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LORING WORKBOOK

10-09-2020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WO2020180095A1
Автор: LEE, Kyung Yeon
Принадлежит: 이경연
Контакты:
Номер заявки: KR30-00-202034
Дата заявки: 04-03-2020

컬러링 워크 북 제공 방법 및 장치
[1]

본 발명은 컬러링 워크 북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노인의 치매 예방 및 치매 치료에 도움이 되는 색칠하기 활동을 지원하고 더 나아가 그 활동의 결과를 평가하여 노인들의 뇌 건강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2]

컬러링 워크북 활동은 누구나 접하기 쉬운 그림을 활용하여 색칠하기, 그림 및 색감 기억하기 등의 활동을 통하여 흥미를 유발하고 동시에 뇌 활동에 도움을 주어 노인들의 치매 예방 및 치료, 우울증 완화에 긍정저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진바 있다. 현대 사회로 진행될 수록 인구의 고령호가 진행됨에따라 노인들의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음에도, 현실에서는 이러한 컬러링 워크북을 이용하여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편리하고 쉽게 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3]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82987호

[4]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컬러링 워크 북을 컴퓨터 또는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5]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구역별로 소정의 색이 칠해져 있는 소정의 원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1단계, 상기 원본 그림과 동일한 형태이며,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되 상기 복수개의 구역 중 일부 구역에는 색이 칠해져 있지 않은 복사본 그림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복사본 그림의 구역별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소정의 색 및 구역을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구역에 상기 선택된 색을 칠하여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의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원본 그림을 일정 시간동안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시킨 후 상기 원본 그림을 출력부에 나타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사본 그림의 구역별로 선택한 색 및 구역의 위치와, 원본 그림의 색 및 구역의 위치를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판단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확도 판단 후에 결과물에 대해 평가하는 제5단계를 더 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의 상기 제4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성명, 나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의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원본 그림의 각 구역별로 미리 정하여진 순서 또는 랜덤으로 색을 변경하여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소정의 배경 그림과, 상기 배경 그림 상에 합치되는 소정의 캐릭터 그림을 점선으로 연결한 통합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1단계; 상기 점선 상에 특정 질문이 기재된 질문 박스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2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부 상에서 점선을 따라 그리는 입력 정보와 상기 질문 박스에 기재된 특정 질문에 답을 입력받아 상기 점선 상에 표시되는 선과 상기 질문 박스에 답을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의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소정의 캐릭터 그림에 기준값을 표시하고, 상기 질문 박스마다 연산 숫자를 표시하여 해당 질문 박스에 기재된 연산 숫자를 상기 기준값에서 연산한 후 상기 질문 박스에 암산 결과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점선 상에 표시되는 선과 상기 질문 박스에 답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소정의 배경 그림과, 상기 배경 그림 상에 합치될 소정의 캐릭터 그림이 미로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표시된 통합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1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부 상에서 상기 미로의 입구에서 선을 그어 출구로 나올 수 있도록 경로를 입력받아 상기 선의 경로를 출력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구역별로 소정의 색이 칠해져 있는 소정의 원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1단계; 상기 원본 그림과 동일한 형태이며,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되 상기 복수개의 구역 중 일부 구역에는 그림이나 글씨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복사본 그림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2 단계; 상기 원본 그림과 상기 복사본 그림을 비교하여 사용자로부터 틀린 부분을 입력받아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상기 제3단계는 틀린 부분에 대한 찾은 그림을 선택하고, 상기 찾은 그림의 이름을 음성으로 입력하거나, 상기 원본 그림 또는 상기 복사본 그림에 표시된 캐릭터 그림을 순서를 다르게 양쪽에 각각 출력한 후 같은 그림을 찾아 선을 그어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되 상기 복수개의 구역 중 일부 구역에 공란부분을 갖도록 그림 일부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기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1 단계; 상기 공란에 해당하는 그림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공란에 그림을 출력하는 제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구역별로 소정의 색이 칠해져 있는 소정의 원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1단계; 상기 원본 그림 중 일부 구역의 그림이 검정색으로 칠해져 있는 다양한 모양의 복사본 그림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2 단계; 상기 원본 그림의 일부 구역과 일치하는 구역의 그림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그림을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소정의 캐릭터 그림이 평행한 선 상에 각각 표시되고, 그 사이에 점이 설정 간격마다 표시되고, 상기 평행선 단부에 특정 질문이 기재된 질문 박스가 표시되며, 상기 점의 일부에 특정 경로로 표시된 점선이 일부 표시된 기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1 단계; 상기 일부 표시된 점선의 단부에서 상기 일부 표시된 점선과 동일한 패턴의 경로를 갖도록 하는 완성 경로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제2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부 상에서 상기 점선을 잇도록 선을 긋는 입력 정보와 상기 질문 박스에 기재된 특정 질문에 답을 입력받아 상기 점선에 이어지는 선과 상기 질문 박스에 답을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소정의 원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1단계; 상기 원본 그림이 가려지고 구역이 구분되어 있지 않은 신규 그림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2 단계; 상기 원본 그림에 맞게 사용자로부터 구역을 입력받아 상기 신규 그림 상에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일부는 완성되지 않아 점선으로 표시되고, 일부는 완성되어 실선으로 표시된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소정의 원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1단계; 