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HTHALMIC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16-01-2014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WO2014011015A1
Принадлежит: (주)루트로닉
Контакты:
Номер заявки: KR63-00-201327
Дата заявки: 15-07-2013

안과용 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
[1]

본 발명은 안과용 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구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안과용 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2]

안과용 치료장치는 안구에 발생되는 녹내장, 백내장 또는 황반 변성 등의 치료를 위해 치료용 빔을 조사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안구의 질환 중 녹내장은 유리체의 안압의 증가, 백내장은 수정체의 백화 현상, 그리고 황반 변성은 망막에 발생된다.

[3]

이러한 안과용 치료장치는 안구의 질환이 발생된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안구의 이미지를 촬영한다. 그리고, 안과용 치료장치는 촬영된 안구의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안구의 병변 영역에 치료용 빔을 조사한다.

[4]

한편, 종래의 안과용 치료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22813호"인 "의학용 레이저 안내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선행문헌인 "의학용 레이저 안내장치"는 레이저광원, 광출력에서 레이저광원으로부터 망막 시계장치의 광통로 내로 광을 안내하기 위한 레이저광 안내수단, 광통로 내에서 레이저광원으로부터의 레이저광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한 레이저광 위치조정수단 및 눈의 망막의 소정 지점 또는 영역에 레이저광을 인가하기 위해서 레이저광원 및 위치조정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5]

그런데, 종래의 선행문헌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은 시계장치 및 위치조정수단을 이용하여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위치를 조정하고 있으나, 정확한 병변 영역을 설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없는 단점이 발생한다.

[6]

본 발명의 목적은 안구의 질환에 치료용 빔을 조사하기에 앞서, 치료 영역을 정확하게 특정한 후 치료용 빔을 조사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7]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치료용 빔을 생성하는 빔 생성유닛 및 상기 치료용 빔을 안구로 인도하는 빔 딜리버리유닛을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에 있어서, 치료 대상 안구의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안구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이미지유닛과 상기 이미지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상기 안구의 이미지 중 병변 영역을 표시하도록 입력 신호를 인가하는 입력유닛과 상기 입력유닛에 의해 입력되어 표시된 상기 병변 영역에 기초하여, 표시된 상기 병변 영역 내에 상기 치료용 빔을 조사하도록 상기 빔 생성유닛 및 상기 빔 딜리버리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를 제공한다.

[8]

그리고, 치료용 빔을 생성하는 빔 생성유닛 및 상기 치료용 빔을 안구로 인도하는 빔 딜리버리유닛을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치료 대상인 안구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안구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c) 디스플레이된 상기 안구의 이미지 중 병변 영역의 외곽을 따라 드로잉 하는 단계와, (d) 드로잉된 상기 병변 영역 내에 치료용 빔을 조사하도록 상기 빔 생성유닛 및 상기 빔 딜리버리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9]

또한 치료용 빔과 얼라인 빔을 생성하는 빔 생성유닛과, 상기 치료용 빔과 상기 얼라인 빔을 각각 안구의 치료 영역으로 인도하는 빔 딜리버리유닛과, 상기 안구의 치료 영역에 조사된 상기 얼라인 빔에 따른 조직 상태를 감지하는 조직감지부와 상기 조직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치료용 빔의 조사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빔 딜리버리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10]

나아가, 얼라인 빔 및 치료용 빔을 생성하는 빔 생성유닛과, 상기 얼라인 빔 및 상기 치료용 빔을 안구의 치료 영역으로 인도하는 빔 딜리버리유닛과, 상기 얼라인 빔이 조사된 상기 안구의 치료 영역의 조직 상태 변화 여부를 감지하는 조직감지부를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얼라인 빔을 생성하여, 안구의 치료 영역에 조사하는 단계와, (b) 상기 얼라인 빔이 조사되는 상기 안구의 치료 영역 상의 조직 상태 변화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c) 상기 얼라인 빔이 조사된 상기 안구의 치료 영역 상의 조직 상태 변화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안구의 치료 영역 상에 조사되는 상기 치료용 빔의 조사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기 빔 딜리버리제어부(17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11]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는 치료 대상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에 근거하여 치료용 빔의 조사위치를 결정하거나, 조직 특성을 이용하여 조사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정밀한 치료와 함께 치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2]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개략 구성도,

[13]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 블록도,

[14]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이미지유닛에 의해 촬영된 안구의 일 영역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개략 구성도,

[15]

도 4는 안구의 병변 영역 내에 치료용 빔을 조사하는 개략 구성도,

[16]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 흐름도,

[17]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제3 실시예들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개략 구성도,

[18]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제3 실시예들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 블록도,

[19]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

[20]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이다.

