1212)의 내부에는 입구 플랩(1212)의 끝으로부터 저장부(1211)의 내부(1211I)로 연장하는 입구 유로(1212FW)가 형성되어 있고, 출구 플랩(1213)의 내부에는 출구 플랩(1213)의 끝으로부터 저장부(1211)의 내부(1211I)로 연장하는 출구 유로(1213FW)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레저버 백(1210)은 입구 플랩(1212)의 입구 유로(1212FW)에 연결되는 입구 튜브(1214IT)와 출구 플랩(1213)의 출구 유로(1213FW)에 연결되는 출구 튜브(1214OT)를 가진다. 입구 튜브(1214IT)는 모세관 모듈(1300)의 제2 플로우 캡의 입구 튜브 포트에 연결되어, 약액 공급 장치(100)의 공급 튜브(121C)에 유체유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구 튜브(1214OT)는 모세관 모듈(1300)의 제2 플로우의 캡의 출구 튜브 포트에 연결되어, 약액 공급 장치(100)의 방출 튜브(121D)에 유체유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출구 튜브(1214OT)는 그 중간에서 로커(1260)와 레저버 하우징(1230)의 하면에 마련되는 누름판과의 사이에서 협지된다. 레저버 백(1210)은 레저버 하우징(1230)의 바닥(1231B)상에 지지판(1240)을 개재하여 위치한다.

[72]

레저버 하우징(1230)은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과 동축을 가지는 또는 중심축(CA)에 평행한 중심축을 가지는 원통체를 포함하며, 그 안에 원통형의 수용부를 가진다. 레저버 하우징(1230)의 상단은 개방되어 있고 하단은 폐쇄되어 있다. 레저버 하우징(1230)은 원형의 바닥(1231B)과, 바닥(1231B)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원통형의 측벽(1231SW)을 가진다. 레저버 하우징(1230)의 측벽(1231SW)의 상단에는, 누름 버튼(1220)의 일부가 걸리는 후크 형상의 버튼 스토퍼(1232)가 형성되어 있다. 버튼 스토퍼(1232)는 누름 버튼(1220)의 버튼 보호 아암(1112) 쪽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며, 누름 버튼(1220)이 레저버 하우징(1230)으로부터 상방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버튼 스토퍼(1232)의 양측부가 측벽(1231SW)의 상단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버튼 스토퍼(1232)는 레저버 하우징(1230)의 내측과 외측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다. 레저버 하우징(1230)은 바닥(1231B)에 인접하여 레저버 하우징(1230)의 둘레방향으로 연장하는 삽입 슬롯(1233)과 삽입 슬롯(1233)의 양단에 위치하는 개구(1234L, 1234R)를 구비한다. 삽입 슬롯(1233)과 개구(1234L, 1234R)는 측벽(1231SW)을 관통해 형성되어 있다. 삽입 슬롯(1233)은 레저버 하우징(1230)의 중심축(또는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을 중심으로 하여 180도 이상의 각도로 연장하며, 지지판(1240)의 두께와 수축된 레저버 백(1210)의 두께를 합한 두께보다 큰 폭을 가진다.

[73]

레저버 모듈(1200)은 레저버 하우징(1230)이 하우징 바디(1100)의 내부에 고정되어 하우징 바디(1100)의 내부에 조립된다. 레저버 모듈(1200)은, 레저버 하우징(1230)이 제1 하우징(1120F)의 걸림 리브(1126F)와 지지 리브(1125FL)의 사이에 또한 제2 하우징(1120R)의 걸림 리브(1126R)와 지지 리브(1125RL)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1 하우징(1120F)의 삽입 리브(1125FU)와 제2 하우징(1120R)의 삽입 리브(1125RU)가 레저버 하우징(1230)의 삽입 슬롯(1233)에 삽입되는 식으로 하우징 바디(1100)의 내부에 수용된다. 레저버 모듈(1200)이 하우징 바디(1100)에 수용되면, 지지 리브(1125FL, 1125RL)가 레저버 하우징의 바닥(1231B)의 하면을 지지하고, 레저버 하우징의 측벽(1231SW)의 상단은 걸림 리브(1126F)와 걸림 리브(1126R)에 접촉할 수 있다.

[74]

지지판(1240)은 레저버 하우징(1230)의 바닥(1231B)과 레저버 백(1210)의 하면의 사이에 배치된다. 지지판(1240)은 삽입 슬롯(1233)을 통해 레저버 하우징(1230)의 내부로 삽입된다. 지지판(1240)의 하면의 중앙에는 보스(1241)가 돌출해 있고, 레저버 하우징(1230)의 바닥(1231B)의 상면의 중앙에는 보스(1241)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1240)이 레저버 하우징(1230)에 삽입된 후, 레저버 백(1210)이 삽입 슬롯(1233)을 통해 레저버 하우징(1230)의 내부로 삽입되며, 지지판(1240)의 상면 상에 위치한다. 레저버 백(1210)이 레저버 하우징(1230) 내부에 수용되면, 입구 플랩(1212)과 출구 플랩(1213)은 개구(1234L, 1234R)를 통해 레저버 하우징(1230)의 외부로 돌출한다. 레저버 백(1210)이 삽입 슬롯(1233)을 통해 레저버 하우징(1230)의 내부에 수용되므로, 입구 튜브(1214IT)와 출구 튜브(1214OT)가 부착된 레저버 백(1210)은 용이하게 레저버 하우징(123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판(1240)은 레저버 하우징(1230)의 바닥(1231B)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는, 레저버 백(1210)은 레저버 하우징(1230)의 바닥 상에 위치한다.

