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MAN BODY DETECTION SENSOR USING DOPPLER RADAR

28-12-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WO2017222245A1
Автор: KIM, Young-A
Принадлежит: 씨아이에스포유 주식회사
Контакты:
Номер заявки: KR63-00-201702
Дата заявки: 16-06-2017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한 인체 감지 센서
[1]

본 발명은 인체 감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한 인체 감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2]

인체와 같은 물체를 검출하는 인체 감지 센서로는 다양한 센서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초음파 센서 또는 자외선 센서는 실내 또는 현관 등에 초음파 또는 자외선을 방출하고, 실내 또는 현관 등에 사람이 있을 때와 없을 때, 그 초음파 또는 자외선의 반사 상태의 차이에 따라 인체 등의 유무를 감지한다. 또한, 적외선 센서는 현관 등의 천정에 설치되어 사람이 현관에 들어서면 사람의 몸에서 발생하는 적외선을 검출하여 인체의 유무를 감지한다. 이외에도 카메라를 통해 감지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들도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체 감지 센서는 사람의 재실 여부에 따라 현관 또는 실내의 전등을 점등 및 소등하는 자동 전등 온, 오프 장치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3]

그런데, 이러한 초음파 센서 및 광센서들은 초음파 또는 광이 방출되는 방향에서 일정한 각도로 벗어나 있는 물체에 대해서는 감지하지 못하거나, 외부의 빛이나 소음, 별도의 열원 등에 의해 감지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4]

더욱이, 기존의 인체 감지 센서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동작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인체 또는 사물에 대한 일정 한계치 이상의 큰 움직임을 감지하여 반응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인체 또는 사물에 대한 한계치 이하의 작은 움직임에 대해서는 인식을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움직이지 않고 있거나 작은 움직임만 있을 경우에는, 사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감지하지 못하여, 인체 감지 센서와 연계된 자동 전등 온, 오프 장치의 실내 전등이 정확하게 온/오프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5]

따라서, 본 발명은 사람이 움직이지 않고 있을 경우에도 사람의 존재 유무를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한 인체 감지 센서를 제공함에 있다.

[6]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소형이며, 간단한 구성 및 저비용으로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구현이 가능한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한 인체 감지 센서를 제공함에 있다.

[7]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한 인체 감지 센서에 있어서; 도플러 레이더 신호를 송신하고 송신한 도플러 레이더 신호를 수신하여 양신호간의 주파수 차이에 해당하는 신호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도플러 레이더부와; 상기 도플러 레이더부에서 출력된 신호에서 사람의 내부 생체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대응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필터링 및 증폭부와; 상기 필터링 및 증폭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인체 감지 여부를 판단하고, 인체 감지시에 판단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판단 및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8]

상기 필터링 및 증폭부의 상기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은 2 내지 10Hz 중 선택된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9]

상기 도플러 레이더부에서 출력된 신호에서 사람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대응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보조 필터링 및 증폭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판단 및 제어부는 상기 보조 필터링 및 증폭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추가로 분석하여 인체 감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10]

상기 보조 필터링 및 증폭부의 상기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은 20 내지 80Hz 중 선택된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11]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한 인체 감지 센서는, 사람이 움직이지 않고 있을 경우에도 사람의 존재 유무를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며, 보다 소형이며 간단한 구성 및 저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다.

[12]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한 인체 감지 센서의 전체 블록 구성도

[13]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도플러 레이더 센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14]

도 3은 도 1의 주요 구성부들의 출력 파형의 일 예시도

[15]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한 인체 감지 센서의 전체 블록 구성도

[16]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17]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한 인체 감지 센서의 전체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한 인체 감지 센서는, 도플러 레이더부(10)와; 필터링 및 증폭부(20)와; 판단 및 제어부(30)와; 전원부(40); 및 결과 응용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8]

도플러 레이더부(10)는, 예를 들어, 특정 공간으로 도플러 레이더 신호를 송신하고 송신한 도플러 레이더 신호를 수신하여 양신호간의 주파수 차이에 해당하는 신호 처리 결과를 출력한다. 이러한 도플러 레이더부(10)는, 도플러 레이더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안테나(10)를 포함한다. 송수신 안테나(10)는 도플러 레이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TX)와, 도플러 레이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RX)를 포함한다.

