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TOR AND MOTOR COMPRISING SAME
실시예는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변속기(Transmission)는 사용자의 클러치 조작에 따라 수동 조작되거나, 미션에 의해 속도에 따라 자동 조작되는 변속장치로서,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변속기의 모터는 로터의 상부에 설치되는 센서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마그넷은 외주면과 내주면을 갖는 링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센서 마그넷은 로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로터의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센서 마그넷과 로터는 몰딩부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몰딩부를 성형하는 사출 성형 과정에서 몰딩부에 웰드 라인(weld line)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웰드 라인은 몰딩부의 크랙을 유발하기 때문에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터의 로터는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은 로터 코어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의 경우, 구조적 특성상 마그넷 조립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여러 Protector 방식(Molding, Can, Tube 등)이 적용되고 있다. 그 중, 캔 타입은 로터의 외주면에 컵(Cup) 형상의 캔(Can)을 위아래로 결합하여 로터를 보호함과 아울러 마그넷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캔의 내부로 로터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캔의 내측에 접착제를 도포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접착제 도포 공정은 로터를 조립하는 공정을 복잡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몰딩 타입의 경우, 내화학성이 요구되어 재료에 제한이 크며, 크랙이 발생할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는 몰딩부의 웰드라인을 최소화하여 몰딩부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는 캔을 사용하여 마그넷을 보호하되,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배제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는. 로터 코어와, 상기 로터 코어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마그넷 및 상기 복수개의 마그넷 외측에 배치되는 몰딩부;을 포함하며, 상기 로터 코어는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넷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 코어의 중심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의 중심을 지나는 상기 몰딩부의 외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복수개의 마그넷 중 하나의 마그넷의 중심을 지나는 상기 몰딩부의 외면까지의 거리 보다 작은 로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터 코어의 상측에 배치되는 센서 마그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몰딩부는 상기 센서 마그넷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로터 코어의 중심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넷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몰딩부의 두께는 상기 센서 마그넷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몰딩부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그넷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자른 상기 몰딩부의 단면은 볼록부와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는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부의 중심은 상기 로터코어의 외측에 배치되는 로터.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록부, 상기 마그넷 및 상기 가이드 돌기의 개수는 동일한 로터.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터 코어의 중심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의 중심을 지나는 상기 몰징부의 외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마그넷의 외면까지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몰드물의 외주면의 형상과 상기 마그넷의 외주면의 형상이 대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그넷 외주면의 곡률과 상기 몰딩부의 외주면의 곡률이 동일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록부의 두께와 상기 오목부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부는 상기 로터 코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로터 코어와, 상기 로터 코어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마그넷 및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넷 외측에 배치되는 몰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 코어는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넷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 코어의 중심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의 중심을 지나는 상기 몰딩부의 외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넷 중 하나의 마그넷의 중심을 지나는 상기 몰딩부의 