[75]

누름판(1250)은 누름 버튼(1220)과 레저버 백(1210)의 상면의 사이에 배치된다. 누름판(1250)은 누름 버튼(1220)의 눌림(누름 버튼(1220)의 중심축(CA)에 따른 하방 이동)에 의해 레저버 백(1210)을 누른다. 누름판(1250)은 레저버 하우징(1230)의 상단으로부터 레저버 하우징(1230)의 내부로 삽입되어 레저버 백(1210) 위에 위치한다. 누름판(1250)은 레저버 백(1210)의 상면의 일부에만 면접촉하는 쿠션 부재(1251)와 쿠션 부재(1251)를 유지하는 홀더(1252)를 구비한다. 홀더(1252)는 대략 측벽(1231SW)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원판(1252P)과 원판(1252P)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1252F)를 가진다. 쿠션 부재(1251)는 홀더(1252)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고정되며 예컨대 고무 재료로 이루어진다. 쿠션 부재(1251)는 홀더(1252)에 끼워맞춤되는 원판 형상의 끼워맞춤부(1251F)와, 끼워맞춤부(1251F)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고 레저버 백(1210)의 상면이 일부와 면접촉하며 원판 형상을 가지는 누름부(1251P)를 구비한다. 쿠션 부재(1251)의 누름부(1251P)의 직경은, 레저버 백(1210)의 저장부(1211)의 직경보다 작다.

[76]

누름 버튼(1220)은 레저버 하우징(1230)에 누름 버튼(1220)이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누름 버튼(1220)은 레저버 하우징(1230)의 내부에 끼워지는 원형의 기부(1221)와, 기부(122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버튼부(1222)와, 기부(122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로커(1260)를 구동하는 구동 아암(1223)을 구비한다. 기부(1221)는 원판부(1221P)와 원판부(1221P)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부(1221F)를 가진다. 원판부(1221P)의 직경은 홀더(1252)의 원판(1252P)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다. 원판부(1221P)의 상면에는 레저버 하우징(1230)의 상단에 마련된 버튼 스토퍼(1232)에 걸리는 스토퍼 시트(1221S)가 형성되어 있다. 버튼부(1222)는 기부(1221)의 원판부(1221P)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며,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다. 버튼부(1222)의 상면의 중앙에는 코터(1400)의 삽입돌기가 끼워지는 리세스(1222R)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 아암(1223)은 기부(1221)의 플랜지부(1221F)로부터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에 평행하게 또는 레저버 하우징(1230)의 중심축에 평행하게 하방으로 연장한다.

[77]

누름 버튼(1220)은 기부(1221)가 레저버 하우징(1230) 내에 수용된 채로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다. 누름 버튼(122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레저버 하우징(1230)은 중심축(CA)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레저버 하우징(1230)의 측벽(1231SW)을 관통해 형성된 가이드 슬롯(1235)를 구비한다. 또한, 레저버 하우징(1230)은 하단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측면이 가이드 슬롯(1235)의 일측면과 동일 평면으로 되는 보강 레버(1236)를 구비한다. 구동 아암(1223)이 로커(1260)를 구동할 때 구동 아암(1223)의 측면이 보강 레버(1236)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어, 구동 아암(1223)의 휨이 방지된다. 누름 버튼(1220)은 구동 아암(1223)이 가이드 슬롯(123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진 채로 레저버 하우징(1230)에 대해 유지된다. 구동 아암(1223)은 가이드 슬롯(1235)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드한다.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가이드 슬롯(1235)이 구동 아암(1223)을 구속하므로, 누름 버튼(1220)은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의 방향에서만 이동가능하다. 누름 버튼(1220)은 누름 버튼(1220)을 상방으로 바이어스하는 바이어스 수단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누름 버튼(1220)의 상기 바이어스 수단으로서, 누름 버튼(1220)은 기부(1221)의 내부에 위치하고 기부(1221)의 하면과 홀더(1252)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버튼 스프링(1224)을 구비한다. 버튼 스프링(1224)은 압축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소정량 압축된 상태로 누름 버튼(1220)의 기부(1221)와 홀더(1252)의 상면 사이에 개재된다. 누름 버튼(1220)은 버튼 스프링(1224)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 바디(1100)의 버튼 보호 아암(1112) 쪽으로 바이어스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눌린 후 원위치로 복귀한다.

[78]

이 실시예에 있어서, 레저버 백(1210)의 저장부(1211)의 용량은 약 1cc로 정해져 있다. 약액 주입기(1000)로부터 전술한 코터(1400)를 제거하면, 레저버 백(1210)의 저장부(1211)는 약액으로 충전되면서 저장부(1211)는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의 방향에서 팽창한다. 저장부(1211)의 팽창에 의해 누름판(1250)과 누름 버튼(1220)은 하우징 바디(1100)의 상단 쪽으로 이동된다. 누름 버튼(1220)의 기부(1221)가 하우징 바디(1100)의 상단에 마련된 버튼 스토퍼(1232)에 접촉하면, 레저버 백(1210)의 저장부(1211)는 더 이상 팽창되지 못한다. 이 때의 저장부(1211)내에 저장된 약액의 양은 약 1cc로 된다. 이와 같이, 저장부(1211)의 팽창이 허용되는 공간의 중심축(CA)에 따르는 길이가 저장부(1211)의 아래에 위치한 지지판(1240)의 상면과 버튼 스토퍼(1232)에 접촉한 누름 버튼(1220)의 아래에 위치한 쿠션 부재(1251)의 하면 사이의 거리로 제한되므로, 저장부(1211)의 저장 용량에 대한 제어가 정밀하게 행해질 수 있다. 즉, 버튼 스토퍼(1232)의 위치를 하우징 바디(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르게 함으로써, 저장부(1211)의 저장 용량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하우징 바디(1100)의 길이방향에서의 쿠션 부재(1251)의 두께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저장부(1211)의 저장 용량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79]