상기 점선으로 표시된 상기 구역을 완성하도록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구역을 입력받아 상기 원본 그림 상에 출력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구역별로 소정의 색이 칠해져 있는 소정의 원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1단계; 상기 원본 그림을 소정 구역마다 분할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2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분할된 원본 그림의 배치 정보를 입력받아 그림이나 글씨가 표시되어 있지 않으면서 구획 형성된 신규 그림 상에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는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구역별로 소정의 색이 칠해져 있는 소정의 원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원본 그림과 동일한 형태이며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되 상기 복수개의 구역 중 일부 구역에는 색이 칠해져 있지 않은 복사본 그림을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 및 상기 복사본 그림의 구역별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소정의 색 및 구역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구역에 상기 선택된 색을 칠하여 출력부로 출력하는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의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는 상기 원본 그림을 일정 시간동안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시킨 후 상기 원본 그림을 출력부에 나타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는 상기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사본 그림의 구역별로 선택한 색 및 구역의 위치와 원본 그림의 색 및 구역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양자를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판단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부에 의한 정확도 판단 후에 결과물에 대해 평가하는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본 그림의 각 구역별로 미리 정하여진 순서 또는 랜덤으로 색을 변경하여 이를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에 제공하는 워크북 컬러 발생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는 소정의 배경 그림과, 상기 배경 그림 상에 합치되는 소정의 캐릭터 그림을 점선으로 연결한 통합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점선 상에 특정 질문이 기재된 질문 박스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부 상에서 점선을 따라 그리는 입력 정보와 상기 질문 박스에 기재된 특정 질문에 답을 입력받아 상기 점선 상에 표시되는 선과 상기 질문 박스에 답을 출력하는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의 상기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는 상기 소정의 캐릭터 그림에 기준값을 표시하고, 상기 질문 박스마다 연산 숫자를 표시하여 해당 질문 박스에 기재된 연산 숫자를 상기 기준값에서 연산한 후 상기 질문 박스에 암산 결과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점선 상에 표시되는 선과 상기 질문 박스에 답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는 소정의 배경 그림과, 상기 배경 그림 상에 합치될 소정의 캐릭터 그림이 미로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표시된 통합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부 상에서 상기 미로의 입구에서 선을 그어 출구로 나올 수 있도록 경로를 입력받아 상기 선의 경로를 출력하는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는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구역별로 소정의 색이 칠해져 있는 소정의 원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원본 그림과 동일한 형태이며,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되 상기 복수개의 구역 중 일부 구역에는 그림이나 글씨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복사본 그림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 및 상기 원본 그림과 상기 복사본 그림을 비교하여 사용자로부터 틀린 부분을 입력받아 출력하는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의 상기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는 틀린 부분에 대한 찾은 그림을 선택하고, 상기 찾은 그림의 이름을 음성으로 입력하거나, 상기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는 상기 원본 그림 또는 상기 복사본 그림에 표시된 캐릭터 그림을 순서를 다르게 양쪽에 각각 출력한 후 같은 그림을 찾아 선을 그어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는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구역별로 소정의 색이 칠해져 있는 소정의 원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원본 그림 중 일부 구역의 그림이 검정색으로 칠해져 있는 다양한 모양의 복사본 그림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 및 상기 원본 그림의 일부 구역과 일치하는 구역의 그림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그림을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의 상기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는 상기 원본 그림의 일부 구역에 대한 조영 그림자와 일치하는 구역의 그림을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사본 그림에서 선택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그림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는 소정의 캐릭터 그림이 평행한 선 상에 각각 표시되고, 그 사이에 점이 설정 간격마다 표시되고, 상기 평행선 단부에 특정 질문이 기재된 질문 박스가 표시되며, 상기 점의 일부에 특정 경로로 표시된 점선이 일부 표시된 기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일부 표시된 점선의 단부에서 상기 일부 표시된 점선과 동일한 패턴의 경로를 갖도록 하는 완성 경로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부 상에서 상기 점선을 잇도록 선을 긋는 입력 정보와 상기 질문 박스에 기재된 특정 질문에 답을 입력받아 상기 점선에 이어지는 선과 상기 질문 박스에 답을 출력하는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는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소정의 원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원본 그림이 가려지고 구역이 구분되어 있지 않은 신규 그림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 및 상기 원본 그림에 맞게 사용자로부터 구역을 입력받아 상기 신규 그림 상에 출력하는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는 일부는 완성되지 않아 점선으로 표시되고, 일부는 완성되어 실선으로 표시된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소정의 원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점선으로 표시된 상기 구역을 완성하도록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구역을 입력받아 상기 원본 그림 상에 출력하는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는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구역별로 소정의 색이 칠해져 있는 소정의 원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원본 그림을 소정 구역마다 분할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분할된 원본 그림의 배치 정보를 입력받아 그림이나 글씨가 표시되어 있지 않으면서 구획 형성된 신규 그림 상에 출력하는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를 포함한다.

