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UBLE-SIDED INTERACTIVE APPARATUS USING TRANSPARENT DISPLAY DEVICE

24-12-2014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WO2014204057A1
Автор: LEE, Woohun, HEO, Heejeong
Принадлежит: 한국과학기술원
Контакты:
Номер заявки: KR96-00-201321
Дата заявки: 28-10-2013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양면 인터랙션 장치
[1]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양면 인터랙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터치 입력 장치는 키보드 대신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스크린을 터치하면, 터치 위치를 인식한다. 터치 입력 장치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된다.

[3]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으로 투명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었다. 투명 디스플레이 양면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사이에 두고 마주한 사용자 각각이 투명 디스플레이 너머를 볼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투명 디스플레이에 투사된 컨텐츠의 선명도가 높아야 하고, 디스플레이의 투명도가 높아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주변 빛의 밝기에 따라 선명도와 투명도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디스플레이 뒤에 물건을 넣고 광고하는 용도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한 면만을 사용할 뿐, 디스플레이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사이에 두고 마주한 사용자들의 인터랙션을 지원하기 위한 양면 인터랙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5]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주보는 사용자간의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양면 인터랙션 장치로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면에서의 제1 터치 정보를 입력받는 제1 터치 입력 장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면에서의 제2 터치 정보를 입력받는 제2 터치 입력 장치, 그리고 상기 제1 터치 정보와 상기 제2 터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콘텐츠를 실행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6]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콘텐츠가 맺히는 투명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7]

상기 양면 인터랙션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에서 실행된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콘텐츠를 상기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8]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 중 제1 프로젝터가 상기 제1면으로 제1 콘텐츠를 투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 중 제2 프로젝터가 상기 제2면으로 제2 콘텐츠를 투사하는 경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콘텐츠와 좌우가 반대인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제2 프로젝터로 전송할 수 있다.

[9]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다.

[10]

상기 양면 인터랙션 장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구분된 상기 제1면의 공간의 소리를 입력받는 제1 마이크, 그리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구분된 상기 제2면의 공간의 소리를 입력받는 제2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1]

상기 양면 인터랙션 장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구분된 상기 제1면의 공간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구분된 상기 제2면의 공간으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2]

상기 스피커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 진동을 이용해 소리를 내는 표면 소리 변환기일 수 있다.

[13]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터치 정보와 상기 제2 터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면에서의 터치 위치와 상기 제2면에서의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거리를 기초로 상기 콘텐츠에 구현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14]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사용자간의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양면 인터랙션 장치로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면에 입력된 제1 터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면에 입력된 제2 터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콘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제1 터치 정보와 상기 제2 터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콘텐츠를 실행하는 처리부, 그리고 상기 처리부에서 실행된 콘텐츠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15]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터치 정보와 상기 제2 터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터치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거리를 기초로 상기 콘텐츠에 구현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16]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터치 정보에 대해 상기 콘텐츠에 구현된 제1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제2 터치 정보에 대해 상기 콘텐츠에 구현된 제2 동작을 실행하다가, 상기 제1 터치 정보와 상기 제2 터치 정보의 위치가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콘텐츠에 구현된 제3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17]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3 동작을 실행한 후, 상기 제1 터치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위치가 상기 일정 거리보다 멀어지면, 상기 제1 터치 정보에 대해 상기 제1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제2 터치 정보에 대해 상기 제2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18]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터치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스피커의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19]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터치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콘텐츠의 투명도를 제어할 수 있다.

[20]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터치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에 상기 제1 터치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위치 주변을 제1 투명도로 표시하고, 상기 제1 터치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일정 거리를 벗어난 경우에 상기 제1 터치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위치 주변을 상기 제1 투명도보다 낮은 제2 투명도로 표시할 수 있다.

[2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를 사이에 둔 사용자들이 마주보고 터치 입력하는 터치 인터랙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투영하여 사용자들 사이의 인터랙션을 제공함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를 다방면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투명 디스플레이를 마주보는 사용자들이 시각적으로 공유할 뿐 아니라, 청각 및 촉각적인 공유를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단절된 공간에 위치한 사용자 간에 풍부한 소통을 할 수 있다.