[2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22]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망막에 발생된 병변을 치료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망막 이외의 안구에 발생된 병변을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23]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24]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10)는 빔 생성유닛(100), 빔 딜리버리유닛(200), 이미지유닛(400), 입력유닛(500), 메모리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10)는 패턴 스팟으로 치료용 빔을 조사할 때 사용되는 패턴형성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5]

빔 생성유닛(100)은 치료용 빔을 생성하도록 마련된다. 빔 생성유닛(100)으로부터 생성되는 치료용 빔은 레이저가 사용된다. 빔 생성유닛(100)은 치료용 빔으로 생성되는 레이저를 생성하기 위한 레이저 공진기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빔 생성유닛(100)은 안구(O)의 조직에 따른 파장 대역의 치료용 빔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6]

빔 딜리버리유닛(200)은 XY 스캐너(220), 시준유닛(240) 및 빔 스플리터(260)를 포함한다. 빔 딜리버리유닛(200)은 빔 생성유닛(100)으로부터 제공된 치료용 빔을 안구(O)의 치료 영역으로 인도한다.

[27]

XY 스캐너(220)는 치료용 빔이 각막(Co) 및 수정체(Cr)를 통해 망막(R)으로 조사되는 광 축선을 Z축이라 할 때 Z축의 가로방향인 XY 평면 상에 치료용 빔의 스팟(LS: 도 4 참조)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XY 스캐너(220)는 X축의 회전축선과 Y축의 회전축선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선으로 회전 운동하는 반사미러(미도시) 및 X축의 회전축선과 Y축의 회전축선 중 다른 하나의 회전축선으로 회전 운동되는 반사미러(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렇게, XY 스캐너(220)는 적어도 2개의 반사미러를 구비하여 치료용 빔의 스팟(LS)을 XY 평면 상에서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28]

시준유닛(240)은 안구(O)와 XY 스캐너 사이에 배치되어 XY 스캐너(220)로부터 입사된 치료용 빔을 안구(O)의 치료 영역으로 시준 한다. 시준유닛(240)은 복수개의 렌즈로 구성된 대물렌즈로 사용된다. 빔 스플리터(260)는 XY 스캐너(220)와 시준유닛(240) 사이에 배치되어 XY 스캐너(220)로부터의 치료용 빔을 시준유닛(240)으로 안내한다.

[29]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이미지유닛에 의해 촬영된 안구의 일 영역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개략 구성도이고, 도 4는 안구의 병변 영역 내에 치료용 빔을 조사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30]

이미지유닛(4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 대상 안구(O)를 촬영하여 촬영된 안구의 이미지(I)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미지유닛(400)에 의해 촬영되어 형성된 안구의 이미지(I)는 병변 영역(dr)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미지유닛(4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영상부(420) 및 디스플레이부(440)를 포함한다.

[31]

영상부(420)는 안구(O)의 형상, 상세히 설명하면 안구(O)에 발생된 질환인 병변 영역(dr)을 촬영하기 위해 사용된다. 영상부(420)는 안구(O)의 단층을 촬영하기 위한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와 디지털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부(420)는 상술한 OCT 및 디지털 카메라 이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촬영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32]

디스플레이부(440)는 영상부(420)에 의해 촬영되어 형성된 안구의 이미지(I)를 시술자에게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40)는 영상부(420)로부터 촬영되어 형성된 안구의 이미지(I)를 디스플레이 한다.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부(440)에 디스플레이 되는 안구의 이미지(I)는 병변 영역(dr)을 포함한 안구(O)의 특정 영역이 된다.