[6]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컬러링 워크 북을 제공받아 사용자들이 쉽고 빠르게 컬러링 워크북 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일정한 그림에 다양한 색이 자동으로 변경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므로 같은 그림으로도 반복하여 다른 컬러링 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형 활동에 의한 수행력, 실행 능력, 시공간 구성능력, 색채 활용력 및 판단력 등을 평가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는 효과가 있다.

[7]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 북 제공 장치의 블록 구성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 그림을 보고 같은 색 칠하기 활동을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 그림을 기억하여 색 칠하기 활동을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과물에 대해 인지예방활동을 평가하는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과물에 대해 조형활동 및 운동활동을 평가하는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본 그림에서 사물의 이름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그림에서 점선을 따라 그리면서 질문에 대답하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그림에서 점선을 따라 그리면서 연산하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그림에서 미로를 그리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원본 그림과 복사본 그림의 틀린 그림을 찾고, 찾은 그림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림에서 양쪽의 캐릭터가 같도록 선을 그리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그림에서 공란에 맞게 그림을 붙여 완성하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본 그림과 동일한 그림을 복사본 그림에서 찾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그림에서 일부 표시된 점선을 동일한 패턴으로 완성시키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본 그림을 기억하고 신규 그림 상에 따라 그리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원본 그림에서 미완성 부분을 완성하기 위해 선을 그리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원본 그림을 분할한 후 신규 화면에 동일하게 맞추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 북을 통해 1월에서 12월까지의 학습 내용을 나타낸 예이다.

[8]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9]

도 1은 본 발명의 컬러링 워크 북 제공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 장치(100)는 입력부(101), 출력부(102),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107)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는 기준데이터 관리부(103), 개인정보 관리부(104), 워크북 컬러 발생부(105), 분석부(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0]

출력부(102)는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그림 및 복사본 그림을 모니터 화면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그림이란 선을 이용하여 다수의 복수개 구역으로 구획되어져 있는 그림으로 각각의 구역에는 특정한 색이 칠해져 있는 그림을 말한다. 또한 상기 복사본 그림이란 상기 원본 그림과 동일한 형태의 그림이나 복수개의 구역에 색이 칠해져 있지 않은 그림을 말한다. 상기 복사본 그림의 구역들 중 색이 칠해져 있지 않은 구역에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색을 선택받아 칠해지게 된다. 입력부(101)는 사용자로부터 복사본 그림의 구역 중 소정의 구역을 선택받고 상기 선택받은 구역의 색을 선택받는 모니터 또는 마우스 또는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장치이다.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및 복사본 그림을 상기 출력부(102)를 통하여 출력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는 원본 그림을 출력시킨 후 일정시간 지난후 원본 그림은 출력부(102)에 나타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복사본 그림을 출력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원본 그림의 기억에 의해 복사본 그림의 구역들에 원본 그림의 색과 동일한 색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워크북 컬러 발생부(105)는 상기 원본 그림의 구역들의 색을 변화시켜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에 제공한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동일한 형태의 원본 그림에 다양한 색을 가진 여러개의 원본 그림이 만들어 질 수 있어 사용자는 무한대에 가까운 원본 그림을 이용하여 컬러링 워크북 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11]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107)는 상기 입력부(101)을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복사본 그림의 구역 및 해당 구역의 색을 선택받아 복사본 그림을 완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준데이터 관리부(103)는 입력부(101)로부터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그림과 상기 원본 그림의 구역 별 색의 변화 순서 등의 입력바다 원본 컬러링 워크북 DB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개인정보 관리부(104)는 사용자의 성명, 나이, 성별 등의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분석부(108)는 사용자가 원본 그림을 보거나 기억해서 복사본 그림을 완성한 경우 이를 원본 그림과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뇌 건강상태를 소정의 지표로 만들어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선택한 색과 원본 및 복사본의 구역의 일치 정도, 원본 그림의 색과 사용자가 선택한 복사본 그림의 색의 RGB 값의 차이를 비교하여 색의 정확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연령별 평균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상범위 여부를 정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12]

한편 사용자가 복수회 컬러링 워크북 활동을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뇌 활동 능력의 변화를 그래프로 만들어 제공할 수도 있다. 더욱이, 분석부(108)에는 분석부(108)에 의한 정확도 판단 후에 결과물에 대해 평가하는 평가부(1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평가부(109)는 인지예방활동, 조형활동 및 운동활동에 대해 평가할 수 있으며,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평가 대상자는 보호자 등이 이에 적용될 수 있다.