[22]

도 1과 도 2 각각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양면 인터랙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3]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양면 인터랙션 장치의 설치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24]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5]

도 5와 도 6 각각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6]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27]

도 8과 도 9 각각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콘텐츠의 예시이다.

[28]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콘텐츠의 예시이다.

[29]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콘텐츠의 예시이다.

[30]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4 콘텐츠의 예시이다.

[31]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32]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33]

명세서 전체에서, 어느 구성이 "투명"하다고 할 때, 이는 100% 투명한 정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투명"한 장치 너머를 어느 정도 볼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하며, 투명도는 장치 및 콘텐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34]

도 1과 도 2 각각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양면 인터랙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35]

도 1을 참고하면, 양면 인터랙션 장치(100)는 양면 입출력부(110),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400, 410), 그리고 제어 장치(500)를 포함한다. 양면 입출력부(11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 그리고 터치 입력 장치(300, 310)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두 대의 프로젝터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 양면에 콘텐츠를 투사(projection)하는 시스템으로 설명하나, 경우에 따라, 한 대의 프로젝터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어느 한 면에만 콘텐츠를 투사할 수 있다. 양면 인터랙션 장치(100)는 마이크(미도시), 그리고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6]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 뒤쪽에 배치된 프로젝터(400/410)에서 투사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투명 프로젝션 스크린(projection screen)일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은 투명 필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필름은 다양할 수 있으며, 리어(rear) 필름 또는 홀로그래픽(holographic) 필름일 수 있다. 특히, 투명도에 따라 필름을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리어 필름 중에서도 투명도가 높은 클리어 리어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필름 양면은 유리 또는 아크릴과 같은 투명한 소재로 보호될 수 있다.

[37]

터치 입력 장치(300, 31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 양면에 각각 배치된다. 터치 입력 장치(300, 310)는 터치 입력을 인식하고, 터치된 위치의 좌표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정보를 제어 장치(500)로 전송한다.

[38]

입력 장치(300, 3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장치로서, 스크린 형태의 터치 스크린이나, 프레임 형태의 적외선(Infrared rays, IR) 터치 입력 장치일 수 있다.

[39]

프로젝터(400, 410)는 제어 장치(50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투사한다. 프로젝터(400, 41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콘텐츠가 나타나도록 거리, 위치, 각도 등이 조절된다. 사용자 등 뒤에서 투사된 콘텐츠가 사용자에 의해 차단되지 않도록 프로젝터(400, 410)가 설치된다.

[40]

제어 장치(500)는 터치 입력 장치 (300, 310), 프로젝터(400, 410), 마이크, 그리고 스피커에 연결되고, 연결된 장치들을 제어한다.

[41]

제어 장치(500)는 프로젝터(400, 410)로 콘텐츠를 전송한다. 이때, 제어 장치(500)는 기준면 프로젝터(400)로 보내는 콘텐츠를 좌우변환하여 반대면 프로젝터(4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콘텐츠는 입력에 따른 출력이 프로그램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42]

제어 장치(500)는 두 터치 입력 장치(300, 310)로부터 전송된 터치 입력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 장치(500)는 수신한 터치 정보가 두 터치 입력 장치(300, 310) 중 어느 터치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것인지 구분할 수 있다. 제어 장치(500)는 두 터치 입력 장치(300, 310)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입력 정보를 콘텐츠에 반영하고, 입력 정보에 따라 출력된 콘텐츠를 프로젝터(400, 410)로 전송한다.

[43]

도 2를 참고하면, 양면 인터랙션 장치(10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 터치 입력 장치(300', 310') 그리고 제어 장치(500')를 포함한다. 터치 입력 장치(300', 31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 양면에 각각 위치한다. 여기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 그리고 터치 입력 장치(300', 310')는 양면 입출력부(110')이다. 양면 인터랙션 장치(100')는 마이크(미도시), 그리고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44]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은 일정 수준 이상의 투명도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예를 들면, OLED 패널일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프로젝터(400, 410) 대신 이용될 수 있다.