로커(1260)는 레저버 하우징(1230)의 바닥(1231B)의 하면에 위치하며,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레저버 하우징(1230)에 결합된다. 로커(1260)는 레저버 백(1210)의 입구 튜브(1214IT) 또는 출구 튜브(1214OT)를 개방하고 폐색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로커(1260)는 누름 버튼(1220)의 하방 이동(즉, 사용자가 누름 버튼(1220)을 누르는 방향에서의 누름 버튼(1220)의 이동)에 연동하여 레저버 백(1210)으로부터 연장하는 출구 튜브(1214OT)를 개방하고, 누름 버튼(1220)의 상방 이동(즉, 버튼 스프링(1224)의 복원력에 의한 누름 버튼(1220)의 이동)에 연동하여 레저버 백(1210)의 출구 튜브(1214OT)를 폐색한다.

[80]

로커(1260)는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레저버 하우징(12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킹 레버(1261)와, 로킹 레버(1261)를 레저버 백(1210)의 출구 튜브(1214OT)를 눌러 폐색하도록 바이어스하는 로커 스프링(1262)을 구비한다. 로킹 레버(1261)는 누름 버튼(1220)의 구동 아암(1223)에 의해 회전된다. 로킹 레버(1261)는 축구멍(1261H)과, 축구멍(1261H)에서 연장하고 누름 버튼(1220)의 구동 아암(1223)과 접촉하는 피동 아암(1261DA)과, 축구멍(1261H)에서 피동 아암(1261DA)의 반대쪽으로 연장하고 레저버 백(1210)의 출구 튜브(1214OT)를 누르는 누름 아암(1261PA)을 가진다. 또한, 누름 버튼(1220)의 구동 아암(1223)의 단부 및 측부와 접촉하는 피동 아암(1261DA)의 일부는 사면(1261IS)으로 되어 있고, 누름 아암(1261PA)은 레저버 백(1210)의 출구 튜브(1214OT)를 눌러 폐색하는 쐐기형상의 누름부(1261PP)를 가진다. 사면(1261IS)은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에 대하여 약 20도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또한, 로킹 레버(1261)는 누름 아암(1261PA)에서 누름부(1261PP)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홀더(1261SH)를 가진다. 또한, 로킹 레버(1261)는 피동 아암(1261DA)에서 사면(1261IS)의 반대쪽에 형성되고 피동 아암(1261D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보강 리브(1261RR)를 가진다. 또한, 로킹 레버(1261)는 그 상면 및 하면에 피동 아암(1261DA)에 형성되는 마찰 저감용 리브(1261FR)와 누름 아암(1261PA)에 형성되는 마찰 저감용 리브(1261FR)를 가진다. 레저버 모듈(1200)이 하우징 바디(1100) 내에 수용되면, 로킹 레버(1261)는 마찰 저감용 리브(1261FR)를 통해 레저버 하우징(1230)의 바닥(1231B)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고, 제2 하우징(1120R)의 지지 리브(1128R)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로킹 레버(1261)는 직선형을 가지나, 다른 실시예의 로킹 레버는 피동 아암(1261DA)과 누름 아암(1261PA)이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져 있는 L자형 또는 V자형을 가질 수 있다.

[81]

로킹 레버(126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레저버 하우징(1230)의 바닥(1231B)의 하면에는 로킹 레버(1261)의 축구멍(1261H)에 끼워지는 회전축(1231RS)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1231RS)은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의 방향 또는 레저버 하우징(1230)의 중심축의 방향으로 연장한다. 또한, 로킹 레버(1261)와의 협력을 위해, 레저버 하우징(1230)은 바닥(1231B)의 하면에 형성되는 누름판(1231PP), 튜브 홀더(1231TH) 및 스프링 홀더(1231SH)를 가진다. 누름판(1231PP)은 로킹 레버(1261)의 누름부(1261PP)와 대향하도록 바닥(1231B)의 저면에 위치한다. 레저버 하우징(1230)의 스프링 홀더(1231SH)는 로킹 레버(1261)의 스프링 홀더(1261SH)와 대향하도록 바닥(1231B)의 하면에 위치하며, 로커 스프링(1262)은 그 양단에서 레저버 하우징(1230)의 스프링 홀더(1231SH)와 로킹 레버(1261)의 스프링 홀더(1261SH)에 결합된다. 로커 스프링(1262)은 압축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소정량 압축된 상태로 레저버 하우징(1230)의 스프링 홀더(1231SH)와 로킹 레버(1261)의 스프링 홀더(1261SH)의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로커 스프링(1262)에 의해, 구동 아암(1223)에 의해 피동 아암(1261DA)이 회전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로킹 레버(1261)가 바이어스된다. 즉, 로커 스프링(1262)은 누름부(1261PP)를 누름판(1231PP) 쪽으로 바이어스하도록 로킹 레버(1261)에 복원력을 인가한다.