[19]

또한, 도플러 레이더부(10)는, 송신용 도플러 레이더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송수신 안테나(102)에서 수신된 신호를 상기 송신 신호와 비교하여 양신호간의 주파수 차이에 해당하는 신호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도플러 레이더 신호 처리기(104)를 포함한다. 상기 도플러 레이더 신호 처리기(104)는 도플러 레이더 신호를 발생하는 발진기(Oscillator)와; 송수신 신호를 혼합하는 믹서(Mixer)와; 믹서의 출력에서 도플러 레이더 신호에 해당하는 고주파 성분(예를 들어, 100MHz~40GHz)을 제거하는 저대역 통과 필터(LPF)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20]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도플러 레이더부(10)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도플러 레이더 센서의 구조를 그대로 채용할 수도 있으며, 그 동작 원리도 동일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발진기(Oscillator)에서 발생된 신호는 고주파 필터 및 분배기(Divider; 예를 들어 방향성 커플러)를 거쳐 일측으로 분배되어 송신 안테나(TX Antenna)를 통해 송신되며, 피측정체에서 반사되어 수신 안테나(RX Antenna)를 통해 수신된다. 수신된 신호는 믹서로 제공되며, 믹서는 상기 발진기에서 발생되어 필터 및 분배기를 거쳐 타측으로 분배된 신호와 상기 수신 신호를 혼합하여, 이들간의 주파수 차에 해당하는 신호(fd); 예를 들어 중간주파수 대역)를 출력한다. 출력된 신호는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저대역 통과 필터(LPF)를 거쳐 불요파를 제거한 후 출력된다.

[21]

한편, 필터링 및 증폭부(20)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도플러 레이더부(10)에서 출력된 신호에서 사람의 심장 박동 및/또는 호흡과 같은 사람의 내부 생체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대응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한다. 이러한 필터링 및 증폭부(20)는 예를 들어, 사람의 심장 박동, 호흡에만 특정화된 주파수를 통과대역으로 하는 필터(202)와; 상기 필터(202)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2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22]

상기 판단 및 제어부(30)는, 필터링 및 증폭부(20)에서 출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람의 내부 생체 활동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신호의 출력 여부에 따라 인체 감지 여부를 판단하고, 인체 감지시에는 후단의 미리 설정된 결과 응용부(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판단 결과 신호)를 출력한다.

[23]

이러한 판단 및 제어부(30)는, 필터링 및 증폭부(20)의 출력 신호를 분석하여 인체 감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302)와, 마이크로프로세서(302)의 제어하에 결과 응용부(50)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드라이버(30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302)는 상기 필터링 및 증폭부(20)에서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시키는 AD 변환기(미도시), 또는 특정 전압 이상의 신호를 검출하도록 한 신호 비교기(미도시)와, 상기 AD변환기 및 신호비교기의 동작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미도시)의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라이버(304)는 컨트롤러의 신호를 제공받아 후위의 결과 응용부(50)용 구동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드라이버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24]

상기 결과 응용부(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감지 신호를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응용 구조 중 선택된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과 응용부(50)는 원격 데이터 전송 및 제어를 위한 로직(Logic) 신호 입력기, 또는 제품의 상태 표시용 LED나 디스플레이 모듈,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한 유무선 통신용 모뎀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25]