[45]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 그리고 터치 입력 장치(300', 310') 각각은 제어 장치(500')에 연결된다.

[46]

제어 장치(500')는 두 터치 입력 장치(300', 310')으로부터 전송된 터치 입력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 장치(500')는 두 터치 입력 장치(300', 310')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입력 정보를 콘텐츠에 반영하고, 입력 정보에 따라 출력된 콘텐츠를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

[47]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어 장치(50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출력한다.

[48]

이와 같이, 양면 인터랙션 장치는, 프로젝션 스크린과 같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프로젝터(400, 410)를 이용한 리어 프로젝션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양면 인터랙션 장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터치 입력 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양면 인터랙션 장치(100)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양면 인터랙션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 방법이 양면 인터랙션 장치(100')에 응용될 수 있다.

[49]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양면 인터랙션 장치의 설치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50]

도 3을 참고하면, 양면 입출력부(110)와 프로젝터(400, 410)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 또는 벽 등에 부착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51]

프로젝터(400, 410)는 투사된 콘텐츠가 사용자에 의해 차단되지 않도록 위치, 각도 등을 고려하여 구조물 또는 벽 등에 부착한다. 사용자가 양면 입출력부(110) 앞에 서서 스크린을 사용할 때의 손의 높이, 손의 움직임 등이 고려될 수 있다.

[52]

두 대의 프로젝터(400, 410)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 양면에 콘텐츠를 투사하는 경우, 한쪽 프로젝터의 콘텐츠가 가려지더라도 맞은 편 프로젝터에서 투사된 콘텐츠에 의해 보완될 수 있다.

[53]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54]

도 4를 참고하면, 양면 입출력부(11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터치 입력 장치(300, 310)를 포함한다. 양면 입출력부(110)는 마이크(600, 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55]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콘텐츠가 맺히는 투명 필름(210), 그리고 필름 양면을 덮는 투명 부재(230)를 포함한다. 투명 부재(230)는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유리 또는 아크릴일 수 있다.

[56]

입력 장치(300, 310)는 투명 부재(230) 양면에 각각 배치되어 터치 입력을 받는다. 터치 입력 장치(300, 310)는 다양한 터치 입력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입력 장치(300, 310)는 터치 스크린이나, 적외선 터치 프레임일 수 있다.

[57]

마이크(600, 610)는 양면 입출력부(110) 양면에 각각에 부착되어 소리를 입력받는다. 마이크(600, 610)의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600, 610)는 양면 입출력부(110)에 부착 또는 내장되는 대신, 양면 입출력부(110)와 별도로 구현될 수 있다.

[58]

터치 입력 장치(300, 310), 그리고 마이크(600, 610)는 제어 장치(500)에 연결되어, 입력 정보를 제어 장치(500)로 전송한다.

[59]

도 5와 도 6 각각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60]

도 5와 도 6을 참고하면, 양면 입출력부(110)는 스피커(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피커(700)는 양면 입출력부(110)의 표면 진동을 이용해 소리를 내는 표면 소리 변환기(surface acoustic transducer)일 수 있다. 표면 소리 변환기는 소리뿐만 아니라 진동 피드백도 생성할 수 있다.

[61]

스피커(70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투명 부재(230), 예를 들면 아크릴에 부착되어, 아크릴의 진동을 소리로 변환할 수 있다.

[62]

스피커(700)는 표면 소리 변환기 이외에도 다양한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스피커(700)의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700)는 양면 입출력부(110)에 부착 또는 내장되는 대신, 양면 입출력부(110)와 별도로 구현될 수 있다.

[63]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64]

도 7을 참고하면, 제어 장치(500)는 입력부(510), 처리부(530), 출력부(550)를 포함한다.

[65]

입력부(510)는 터치 입력 장치(300, 310) 각각에서 입력된 터치 정보를 수신한다. 터치 정보는 각 터치 입력 장치(300, 310)에서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을 포함한다. 기준면 터치 입력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좌표값을 (x1, y1)이라고 하고, 반대면 터치 입력 장치(310)로부터 수신한 좌표값을 (x2, y2)라고 한다. 이때, 입력부(510)는 터치 입력 장치의 구현에 따라, 각 터치 입력 장치로부터 복수의 좌표값을 수신할 수 있다.