[82]

이 실시예에서는, 출구 튜브(1214OT)를 고정하고 폐색하기 위한 회전축(1231RS), 누름판(1231PP), 튜브 홀더(1231TH), 스프링 홀더(1231SH) 등이 레저버 하우징(123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출구 튜브(1214OT)의 고정과 폐색을 위한 부품들이 하나의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레저버 하우징(1230)의 바닥(1231B)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로킹 레버(1261)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1231RS)이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레저버 하우징(1230)의 바닥(1231B)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축(1231RS)은 중심축(CA)에 평행하게 바닥(1231B)의 임의의 곳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로킹 레버(1261)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1231RS)은 레저버 하우징의 사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 누름 버튼(1220)의 구동 아암(1223)과 로킹 레버(1261)가 이루는 사잇각은 90도 이상이 될 수 있다.

[83]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저버 백(1210)의 출구 튜브(1214OT)의 일부는 튜브 홀더(1231TH)에 끼워지며, 또 다른 일부는 로킹 레버(1261)의 누름부(1261PP)와 레저버 하우징(1230)의 누름판(1231PP)의 사이에 개재된다. 로킹 레버(1261)는 로커 스프링(1262)의 복원력에 의해 출구 튜브(1214OT)를 폐색하는 폐색 위치와, 누름 버튼(1220)의 구동 아암(1223)의 하방 이동에 연동하여 출구 튜브(1214OT)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다. 로킹 레버(1261)의 폐색 위치에서, 구동 아암(1223)은 로킹 레버(1261)의 사면(1261IS)의 상방에 위치하여 사면(1261IS)과 접촉하지 않는다. 누름 버튼(1220)이 중심축(CA)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여 구동 아암(1223)이 로킹 레버(1261)의 사면(1261IS)과 접촉함에 따라, 로킹 레버(1261)는 구동 아암(1223)이 사면(1261IS)에 가하는 힘에 대한 반작용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사면(1261IS)을 가지는 피동 아암(1261DA)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누름 아암(1261PA)이 누름판(1231PP)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하여, 출구 튜브(1214OT)를 개방한다. 반대로, 누름 버튼(1220)이 버튼 스프링(1224)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면, 로커 스프링(1262)의 복원력에 의해 누름 아암(1261PA)은 누름판(1231PP) 쪽으로 이동하여 출구 튜브(1214OT)를 폐색한다.

[84]

도 4 내지 도 7 및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1000)의 모세관 모듈(13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85]

모세관 모듈(1300)에는 약액 공급 장치(100)의 제1 공급로(SP1)의 일부가 위치한다. 또한, 레저버 백(1210)에의 약액의 공급과 레저버 백(1210)으로부터 약액의 방출을 위한 제2 공급로(SP2)의 일부가 모세관 모듈(1300)에 위치한다. 모세관 모듈(1300)은 하우징 바디(1100) 내에 레저버 모듈(1200)의 아래에 배치되며 하우징 바디(1100)에 고정된다.

[86]

이 실시예에 있어서, 모세관 모듈(1300)은 한 쌍의 제1 및 제2 모세관(1311, 1312))과, 제1 모세관(1311)을 지나는 제1 약액 유로(1321)와, 제2 모세관(1312)을 지나는 제2 약액 유로(1322)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모세관(1311, 1312)은 예컨대 유리 재료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뚫린 약 0.001mm 내지 약 0.01mm 직경의 유로를 가진다. 제1 약액 유로(1321)는 약액 공급 장치(100)의 공급 튜브(121C)로부터 레저버 백(1210)으로 약액이 공급되는 유로이다. 제2 약액 유로(1322)는 공급 튜브(121C)로부터 방출 튜브(121D)로 약액이 흐르고 또한 레저버 백(1210)에 저장된 약액이 누름 버튼(1220)의 눌림에 의해 추가되는 유로이다. 또한, 모세관 모듈(1300)은 제1 및 제2 모세관(1311, 1312)을 지지하고 제1 및 제2 약액 유로(1321, 1322)를 형성하기 위한 제1 플로우 캡(1330)과 제2 플로우 캡(1340)을 구비한다.

[87]

제1 플로우 캡(1330)은 모세관 모듈(1300)의 하단에 위치하며, 약액 공급 장치(100)의 공급 튜브(121C)에 연결된다(도 13 참조). 제1 플로우 캡(1330)은 측방에서 볼 때 대략 L자형을 가진다. 제1 플로우 캡(1330)은 약액 공급 장치(100)의 공급 튜브(121C)가 연결되는 공급 튜브 포트(1331)와 제1 및 제2 모세관(1311, 1312)이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모세관 포트(1332L, 1332R)를 구비한다. 또한,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플로우 캡(1330)은 그 안에 공급 튜브 포트(1331)로부터 모세관 포트(1332L, 1332R)로 연장하고 중간에서 두갈래로 분기되는 약액 통로(1333)를 구비한다. 제1 약액 유로(1321)와 제2 약액 유로(1322)는 제1 플로우 캡(1330)의 약액 통로(1333)를 지난다.

