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충전 시스템
개시된 발명은 차량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모듈을 포함하는 팔레트에 차량을 적재하여 주차공간에 마련된 전원공급부에 결합하도록 이송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주차중인 차량의 충전을 관리할 수 있는 차량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국의 환경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이며,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친환경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주요 사회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며, 전반적인 산업 분야에서 친환경 기술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되는 추세이며, 전기자동차의 사용 증가에 따라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제반 시설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한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충전소 등의 시설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충전소 등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 본체가 고정 위치에 설치되어 마련되었다. 그러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시간이 필요하며, 제한된 공간에서 충전기 본체가 사용중인 경우 다른 차량이 충전기 본체를 이용하기 위해 다른 곳에 정차해야 되거나, 적지 않은 시간을 기다리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충전이 완료된 전기자동차가 주차를 위해 지속적으로 충전기 본체가 설치된 구역에 머무르는 경우나 내연기관자동차가 충전기가 설치된 구역에 주차를 하는 경우 전기자동차 이용자가 충전기를 이용할 수 없어 충전기 가동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개시된 발명에서는 팔레트에 차량을 적재하고 주차공간에 마련된 전원공급부와 결합하도록 팔레트를 이송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주차중인 차량의 충전을 관리할 수 있는 차량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충전 시스템은, 차량이 적재되며, 상기 적재된 차량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모듈을 포함하는 1 이상의 팔레트; 주차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팔레트가 상기 주차공간에 위치하면 상기 팔레트의 충전모듈과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충전모듈을 통해 상기 팔레트에 적재된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팔레트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차량의 충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충전이 불필요한 차량이 적재된 팔레트를 비충전주차공간에 주차하도록 상기 팔레트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제1 주차공간에 마련된 급속전원공급부; 및 제2 주차공간에 마련된 완속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팔레트에 적재된 차량의 주차 시간, 사용 가능한 상기 급속전원공급부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팔레트가 이동할 주차공간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충전모듈은 적재된 차량에 구비된 충전단자로 전력을 유선으로 전달하는 유선충전모듈; 및 적재된 차량에 구비된 충전패드로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무선충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재된 차량과 유선충전모듈의 접속 여부, 상기 차량의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충전모듈은 적재된 차량에 구비된 충전단자로 전력을 유선으로 전달하는 유선충전모듈;일 수 있다. 상기 충전모듈은 적재된 차량에 구비된 충전패드로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무선충전모듈;일 수 있다. 상기 차량 충전 시스템은 상기 팔레트와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팔레트를 이송할 수 있는 1 이상의 무인운반로봇;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인운반로봇을 제어하여 상기 팔레트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팔레트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팔레트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무인운반로봇은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로봇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무인운반로봇은 상기 팔레트의 이송 시 상기 팔레트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팔레트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팔레트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팔레트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팔레트는 차량이 적재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가 바닥으로부터 이격 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인운반로봇은 상기 팔레트의 바디부의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바디부를 들어올려 이동함으로써 상기 팔레트를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차량이 적재된 팔레트를 차량승하차구역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주차 및 충전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주차 및 충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팔레트 및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설치된 키오스크 또는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차량의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주차 및 충전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팔레트 및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 충전 시스템은 관제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어 사고의 위험이 적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 충전 시스템은 충전이 완료되거나 충전이 불필요한 차량을 전원공급부로부터 분리하여 주차시킴으로써 전원공급부의 가동률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 충전 시스템은 차량의 상황에 맞추어 급속충전 또는 완속충전을 선택하여 제공함으로써 높은 시스템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 충전 시스템은 팔레트의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무인운반로봇이 팔레트를 이송하도록 하여 무인운반로봇의 배터리 소모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충전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의 개념도이다.
도 3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운반로봇의 개념도이다.
도 4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팔레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의 개념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및 전력 충전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주차 관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속전원공급부 및 완속전원공급부의 개념도이다.