[33]

입력유닛(500)은 이미지유닛(4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안구의 이미지(I) 중 병변 영역(dr)을 표시하도록 입력 신호를 인가한다. 즉, 입력유닛(500)은 안구의 이미지(I) 중 병변 영역(dr)의 외곽 둘레를 따라 병변 영역(dr)이 드로잉 라인(dl)을 따라 형성되도록 입력 신호를 인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입력유닛(500)은 병변 영역(dr)의 외곽 둘레를 따라 이동되어 병변 영역(dr)을 드로잉 하도록 입력 신호를 인가하는 마우스 및 디지타이저(digitizer)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34]

한편, 디스플레이부(440)는 터치패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널은 디스플레이부(440)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배치된다. 입력유닛(500)은 터치패널을 따라 병변 영역(dr)을 드로잉 하는 즉, 드로잉 라인(dl)을 설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터치패널이 정전식 입력 방식인 경우 정전식 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터치패널이 압력식 입력 방식인 경우 압력 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35]

또 다른 실시예로서, 입력유닛(500)을 사용하지 않고 병변 영역(dr)의 외곽 둘레를 따라 드로잉 라인(dl)을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40)에 정전식 입력 방식의 터치패널이 포함될 때, 시술자의 손의 접촉 및 이동에 따라 병변 영역의 드로잉 라인(dl)이 형성될 수 있다.

[36]

메모리부(600)는 입력유닛(500)에 의해 드로잉 된 병변 영역(dr)의 형상을 저장한다. 메모리부(600)에 저장된 병변 영역(dr)의 형상 정보는 제어부(700)로 전송된다. 이렇게, 메모리부(600)에 저장된 병변 영역(dr)의 형상 정보에 따라 제어부(700)는 병변 영역(dr)의 형상 내부에 치료용 빔을 조사한다.

[37]

다음으로 제어부(700)는 입력유닛(500)에 의해 입력되어 표시된 병변 영역(dr)에 기초하여 표시된 병변 영역(dr) 내에 치료용 빔을 조사하도록 빔 생성유닛(100) 및 빔 딜리버리유닛(2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700)는 입력유닛(500)의 입력에 따라 형성된 병변 영역(dr)의 형상 정보를 저장한 메모리부(600)로부터 정보를 전송 받아, 병변 영역(dr) 내에 치료용 빔을 조사하도록 빔 생성유닛(100) 및 빔 딜리버리유닛(200)의 작동을 제어한다.

[38]

이러한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빔 생성 유닛(100) 및 빔 딜리버리유닛(200)을 통해 조사되는 치료용 빔은 병변 영역(dr) 내에 조사된다. 이때 치료용 빔의 각각의 스팟(Ls)은 일정한 사이즈로 조사되어, 병변 영역(dr) 내에 일정한 간격으로 조사될 수 있다.

[39]

또는, 패턴 형성부(800)에서 치료용 빔이 조사되는 패턴을 별도로 형성하고, 제어부(700)는 병변 영역 내에 패턴 형성부(800)에서 형성된 패턴에 따라 치료용 빔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패턴 형성부(800)는 치료용 빔의 스팟 사이즈 또는 각 스팟의 배열을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병변 영역 내에서 치료용 빔이 각각 정방형 패턴을 갖도록 할 수도 있고, 방사형 패턴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병변 영역 중 중심에 위치한 부분은 빔의 조사 밀도 또는 빔의 스팟 사이즈를 크게 하고, 가장자리에 위치한 부분은 빔의 조사 밀도 또는 빔의 스팟 사이즈를 작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40]

마지막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 흐름도이다.

[41]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10)의 제어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42]

우선, 이미지유닛(400)의 영상부(420)를 작동하여 치료 대상인 안구(O)를 촬영하여 안구의 이미지(I)를 형성한다(S100). 이미지유닛(400)의 영상부(420)에 의해 촬영되어 형성된 안구의 이미지(I)는 이미지유닛(400)의 디스플레이부(440)에 디스플레이 된다(S300).

[43]

시술자는 입력유닛(50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440)에 디스플레이된 안구의 이미지(I)의 병변 영역(dr)의 외곽 둘레를 따라 드로잉 라인(dl)이 형성되도록 입력 신호를 인가한다(S500). 이때, 입력유닛(500)은 마우스 및 디지타이저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440)에 터치패널이 포함될 경우 정전식 펜 또는 압력식 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44]

안구의 이미지(I) 상의 병변 영역(dr)을 드로잉한 후, 드로잉된 병변 영역(dr)의 형상을 메모리부(600)에 저장한다. 제어부(700)는 메모리부(600)에 저장된 병변 영역(dr)의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드로잉된 병변 영역(dr) 내에 치료용 빔을 조사한다(S700). 여기서, 치료용 빔의 스팟(LS)은 단일 스팟 또는 패턴 스팟으로 조사될 수 있다. 치료용 빔의 스팟(LS)이 패턴 스팟으로 조사될 경우, 패턴형성부(800)에 저장된 패턴 스팟의 형상을 이용한다.