[66]

입력부(510)는 마이크(600, 610) 각각에서 입력된 소리 입력을 수신한다.

[67]

처리부(530)는 콘텐츠를 실행하고, 두 터치 입력 장치(300, 310)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터치 정보를 콘텐츠에 반영한다. 처리부(530)는 각 터치 입력 장치(300, 310)에서 터치된 좌표값을 기초로 콘텐츠를 처리한다. 여기서, 콘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장치(300, 310)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을 기초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다. 콘텐츠는 각 터치 입력 장치(300, 310)에서 터치된 위치들의 관계를 기초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68]

처리부(530)는 기준면 프로젝터(400)로 보내는 콘텐츠를 좌우변환하여 반대면 프로젝터(410)로 보내는 콘텐츠를 생성한다.

[69]

처리부(530)는 기준면 마이크(600)와 반대면 마이크(610)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소리 정보를 상대면으로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처리부(530)는 마이크(600, 610)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소리 정보를 콘텐츠에 반영할 수 있다.

[70]

출력부(550)는 처리부(530)에서 출력한 콘텐츠의 시각 정보를 프로젝터(400, 410)로 전송한다. 출력부(550)는 처리부(530)에서 출력한 콘텐츠의 청각 정보를 스피커(700)로 전송한다.

[71]

또한, 출력부(550)는 마이크에 입력된 소리를 스피커(700)로 전송한다.

[72]

다음에서, 터치 입력 장치(300, 310)로부터 입력된 터치 정보를 기초로 제어 장치(500)에서 실행되는 콘텐츠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73]

도 8과 도 9 각각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콘텐츠의 예시이다.

[74]

도 8을 참고하면, 콘텐츠는 터치 입력을 통해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제어 장치(500)가 콘텐츠를 실행하는 동안, 사용자A와 사용자B는 양면 입출력부(110)를 터치하여 그림을 그릴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A와 사용자B는 양면 입출력부(110)를 사이에 두고 위치한다.

[75]

콘텐츠는 색 팔래트를 제공하고, 사용자 각각이 색 팔래트 중 적어도 하나의 색을 선택하면, 선택한 색으로 사용자 각각이 그림을 그리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76]

콘텐츠는 두 터치 입력 장치(300, 310) 각각의 터치 위치[(x1, y1), (x2, y2)]에 일정한 크기의 원을 그리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77]

콘텐츠는 두 터치 입력 장치(300, 310) 각각의 터치 위치가 겹치면, 다양한 이벤트가 나타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와 같이, 사용자A와 사용자B가 그림을 그리다가 서로의 손가락이 맞닿으면, 지금까지와 다른 동작, 예를 들면 그라데이션으로 선이 생성되어 여러 패턴으로 그림을 그릴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500)는 두 터치 입력 장치(300, 310) 각각의 터치 위치[(x1, y1), (x2, y2)]의 겹침을 인식한다. 즉, 제어 장치(500)는 사용자A가 위치한 기준면의 xy좌표와 사용자B가 위치한 반대면의 xy좌표가 반대이므로, x2=디스플레이 화면의 가로 길이(width)-x1, y2=y1인 경우, 두 터치 입력 장치(300, 310) 각각의 터치 위치가 겹친다고 판단한다.

[78]

겹친 상태에서 사용자 중 어느 한 사람이 손을 떼면, 겹치기 전 색으로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상태로 돌아오도록 콘텐츠는 프로그램될 수 있다.

[79]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콘텐츠의 예시이다.

[80]

도 10을 참고하면, 콘텐츠는 터치에 따라 투명도가 변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제어 장치(500)가 콘텐츠를 실행하는 동안, 사용자A와 사용자B는 양면 입출력부(110)를 터치하여 양면 입출력부(110)의 투명도를 변경할 수 있다. 콘텐츠는 프로젝터(400, 410)에서 투사되는 빛의 색이 밝으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투명도가 낮아지는 특징을 이용하여 프로그램된다.