도 13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개시된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충전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충전 시스템(1000)은 차량(10)이 적재되며, 적재된 차량(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모듈(150)을 포함하는 1 이상의 팔레트(100); 주차공간(50)에 마련되고, 팔레트(100)가 주차공간(50)에 위치하면 팔레트(100)의 충전모듈(150)과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충전모듈(150)을 통해 팔레트(100)에 적재된 차량(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00); 및 팔레트(100)의 이동을 제어하고, 차량(10)의 충전을 수행하도록 전원공급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충전 시스템(1000)에서는, 사용자(20)가 차량승하차구역(60)에서 본인의 차량(10)을 팔레트(100)에 적재하여 입차 하게 되면 제어부(400)가 차량(10)이 적재된 팔레트(100) 주차공간(50) 중 전원공급부(300)가 마련된 충전주차공간(51)과 전원공급부(300)가 마련되지 않은 비충전주차공간(54)을 선택하여 주차함으로써 주차중인 차량(10)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충전이 불필요한 차량이 적재된 팔레트(100)를 비충전주차공간(54)에 주차하도록 팔레트(1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충전 시스템(1000)에는 충전을 요하는 차량만이 아니라 이미 충전이 완료되었거나, 충전이 불가능한 내연차량 등이 주차될 수 있는데, 제어부(400)는 이와 같이 충전이 불필요한 차량은 전원공급부(300)가 마련되지 않은 비충전주차공간(54)에 주차하도록 제어하고 충전을 요하는 차량을 충전주차공간(51)에 주차하도록 하여 전원공급부(300)를 통해 충전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충전주차공간(51)에 주차되어 전원공급부(300)를 통해 충전을 수행하는 차량(10)의 경우에도 충전이 완료되어 충전이 불필요한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충전이 완료된 차량이 적재된 팔레트(100)를 비충전주차공간(54)에 주차하도록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어부(400)가 차량(10)의 충전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팔레트(100)를 이동시킴으로써 전원공급부(300)에 충전이 불필요한 차량(10)이 결합된 채 방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원공급부(300)의 가동률을 높일 수 있다. 차량 충전 시스템(1000)은 팔레트(100)와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고, 팔레트(100)를 이송할 수 있는 1 이상의 무인운반로봇(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400)는 무인운반로봇(200)을 제어하여 팔레트(1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팔레트(100)는 스스로 이동 가능하여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무인운반로봇(200)이 팔레트(100)에 결합하여 팔레트(100)를 이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차 공간에서는 주차되어 움직이지 않는 차량의 수가 주차를 위해 이동하는 차량의 수 보다 많기 때문에 각각의 팔레트(100)에 이동을 위한 주행장치를 구비하는 것 보다, 더 적은 수의 무인운반로봇(200)을 이용하여 팔레트(100)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더욱 경제적이고 효율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개의 주차공간(50)이 있는 주차장에 설치된 차량 충전 시스템(1000)에서 열 개의 팔레트(100)가 포함되는 경우, 각각의 팔레트(100)에 이동을 위한 주행장치를 구비하는 것 보다, 주행장치가 구비되지 않는 열 개의 팔레트(100)와 두 개, 혹은 세 개의 무인운반로봇(200)을 포함하여 무인운반로봇(200)이 팔레트(100)를 운송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일 수 있다. 제어부(400)는 차량(10)의 사용자(20)로부터 차량의 주차 및 충전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고, 주차 및 충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팔레트(100) 및 전원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10)의 사용자(20)는 차량의 주차 및 충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제어부(400)에 차량의 주차 및 충전에 관한 정보를 입력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20)는 차량(10)의 충전 여부, 충전량, 주차 시간 등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에 의하여 차량 충전 시스템(1000)이 차량의 주차 및 충전을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사용자(2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20)의 차량(10)이 적재된 팔레트(100)를 차량승하차구역(60)으로 이송할 수 있다. 사용자(20)가 주차된 자신의 차량(10)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제어부(400)에 출차 요청을 입력하여 차량(10)이 적재된 팔레트(100)를 차량승하차구역(60)으로 호출하여 차량을 출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400)는 사용자(2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20)의 차량(10)이 적재된 팔레트(100)를 차량승하차구역(60)으로 이송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과금관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10)의 주차 시간 및 충전량에 기초하여 사용자(20)의 차량(10)의 사용요금을 도출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사용자(20)에게 사용요금을 청구하고, 결제가 확인되는 경우 사용자(20)의 차량(10)이 적재된 팔레트(100)를 차량승하차구역(60)으로 이송할 수 있다. 