[45]

이에, 치료 대상인 안구를 촬영하여 안구의 이미지를 형성한 후, 안구의 이미지 상의 병변 영역을 드로잉 하여 병변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병변 영역 내에 치료용 빔을 조사함으로써, 정밀한 안구의 치료와 함께 치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46]

[47]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48]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제3 실시예들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제3 실시예들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49]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제3실시예들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1010)는 빔 생성유닛(1100), 빔 딜리버리유닛(1200), 이미지유닛(1400), 입력유닛(1500), 조직감지부(1800), 메모리부(1600) 및 제어부(1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1010)는 안구(O)의 조직 중 각막(Co), 수정체(Cr) 및 망막(R)의 질환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50]

빔 생성유닛(1100)은 치료용 빔과 얼라인 빔을 생성한다. 빔 생성유닛(1100)으로부터 생성되는 치료용 빔과 얼라인 빔을 레이저로 발진된다. 여기서, 빔 생성유닛(1100)으로부터 생성되는 치료용 빔과 얼라인 빔은 각각 상이한 파장 대역, 즉 상이한 펄스 에너지를 갖는다. 예를 들어, 빔 생성유닛(1100)에서 생성되는 얼라인 빔의 파장 대역은 치료용 빔의 파장 대역 대비 수분 흡수도가 높은 파장 대역일 수 있다.

[51]

이렇게, 얼라인 빔이 치료용 빔 보다 수분 흡수도가 높은 파장 대역을 가짐으로써, 얼라인 빔이 안구(O)의 혈관 영역에 조사될 때 혈관에 흡수됨으로써 혈관 영역에 피해를 입히지 않을 수 있다. 빔 생성유닛(1100)은 치료용 빔과 얼라인 빔을 생성하기 위해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한 구성 요소를 갖도록 마련된다.

[52]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빔 생성유닛(1100)은 치료용 빔 및 얼라인 빔을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도시되지 않은 얼라인 빔 생성유닛을 마련하여 치료용 빔과 별도로 얼라인 빔을 생성할 수 있다.

[53]

빔 딜리버리유닛(1200)은 XY 스캐너(1220), 시준유닛(1240) 및 빔 스플리터(1260)를 포함한다. 빔 딜리버리유닛(1200)은 치료용 빔과 얼라인 빔을 각각 안구(O)의 치료 영역으로 인도한다.

[54]

XY 스캐너(1220)는 각막(Co), 수정체(Cr) 또는 망막(R)으로 조사되는 얼라인 빔 및 치료용 빔의 광 축선을 Z축이라 할 때 Z축의 가로방향 평면인 XY 평면 상에 치료용 빔 및 얼라인 빔을 인도한다. XY 스캐너(1220)는 미도시된 적어도 7개의 반사미러를 포함한다. XY 스캐너(1220)를 구성하는 적어도 7개의 반사미러는 각각 X축의 회전축선과 Y축의 회전축선 중 어느 하나로 회전 운동되고 X축의 회전축선과 Y축의 회전축선 중 다른 하나로 회전 운동되어 빔 생성유닛(1100)으로부터 제공된 치료용 빔 및 얼라인 빔을 XY 평면 상에 X축 및 Y축을 따라 인도한다.

[55]

시준유닛(1240)은 안구(O)에 인접하여 마련된다. 시준유닛(1240)은 XY 스캐너(1220)로부터 제공된 치료용 빔 및 얼라인 빔을 안구(O)의 치료 영역으로 시준한다. 시준유닛(1240)은 복수개의 렌즈로 구성된 대물렌즈로 사용된다. 빔 스플리터(1260)는 XY 스캐너(1220)와 시준유닛(1240) 사이에 배치되어 XY 스캐너(1220)로부터의 치료용 빔 및 얼라인 빔을 시준유닛(1240)으로 안내한다.