상기 결과 응용부(50)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실제 제품에 구현될 수도 있지만, 외부의 다른 연계된 장치(제품)에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럴 경우에, 본 발명의 제품은 해당 외부 연계된 제품으로 구동 신호만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연계된 제품이 실내 전등 장치(또는 전등 제어 시스템)일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은 인체 감지시에 외부 연계된 제품으로 예를 들어, +5V 전압의 신호(구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외부 연계된 실내전등 장치는 해당 구동 신호를 제공받아 그에 맞게 동작하여 실내 전등을 켜는 동작을 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제품에 스위치 또는 릴레이를 구비하여, 변환된 로직 신호에 따라 외부 연계된 장치의 동작 전원이나 감지 체계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행위, 또는 풀업이나 풀다운 방식으로 동작하여 외부 연계된 장치가 센서의 검출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26]

한편, 상기 결과 응용부(50)의 예로 언급한 유무선 통신 모뎀류는 유선LAN과 무선 모뎀인 와이파이 모뎀, 블루투스 모뎀, 지그비 모뎀, 지 웨이브 모뎀, 및 범용 RF 모뎀(433MHz, 900MHz등으로 동작이 가능한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의 감지 내용을 무선으로 외부의 다른 연계된 장치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27]

상기 전원부(40)는 내부 배터리 전원이나 또는 외부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각 구성부의 동작 전원으로 변환 및 제공하는 전원 구동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40)는 외부 AC 전원을 DC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 또는 SMPS류나, 배터리 또는 충전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전원부(40)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결과 응용부(50)로도 동작 전원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실제 제품과 외부 연계된 장치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28]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한 인체 감지 센서가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한 구성에서, 특히 필터링 및 증폭부(20)는 소형이며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인체 감지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고려된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29]

종래에서도,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인체의 심장 박동 등을 감지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었는데, 이러한 기술은 대부분 인체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최대한 정밀하게 확인하여 LCD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구조를 제안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인체에서 발생되는 도플러 주파수가 매우 낮은 주파수이며 다양하다는 관찰 결과를 활용하는 것으로써, 종래 기술은 인체로부터 검출된 도플러 신호를 주파수 성분으로 각각 변환하기 위하여 복잡하고 고가인 디지털 신호처리용 FFT(고속 퓨리에 변환) 디바이스를 적용하여 인체 신호 성분을 알아내는 방식을 통상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30]

이를 위해, 종래 기술에서는, 수십 MHz 또는 수백 MHz 미만의 모든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현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증폭기에 대한 요구 성능과 부하가 커지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31]

이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터링 및 증폭부(20)가 특정 범위의 인체를 감지하기 위하여 인체의 심장 박동, 호흡, 움직임 등에서 발생하는 도플러 신호 중 수 Hz 미만(예를 들어, 2~10Hz 중 선택된 주파수 미만)의 낮은 신호만을 대상으로 필터링 및 증폭하도록 구현한다. 즉, 필터링 및 증폭부(20) 내의 필터(202)는 수 Hz 미만의 낮은 신호만을 대상으로 필터링 하도록 구현하며(예를 들어, 10Hz 미만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도록 구현되며), 증폭기(204)는 이와 같이 필터(202)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필터(202)는 정확 및 정밀한 필터링 특성을 요구하지 않는, 예를 들어 PCB(Printed Circuit Board) 상에 장착되는 리드(Lead) 타입이나 SMD(Surface Mount Devices) 타입의 소자를 이용하여, 간단한 RC(저항 및 커패시터) 로우패스 필터 구조로 구현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증폭기(204)는 예를 들어, 오디오용 2단 OP(Operational) 증폭기(Dual OP Amp) 등으로 간단히 구현될 수 있다.

[32]

통상적으로, 저가 소형의 증폭기의 경우 신호 증폭 동작 범위(Dynamic Range)가 작거나 신호대 잡음비가 나쁜 특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 증폭 대상 신호의 대역폭을 종래 기술에 비해 예를 들어, 입력 신호 대역폭의 수백만분의 1정도로 줄임으로써, 소형 저가의 증폭기를 이용하면서도 고이득과 신호대 잡음비가 좋은 검출 신호를 만들 수가 있게 된다.