[88]

제2 플로우 캡(1340)은 모세관 모듈(1300)의 상단에 위치하며, 약액 공급 장치(100)의 방출 튜브(121D), 레저버 백(1210)의 입구 튜브(1214IT) 및 출구 튜브(1214OT)와 연결된다(도 13 참조). 제2 플로우 캡(1340)은 측방에서 볼 때 대략 U자형을 가진다. 제2 플로우 캡(1340)은 제1 및 제2 모세관(1311, 1312)이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모세관 포트(1341L, 1341R)와, 약액 공급 장치(100)의 방출 튜브(121D)가 연결되는 방출 튜브 포트(1342)와, 레저버 백(1210)의 입구 튜브(1214IT)가 연결되는 입구 튜브 포트(1343)와, 레저버 백(1210)의 출구 튜브(1214OT)가 연결되는 출구 튜브 포트(1344)를 구비한다. 또한,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플로우 캡(1340)은 그 안에 약액이 흐르는 약액 통로(1345L, 1345R)를 구비한다. 제2 플로우 캡(1340)의 약액 통로(1345L)는 모세관 포트(1341L)로부터 입구 튜브 포트(1343)로 연장한다. 제2 플로우 캡(1340)의 약액 통로(1345R)는 모세관 포트(1341R)로부터 방출 튜브 포트(1342)와 출구 튜브 포트(1344)로 연장한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액 통로(1345R)는 방출 튜브 포트(1342)와 출구 튜브 포트(1344)로 분기되어 있다. 따라서, 약액 주입기(1000)의 누름 버튼(1220)이 눌리지 않을 때, 약액 공급 장치(100)의 약액 챔버(111)로부터의 약액은 제1 플로우 캡(1330)의 공급 튜브 포트(1331)와 모세관 포트(1332R)와, 제2 모세관(1312)과, 제2 플로우 캡(1340)의 모세관 포트(1341R)와, 약액 통로(1345R)와, 방출 튜브 포트(1342)를 지나 유동한다. 즉, 약액 주입기(1000)의 누름 버튼(1220)이 눌리지 않을 때, 약액은 제2 약액 유로(1322)를 통해 유동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약액 주입기(1000)의 누름 버튼(1220)을 누르면, 레저버 백(1210)으로부터의 추가의 약액이 출구 튜브 포트(1344)를 통해 제2 플로우 캡(1340)으로 유입하고, 제2 모세관(1312)을 통해 유입한 약액 공급 장치(100)의 약액 챔버(111)로부터의 약액과 함께 방출 튜브 포트(1342)를 통해 약액 공급 장치(100)의 방출 튜브(121D)로 들어간다.

[89]

약액 주입기(1000)는 약액 주입기(1000)를 사용전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코터(1400)를 구비한다. 코터(1400)는 누름 버튼(1220)을 눌러 레저버 백(1210)을 최소로 수축시키도록 버튼 보호 아암(1112)에 제거가능하게 위치한다. 이러한 코터는 파단에 의해 버튼 보호 아암(1112)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거나, 또는 버튼 보호 아암(1112)에 끼워맞춤된 코터를 버튼 보호 아암(1112)으로부터 잡아당김으로써 버튼 보호 아암(1112)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90]

도 3 및 도 24에 도시하는 코터(1400)는 파단 가능하며, 버튼 보호 아암(1112)의 내면과 누름 버튼(1220)의 상면 사이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코터(1400)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상을 가지며, 상단의 중앙에 삽입돌기(1411)와 하단의 중앙에 삽입돌기(1412)를 가진다. 상단 중앙의 삽입돌기(1411)는 연결부(1114)의 상측 내면에 형성된 리세스(1114R)에 삽입되고, 하단 중앙의 삽입돌기(1412)는 누름 버튼(1220)의 버튼부(1222)의 상면에 형성된 리세스(1222R)에 삽입된다. 또한, 코터(1400)는 그 전면과 뒷면의 중앙에 횡방향으로 연장하며 코터(1400)의 파단을 위한 V형 홈(1421, 1422)을 구비한다. 사용자가 V형 홈(1421, 1422) 중 어느 하나에 손가락이나 적절한 도구를 이용해 힘을 가하면, 코터(1400)는 V형 홈(1421, 1422)으로부터 파단될 수 있다. 또한, 전면의 V형 홈(1421)과 후면의 V형 홈(1422)은 코터(1400)를 측방에서 볼 때 서로 이격되어 있다. 코터(1400)의 전면과 후면에는 사용자에게 방향을 알려주기 위한 마크, 예컨대 “PUSH”와 같은 문자가 양각 또는 음각될 수 있다. 또한, 코터(1400)는 상단 중앙의 삽입돌기(1411)의 아래에 관통공(1430)을 가지며, 관통공(1430)에는 약액 주입기 또는 코터의 사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가 부착될 수 있다.

[91]