[56]

이미지유닛(1400)은 치료용 빔 및 얼라인 빔이 조사되는 안구(O)의 치료 영역을 촬영하도록 마련된다. 이미지유닛(1400)은 안구(O)의 치료 영역을 촬영하여 촬영된 안구(O)의 이미지를 형성한다. 이렇게, 이미지유닛(1400)에 의해 형성된 안구(O)의 이미지는 치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시술자에 의해 시인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이미지유닛(1400)은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및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공지된 촬영장비가 이용될 수 있다.

[57]

입력유닛(1500)은 빔 생성유닛(1100) 및 빔 딜리버리유닛(1200)이 작동되도록 작동 신호를 인가한다. 입력유닛(1500)은 빔 생성유닛(1100)으로부터 치료용 빔 및 얼라인 빔이 생성될 수 있도록 작동 신호를 인가한다. 입력유닛(1500)으로부터 인가된 작동 신호는 제어부(1700)에 전송되고 제어부(1700)는 빔 생성유닛(110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입력유닛(1500)은 빔 딜리버리유닛(1200)이 치료용 빔 및 얼라인 빔의 조사 위치가 조절되도록 입력 신호를 인가한다. 물론, 입력유닛(1500)으로부터 인가된 작동 신호는 제어부(1700)에 전송되고 제어부(1700)는 빔 딜리버리유닛(120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58]

다음으로 조직감지부(1800)는 안구(O)의 치료 영역에 조사된 얼라인 빔에 따른 조직 상태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조직감지부(1800)는 얼라인 빔이 안구(O)의 특정 조직에 조사될 때 버블을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거나, 얼라인 빔이 안구의 특정 조직에 조사될 때 얼라인 빔이 흡수되는 것을 감지한다. 조직감지부(1800)는 얼라인 빔의 조사에 따른 안구(O)의 조직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광학적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59]

메모리부(1600)는 조직감지부(1800)로부터 감지된 신호 및 조직감지부(1800)로부터 신호가 감지된 안구(O)의 특정 영역을 저장한다. 반면, 메모리부(1600)는 얼라인 빔이 조사되어 조직감지부(1800)로부터 조직 상태 변화가 미감지되는 안구의 특정 영역을 저장한다. 이렇게, 메모리부(1600)에 각각 저장된 정보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1010)의 제어 방법에 이용된다.

[60]

마지막으로 제어부(1700)는 메모리부(1600)로부터 저장된 감지 신호 및 해당 영역에 기초하여 치료용 빔이 조사되도록 빔 딜리버리유닛(12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700)는 얼라인 빔에 의해 조직 변화의 감지 및 해당 안구(O)의 영역을 포함한 정보를 전송 받아 해당 안구(O)의 영역에 치료용 빔이 조사되도록 빔 딜리버리유닛(1200)의 작동을 제어한다.

[61]

한편, 제어부(1700)는 메모리부(160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안구(O)의 특정 영역에는 치료용 빔이 조사되지 않도록 빔 딜리버리유닛(12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메모리부(1600)에 저장된 정보가 얼라인 빔의 조사에 따른 조직 변화가 없는, 예를 들어 혈관 영역과 같이 얼라인 빔이 흡수되는 영역으로 감지되면 해당 영역은 치료용 빔이 조사되지 않는 영역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메모리부(1600)의 정보에 따라 제어부(1700)는 해당 안구(O)의 영역에 치료용 빔이 조사되지 않고 회피되도록 빔 딜리버리유닛(1200)의 작동을 제어한다.

[62]

<제2실시예>

[63]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이다.

[64]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1010)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65]

우선, 이미지유닛(1400)을 작동하여 안구(O)를 촬영하고, 안구(O)의 이미지를 형성한다. 빔 생성유닛(1100)으로부터 얼라인 빔을 생성하여 안구(O)의 치료 영역에 얼라인 빔을 조사한다(S1010). 이때, 얼라인 빔은 치료용 빔과 파장 대역이 상이하고 수분 흡수도가 높은 파장 대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66]

'S1010'단계에서 안구(O)의 치료 영역에 얼라인 빔이 조사될 때 안구(O)의 조직 상태 변화 여부를 감지한다(S1030). 'S1030'단계에서 조직감지부(1800)에 의해 얼라인 빔이 조사된 안구(O)의 치료 영역에서 조직 상태 변화가 감지되면 조직감지부(1800)에 감지된 신호에 대응되는 해당 안구(O)의 치료 영역을 메모리부(1600)에 저장한다(S1050).