[13]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1), 출력부(102),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107)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는 기준데이터 관리부(103), 개인정보 관리부(104), 워크북 컬러 발생부(105), 분석부(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02)는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그림을 모니터 화면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그림이란 다수의 복수개 구역으로 구획되면서 다양한 사물이 표시된 그림으로 각각의 사물마다 특정한 색이 칠해져 있는 그림을 말한다. 입력부(101)는 사용자로부터 원본 그림의 사물 이름을 입력하고 입력한 사물 이름이 입력되는 마이크 또는 키보드 또는 모니터 또는 마우스 또는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장치이다.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그림을 상기 출력부(102)를 통하여 출력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는 원본 그림을 출력시킨 후 원본 그림에 출력된 사물의 이름을 입력하는 칸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사물 이름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14]

한편 워크북 컬러 발생부(105)는 상기 원본 그림의 사물 색을 변화시켜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동일한 형태의 원본 그림에 다양한 색을 가진 여러 개의 사물이 만들어질 수 있어 사용자는 무한대에 가까운 원본 그림을 이용하여 컬러링 워크북 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107)는 상기 입력부(101)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원본 그림의 사물 이름을 칸에 완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준데이터 관리부(103)는 입력부(101)로부터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그림의 사물 및 사물 이름 등을 입력받아 원본 컬러링 워크북 DB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개인정보 관리부(104)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분석부(108)는 사용자가 입력한 원본 그림의 사물 이름과 DB를 비교한 후 그 정확도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뇌 건강상태를 소정의 지표로 만들어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복수회 컬러링 워크북 활동을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뇌 활동 능력의 변화를 그래프로 만들어 제공할 수도 있다. 더욱이, 분석부(108)에는 분석부(108)에 의한 정확도 판단 후에 결과물에 대해 평가하는 평가부(1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5]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1), 출력부(102),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107)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는 기준데이터 관리부(103), 개인정보 관리부(104), 워크북 컬러 발생부(105), 분석부(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02)는 컬러링 워크북의 소정의 배경 그림과, 소정의 캐릭터 그림을 점선으로 연결한 통합 그림을 모니터 화면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컬러링 워크북의 배경 그림이란 선을 이용하여 다수의 복수개 구역으로 구획되면서 구역마다 특정한 색이 칠해져 있는 그림을 말하고, 캐릭터 그림은 상기 배경 그림 상에 합치되도록 선을 이용하여 다수의 복수개 구역으로 구획되면서 구역마다 특정한 색이 칠해져 있는 그림을 말한다. 더욱이, 배경 그림과, 캐릭터 그림은 점선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점선 상에 특정 질문이 기재된 질문 박스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입력부(101)는 사용자로부터 배경 그림과 캐릭터 그림을 연결한 점선을 따라 그리는 입력 동작과 질문의 답을 입력하도록 마이크 또는 모니터 또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 또는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장치이다.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컬러링 워크북의 배경 그림과 캐릭터 그림을 상기 출력부(102)를 통하여 출력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는 배경 그림과 캐릭터 그림을 출력시킨 후 점선에 출력된 질문의 답을 입력하는 칸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질문의 답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16]

한편 워크북 컬러 발생부(105)는 상기 배경 그림과 캐릭터 그림의 색을 변화시켜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동일한 형태의 배경 그림에 다양한 색을 가진 여러 개의 캐릭터 그림이 만들어질 수 있어 사용자는 무한대에 가까운 배경 그림 및 캐릭터 그림을 이용하여 컬러링 워크북 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107)는 상기 입력부(101)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점선을 따라 선이 그어지는 과정과 질문의 답을 완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준데이터 관리부(103)는 입력부(101)로부터 컬러링 워크북의 점선에 긋는 선의 일치 여부 및 질문 답 등을 입력받아 원본 컬러링 워크북 DB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개인정보 관리부(104)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분석부(108)는 점선과 긋는 선의 일치 여부 및 사용자가 입력한 질문 답과 DB를 비교한 후 그 정확도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뇌 건강상태를 소정의 지표로 만들어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복수회 컬러링 워크북 활동을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뇌 활동 능력의 변화를 그래프로 만들어 제공할 수도 있다. 더욱이, 분석부(108)에는 분석부(108)에 의한 정확도 판단 후에 결과물에 대해 평가하는 평가부(1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7]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1), 출력부(102),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107)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는 기준데이터 관리부(103), 개인정보 관리부(104), 워크북 컬러 발생부(105), 분석부(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02)는 컬러링 워크북의 소정의 배경 그림과, 소정의 캐릭터 그림 및 배경 그림과 캐릭터 그림이 미로의 입구 및 출구에 표시된 통합 그림을 모니터 화면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컬러링 워크북의 배경 그림이란 선을 이용하여 다수의 복수개 구역으로 구획되면서 구역마다 특정한 색이 칠해져 있는 그림을 말하고, 캐릭터 그림은 상기 배경 그림 상에 합치되도록 선을 이용하여 다수의 복수개 구역으로 구획되면서 구역마다 특정한 색이 칠해져 있는 그림을 말한다. 더욱이, 미로는 수직선과 수평선을 이용하여 표시된 그림으로 입구에 캐릭터 그림이 표시되고, 출구에 배경 그림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18]

