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09-2016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KR0101655909B1
... 본 발명은 a) 분자 오비탈(molecular orbital) 분포를 비교할 3개 이상의 분자 오비탈을 선택한 후, 분자 오비탈 분포에 대한 정성적 평가를 하는 단계;b) 상기 3개 이상의 분자 오비탈에 대하여, 각각 하기 i) 내지 v) 단계의 방법에 의해 서로 다른 총 블록 개수를 가지는 Nmul개의 블록 스펙트럼을 얻는 단계: i) 양자역학 계산법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분자의 분자 오비탈 분포를 계산하는 단계, ii) 상기 대상 분자 구조 내의 분자 중심에서 방사방향(radial direction)으로 N 개의 블록, BL(1) 내지 BL(N)을 만드는 단계, iii) 상기 각각의 블록에 연관된 분자 오비탈 비율(BX(k))(k 는 블록 번호로서 1 내지 N의 자연수)을 계산하는 단계, iv) 상기 분자 오비탈 비율(BX(k))의 크기를 기준으로 상기 블록을 순차적으로 재배열하여 블록 스펙트럼을 얻는 단계, 및 v) 상기 ii)~iv) 단계를 반복하여 서로 다른 총 블록 개수를 가지는 Nmul개의 블록 스펙트럼을 얻는 단계; c) 상기 3개 이상의 분자 오비탈의 Nmul개의 블록 스펙트럼에 대하여 누적 블록밀도 값 k’에 의해 정해지는 임계 블록 영역을 나타내는 부분 블록 집합(subset{ℓ}(ℓ은 블록 스펙트럼의 번호로서 1 내지 Nmul))을 각각 계산하고 임계 블록 영역의 임계 서열값인 R(ℓ)을 구하는 단계; d) 상기 3개 이상의 분자 오비탈의 Nmul개의 블록 스펙트럼에 대하여 계산된 Nmul개의 R(ℓ)에 대한 평균값인 BRk’값을 계산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구한 평균값 BRk’값을 이용하여, 상기 3개 이상의 분자 오비탈에 대하여, 하기 식 1의 δk’(i,j) 값을 구하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에서 구한 δk’(i,j) 값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누적 블록 밀도에 대해 계산된 δk’(i,j) 값의 평균값인 δk’avg(i,j) 값을 구한 후, 분자 오비탈 i와 j의 유사도와 분자 오비탈 m과 n의 유사도 차이를 하기 ...
Подробне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