외면까지의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샤프트와 결합된 로터코어와, 상기 로터코어와 결합된 마그넷 상기 로터코어 및 상기 마그넷을 둘러싸는 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캔부재는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상기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 사이에서 상기 로터의 중심을 향하여 상기 캔부재의 외주면에서 오목하게 배치되고, 상기 캔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캔부재는 상기 로터코어의 양 측단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캔과 제2 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캔과 상기 제2 캔은, 상기 제1 캔의 홈부의 하단과 상기 제2 캔의 홈부의 하단이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캔의 홈부의 하단과 상기 제2 캔의 홈부의 하단에 걸쳐 배치되는 제1 용접비드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터코어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로터코어의 외주면에서 상기 로터코어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 단에 각각 배치되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 단에 각각 배치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홈부의 바닥면은 상기 가이드돌기와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벽은 상기 마그넷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는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 사이에 억지 끼워맞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의 바닥면에는 복수 개의 제2 용접비드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는 복수 개가 배치되며, 상기 로터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터 코어의 중심에서 상기 제1 용접비드의 외주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로터 코어의 중심에서 상기 마그넷의 외주면까지의 거리보다 작고, 상기 홈부의 외주면 까지의 거리보다는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캔부재는 상기 가이드돌기와 면접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상기 로터코어에 마그넷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 사이에 상기 홈부가 억지 끼움맞춤되도록 상기 캔부재를 상기 로터코어에 씌우는 단계 및 상기 제1 캔과 상기 제2 캔의 이음부분을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몰딩부의 웰드라인을 최소화하여 몰딩부의 크랙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캔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배제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로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A-A를 기준으로 한 로터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사출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B-B를 기준으로 한 로터 코어와 마그넷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도 2의 B-B를 기준으로 하여 로터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몰딩부의 두께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센서 마그넷 측 몰딩부의 두께와 로터 측 몰딩부의 두께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일반적인 로터에서 몰딩부의 진행 상태와.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로터에서 몰딩부의 진행 상태를 비교한 도면, 도 11은 일반적인 로터에서 몰딩부의 웰드 라인 발생 상태와.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로터에서 몰딩부의 웰드 라인 발생 상태를 비교한 도면,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로터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2에서 도시한 로터의 횡단면도, 도 15는 도 12에서 도시한 로터의 평면도, 도 16은 제1 용접비드와 제2 용접비드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돌출된 제1 용접비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1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샤프트(100)과, 로터(200)와, 스테이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200)와 스테이터(300)는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한다. 전기적 상호 작용이 유발되면, 로터(200)가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샤프트(100)이 회전한다. 샤프트(100)은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DCT, Dual-clutch Transmission)과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DCT)은, 종래의 수동 트랜스미션 차량에 탑재되는 단판 클러치 트랜스미션과는 달리 2조의 클러치를 탑재하고 있어서, 하나의 클러치를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으로 1, 3, 5단을 구현하고, 나머지 하나의 클러치를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으로 2, 4, 6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DCT)은 샤프트(100)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 받을 수 있다.