코터(1400)가 버튼 보호 아암(1112)과 누름 버튼(1220)의 사이에 고정되면, 누름 버튼(1220)의 눌림에 의해 레저버 백(1210)은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의 방향에서 최소로 수축된다. 즉, 코터(1400)의 형상과 치수는 레저버 백(1210)을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의 방향에서 최소로 수축시키도록 정해져 있다. 따라서,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터(1400)가 버튼 보호 아암(1112)과 누름 버튼(1220)의 사이에 고정되면, 레저버 백(1210)은 쿠션 부재(1251)에 의해 완전히 눌려 레저버 백(1210)의 상측 시트(1210U)와 하측 시트(1210L)는 서로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레저버 백(1210)의 저장부(1211)의 직경이 쿠션 부재(1251)의 직경보다 크므로, 쿠션 부재(1251)의 둘레방향을 따라 레저버 백(1210)의 저장부(1211)에는 상측 시트(1210U)와 하측 시트(1210L)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모세관 모듈(1300)과 레저버 모듈(1200)이 배치되고 코터(1400)가 누름 버튼(1220)과 버튼 보호 아암(1112)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전 상태에 있는 약액 주입기(1000)가 약액 공급 장치(100)와 연결된다. 약액 공급 장치(100)를 환자에게 사용하기 전에, 약액 공급 장치(100)의 튜브 내에 있는 공기 및 약액 주입기(1000)의 레저버 백(1210) 및 튜브 내에 있는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프라이밍(priming) 작업이 행해져야 한다. 약액 공급 장치(100)의 약액 챔버(111)로부터 커넥터(125) 쪽으로 약액이 흐르게 하면, 약액 주입기(1000)의 내부에 위치한 여러 튜브를 약액이 흐르면서 상기 프라이밍 작업이 약액 주입기(1000) 내에서 행해진다. 특히, 누름 버튼(1220)이 코터(1400)에 의해 최소로 수축되도록 눌린 상태에서는, 레저버 백(1210)의 저장부(1211)에는 쿠션 부재(1251)에 의해 쿠션 부재(1251)의 둘레를 따라서 링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프라이밍을 위해 약액이 레저버 백(1210)을 통과할 때, 레저버 백(1210)의 저장부(1211)의 대부분은 막혀 있고 상기 링 형상의 공간을 통해서만 약액이 저장부(1211)를 통과하므로, 레저버 백(1210)에 대한 프라이밍 작업 또한 신뢰성 높게 행해진다. 프라이밍 작업이 완료된 후 약액 주입기(1000)는 코터(1400)를 제거함으로써 사용 상태로 된다.

[92]

코터(1400)를 제거하면, 약액이 레저버 백(1210)의 저장부(1211)에 충전되고 레저버 백(1210)은 하우징 바디(1100)의 중심축(CA)의 방향에서 팽창하면서 누름판(1250)과 누름 버튼(1220)을 하우징 바디(1100)의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누름 버튼(1220)의 기부(1221)가 레저버 하우징(1230)의 상단에 위치하는 버튼 스토퍼(1232)에 접촉하면, 약액 주입으로 인한 레저버 백(1210)의 팽창이 종료한다.

[93]

다른 예의 코터는, 누름 버튼(1220)이 눌려 레저버 백(1210)을 최소로 수축시키도록, 버튼 보호 아암(1112)에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잡아당김에 의해 버튼 보호 아암(1112)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26은 이러한 코터의 예를 도시한다. 도 26에 도시하는 코터(2400)는 열쇠 형상을 가지며 버튼 보호 아암(1112)에 그립부(111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끼워맞춤되고 그립부(111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잡아당겨 제거될 수 있다.

[94]

코터(2400)는 그립부(1111)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갖는 핀 바디(2410)를 구비한다. 버튼 보호 아암(1112)의 각각에는 핀 바디(2410)가 끼워맞춤에 의해 통과하는 코터 구멍(1112C)이 형성되어 있다. 코터(2400)의 핀 바디(2410)는 첨예한 일단을 가지며, 이러한 일단에 한 쌍의 사면(2411, 2412)을 가진다. 핀 바디(2410)는 그 측면(2413)에서 누름 버튼(1220)을 누른다. 또한, 핀 바디(2410)는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원형의 타단부(2414)를 가지며, 타단부(2414)에는 관통공(2430)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2430)에는 약액 주입기 또는 코터의 사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가 부착될 수 있다.

[95]

코터(2400)의 핀 바디(2410)가 코터 구멍(1112C)을 관통해 버튼 보호 아암(1112)에 그립부(111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끼워맞춤되면서, 핀 바디(2410)가 누름 버튼(1220)을 눌러 레저버 백(1210)을 최소로 수축시킨다. 핀 바디(2410)를 버튼 보호 아암(1112)으로부터 잡아당겨 코터(2400)를 버튼 보호 아암(1112)으로부터 제거하면, 전술한 코터(1400)의 작용과 마찬가지로, 약액이 레저버 백(1210)에 충전되고 약액주입기(1000)는 사용 상태로 된다.

[96]

전술한 실시예의 약액 주입기(1000)는 하우징 바디(1100)에 고정되는 레저버 모듈(1200)과 모세관 모듈(1300)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의 약액 주입기는 하우징 바디(1100)내에 레저버 모듈(1200)만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는, 모세관 모듈은 하우징 바디(11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약액 공급 장치(100)의 공급 튜브(121C)와 방출 튜브(121D)에 유체유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레저버 모듈(1200)의 레저버 백(1210)은 모세관 모듈과 두개의 튜브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97]

전술한 실시예의 약액 주입기(1000)에서의 버튼 보호 아암(1112)의 폭은 그립부(1111)의 폭보다 작다. 다른 실시예의 약액 주입기는 그립부(1111)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큰 폭을 가지는 버튼 보호 아암을 구비할 수 있다.