차량 충전 시스템(1000)에서는 사용자(20)가 차량승하차구역(60)에 위치한 팔레트(100)에 차량을 적재하기만 하면 제어부(400)에 의해 팔레트(100)가 주차공간(50)으로 이동하여 주차 및 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20)가 차량(10)을 출차 하기 위해서 출차 요청을 하면 제어부(400)에 의해 팔레트(100)가 차량승하차구역(60)으로 이송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20)가 주차공간(50)으로 들어갈 필요가 없고,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팔레트(100)가 이동하기 때문에 사고의 위험이 적다. 도 2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의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100)는 차량(10)이 적재되는 바디부(110); 및 바디부(110)가 바닥으로부터 이격 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은 바디부(110)에 적재되고 지지부(120)에 의해 바디부(110)가 바닥으로부터 이격 됨으로써 무인운반로봇(200)이 바디부(110)의 하부로 들어갈 수 있다. 무인운반로봇(200)은 팔레트(100)의 바디부(110)의 하부로 이동하여 바디부(110)를 들어올려 이동함으로써 팔레트(100)를 이송할 수 있다. 충전모듈(150)은 적재된 차량(10)에 구비된 충전단자로 전력을 유선으로 전달하는 유선충전모듈(151); 및 적재된 차량(10)에 구비된 충전패드로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무선충전모듈(1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400)는 적재된 차량(10)과 유선충전모듈(151)의 접속 여부, 차량(10)의 사용자(20)로부터의 입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차량(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모듈(150)을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충전모듈(150)은 적재된 차량(10)에 구비된 충전단자로 전력을 유선으로 전달하는 유선충전모듈(151); 혹은 적재된 차량(10)에 구비된 충전패드로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무선충전모듈(152);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운반로봇의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인운반로봇(200)은 팔레트(100)의 바디부(110)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를 갖는다. 무인운반로봇(200)은 팔레트결합부(210)를 포함하여 팔레트(100)와 결합하여 팔레트(100)를 원하는 곳으로 이송할 수 있다. 팔레트(100)의 바디부(110)의 하부로 이동 시 바디부(110)를 위로 들어올리도록 위로 상승 가능한 팔레트결합부(210)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팔레트결합부(210)는 네 개의 상승 가능한 액추에이터로 구성되어 팔레트(100)가 전도되지 않도록 들어올려 이송할 수 있다. 팔레트결합부(210)는 도 3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팔레트(100)와 결합하여 팔레트(100)를 이송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 및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인운반로봇(200)은 스스로 이동하거나 팔레트(100)를 이송하기 위하여 바퀴 등을 포함하는 이동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부(240)의 구동을 통해 무인운반로봇(200)은 주차구역에서 자유롭게 이동 및 방향전환을 하여 팔레트(100)를 이송할 수 있다. 도 4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팔레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400)는 팔레트(100)를 관리하는 팔레트관리부(410); 전원공급부(300)를 관리하는 전원관리부(420); 및 팔레트(100) 등과 통신하는 통신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팔레트관리부(410)는 시스템에 포함된 모든 팔레트(100)의 위치, 차량(10) 적재 정보, 적재된 차량(10)의 주차정보를 관리하고 팔레트(100)의 이송을 제어함으로써 적재된 차량(10)의 충전 및 주차를 관리할 수 있다. 전원관리부(420)는 주차구역(50)에 구비된 전원공급부(300)의 팔레트(100) 연결 상태, 연결된 팔레트(100)에 적재된 차량(10)의 충전 상태를 관리하고 전원공급부(300)를 통한 전원의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차량(10)의 충전을 관리할 수 있다. 통신부(430)는 팔레트(100) 또는 무인운반로봇(200)과 통신을 수행하여 팔레트(100)와 무인운반로봇(200)의 동작을 제어하고 팔레트(100)와 무인운반로봇(200)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통신부(430)는 Wi-Fi,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초광대역 이동 통신(Ultra-mobile broadband, UMB),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무선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팔레트(100), 무인운반로봇(200) 등과 무선 통신할 수 있다. 팔레트(100)는 주위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130), 팔레트(10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부(140) 및 제어부(400) 등과 통신하는 통신부(180)를 포함하여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주위 정보를 수집하고, 이동하여 적재된 차량(10)을 운반할 수 있다. 이 때 팔레트관리부(410)는 팔레트(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팔레트(100)의 이동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Wi-Fi,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초광대역 이동 통신, LTE 등의 무선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제어부(400) 등과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무인운반로봇(200)은 주위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230), 무인운반로봇(20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부(240) 및 제어부(400) 등과 통신하는 통신부(280)을 포함하여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주위 정보를 수집하고, 이동하여 팔레트(100)와 결합함으로써 팔레트(100)에 적재된 차량(10)을 운반할 수 있다. 