입력부(101)는 사용자로부터 캐릭터 그림으로부터 배경 그림까지 연결되도록 선을 그려 입력하도록 모니터 또는 마우스 또는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장치이다.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컬러링 워크북의 배경 그림과 캐릭터 그림을 상기 출력부(102)를 통하여 출력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는 배경 그림과 캐릭터 그림을 출력시킨 후 캐릭터 그림에서 배경 그림을 잇는 미로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입력부(101)를 통해 선을 그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워크북 컬러 발생부(105)는 상기 배경 그림과 캐릭터 그림의 색을 변화시켜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동일한 형태의 배경 그림에 다양한 색을 가진 여러 개의 캐릭터 그림이 만들어질 수 있어 사용자는 무한대에 가까운 배경 그림 및 캐릭터 그림을 이용하여 컬러링 워크북 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19]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107)는 상기 입력부(101)를 통하여 사용자가 긋는 선을 따라 선이 그어지는 과정을 수행한다. 기준데이터 관리부(103)는 입력부(101)로부터 컬러링 워크북의 미로의 입구에서 출구까지 선을 긋는 등을 입력을 받아 원본 컬러링 워크북 DB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개인정보 관리부(104)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분석부(108)는 미로의 입구에서 출구까지 긋는 선과 DB를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뇌 건강상태를 소정의 지표로 만들어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복수회 컬러링 워크북 활동을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뇌 활동 능력의 변화를 그래프로 만들어 제공할 수도 있다. 더욱이, 분석부(108)에는 분석부(108)에 의한 정확도 판단 후에 결과물에 대해 평가하는 평가부(1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0]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1), 출력부(102),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107)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는 기준데이터 관리부(103), 개인정보 관리부(104), 워크북 컬러 발생부(105), 분석부(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02)는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그림 및 복사본 그림을 모니터 화면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그림이란 선을 이용하여 다수의 복수개 구역으로 구획되어져 있는 그림으로 각각의 구역에는 특정한 색이 칠해져 있는 그림을 말한다. 또한 상기 복사본 그림이란 상기 원본 그림과 동일한 형태의 그림이나 복수개의 구역에 색이 칠해져 있지 않거나 그림이나 글씨가 일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그림을 말한다. 상기 복사본 그림의 구역들 중 원본 그림과 다른 부분 구역에는 사용자로부터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다르게 출력부(102)는 원본 그림과 복사본 그림의 틀린 부분과 틀리지 않은 부분에 대한 그림을 제공하거나, 원본 그림 또는 복사본 그림에 표시된 캐릭터 그림을 순서를 다르게 양쪽에 각각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입력부(101)는 사용자로부터 복사본 그림의 구역 중 원본 그림과 다른 부분 구역의 선택이 가능하거나, 복사본 그림의 구역 중 원본 그림과 다른 부분에 해당하는 캐릭터의 선택이 가능하거나, 원본 그림 또는 복사본 그림에 표시된 캐릭터 그림을 같은 그림끼리 선을 그을 수 있도록 모니터 또는 마우스 또는 마이크 또는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장치이다.

[21]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및 복사본 그림을 상기 출력부(102)를 통하여 출력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는 원본 그림을 출력시킨 후 일정시간 지난 후 원본 그림은 출력부(102)에 나타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복사본 그림을 출력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원본 그림의 기억에 의해 복사본 그림과의 틀린 부분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워크북 컬러 발생부(105)는 상기 원본 그림의 구역들의 색을 변화시켜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동일한 형태의 원본 그림에 다양한 색을 가진 여러 개의 원본 그림이 만들어질 수 있어 사용자는 무한대에 가까운 원본 그림을 이용하여 컬러링 워크북 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22]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107)는 상기 입력부(101)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복사본 그림의 구역을 선택받아 원본 그림과 복사본 그림에 틀린 부분을 표시하거나, 복사본 그림의 구역 중 원본 그림과 다른 부분에 해당하는 캐릭터의 선택 완료가 가능하거나, 원본 그림 또는 복사본 그림에 표시된 캐릭터 그림을 같은 그림끼리 연결하도록 긋는 선을 완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준데이터 관리부(103)는 입력부(101)로부터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그림과 복사본 그림의 틀린 부분 위치 또는 틀린 부분 사물 선택 또는 같은 그림끼리 긋는 선의 정보 등을 입력받아 원본 컬러링 워크북 DB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개인정보 관리부(104)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3]

분석부(108)는 사용자가 복사본 그림에서 원본 그림과 복사본 그림의 틀린 부위에 대한 선택이 완료된 경우 또는 틀린 부위에 대한 그림 선택이 완료된 경우 또는 같은 그림을 찾아 선을 긋는 경우 각각의 정보와 DB를 비교한 후 그 정확도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뇌 건강상태를 소정의 지표로 만들어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복수회 컬러링 워크북 활동을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뇌 활동 능력의 변화를 그래프로 만들어 제공할 수도 있다. 더욱이, 분석부(108)에는 분석부(108)에 의한 정확도 판단 후에 결과물에 대해 평가하는 평가부(1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4]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1), 출력부(102),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107)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는 기준데이터 관리부(103), 개인정보 관리부(104), 워크북 컬러 발생부(105), 분석부(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02)는 컬러링 워크북의 기본 그림을 모니터 화면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컬러링 워크북의 기본 그림이란 다수의 복수개 구역으로 구획되면서 그림의 일부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그림으로 일부 표시된 부분은 각각 마다 특정한 색이 칠해져 있다. 더욱이, 기본 그림에서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표시되면서 기본 그림의 미표시 부분에 스티커 형태로 붙일 수 있도록 기본 그림과 대응되는 별도로 사물이 출력될 수 있다.