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은, 종래의 자동 트랜스미션 차량과 같은 편리한 운전성 및 부드러운 변속감을 제공함과 아울러, 종래의 수동 트랜스미션 차량보다 높은 연비를 발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로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A를 기준으로 한 로터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로터(200)는 스테이터(300)의 내측에 배치된다. 로터(200)는 로터 코어(210)와 마그넷(220)과 몰딩부(230) 포함할 수 있다. 로터 코어(210) 위에 센서 마그넷(400)이 배치된다. 몰딩부(230)가 로터 코어(210)와 센서 마그넷(400)을 결합시킨다. 센서 마그넷(400)은 로터 코어(210)와 동심축을 갖도록 로터 코어(21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넷(220)은 로터 코어(21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센서 마그넷(400)은 복수 개의 극으로 착자될 수 있다. 센서 마그넷(400)은 중심이 로터 코어(210)의 중심(C)과 동일하도록 로터 코어(210) 위에 배치된다. 이러한 센서 마그넷(400)은 로터 코어(210)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시그널을 유발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 마그넷(400)은 링형태로 구현된다. 센서 마그넷(400)은 중심에 샤프트(100)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마그넷(400)은 사마륨 코발트(Samarium Cobalt)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몰딩부(230)는 로터 코어(210)와 센서 마그넷(400)을 결합시킨다. 몰딩부(230)는 로터 코어(210)와 센서 마그넷(400)를 함께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몰딩부(230)는 로터 코어(210)와 센서 마그넷(400)를 포함한 상태에서 이중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몰딩부(230)가 센서 마그넷(400)의 상면(410), 외주면(420), 하면(430) 및 내주면(440)을 둘러싸는 형태이다. 이때, 몰딩부(230)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센서 마그넷(400)의 내주면(440)의 일부만 감싸도록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몰딩부(230)는 센서 마그넷(400)의 중심(C)을 기준하여 반경 방향으로 상면(410)의 일부만 감싸도록 실시될 수 있다. 이는 센서 마그넷(400)의 극 검출 성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도 4는 사출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로터 코어(210)의 외주면에 마그넷(220)이 부착되고, 로터 코어(210)의 상측에 센서 마그넷(400)이 배치된 상태에서, 사출 성형이 진행된다. 사출 게이트가 센서 마그넷(400)의 상측에 배치되어 몰드물은 센서 마그넷(400)이 위치한 상측에서 로터 코어(210)가 위치한 하측으로 흐른다. 이때, 로터(200) 측의 사출 흐름을 살펴보면 크게 마그넷(220)의 외측으로 흐르는 사출 흐름(A)과, 마그넷(220)과 마그넷(220) 사이를 흐르는 사출 흐름(B)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B-B를 기준으로 한 로터 코어와 마그넷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M은 일반적인 몰딩부의 외주면을 나타내는 경계선이다.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은 사출 흐름이 상이하다. 제1 영역(S1)은 가이드 돌기(211)가 위치한 영역으로, 마그넷(220)과 마그넷(220) 사이에 해당한다. 제1 영역(S1)으로 마그넷(220)과 마그넷(220) 사이를 흐르는 사출 흐름(B)이 진행된다. 제2 영역(S2)은 마그넷(220)의 외측에 해당한다. 제2 영역(S2)으로 마그넷(220)의 외측으로 흐르는 사출 흐름(A)이 진행된다. 제1 영역(S1)의 유체 단면적이 제2 영역(S2)의 유체 단면적 보다 크다. 따라서, 몰드물은 제1 영역(S1)에서 빠르게 하향하여 진행되고, 제2 영역(S2)에서 상대적으로 느리게 하향하여 진행된다. 제1 영역(S1)에서 몰드물의 진행속도와 제2 영역(S2)에서 몰드물의 진행속도의 차이로 인하여 축 방향으로 웰드 라인이 발생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2의 B-B를 기준으로 하여 로터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로터(200)의 몰딩부(230)는 도 5에서 도시한 제1 영역(S1)에서의 유체 단면적을 줄여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에서의 몰드물의 진행속도 차이를 줄이고자 한다. 로터 코어(210)의 중심(C)에서 가이드 돌기(211)의 중심(P1)을 지나 몰딩부(230)의 외면까지의 거리를 제1 거리(T1)라 한다. 그리고 로터 코어(210)의 중심(C)에서 마그넷(211)의 중심(P2)을 지나 몰딩부(230)의 외면까지의 거리를 제2 거리(T2)라 한다. 로터 코어(210)의 중심(C)에서 상기 마그넷(220)의 외면까지의 거리를 제3 거리(T3)라 한다. 몰딩부(230)는 제1 거리(T1)가 제2 거리(T2)보다 작게 형성된다. 나아가. 제1 거리(T1)는 제3 거리(T3)거리 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몰딩부(230)는 볼록부(231)와 오목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22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자른 몰딩부(230)의 수평 단면을 기준할 때, 몰딩부(230)는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된 볼록부(231)와 상대적으로 내측으로 오목하게 배치된 오목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볼록부(231)와 오목부(232)는 로터(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다. 복수 개의 오목부(232)는 로터 코어(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모터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볼록부(231)는 마그넷(220)의 외측 영역인 제2 영역(도 5의 S2)에 배치된다. 오목부(232)는 마그넷(220)과 마그넷(220) 사이 영역인 제1 영역(S1)에 배치된다. 따라서, 볼록부(231)의 개수는 마그넷(220)의 개수와 동일하다. 또한, 볼록부(231)의 개수는 가이드 돌기(121)의 개수와 동일하다. 