이 때 팔레트관리부(410)는 무인운반로봇(200)과 통신을 수행하여 팔레트(100)를 이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280)는 Wi-Fi,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초광대역 이동 통신, LTE 등의 무선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제어부(400) 등과 무선 통신할 수 있다. 팔레트(100)의 센서부(130) 또는 무인운반로봇(200)의 센서부(230)는 각각 팔레트(100) 또는 무인운반로봇(200)의 위치 및 방향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팔레트(100)의 이동부(140) 또는 무인운반로봇(200)의 이동부(240)는 각각 팔레트(100)의 센서부(130) 또는 무인운반로봇(200)의 센서부(230)의 출력에 기초하여 팔레트(100) 또는 무인운반로봇(200)의 위치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차량 충전 시스템(1000)에서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차량(10)이 적재된 팔레트(100)가 스스로 이동하거나, 혹은 무인운반로봇(200)에 의해 이송되어 차량(10)을 주차할 수 있고, 전원공급부(300)에 결합하도록 하여 차량(10)에 대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는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의 개념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원공급부(300)는 주차공간(50) 중 충전주차공간(51)에 마련되어 있다. 전원공급부(300)는 충전주차공간(51)의 바닥에 위치하고, 팔레트(100)가 충전주차공간(51)에 주차되는 경우 팔레트(100)의 전원공급결합모듈(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팔레트(100)의 충전모듈(150)을 통해 적재된 차량(10)을 충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팔레트(100)는 무인운반로봇(200)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무인운반로봇(200)은 팔레트(100)의 하부로 이동하여 팔레트(100)를 들어올리고 이동함으로써 팔레트(100)를 이송할 수 있다. 팔레트(100)의 전원공급결합모듈(160)은 무인운반로봇(200)이 팔레트(100)를 전원공급부(300)가 마련된 충전주차공간(51)으로 이송하는 경우 전원공급부(300)의 상 측에 위치하도록 팔레트(100)에 마련될 수 있다. 이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운반로봇(200)이 팔레트(100)를 충전주차공간(51)에 내려놓게 되면 전원공급결합모듈(160)은 전원공급부(300)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에 의하여, 전원공급결합모듈(160)은 팔레트(100)에 적재된 차량(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300)와 전원공급결합모듈(160)은 팔레트(100)가 충전주차공간(51)에 주차되는 경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원공급부(300)와 전원공급결합모듈(160)은 팔레트(100)가 충전주차공간(51)의 미리 정해진 정확한 위치에 주차되지 않더라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차공간(50)에 구비된 전원공급부(300)에 팔레트(100)의 충전모듈(150)을 통해 차량(10)이 연결되어 전력을 유선으로 공급 받음으로써 빠르고 효율적으로 차량(10)의 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충전 상황에 따라 제어부(400)가 팔레트(100)를 이동함으로써 전원공급부(300)의 가동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및 전력 충전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100)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팔레트배터리(170)를 포함하고, 무인운반로봇(200)은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로봇배터리(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의 전원관리부(420)는 전원공급부(300)를 제어하여 전원공급부(300)에 연결된 전원(70)으로부터 팔레트(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팔레트(100)는 충전모듈(150)을 통해 적재된 차량(10)에 전력을 공급하여 차량배터리(11)를 충전할 수 있다. 이 때 전원공급부(300)는 팔레트(100)의 팔레트배터리(170)에 전력을 공급하여 차량(10)을 충전함과 동시에 팔레트배터리(170)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무인운반로봇(200)은 팔레트(100)의 이송 시 팔레트배터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팔레트배터리(17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다. 차량(10)이 적재된 팔레트(100) 혹은 차량(10)이 적재되지 않은 팔레트(100)를 이송하는 경우 무인운반로봇(200)은 무게가 있는 차량(10) 및 팔레트(100)를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단독으로 이동할 때에 비해 많은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이 때 무인운반로봇(200) 자체의 로봇배터리(270)에 저장된 전력을 사용하게 되면 로봇배터리(270)를 충전하기 위하여 충전소로 이동 및 충전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팔레트(100)에 구비된 팔레트배터리(170)에 무인운반로봇(200)이 연결되어 팔레트(100)의 이송 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무인운반로봇(200)의 로봇배터리(270)의 소모를 최소화하고 무인운반로봇(200)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팔레트(100)는 적재된 차량(10)의 충전을 위해 전원공급부(300)와 결합하는 경우, 전원공급부(3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팔레트배터리(170)를 충전함으로써 향후 이송 시 무인운반로봇(200)이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무인운반로봇(200)과 