[33]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터링 및 증폭부(20)를 통해 간단히 인체의 심장 박동과 호흡 등의 생체 활동에 집중하여 도플러 효과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서 효율적인 인체의 생체 신호를 검출이 가능하게 하였다.

[34]

도 3은 도 1의 주요 구성부들의 출력 파형의 일 예시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 형태나 사이즈 등은 일부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표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1번 파형은 예를 들어, 상기 도 1의 도플러 레이더부(10)의 출력 파형일 수 있으며, 2번 파형은 도 1의 필터링 및 증폭부(20)의 필터(202)(또는 증폭기(204))의 출력 파형일 수 있다. 또한, 도 3의 파형들에서, a구간은 예를 들어, 감지 영역에 사람이 없을 경우의 파형일 수 있으며, b구간은 감지 영역에 사람이 있을 경우의 파형일 수 있다.

[35]

종래에서는, 예를 들어, 도 3의 1번 파형과 같이 출력되는 도플러 레이더부(10)의 출력 신호를 그대로 이용하여 정밀하고 정확한 파형 분석을 위주로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왔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도 3의 2번 파형과 같이, 상기 필터링 및 증폭부(20)를 통해 도플러 레이더부(10)의 출력 신호를 다시 수 Hz 미만(예를 들어, 2~10Hz 중 선택된 주파수 미만)의 낮은 신호만을 대상으로 필터링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필터링된 신호에서도 예를 들어, 사람의 심장 박동 및/또는 호흡과 같은 사람의 내부 생체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대응되는 신호는 충분히 감지가 가능하므로, 간단한 필터링 및 증폭 구조를 적용하여 인체 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한 인체 감지 센서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36]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구성에서, 필터링 및 증폭부(20)가, 상기한 예를 들어 10Hz 미만의 신호를 통과시켜 증폭하는 구성과 더불어, 도플러 레이더부(10)의 출력 신호에서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50Hz 미만(예를 들어, 20~80Hz 중 선택된 주파수 미만)의 신호를 통과시켜 증폭하는 구성을 더 가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된 구성은, 상기 사람의 심장박동이나 호흡 등과 같이 사람의 움직임이 거의 없는 상태보다 사람의 움직임이 더 큰 경우에도 보다 정확하게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추가된 구성 의해 감지된 신호는 마찬가지로, 상기 판단 및 제어부(30)로 제공될 수 있으며, 판단 및 제어부(30)는 이러한 감지 신호를 통해 인체의 (움직임) 유무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37]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한 인체 감지 센서의 전체 블록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인체 감지 센서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 및 동작을 가지는, 도플러 레이더부(10)와; 필터링 및 증폭부(20)와; 판단 및 제어부(30)와; 전원부(40); 및 결과 응용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38]

이러한 구성에 추가하여,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플러 레이더부(10)의 출력 신호를 추가적으로 제공받아, 예를 들어, 50Hz 미만(예를 들어, 20~80Hz 중 선택된 주파수 미만)의 신호를 통과시켜 증폭하는 보조 필터링 및 증폭부(21)를 더 구비한다. 상기 보조 필터링 및 증폭부(21)의 필터링 대역은 사람의 움직임이 다소 있을 경우에 해당 움직임을 감지하기에 적합한 대역으로서, 상기 보조 필터링 및 증폭부(21)는 예를 들어, 사람의 움직임만 특정화된 주파수를 통과대역으로 하는 필터(212)와; 상기 필터(212)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2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39]

상기 보조 필터링 및 증폭부(21)의 출력은 상기 판단 및 제어부(30)로 추가로 제공되는데, 판단 및 제어부(30)은 상기 필터링 및 증폭부(20)의 출력 신호와 더불어, 상기 보조 필터링 및 증폭부(21)에서 출력된 신호를 추가로 분석하여 인체 감지 여부를 더 판단하게 된다.