[67]

'S1050'단계에서 메모리부(160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치료용 빔을 조사한다. 이때, 빔 딜리버리유닛(1200)의 제어에 따라 치료용 빔은 메모리부(1600)에 저장된 정보의 해당 안구(O) 치료 영역에 조사된다(S1090). 한편, 'S1030'단계에서 얼라인 빔이 조사된 안구(O)의 치료 영역에서 조직 상태 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 치료용 빔이 조사되는 위치로 저장하지 않고 안구(O)의 치료 영역에 대한 얼라인 빔의 조사 위치를 조절한다(S1070).

[68]

<제3실시예>

[69]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이다.

[70]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치료장치(1010)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71]

우선, 이미지유닛(1400)의 작동에 따라 안구(O)를 촬영하여 안구(O)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미지유닛(1400)에 의해 생성된 안구(O)의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안구(O)의 치료 영역에 얼라인 빔을 조사한다(S1100). 여기서, 안구(O)의 치료 영역에 조사되는 얼라인 빔은 제2실시예와 같이, 치료용 빔과 상이하며 수분 흡수도가 높은 파장 대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72]

얼라인 빔이 조사되면 조직감지부(1800)를 이용하여 얼라인 빔이 조사된 안구(O)의 치료 영역에서 조직 상태 변화 여부를 감지한다(S1300). 'S1300'단계에서 조직 상태 변화가 없는 것으로 감지되면 조직감지부(1800)에 의해 미감지되는 안구(O)의 치료 영역을 메모리부(1600)에 저장한다(S1500). 제어부(1700)는 메모리부(160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조직감지부(1800)에 의해 미감지된 해당 안구의 치료 영역에 치료용 빔이 조사되는 것을 회피한다(S1700).

[73]

그리고, 제어부(1700)는 치료용 빔의 조사가 회피되는 해당 안구(O)의 치료 영역을 제외한 안구(O)의 치료 영역으로 치료용 빔을 조사한다(S1900). 반면, 'S1300'단계에서 얼라인 빔이 조사되는 안구(O)의 치료 영역에서 조직 상태 변화가 감지되면, 'S1900'단계로 진행하여 조직 상태 변화가 감지된 안구(O)의 치료 영역에 치료용 빔을 조사한다.

[74]

이에, 얼라인 빔을 이용하여 안구의 조직 상태 변화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치료용 빔이 조사되는 안구의 치료 영역을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밀한 치료용 빔의 조사에 따른 안구의 치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75]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76]

일 예로, 위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조합하여 치료용 빔이 조사되는 위치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예와 같이 안구의 안저 이미지로부터 병변 영역을 설정하여 치료용 빔의 조사 패턴을 설정한 후, 얼라인 빔을 조사하여 해당 병변 영역의 조직 특성을 감지한 후, 제2 실시예와 같이 치료용 빔이 조사될 영역을 저장하고, 제3 실시예와 같이 치료용 빔이 조사되지 않아야할 영역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이에 근거하여, 해당 병변 영역에 대해 패턴 설정부에서 설정된 패턴대로 치료용 빔을 조사하되, 제2 실시예의 방식에 의해 얻어진 치료용 빔이 조사될 영역으로만 치료용 빔을 조사하고, 제3 실시예의 방식에 의해 얻어진 치료용 빔이 회피되어야 할 영역으로는 치료용 빔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다.

[77]

이와 같이,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hthalmic treatment apparatus and to a method for controlling same, wherein the region onto which a treatment beam is to be radiated is accurately determined prior to the radiation of the treatment beam onto the diseased part of an eyeball, and then the treatment beam is radiated onto the diseased part. The ophthalmic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eam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treatment beam; an image unit for generating an image of an eyeball to be treated and displaying the image of the eyeball; an input unit for applying an input signal so as to display a lesion region in the image of the eyeball displayed by the image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eam generating unit such that the treatment beam can be radiated onto the lesion region in accordance with the lesion region displayed by means of the input signal inputted by the input unit. Thus, the image of the eyeball is formed by imaging the eyeball to be treated, the lesion region on the image of the eyeball is then drawn so as to set the lesion region, and the treatment beam is radiated on the set lesion region, thus performing an accurate eyeball treatment and improving treatment efficiency.