팔레트(100)의 전력 공급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팔레트(100)에 차량(10)이 적재된 경우 무인운반로봇(200)은 팔레트(100)와 결합하여 팔레트(100)를 이송하기 위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인운반로봇(200)은 내장된 로봇배터리(27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무인운반로봇(200)이 팔레트(100)를 이송하기 위해 팔레트결합부(210)를 이용하여 팔레트(100)와 결합하는 경우 팔레트결합부(210)에 마련된 전원연결장치(260)를 통해 팔레트(100)의 팔레트배터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후 무인운반로봇(200)이 팔레트(100)를 이송할 때에는 팔레트배터리(17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함으로써 로봇배터리(270)의 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무인운반로봇(200)은 팔레트배터리(17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로봇배터리(270)를 충전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무인운반로봇(200)은 팔레트(100)를 충전주차공간(51)으로 이송하여 전원공급부(300)와 결합시키고 난 후 팔레트(100)와의 결합을 해제하고 다음 작업을 위해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인운반로봇(200)은 내장된 로봇배터리(27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사용할 수 있다. 팔레트(100)는 전원공급부(300)와 결합하여 전력을 공급받게 되면 충전모듈(150)을 통해 적재된 차량(10)의 차량배터리(11)를 충전하고, 무인운반로봇(200)에 전력을 공급하여 소모된 팔레트배터리(170)도 충전할 수 있다. 도 11은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주차 관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차량승하차구역(60)의 팔레트(100)에 차량(10)이 적재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차량의 입차를 감지할 수 있다(610). 제어부(400)는 차량승하차구역(60)에 마련된 감시카메라(미도시), 팔레트(100)에 구비된 차량적재센서(미도시) 혹은 차량(10)의 사용자(20)의 입력정보 등에 기초하여 차량(10)이 적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차량(10)이 입차 되면 제어부(400)는 입차 된 차량(10)이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620). 제어부(400)는 다양한 수단을 통해 차량(10)이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차량(10)의 사용자(20)가 입력한 충전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이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혹은 차량(10)의 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10)의 ECU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여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혹은 기입력된 요청 정보(예를 들면 차량 번호 XXXX의 경우 주차 시 마다 충전을 요청, 차량 번호 YYYY의 경우 화요일, 금요일 마다 충전을 요청, 차량번호 ZZZZ의 경우 내연차량으로 충전 불필요 등)에 기초하여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입차 된 차량(10)이 충전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620의 아니오), 차량(10)을 적재한 팔레트(100)를 전원공급부(300)가 없는 비충전주차공간(54)으로 이송하여 주차시킨다(660). 이와 같이 충전이 필요하지 않은 차량(10)의 경우 비충전주차공간(54)으로 이송하여 주차시킴으로써 충전이 필요하지 않은 차량(10)이 전원공급부(300)를 점유하고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입차 된 차량(10)이 충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620의 예), 차량(10)을 적재한 팔레트(100)를 충전주차공간(51)으로 이송하여 전원공급부(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충전이 진행되면 제어부(400)는 충전중인 차량(10)이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한다(640). 이는 전원공급부(300)에 구비된 충전감지센서를 통해 확인할 수도 있고, 혹은 차량(10)의 ECU와 통신을 수행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제어부(400)는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640의 예), 차량(10)을 적재한 팔레트(100)를 전원공급부(300)가 없는 비충전주차공간(54)으로 이송하여 주차시킨다(660). 이와 같이 충전이 완료된 차량(10)을 비충전주차공간(54)으로 이송하여 주차시킴으로써 충전이 필요하지 않은 차량(10)이 전원공급부(300)를 점유하고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전이 필요하지 않은 차량(10) 및 충전이 완료된 차량(10)을 비충전주차공간(54)으로 이송하여 주차함으로써 충전주차공간(51)의 전원공급부(300)가 불필요하게 점유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원공급부(300)의 가동률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2는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속전원공급부 및 완속전원공급부의 개념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300)는 제1 주차공간(52)에 마련된 급속전원공급부(310); 및 제2 주차공간(53)에 마련된 완속전원공급부(320);를 포함하고, 제어부(400)는 팔레트(100)에 적재된 차량(10)의 주차 시간, 사용 가능한 급속전원공급부(310)의 수에 기초하여 팔레트(100)가 이동할 주차공간을 선택할 수 있다. 차량(10)은 높은 공급용량을 통해 빠르게 배터리를 충전하는 급속충전 및 낮은 공급용량을 통해 천천히 배터리를 충전하는 완속충전 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다. 급속충전의 경우 많은 양의 에너지를 빠른 시간 안에 주입하기 때문에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지만, 배터리 손상의 우려가 있다. 