도 8은 몰딩부의 두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오목부(232)의 중심(P3)는 로터 코어(2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몰딩부(230)의 외주면의 형상을 보면, 마그넷(220)의 외주면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넷(220)의 외주면의 곡률(R1)과 몰딩부(230)의 외주면의 곡률(R2)이 동일한 부분이 몰딩부(230) 중에 존재한다. 몰딩부(230)의 두께 관점에서 보면, 볼록부(231)의 두께(t1)와 오목부(232)의 두께(t2)는 동일할 수 있다. 볼록부(231)의 두께(t1)와 오목부(232)의 두께(t2)가 동일한 경우, 제1 영역(S1)에서의 몰드몰의 진행속도와 제2 영역(S2)에서의 몰드물의 진행속도가 차이가 없기 때문에 웰드 라인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는 센서 마그넷 측 몰딩부의 두께와 로터 측 몰딩부의 두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로터 코어(210)의 외측에 배치된 몰딩부(230)의 두께(t1,t2)는 센서 마그넷(400)의 외측에 배치된 몰딩부(230)의 두께(t3)는 로터 코어(210)의 외측에 배치된 몰딩부(230)의 두께(t1,t2)보다 작다. 센서 마그넷(400)의 외측에 배치된 몰딩부(230)는 상대적으로 두께(t3)가 두껍기 때문에 해당 영역에 웰드 라인이 발생하여도 크랙이 발생할 확률이 낮다. 도 10은 일반적인 로터에서 몰딩부의 진행 상태와.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로터에서 몰딩부의 진행 상태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10의 (a)는 일반적인 로터에서 몰딩부의 진행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제1 영역(S1)(도 5 참조)에서 몰드물의 진행 속도가 제2 영역(S2)(도 5 참조)에서 몰드물의 진행 속도 보다 느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그넷의 외측에서 유체 단면적이 마그넷과 마그넷 사이에서의 유체 단면적 보다 작기 때문이다. 도 10의 (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로터에서 몰딩부의 진행 상태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제1 영역(S1)(도 5 참조)에서 몰드물의 진행 속도와 제2 영역(S2)(도 5 참조)에서 몰드물의 진행 속도가 차이가 없다. 마그넷의 외측에서 유체 단면적이 마그넷과 마그넷 사이에서의 유체 단면적이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로터(200)의 외측면에서 웰드 라인이 최소화 된다. 도 11은 일반적인 로터에서 몰딩부의 웰드 라인 발생 상태와.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로터에서 몰딩부의 웰드 라인 발생 상태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11의 (a)는 일반적인 로터에서 몰딩부의 웰드 라인 발생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의 (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로터에서 몰딩부의 웰드 라인 발생 상태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로터의 외측에 배치된 몰딩부에서 많은 웰드 라인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외측에 배치된 몰딩부에서 웰드 라인이 거의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샤프트(1000)와, 로터(2000)와, 스테이터(300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2000)와 스테이터(3000)는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한다. 전기적 상호 작용이 유발되면, 로터(2000)가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샤프트(1000)가 회전한다. 샤프트(1000)는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DCT, Dual-clutch Transmission)과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DCT)은, 종래의 수동 트랜스미션 차량에 탑재되는 단판 클러치 트랜스미션과는 달리 2조의 클러치를 탑재하고 있어서, 하나의 클러치를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으로 1, 3, 5단을 구현하고, 나머지 하나의 클러치를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으로 2, 4, 6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DCT)은 샤프트(1000)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 받을 수 있다.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은, 종래의 자동 트랜스미션 차량과 같은 편리한 운전성 및 부드러운 변속감을 제공함과 아울러, 종래의 수동 트랜스미션 차량보다 높은 연비를 발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로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로터(2000)는 로터 코어(2100)와 마그넷(2200)과 캔부재(230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 코어(2100) 위에 센서 마그넷(4000)이 배치된다. 센서 마그넷(4000)은 샤프트(1000)에 결합된다. 마그넷(2200)은 로터 코어(210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센서 마그넷(4000)은 복수 개의 극으로 착자될 수 있다. 센서 마그넷(4000)은 중심이 로터 코어(2100)의 중심(C)과 동일하도록 로터 코어(2100) 위에 배치된다. 이러한 센서 마그넷(4000)은 로터 코어(2100)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시그널을 유발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 마그넷(4000)은 링형태로 구현된다. 그리고 센서 마그넷(4000)은 사마륨 코발트(Samarium Cobal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캔부재(2300)는 마그넷(2200)을 둘러싸서 마그넷(2200)이 로터 코어(2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캔부재(2300)는 마그넷(2200)이 노출되는 것을 막고, 물리적 화학적으로 로터 코어(2100) 및 마그넷(2200)을 보호한다. 