[25]

입력부(101)는 사용자로부터 별도 그림에서 기본 그림의 미표시 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모니터 또는 마우스 또는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장치이다.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컬러링 워크북의 기본 그림 및 별도 그림을 상기 출력부(102)를 통하여 출력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워크북 컬러 발생부(105)는 상기 기본 그림 및 별도 그림의 사물 색을 변화시켜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동일한 형태의 기본 그림 및 별도 그림에 다양한 색을 가진 여러 개의 사물이 만들어질 수 있어 사용자는 무한대에 가까운 기본 그림 및 별도 그림을 이용하여 컬러링 워크북 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26]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107)는 상기 입력부(101)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기본 그림의 미표시 부분에 별도 그림의 대응 부분을 결합시켜 완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준데이터 관리부(103)는 입력부(101)로부터 컬러링 워크북의 기본 그림의 미표시 부분과 별도 그림의 대응 부분 등을 입력받아 원본 컬러링 워크북 DB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개인정보 관리부(104)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분석부(108)는 사용자가 입력한 기본 그림의 미표시 부분에 별도 그림의 대응 부분을 DB와 비교한 후 그 정확도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뇌 건강상태를 소정의 지표로 만들어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복수회 컬러링 워크북 활동을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뇌 활동 능력의 변화를 그래프로 만들어 제공할 수도 있다. 더욱이, 분석부(108)에는 분석부(108)에 의한 정확도 판단 후에 결과물에 대해 평가하는 평가부(1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7]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1), 출력부(102),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107)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는 기준데이터 관리부(103), 개인정보 관리부(104), 워크북 컬러 발생부(105), 분석부(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02)는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그림 및 복사본 그림을 모니터 화면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그림이란 다수의 복수개 구역으로 구획되면서 특정한 색이 칠해져 있는 그림이고, 복사본 그림이란 원본 그림 중 일부 구역의 그림을 포함하면서 검은색으로 칠해져 있는 다양한 모양의 그림을 말한다.

[28]

입력부(101)는 사용자로부터 원본 그림과 일치하는 복사본 그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원본 그림과 일치하는 복사본 그림의 그림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모니터 또는 마우스 또는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장치이다.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그림 및 복사본 그림을 상기 출력부(102)를 통하여 출력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워크북 컬러 발생부(105)는 상기 원본 그림 및 복사본 그림의 사물 색을 변화시켜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동일한 형태의 원본 그림 및 복사본 그림에 다양한 색을 가진 여러 개의 사물이 만들어질 수 있어 사용자는 무한대에 가까운 기본 그림 및 복사본 그림을 이용하여 컬러링 워크북 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107)는 상기 입력부(101)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복사본 그림의 일부를 원본 그림에 결합시켜 완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29]

기준데이터 관리부(103)는 입력부(101)로부터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그림과 원본 그림과 맞는 복사본 그림의 동일 여부 또는 원본 그림과 복사본 그림 그림자의 일치 여부 등을 입력받아 원본 컬러링 워크북 DB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개인정보 관리부(104)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분석부(108)는 사용자가 입력한 원본 그림과 원본 그림과 맞는 복사본 그림의 대응 부분 또는 원본 그림과 복사본 그림 그림자의 일치 부분을 DB와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뇌 건강상태를 소정의 지표로 만들어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복수회 컬러링 워크북 활동을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뇌 활동 능력의 변화를 그래프로 만들어 제공할 수도 있다. 더욱이, 분석부(108)에는 분석부(108)에 의한 정확도 판단 후에 결과물에 대해 평가하는 평가부(1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0]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1), 출력부(102),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107)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는 기준데이터 관리부(103), 개인정보 관리부(104), 워크북 컬러 발생부(105), 분석부(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02)는 소정의 캐릭터 그림이 평행한 선 상에 각각 표시되고, 그 사이에 점이 설정 간격마다 표시되고, 평행선 단부에 특정 질문이 기재된 질문 박스가 표시되며, 상기 점의 일부에 특정 경로로 표시된 점선이 일부 표시된 기본 그림 모니터 화면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31]

입력부(101)는 사용자로부터 일부 표시된 점선의 단부에서 일부 표시된 점선과 동일한 패턴의 경로를 갖도록 하는 완성 경로를 입력하도록 모니터 또는 마우스 또는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장치이다.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컬러링 워크북의 기본 그림을 상기 출력부(102)를 통하여 출력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워크북 컬러 발생부(105)는 기본 그림의 색을 변화시켜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동일한 형태의 기본 그림에 다양한 색을 가진 여러 개의 캐릭터 그림이 만들어질 수 있어 사용자는 무한대에 가까운 배경 그림 및 캐릭터 그림을 이용하여 컬러링 워크북 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107)는 상기 입력부(101)를 통하여 사용자가 수행한 선을 긋는 과정과 질문의 답을 완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준데이터 관리부(103)는 입력부(101)로부터 컬러링 워크북의 점선을 잇도록 선을 긋는 입력 정보와 질문 박스에 기재된 특정 질문에 답을 입력받아 원본 컬러링 워크북 DB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개인정보 관리부(104)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분석부(108)는 사용자가 긋는 선의 동일 여부 및 사용자가 입력한 질문 답과 DB를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뇌 건강상태를 소정의 지표로 만들어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복수회 컬러링 워크북 활동을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뇌 활동 능력의 변화를 그래프로 만들어 제공할 수도 있다. 더욱이, 분석부(108)에는 분석부(108)에 의한 정확도 판단 후에 결과물에 대해 평가하는 평가부(1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2]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1), 출력부(102),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107)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는 기준데이터 관리부(103), 개인정보 관리부(104), 워크북 컬러 발생부(105), 분석부(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02)는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그림 및 신규 그림을 모니터 화면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그림이란 선을 이용하여 다수의 복수개 구역으로 구획되어져 있는 그림을 말한다. 또한 상기 신규 그림이란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은 상태의 그림을 말한다.