반면 완속충전의 경우 배터리에 무리가 가지 않지만 충전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전원공급부(300)의 일부는 급속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급속전원공급부(310)를 포함하고, 나머지 일부는 완속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완속전원공급부(320)를 포함하여, 전원공급부(300)는 차량(10)의 충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에는 제1 주차공간(52)에 마련된 세 개의 급속전원공급부(310) 및 제2 주차공간(53)에 마련된 네 개의 완속전원공급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 충전 시스템(1000)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의 실시예에서 제1 주차공간(52)에는 하나의 팔레트(100')가 주차 되어 급속전원공급부(310)로부터 차량(10')의 충전을 수행하고 있고, 두 개의 급속전원공급부(310)가 사용 가능하다. 제2 주차공간(53)에는 두 개의 팔레트(100'')가 주차 되어 완속전원공급부(320)로부터 차량(10'')의 충전을 수행하고 있고, 두 개의 완속전원공급부(320)가 사용 가능하다. 새로 입차 된 차량(10)을 적재한 팔레트(100)는 제어부(400)의 선택에 따라 충전을 위한 주차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차량(10)의 사용자(20)는 입차 시 제어부(400)에 차량(10)의 주차 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입력 받은 주차 시간이 완속전원공급부(320)에 의해 완속충전을 하기 충분한 시간인 경우 팔레트(100)를 제2 주차공간(53)으로 이송하여 완속전원공급부(320)를 통해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시간이 충분히 있는 경우 완속충전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이 배터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입력 받은 주차 시간이 완속충전을 하기에 부족한 경우, 또는 사용자(20)의 요청이 있는 경우 급속전원공급부(310)를 통해 급속충전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두 개의 급속전원공급부(310)가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제어부(400)는 팔레트(100)를 제1 주차공간(52)으로 이송하여 급속전원공급부(310)를 통해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차량(10)의 주차 시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입차 시 사용자(20)로부터 입력 받을 수도 있지만,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정기 주차를 하는 정기 주차 신청 시 제어부(400)는 입력한 주차 시간 정보로부터 차량(10)의 주차 시간을 도출 할 수도 있고, 혹은 기존 주차 이력으로부터 평균 주차 시간을 산출하여 도출 할 수도 있다. 제어부(400)는 이와 같이 차량(10)의 주차 시간 및 사용 가능한 급속전원공급부(310)의 수에 기초하여 한정된 수의 급속전원공급부(310)의 충전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우선적으로 충전이 시급한 차량(10)에 급속충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주차 시간에 여유가 있는 차량(10)에는 완속충전을 제공함으로써 차량(10)의 배터리의 손상을 억제하고 효율적인 충전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설치된 키오스크(450) 또는 사용자단말기(30)를 통해 차량(10)의 사용자(20)로부터 차량의 주차 및 충전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아 팔레트(100) 및 전원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사용자(20)로부터 차량의 주차 및 충전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음으로써 차량(10)의 주차 및 충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설치된 키오스크(450)를 통해 사용자(20)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키오스크(450)는 차량승하차구역(60) 인근에 설치되어 차량(10)에서 하차한 사용자(20)가 정보를 입력하거나, 혹은 차량을 출차 하려는 사용자(20)가 정보를 입력하여 차량(10)을 호출하고 탑승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400)는 사용자단말기(30)를 통해 차량(10)의 사용자(20)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30)는 사용자(20)의 스마트 폰, 스마트 워치, 태블릿 PC 등의 전자 기기에 설치된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혹은 제어부(400)로의 입력을 위한 전용 기기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단말기(30)는 Wi-Fi,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초광대역 이동 통신, LTE 등의 무선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제어부(4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단말기(30)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20)는 키오스크(450)와 같은 고정식 입력 단말이 위치한 장소까지 이동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정보를 입력하고 차량(10)의 충전 및 주차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설치된 키오스크(450) 또는 사용자단말기(30)를 통해 차량(10)의 사용자(20)로부터 차량의 주차 및 충전에 대한 결제 정보를 입력 받아 팔레트(100) 및 전원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키오스크(450) 또는 사용자단말기(30)는 결제모듈을 포함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결제 정보를 제어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결제 정보를 수신한 제어부(400)는 팔레트(100) 및 전원공급부(300)를 제어하여 충전 및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개시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개시된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차량