[98]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약액 주입기(1000)의 버튼 보호 아암(1112)은 그립부(1111)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약간의 곡률로 만곡하고 있고, 버튼 보호 아암(1112)은 연결부(1114)를 통해 일체로 되어, 버튼 보호 아암(1112)은 약액 주입기(1000)를 전방에서 볼 때 대략 환형을 취한다.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약액 주입기는 전술한 연결부(1114)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튼 보호 아암(1112A)은 그립부(1111)의 상단으로부터 거의 직선형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도 27에 예시하는 실시예에서는, 누름 버튼(1220)을 누르기 위한 코터는 버튼 보호 아암(1112A)에만 제거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99]

전술한 실시예의 약액 주입기(1000)의 그립부(1111)는 하우징 바디(1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형을 가진다. 다른 실시예의 약액 주입기의 그립부는 하우징 바디(1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각통형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립부(1111A)는 팔각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통 형상의 그립부의 예가 도 28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그립부는 횡단면 형상의 외곽형상이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되는 각통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약액 주입기의 그립부(1111B)는 타원통 형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기의 그립부는 원통형, 타원통형 또는 각통형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바디(1100)의 그립부에서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및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0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1]

[부호의 설명]

[102]

100 … 약액 공급 장치, 110 … 챔버 조립체, 111 … 약액 챔버, 112 … 가스발생기, 113 … 마개, 114 … 플런저, 120 … 튜브 조립체, 121A, 121B … 튜브, 121C … 공급 튜브, 121D … 방출 튜브, 122 … 밸브장치, 123 … 클램프, 124 … 필터, 125 … 커넥터, 1000 … 약액 주입기, 1100 … 하우징 바디, 1111, 1111A, 1111B … 그립부, 1112, 1112A … 버튼 보호 아암, 1112C … 코터 구멍, 1113 … 삽입구, 1114 … 연결부, 1114R … 리세스, 1115U … 상방 수용부, 1115L … 하방 수용부, 1116F … 천이면, 1116R … 천이면, 1117F … 튜브 고정 돌기, 1117R … 튜브 고정 리세스, 1120F … 제1 하우징, 1120R … 제2 하우징, 1121F … 제1 그립부, 1121R … 제2 그립부, 1122F … 제1 버튼 보호 아암, 1122R … 제2 버튼 보호 아암, 1123F … 버튼 슬롯, 1123R … 버튼 슬롯, 1124F … 다월, 1124R … 다월 홀, 1125FU, 1125RU … 삽입 리브, 1125FL, 1125RL … 지지 리브, 1126F, 1126R … 걸림 리브, 1127FU, 1127FL … 접촉 리브, 1128R … 지지 리브, 1200 … 레저버 모듈, 1210 … 레저버 백, 1210U, 1210L … 레저버 백의 쉬트, 1211 … 저장부, 1211I … 저장부의 내부, 1212 … 입구 플랩, 1212FW … 입구 유로, 1213 … 출구 플랩, 1213FW … 출구 유로, 1214IT … 입구 튜브, 1214OT … 출구 튜브, 1220 … 누름 버튼, 1221 … 기부, 1221P … 기부의 원판부, 1221F … 기부의 플랜지부, 1221S … 스토퍼 시트, 1222 … 버튼부, 1222R … 리세스, 1223 … 구동 아암, 1224 … 버튼 스프링, 1230 … 레저버 하우징, 1231B … 바닥부, 1231SW … 측벽부, 1231RS … 회전축, 1231PP … 누름판, 1231TH … 튜브 홀더, 1231SH … 스프링 홀더, 1232 … 버튼 스토퍼, 1233 … 삽입 슬롯, 1234L, 1234R … 개구, 1235 … 가이드 슬롯, 1236 … 보강 레버, 1240 … 지지판, 1241 … 보스, 1250 … 누름판, 1251 … 쿠션 부재, 1251F … 끼워맞춤부, 1251P … 누름부, 1252 … 홀더, 1252P … 홀더의 원판, 1252F … 홀더의 플랜지, 1260 … 로커, 1261 … 로킹 레버, 1261H … 축구멍, 1261DA … 피동 아암, 1261PA … 누름 아암, 1261IS … 사면, 1261PP … 누름부, 1261SH … 스프링 홀더, 1261RR … 보강 리브, 1261FR … 마찰 저감용 리브, 1262 … 로커 스프링, 1300 … 모세관 모듈, 1311 … 제1 모세관, 1312 … 제2 모세관, 1321 … 제1 약액 유로, 1322 … 제2 약액 유로, 1330 … 제1 플로우 캡, 1331 … 공급 튜브 포트, 1332L, 1332R … 모세관 포트, 1333 … 제1 플로우 캡의 약액 통로, 1340 … 제2 플로우 캡, 1341L, 1341R … 모세관 포트, 1342 … 방출 튜브 포트, 1343 … 입구 튜브 포트, 1344 … 출구 튜브 포트, 1345L, 1345R … 제2 플로우 캡의 약액 통로, 1400 … 코터, 1411, 1412 … 삽입 돌기, 1421, 1422 … V형 홈, 1430 … 관통공, 2400… 코터, 2410 … 핀 바디, 2411, 2412 … 사면, 2413 … 측면, SP1 … 약액의 제1 공급로, SP2 … 약액의 제2 공급로, CA … 하우징 바디의 중심축, LGP … 하우징 바디의 길이방향에서의 그립부의 길이, WGP … 하우징 바디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그립부의 폭



[1]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dicinal fluid injector which is connected to a supply tube to which medicinal fluid is supplied and a discharge tube from which medicinal fluid is discharged, so as to store and discharge medicinal fluid. The medicinal fluid injector has: a housing body which forms an outer body; and a reservoir module which is arranged inside the housing body, and stores and discharges medicinal fluid. The housing body has: a grip portion which forms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of which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width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ir of button protection arms which are positioned on one end of the housing body so as to be adjacent to the grip portion. The reservoir module is fixed to the housing body within the housing body. The reservoir module has: a reservoir bag which stores and discharges medicinal fluid; and a push button for discharging the medicinal fluid in the reservoir bag by pressing the reservoir bag. The reservoir bag is connected to the supply tube and the discharge tube so as to enable fluid flow. A part of the push button is positioned between the button protection arms, and the push button can move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housing body.