[33]

입력부(101)는 사용자로부터 원본 그림에 맞게 신규 그림을 구획하도록 모니터 또는 마우스 또는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장치이다.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및 신규 그림을 상기 출력부(102)를 통하여 출력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는 원본 그림을 출력시킨 후 일정시간 지난 후 원본 그림은 출력부(102)에 나타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신규 그림을 출력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원본 그림의 기억에 의해 신규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워크북 컬러 발생부(105)는 상기 원본 그림의 구역들의 선이나 색을 변화시켜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동일한 형태의 원본 그림에 다양한 색을 가진 여러 개의 원본 그림이 만들어질 수 있어 사용자는 무한대에 가까운 원본 그림을 이용하여 컬러링 워크북 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107)는 상기 입력부(101)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신규 그림의 선을 통해 신규 그림을 완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준데이터 관리부(103)는 입력부(101)로부터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그림과 상기 원본 그림의 구역 선택 등을 입력받아 원본 컬러링 워크북 DB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개인정보 관리부(104)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분석부(108)는 사용자가 원본 그림을 본 후 기억해서 신규 그림을 완성한 경우 이를 원본 그림과 비교한 후 그 정확도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뇌 건강상태를 소정의 지표로 만들어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복수회 컬러링 워크북 활동을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뇌 활동 능력의 변화를 그래프로 만들어 제공할 수도 있다. 더욱이, 분석부(108)에는 분석부(108)에 의한 정확도 판단 후에 결과물에 대해 평가하는 평가부(1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4]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1), 출력부(102),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107)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는 기준데이터 관리부(103), 개인정보 관리부(104), 워크북 컬러 발생부(105), 분석부(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02)는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그림을 모니터 화면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그림이란 일부는 완성되지 않아 점선으로 표시되고, 일부는 완성되어 실선으로 표시된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상태의 그림을 말한다. 입력부(101)는 사용자로부터 원본 그림에서 미완성 부분을 완성하도록 모니터 또는 마우스 또는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장치이다.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그림을 상기 출력부(102)를 통하여 출력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워크북 컬러 발생부(105)는 상기 원본 그림의 구역들의 선을 변화시켜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동일한 형태의 원본 그림에 다양한 사물이 표현된 가진 여러 개의 원본 그림이 만들어질 수 있어 사용자는 무한대에 가까운 원본 그림을 이용하여 컬러링 워크북 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107)는 상기 입력부(101)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원본 그림의 미완성 부분에 선을 그어 원본 그림을 완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준데이터 관리부(103)는 입력부(101)로부터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그림에서 미완성 부분을 완성하기 위해 선의 구역 등을 입력받아 원본 컬러링 워크북 DB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개인정보 관리부(104)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분석부(108)는 사용자가 원본 그림의 미완성 부분을 완성한 경우 이를 완성 부분과 DB를 통해 비교한 후 그 정확도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뇌 건강상태를 소정의 지표로 만들어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복수회 컬러링 워크북 활동을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뇌 활동 능력의 변화를 그래프로 만들어 제공할 수도 있다. 더욱이, 분석부(108)에는 분석부(108)에 의한 정확도 판단 후에 결과물에 대해 평가하는 평가부(1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5]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1), 출력부(102),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107)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는 기준데이터 관리부(103), 개인정보 관리부(104), 워크북 컬러 발생부(105), 분석부(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02)는 컬러링 워크북의 기본 그림 및 신규 그림을 모니터 화면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그림이란 선을 이용하여 다수의 복수개 구역으로 구획되어져 있는 그림으로 각각의 구역에는 특정한 색이 칠해져 있는 그림을 말한다. 또한, 신규 그림이란 동일 간격마다 선이 표시된 그림을 말한다. 더욱이, 신규 그림에는 원본 그림을 소정 구역마다 분할한 상태에서 알맞게 배치되도록 선이 표시된다. 입력부(101)는 사용자로부터 원본 그림의 분할 구역을 신규 그림의 분할 구역으로 알맞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모니터 또는 마우스 또는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장치이다.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그림을 상기 출력부(102)를 통하여 출력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워크북 컬러 발생부(105)는 상기 원본 그림의 사물 색을 변화시켜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106)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동일한 형태의 원본 그림에 다양한 색을 가진 여러 개의 사물이 만들어질 수 있어 사용자는 무한대에 가까운 기본 그림 및 별도 그림을 이용하여 컬러링 워크북 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107)는 상기 입력부(101)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원본 그림의 분할 구역을 신규 그림의 대응 부분에 결합시켜 원본 그림과 신규 그림을 동일하게 완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준데이터 관리부(103)는 입력부(101)로부터 컬러링 워크북의 원본 그림의 정보와 원본 그림의 분할 구역을 신규 그림의 분할 구역에 배치하는 위치 등의 정보를 입력받아 원본 컬러링 워크북 DB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개인정보 관리부(104)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분석부(108)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규 그림의 분할 구역 배치 위치와 원본 그림의 대응 부분을 DB와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뇌 건강상태를 소정의 지표로 만들어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복수회 컬러링 워크북 활동을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뇌 활동 능력의 변화를 그래프로 만들어 제공할 수도 있다. 더욱이, 분석부(108)에는 분석부(108)에 의한 정확도 판단 후에 결과물에 대해 평가하는 평가부(1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6]