11: 차량배터리
15: 충전소켓
20: 사용자
30: 사용자단말기
50: 주차공간
51: 충전주차공간
52: 제1 주차공간
53: 제2 주차공간
54: 비충전주차공간
60: 차량승하차구역
70: 전원
100: 팔레트
110: 바디부
120: 지지부
150: 충전모듈
151: 유선충전모듈
152: 무선충전모듈
160: 전원공급결합모듈
170: 팔레트배터리
200: 무인운반로봇
210: 팔레트결합부
270: 로봇배터리
300: 전원공급부
310: 급속전원공급부
320: 완속전원공급부
400: 제어부
450: 키오스크
1000: 차량 충전 시스템 차량 충전 시스템이 개시된다. 차량 충전 시스템은, 차량이 적재되며, 상기 적재된 차량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모듈을 포함하는 1 이상의 팔레트; 주차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팔레트가 상기 주차공간에 위치하면 상기 팔레트의 충전모듈과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충전모듈을 통해 상기 팔레트에 적재된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팔레트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차량의 충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이 적재되며, 상기 적재된 차량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모듈을 포함하는 1 이상의 팔레트;주차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팔레트가 상기 주차공간에 위치하면 상기 팔레트의 충전모듈과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충전모듈을 통해 상기 팔레트에 적재된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상기 팔레트의 상기 주차 공간으로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차량의 충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충전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충전이 불필요한 차량이 적재된 팔레트를 비충전주차공간에 주차하도록 상기 팔레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차량 충전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원공급부는 제1 주차공간에 마련된 급속전원공급부; 및제2 주차공간에 마련된 완속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팔레트에 적재된 차량의 주차 시간, 사용 가능한 상기 급속전원공급부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팔레트가 이동할 주차공간을 선택하는 차량 충전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상기 충전모듈은 적재된 차량에 구비된 충전단자로 전력을 유선으로 전달하는 유선충전모듈; 및적재된 차량에 구비된 충전패드로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무선충전모듈;을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 적재된 차량과 유선충전모듈의 접속 여부, 상기 차량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모듈을 선택하는 차량 충전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상기 충전모듈은 적재된 차량에 구비된 충전단자로 전력을 유선으로 전달하는 유선충전모듈;인 차량 충전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상기 충전모듈은 적재된 차량에 구비된 충전패드로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무선충전모듈;인 차량 충전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상기 차량 충전 시스템은 상기 팔레트와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팔레트를 이송할 수 있는 1 이상의 무인운반로봇;을 더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인운반로봇을 제어하여 상기 팔레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차량 충전 시스템. 제7항에 있어서,상기 팔레트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팔레트배터리를 포함하고,상기 무인운반로봇은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로봇배터리를 포함하고,상기 무인운반로봇은 상기 팔레트의 이송 시 상기 팔레트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팔레트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차량 충전 시스템. 제8항에 있어서,상기 팔레트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팔레트배터리를 충전하는 차량 충전 시스템. 제7항에 있어서,상기 팔레트는 차량이 적재되는 바디부; 및상기 바디부가 바닥으로부터 이격 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상기 무인운반로봇은상기 팔레트의 바디부의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바디부를 들어올려 이동함으로써 상기 팔레트를 이송하는 차량 충전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차량이 적재된 팔레트를 차량승하차구역으로 이송시키는 차량 충전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주차 및 충전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주차 및 충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팔레트 및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차량 충전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설치된 키오스크 또는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차량의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주차 및 충전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팔레트 및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차량 충전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