[2]



약액이 공급되는 공급 튜브와 약액이 방출되는 방출 튜브에 연결되어 상기 약액을 저장하고 방출하는 약액 주입기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축을 갖고, 외주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길이가 상기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폭보다 큰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에 인접하게 일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버튼 보호 아암을 구비하는 하우징 바디와,

상기 공급 튜브와 상기 방출 튜브에 유체유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약액을 저장하는 레저버 백과 일부가 상기 버튼 보호 아암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레저버 백을 눌러서 상기 레저버 백 내의 약액을 방출시키기 위한 누름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바디 내에 고정되는 레저버 모듈을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저버 백은 상기 공급 튜브에 유체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입구 튜브와 상기 방출 튜브에 유체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출구 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레저버 모듈은 상기 레저버 백을 수용하고 상기 누름 버튼을 상기 중심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저버 하우징과 상기 누름 버튼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레저버 백의 입구 튜브 및 출구 튜브 중 하나를 개방하고 폐색하는 로커를 더 구비하는

약액 주입기.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상기 레저버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입구 튜브 및 출구 튜브 중 하나를 누르는 로킹 레버와 상기 로킹 레버가 상기 입구 튜브 및 출구 튜브 중 하나를 누르도록 상기 로킹 레버를 바이어스하는 로커 스프링을 구비하는

약액 주입기.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로킹 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레저버 하우징은 상기 구동 아암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중심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가이드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로킹 레버는 상기 구동 아암과 접촉하는 피동 아암과 상기 입구 튜브 및 출구 튜브 중 하나를 누르는 누름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로커 스프링은 상기 구동 아암에 의해 상기 피동 아암이 회전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로킹 레버를 바이어스하는

약액 주입기.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아암의 적어도 측부와 접촉하는 상기 피동 아암의 일부는 사면으로 되고,

상기 사면은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약액 주입기.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저버 하우징은 상기 레저버 백이 놓이는 바닥과 상기 바닥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측벽과 상기 바닥에 인접하여 상기 측벽을 관통해 형성된 삽입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레저버 백은 상기 삽입 슬롯을 통해 상기 레저버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약액 주입기.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저버 모듈은 상기 레저버 하우징의 바닥과 상기 레저버 백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판을 더 구비하는

약액 주입기.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는 내면에, 상기 레저버 하우징의 바닥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 리브와 상기 레저버 하우징의 측벽의 상단이 접촉하는 걸림 리브와 상기 레저버 하우징의 삽입 슬롯에 삽입되는 삽입 리브를 구비하는

약액 주입기.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저버 하우징은 상기 누름 버튼의 상기 버튼 보호 아암 쪽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버튼 스토퍼를 구비하는

약액 주입기.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스토퍼는 상기 레저버 하우징의 내측과 외측으로 탄성 변형가능한

약액 주입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저버 모듈은 상기 레저버 백과 상기 누름 버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누름 버튼의 눌림에 의해 상기 레저버 백을 누르는 누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누름판은 상기 레저버 백의 상면의 일부에 면접촉하는 쿠션 부재를 구비하는

약액 주입기.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누름 버튼의 하면과 상기 누름판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누름 버튼을 상기 버튼 보호 아암 쪽으로 바이어스하는 버튼 스프링을 구비하는

약액 주입기.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보호 아암과 상기 누름 버튼의 사이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되는 코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터에 의해 상기 누름 버튼이 눌려 상기 레저버 백이 상기 중심축의 방향에서 최소로 수축되는

약액 주입기.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보호 아암에 상기 누름 버튼이 눌리도록 제거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코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터에 의해 상기 누름 버튼이 눌려 상기 레저버 백이 상기 중심축의 방향에서 최소로 수축되는

약액 주입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 내에 상기 레저버 모듈에 인접하게 고정되는 모세관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세관 모듈은 제1 모세관과, 상기 공급 튜브로부터 상기 제1 모세관을 통해 상기 레저버 백으로 약액이 공급되는 제1 약액 유로와, 제2 모세관과, 상기 공급 튜브로부터 상기 제2 모세관을 통해 상기 방출 튜브로 상기 약액이 흐르고 상기 레저버 백 내에 저장된 약액이 공급되는 제2 약액 유로를 구비하는

약액 주입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버튼 보호 아암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약액 주입기.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버튼 보호 아암은 환형을 형성하는

약액 주입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는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 바디의 절반부로 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 바디의 또 하나의 절반부로 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하단 가장자리에 한 쌍의 튜브 고정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하단 가장자리에 상기 튜브 고정 돌기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튜브 고정 돌기의 돌출 길이보다 깊은 한 쌍의 튜브 고정 리세스를 구비하는

약액 주입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의 상기 그립부에서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및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약액을 저장하는 약액 챔버를 가지는 챔버 조립체와,

상기 약액 챔버와 사용자를 연결하는 튜브 조립체와,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액 주입기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조립체는 상기 약액 챔버로부터 상기 약액 주입기로 상기 약액이 공급되는 공급 튜브와 상기 약액 주입기로부터 약액이 방출되는 방출 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약액 주입기의 레저버 백은 상기 공급 튜브 및 상기 방출 튜브에 유체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약액 공급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