이러한 캔부재(2300)는 제1 캔(2310)과 제2 캔(2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캔(2310)은 로터 코어(2100)의 일측단에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캔(2320)은 로터 코어(2100)의 타측단에서 장착될 수 있다. 제1 캔(2310)과 제2 캔(2320)은 각각 원통 형태이며, 상단은 로터 코어(2100)의 일측단면과 타측단면에 각각 닿도록 절곡될 수 있다. 제1 캔(2310)과 제2 캔(2320)은, 각각 로터 코어(2100)에 장착되면, 제1 캔(2310)의 하단과 제2 캔(2320)의 하단이 마주보는 상태에서 맞닿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캔(2310)과 제2 캔(2320)은 각각 홈부(2310a,2320a)를 포함한다. 홈부(2310a,2320a)는 캔부재(2300)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캔부재(2300)의 높이 방향은, 로터(2000)에 샤프트(1000)이 결합되었을 때, 샤프트(1000)의 축 뱡향과 평행인 방향이다. 그리고 홈부(2310a,2320a)는 캔부재(2300)의 외주면에서 오목하게 배치된다. 도 14는 도 12에서 도시한 로터의 횡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2에서 도시한 로터의 평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로터(2000)의 원주 방향으로, 홈부(2310a,2320a)는 마그넷(2200)과 마그넷(2200) 사이에 위치한다. 홈부(2310a,2320a)는 2개일 수 있다. 2개의 홈부(2310a,2320a)는 로터(20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홈부(2310a,2320a)의 개수는 변경 실시 가능한다. 홈부(2310a,2320a)의 최대 개수는 마그넷(2200)의 개수와 동일 할 수 있다. 홈부(2310a,2320a)가 1개인 경우, 밸런스와 고정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홈부(2310a,2320a)가 너무 많은 경우, 캔부재(2300)를 로터 코어(2100)에 결합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캔부재(2300)는 로터 코어(2100) 및 마그넷(2200)에 억지 끼움맞춤될 수 있다. 캔부재(2300)를 로터 코어(2100) 및 마그넷(2200)에 씌우면, 캔부재(2300)의 홈부(2310a,2320a)는 마그넷(2200)과 마그넷(2200) 사이를 따라 이동한다. 캔부재(2300)의 홈부(2310a,2320a)는 마그넷(2200) 뿐만 아니라, 로터 코어(2100)에도 억지 끼움된다. 홈부(2310a,2320a)는 바닥부(2310aa,2320aa)와 바닥부(2310aa,2320aa)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부(2310bb,2320bb)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2310aa,2320aa)는 로터 코어(2100)와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로터 코어(2100)는 가이드돌기(211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바닥부(2310aa,2320aa)는 가이드돌기(2110)와 면접촉할 수 있다. 측부(2310bb,2320bb)는 마그넷(2200)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측부(2310bb,2320bb)와 마그넷(2200) 사이에 공간이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2110)는 로터 코어(2100)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것으로, 마그넷(2200)을 가이드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이드돌기(2110)는 로터 코어(2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은 제1 용접비드와 제2 용접비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6를 참조하면, 홈부(2310a,2320a)에 제1 용접비드(10)가 생성된다. 제1 캔(2310)과 제2 캔(2320)이 각각 로터 코어(2100)에 장착되면, 제1 캔(2310)의 홈부(2310a)의 하단(2310b)과 제2 캔(2320)의 홈부(2320a)의 하단(2320b)이 맞닿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캔(2310)의 홈부(2310a)의 하단(2310b)과 제2 캔(2320)의 홈부(2320a)의 하단(2320b)의 경계에서 용접이 수행되면, 제1 용접비드(10)가 생성된다. 제1 용접비드(10)는 제1 캔(2310)의 홈부(2310a)와 제2 캔(2320)의 홈부(2320a) 뿐만 아니라. 로터 코어(2100)의 가이드돌기(2110)까지 용접되면서 발생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1 캔(2310)과, 제2 캔(2320)과 로터 코어(2100)가 용접으로 결합되면서, 캔부재(2300)가 억지 끼움맞춤되면서 발생되는 결합력과 더불어, 용접을 통한 결합력이 부가되면서, 로터 코어(2100) 및 마그넷(2200)의 결합력이 한층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캔부재(2300)에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고서도, 캔부재(2300)의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홈부(2310a,2320a)에는 제2 용접비드(20)가 각각 생성된다. 제2 용접비드(20)는 제1 캔(2310)의 홈부(2310a)의 바닥부(2310aa)와 가이드돌기(2110)가 용접되면서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용접비드(20)는 제2 캔(2320)의 홈부(2320a)의 바닥부(2320aa)와 가이드돌기(2110)가 용접되면서 발생할 수 있다. 제1 캔(2310)과 로터 코어(2100)가 용접되어 결합하고, 제2 캔(2320)과 로터 코어(2100)가 용접으로 결합되면서 로터 코어(2100) 및 마그넷(2200)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7은 돌출된 제1 용접비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17을 참조하면, 로터 코어(2100)의 중심(C)에서 제1 용접비드(10)의 외주면까지의 거리(L1)는 로터 코어(2100)의 중심에서 마그넷(2200)의 외주면까지의 거리(L2)보다 작고, 홈부(2310aa,2320a)의 외주면 까지의 거리(L3)보다는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용접비드(10)는 볼록한 형태일 수 있다. 