[2]



치료용 빔을 생성하는 빔 생성유닛 및 상기 치료용 빔을 안구로 인도하는 빔 딜리버리유닛을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에 있어서,

치료 대상 안구의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안구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이미지유닛과;

상기 이미지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상기 안구의 이미지 중 병변 영역을 표시하도록 입력 신호를 인가하는 입력유닛과;

상기 입력유닛에 의해 입력되어 표시된 상기 병변 영역에 기초하여, 표시된 상기 병변 영역 내에 상기 치료용 빔을 조사하도록 상기 빔 생성유닛 및 상기 빔 딜리버리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은 상기 병변 영역의 외곽을 따라 상기 치료용 빔의 조사 영역이 표시되도록 입력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유닛은 상기 병변 영역의 외곽 둘레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치료용 빔의 조사 영역을 표시하는 마우스 및 디지타이저(digitiz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유닛은,

상기 안구를 촬영하여 상기 안구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영상부와;

상기 영상부에서 생성된 상기 안구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유닛은 상기 터치패널에 접촉되며, 상기 병변 영역의 외곽 둘레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치료용 빔의 조사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은 정전식 입력 방식으로 마련되며, 상기 병변 영역의 상기 치료용 빔의 조사 영역은 시술자의 손의 접촉 및 이동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치료용 빔을 생성하는 빔 생성유닛 및 상기 치료용 빔을 안구로 인도하는 빔 딜리버리유닛을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치료 대상인 안구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안구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c) 디스플레이된 상기 안구의 이미지 중 병변 영역의 외곽을 따라 드로잉 하는 단계와;

(d) 드로잉된 상기 병변 영역 내에 치료용 빔을 조사하도록 상기 빔 생성유닛 및 상기 빔 딜리버리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치료장치는,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안구를 촬영하여, 상기 안구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영상부와;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영상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안구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마우스와 디지타이저(digitiz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터치패널 상의 접촉에 따른 입력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

치료용 빔과 얼라인 빔을 생성하는 빔 생성유닛과;

상기 치료용 빔과 상기 얼라인 빔을 각각 안구의 치료 영역으로 인도하는 빔 딜리버리유닛과;

상기 안구의 치료 영역에 조사된 상기 얼라인 빔에 따른 조직 상태를 감지하는 조직감지부와

상기 조직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치료용 빔의 조사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빔 딜리버리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신호 및 상기 조직감지부로부터 신호가 감지된 치료 영역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저장된 감지 신호 및 해당 치료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치료용 빔이 조사되도록 상기 빔 딜리버리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치료장치는,

상기 얼라인 빔이 조사되어 상기 조직감지부로부터 조직 상태 변화가 미감지되는 치료 영역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치료 영역에는 상기 치료용 빔이 조사되지 않도록 상기 빔 딜리버리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빔의 파장 대역은 상기 치료용 빔의 파장 대역 대비 수분 흡수도 높은 파장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

얼라인 빔 및 치료용 빔을 생성하는 빔 생성유닛과, 상기 얼라인 빔 및 상기 치료용 빔을 안구의 치료 영역으로 인도하는 빔 딜리버리유닛과, 상기 얼라인 빔이 조사된 상기 안구의 치료 영역의 조직 상태 변화 여부를 감지하는 조직감지부를 갖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얼라인 빔을 생성하여, 안구의 치료 영역에 조사하는 단계와;

(b) 상기 얼라인 빔이 조사되는 상기 안구의 치료 영역 상의 조직 상태 변화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c) 상기 얼라인 빔이 조사된 상기 안구의 치료 영역 상의 조직 상태 변화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안구의 치료 영역 상에 조사되는 상기 치료용 빔의 조사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기 빔 딜리버리제어부(17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치료장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 사이에는 상기 조직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신호 및 신호가 감지된 치료 영역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치료 영역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치료 영역에 상기 치료용 빔을 조사하도록 상기 빔 딜리버리제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치료장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 사이에는 상기 얼라인 빔이 조사될 때 상기 조직감지부로부터 조직 상태 변화가 미감지 되면, 미감지된 치료 영역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치료 영역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치료 영역에 상기 치료용 빔이 조사되지 않도록 상기 빔 딜리버리제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