[81]

콘텐츠는 터치되지 않은 영역으로는 사용자A와 사용자B가 잘 보이지 않도록 하고, 사용자A와 사용자B에 의해 터치된 일정 영역만 사용자A와 사용자B가 상대방을 볼 수 있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콘텐츠는 배경색을 밝게 만들어 밝은 빛을 투사해 투명도를 낮춘다. 콘텐츠는 두 터치 입력 장치(300, 310) 각각의 터치 좌표를 기초로 터치된 일정 영역만 투명도를 높인다. 검은색의 투명도가 가장 높으므로, 콘텐츠는 터치된 일정 영역을 검은색으로 만들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82]

콘텐츠는 두 터치 입력 장치(300, 310) 각각의 터치 위치[(x1, y1), (x2, y2)]에 따라 투명한 영역의 크기, 상대방으로 전달하는 소리의 크기 등등을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는 사용자A와 사용자B가 터치한 위치가 일정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면, 투명한 원이 연결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이때, 콘텐츠는 구멍의 크기에 비례해 상대방의 소리의 크기도 커지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상대방으로 전달하는 소리의 크기는 스피커의 볼륨을 제어하여 조절할 수 있다.

[83]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콘텐츠의 예시이다.

[84]

도 11을 참고하면, 콘텐츠는 사용자A와 사용자B가 마주보고 터치하는 퍼즐 게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알파벳 퍼즐 게임인 경우, 사용자A와 사용자B가 보는 알파벳은 좌우가 바뀌어 있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콘텐츠는 단어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스펠링을 사용자 자신이 보기에 똑바른 방향으로 뒤집으면 글자가 완성되는 게임이다.

[85]

콘텐츠는 사용자가 양면 입출력부(110)를 터치하여 알파벳 카드를 뒤집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콘텐츠는 알파벳이 위치한 좌표와 같은 값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해당 알파벳을 180도 회전을 하여 뒤집히게 프로그램될 수 있다.

[86]

콘텐츠는 알파벳의 상태에 따라 알파벳의 색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는 특정 단어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알파벳이 한쪽 방향으로 나열되면 이 알파벳들이 써진 퍼즐을 특정한 색으로 나타내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87]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4 콘텐츠의 예시이다.

[88]

도 12를 참고하면, 콘텐츠는 사용자A와 사용자B가 마주보고 터치하는 리듬게임이다. 콘텐츠는 사용자A와 사용자B 각각이 터치하는 영역(note), 사용자A와 사용자B가 동시에 터치해야 하는 영역을 통해 사용자A와 사용자B가 협동하며 음악을 만들어 나갈 수 있다.

[89]

콘텐츠는 배경 음악의 박자대로, 정해진 위치에 특정 색의 터치 영역이 나타나도록 프로그램된다. 콘텐츠는 정해진 박자 안에 터치 영역을 터치하면 효과음과 함께 점수가 올라가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90]

이와 같이, 양면 인터랙션 장치(100)는 양면에서 터치 입력을 할 수 있고, 각 터치 입력 장치(300, 310)의 터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양면 인터랙션 장치(100)는 양면 인터랙션 장치(100)에 기반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통해 다양한 양면 터치 인터랙션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91]

최근 많은 건물에서 유리 등으로 만든 투명한 파티션이나 벽이 사용되고 있다. 유리 벽은 시각적으로는 이어져 있지만 공간적으로는 나누어져 있어 유리벽 너머를 볼 수 있지만, 만지거나 소리를 들을 수 없다. 그러나, 양면 인터랙션 장치(100)는 양면 입출력부(110)에 의해 공간이 분리되어 있더라도,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소통할 수 있다. 따라서, 양면 인터랙션 장치(100)는 시각, 청각, 촉각적인 소통을 통해, 공간적으로 구분된 공간의 소통을 도와준다.