도 1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의 (a)를 참조하면, 로터 코어(2100)를 제조한다. 도 18 및 도 19의 (b)를 참조하면, 로터 코어(2100)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그리고 도 18 및 도 19의 (c)를 참조하면, 로터 코어(2100)의 외주면에 마그넷(2200)을 부착한다.(S100) 도 18 및 도 19의 (d)를 참조하면, 로터 코어(2100)에 마그넷(2200)과 마그넷(2200) 사이에 홈부(2310a,2320a)가 억지 끼움맞춤되도록 캔부재(2300)를 로터 코어(2100)에 씌운다.(S200) 도 18 및 도 19의 (d)를 참조하면, 제1 캔(2310)과 제2 캔(2320)의 이음부분을 용접한다.(S300)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tor comprising: a rotor core; a plurality of magnets disposed outside the rotor core; and a molding part disposed outside the plurality of magnets, wherein the rotor core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magnets,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rotor cor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lding part passing across the center of one of the guide protrusions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sam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lding part passing across the center of one of the plurality of magnets. 로터 코어; 상기 로터 코어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마그넷; 및 상기 복수개의 마그넷 외측에 배치되는 몰딩부;을 포함하며, 상기 로터 코어는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넷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 코어의 중심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의 중심을 지나는 상기 몰딩부의 외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복수개의 마그넷 중 하나의 마그넷의 중심을 지나는 상기 몰딩부의 외면까지의 거리 보다 작은 로터.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코어의 상측에 배치되는 센서 마그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몰딩부는 상기 센서 마그넷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로터 코어의 중심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넷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몰딩부의 두께는 상기 센서 마그넷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몰딩부의 두께보다 작은 로터.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자른 상기 몰딩부의 단면은 볼록부와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는 교대로 배열되는 로터.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중심은 상기 로터코어의 외측에 배치되는 로터.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로터 코어; 상기 로터 코어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마그넷; 및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넷 외측에 배치되는 몰딩부;을 포함하며, 상기 로터 코어는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넷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 코어의 중심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의 중심을 지나는 상기 몰딩부의 외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넷 중 하나의 마그넷의 중심을 지나는 상기 몰딩부의 외면까지의 거리 보다 작은 모터.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샤프트와 결합된 로터코어; 상기 로터코어와 결합된 마그넷;및 상기 로터코어 및 상기 마그넷을 둘러싸는 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캔부재는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상기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 사이에서 상기 로터의 중심을 향하여 상기 캔부재의 외주면에서 오목하게 배치되고, 상기 캔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캔부재는 상기 로터코어의 양 측단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캔과 제2 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캔과 상기 제2 캔은, 상기 제1 캔의 홈부의 하단과 상기 제2 캔의 홈부의 하단이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캔의 홈부의 하단과 상기 제2 캔의 홈부의 하단에 걸쳐 배치되는 제1 용접비드를 포함하는 모터.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코어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로터코어의 외주면에서 상기 로터코어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모터.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 단에 각각 배치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모터.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 단에 각각 배치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홈부의 바닥면은 상기 가이드돌기와 접촉하는 모터.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마그넷과 이격 배치되는 모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