[40]

상기 보조 필터링 및 증폭부(21)도 상기 필터링 및 증폭부(20)와 마찬가지로, 간단한 RC(저항 및 커패시터) 로우패스 필터 구조로 필터(212)를 구현하는 것이 능하며, 마찬가지로, 증폭기(214)도 예를 들어, 오디오용 2단 OP(Operational) 증폭기(Dual OP Amp) 등으로 간단히 구현될 수 있다.

[41]

본 발명에 따른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한 인체 감지 센서는 일명 스마트 조명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관 전등과 연계하여, 현관에 있는 사람의 움직임이 거의 없는 경우에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현관 전등이 켜져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출입문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조명 전등과 연계하여, 출입문 밖에 외부인이 있을 경우 지속적으로 외부 조명 전등이 켜져 있도록 하여 외부인 확인이 용이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화장실 전등과 연계하여, 화장실에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외부에서 전등 스위치를 오프하더라도 화장실 전등이 켜져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이외에도, 화장실에 사람이 있는 경우에만 자동으로 화장실 램프가 켜져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42]

이외에도, 본 발명의 인체 감지 센서는 일명 스마트 재실 감시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관리 시스템과 연계하여, 환자의 재실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치매 환자가 관리 반경에서 이탈하여 외부로 나갈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통보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교도소 보안 시스템과 연계하여 감방의 재소자의 재실 여부 등을 감시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

[43]

또한, 본 발명의 인체 감지 센서는 의료관련 기관, 병원 일반 병실, 요양원 등에서 수면중 심정지 상태 발생시 이를 원격 검출하는 의료 보조용 센서로도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환자의 경우 통상 고가의 심장 박동 모니터링 장치가 접촉식으로 환자에게 연결되어 환자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는데, 일반 환자나 요양원 등에 입원한 거동 가능한 환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이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고가의 심장 박동 모니터링 장치를 각 환자들마다 설치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적용할 경우에 모니터링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using a Doppler radar, comprising: a Doppler radar unit transmitting a Doppler radar signal and receiving the transmitted Doppler radar signal so as to output a signal processing result corresponding to a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both signals; a filtering and amplifying unit for filtering out, from the signal outputted by the Doppler radar unit, a frequency band preset so as to correspond to a vibration generated by the internal bioactivity of a human body, and for amplifying the filtered signal; and a determination and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human body is detected by analyzing the signal outputted by the filtering and amplifying unit, and for outputting the determined result signal when the human body is detected.

[2]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한 인체 감지 센서에 있어서,

도플러 레이더 신호를 송신하고 송신한 도플러 레이더 신호를 수신하여 양신호간의 주파수 차이에 해당하는 신호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도플러 레이더부와;

상기 도플러 레이더부에서 출력된 신호에서 사람의 내부 생체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대응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필터링 및 증폭부와;

상기 필터링 및 증폭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인체 감지 여부를 판단하고, 인체 감지시에 판단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판단 및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감지 센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및 증폭부의 상기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은 2 내지 10Hz 중 선택된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감지 센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및 증폭부는,

리드(Lead) 타입이나 SMD(Surface Mount Devices) 타입의 소자를 이용하여 RC(저항 및 커패시터) 로우패스 필터 구조로 구현된 필터와,

2단 OP(Operational) 증폭기(Dual OP Amp) 구조로 구현된 증폭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감지 센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플러 레이더부에서 출력된 신호에서 사람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대응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보조 필터링 및 증폭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 및 제어부는 상기 보조 필터링 및 증폭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추가로 분석하여 인체 감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감지 센서.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필터링 및 증폭부의 상기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은 20 내지 80Hz 중 선택된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감지 센서.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필터링 및 증폭부는,

리드(Lead) 타입이나 SMD(Surface Mount Devices) 타입의 소자를 이용하여 RC(저항 및 커패시터) 로우패스 필터 구조로 구현된 필터와,

2단 OP(Operational) 증폭기(Dual OP Amp) 구조로 구현된 증폭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감지 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