[92]

양면 인터랙션 장치(100)는 인터랙티브 월에 이용될 수 있다. 양면 인터랙션 장치(100)는 지하철 플랫폼, 버스 정류장, 복합문화 공간 등 사람들이 많이 모여드는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마케팅, 캠페인에 이용될 수 있다.

[93]

양면 인터랙션 장치(100)는 투명한 벽에 의해 분리된 공간, 예를 들면, 무균실, 감옥의 면회실, 택시/버스의 운전석, 은행창구 등에 설치되어 분리된 공간에 위치한 사람들의 원활한 소통에 기여할 수 있다.

[94]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sided interactive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action between users facing each other, the double-sided interactive apparatus compris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 a first touch input device which is disposed on a first surface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into which first touch information on the first surface is input; a second touch input device which is dispos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into which second touch information on the second surface is input; and a control device for playing the content on the basis of the first touch information and the second touch information.

[2]



마주보는 사용자간의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양면 인터랙션 장치로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면에서의 제1 터치 정보를 입력받는 제1 터치 입력 장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면에서의 제2 터치 정보를 입력받는 제2 터치 입력 장치, 그리고

상기 제1 터치 정보와 상기 제2 터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콘텐츠를 실행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양면 인터랙션 장치.

제1항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콘텐츠가 맺히는 투명 필름을 포함하는 양면 인터랙션 장치.

제2항에서,

상기 제어 장치에서 실행된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콘텐츠를 상기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

를 더 포함하는 양면 인터랙션 장치.

제2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 중 제1 프로젝터가 상기 제1면으로 제1 콘텐츠를 투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 중 제2 프로젝터가 상기 제2면으로 제2 콘텐츠를 투사하는 경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콘텐츠와 좌우가 반대인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제2 프로젝터로 전송하는 양면 인터랙션 장치.

제1항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양면 인터랙션 장치.

제1항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구분된 상기 제1면의 공간의 소리를 입력받는 제1 마이크, 그리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구분된 상기 제2면의 공간의 소리를 입력받는 제2 마이크

를 더 포함하는 양면 인터랙션 장치.

제1항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구분된 상기 제1면의 공간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구분된 상기 제2면의 공간으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를 더 포함하는 양면 인터랙션 장치.

제7항에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 진동을 이용해 소리를 내는 표면 소리 변환기인 양면 인터랙션 장치.

제1항에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터치 정보와 상기 제2 터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면에서의 터치 위치와 상기 제2면에서의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거리를 기초로 상기 콘텐츠에 구현된 동작을 실행하는 양면 인터랙션 장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사용자간의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양면 인터랙션 장치로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면에 입력된 제1 터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면에 입력된 제2 터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콘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제1 터치 정보와 상기 제2 터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콘텐츠를 실행하는 처리부, 그리고

상기 처리부에서 실행된 콘텐츠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양면 인터랙션 장치.

제10항에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터치 정보와 상기 제2 터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터치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거리를 기초로 상기 콘텐츠에 구현된 동작을 실행하는 양면 인터랙션 장치.

제11항에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터치 정보에 대해 상기 콘텐츠에 구현된 제1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제2 터치 정보에 대해 상기 콘텐츠에 구현된 제2 동작을 실행하다가, 상기 제1 터치 정보와 상기 제2 터치 정보의 위치가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콘텐츠에 구현된 제3 동작을 실행하는 양면 인터랙션 장치.

제12항에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3 동작을 실행한 후, 상기 제1 터치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위치가 상기 일정 거리보다 멀어지면, 상기 제1 터치 정보에 대해 상기 제1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제2 터치 정보에 대해 상기 제2 동작을 실행하는 양면 인터랙션 장치.

제11항에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터치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스피커의 볼륨을 제어하는 양면 인터랙션 장치.

제11항에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터치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콘텐츠의 투명도를 제어하는 양면 인터랙션 장치.

제15항에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터치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에 상기 제1 터치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위치 주변을 제1 투명도로 표시하고, 상기 제1 터치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일정 거리를 벗어난 경우에 상기 제1 터치 위치와 상기 제2 터치 위치 주변을 상기 제1 투명도보다 낮은 제2 투명도로 표시하는 양면 인터랙션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