본 발명의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를 통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구역별로 소정의 색이 칠해져 있는 소정의 원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원본 그림과 동일한 형태이며,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되 상기 복수개의 구역 중 일부 구역에는 색이 칠해져 있지 않은 복사본 그림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복사본 그림의 구역별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소정의 색 및 구역을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구역에 상기 선택된 색을 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37]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상기 원본 그림을 일정 시간 동안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시킨 후 상기 원본 그림을 출력부에 나타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사본 그림의 구역별로 선택된 색 및 구역의 위치와 원본 그림의 색 및 구역의 위치를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성명, 나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원본 그림의 각 구역별로 미리 정하여진 순서 또는 랜덤으로 색을 변경하여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상기 원본 그림의 구역별로 표시된 사물의 이름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를 통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소정의 배경 그림과, 상기 배경 그림 상에 합치되는 소정의 캐릭터 그림을 점선으로 연결한 통합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점선 상에 특정 질문이 기재된 질문 박스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부 상에서 점선을 따라 그리는 입력 정보와 상기 질문 박스에 기재된 특정 질문에 답을 입력받아 상기 점선 상에 표시되는 선과 상기 질문 박스에 답을 출력한다.

[38]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상기 소정의 캐릭터 그림에 기준값을 표시하고, 상기 질문 박스마다 연산 숫자를 표시하여 해당 질문 박스에 기재된 연산 숫자를 상기 기준값에서 연산한 후 상기 질문 박스에 암산 결과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점선 상에 표시되는 선과 상기 질문 박스에 답을 출력하고, 상기 통합 그림의 점선 위치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그 위에 그려지는 선의 위치를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질문 박스에 입력한 정보와, 정답 정보를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판단할 수 있다.

[39]

본 발명의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를 통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소정의 배경 그림과, 상기 배경 그림 상에 합치될 소정의 캐릭터 그림이 미로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표시된 통합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부 상에서 상기 미로의 입구에서 선을 그어 출구로 나올 수 있도록 경로를 입력받아 상기 선의 경로를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상기 미로의 입구에서부터 출구까지의 경로 위치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그 위에 그려지는 선의 위치를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판단할 수 있다.

[40]

본 발명의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를 통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구역별로 소정의 색이 칠해져 있는 소정의 원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원본 그림과 동일한 형태이며,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되 상기 복수개의 구역 중 일부 구역에는 그림이나 글씨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복사본 그림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원본 그림과 상기 복사본 그림을 비교하여 사용자로부터 틀린 부분을 입력받아 출력한다.

[41]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틀린 부분에 대한 찾은 그림을 선택하고, 상기 찾은 그림의 이름을 음성으로 입력하고, 상기 원본 그림 또는 상기 복사본 그림에 표시된 캐릭터 그림을 순서를 다르게 양쪽에 각각 출력한 후 같은 그림을 찾아 선을 그어 입력하며, 상기 원본 그림과 상기 복사본 그림의 틀린 부분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원본 그림과 상기 복사본 그림의 틀린 부분을 서로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판단할 수 있다.

[42]

본 발명의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를 통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되 상기 복수개의 구역 중 일부 구역에 공란부분을 갖도록 그림 일부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기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공란에 해당하는 그림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공란에 그림을 출력한다.

[43]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상기 기본 그림의 공란에 들어가는 그림 일부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기본 그림의 공란에 들어가는 그림 일부를 서로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를 통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구역별로 소정의 색이 칠해져 있는 소정의 원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원본 그림 중 일부 구역의 그림이 검은색으로 칠해져 있는 다양한 모양의 복사본 그림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원본 그림의 일부 구역과 일치하는 구역의 그림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그림을 출력한다.

[44]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상기 원본 그림의 일부 구역에 대한 조영 그림자와 일치하는 구역의 그림을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사본 그림에서 선택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그림을 출력하고, 상기 원본 그림의 일부 구역과 일치하는 구역의 그림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원본 그림의 일부 구역과 일치하는 구역의 그림을 서로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판단할 수 있다.

[45]

본 발명의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를 통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소정의 캐릭터 그림이 평행한 선 상에 각각 표시되고, 그 사이에 점이 설정 간격마다 표시되고, 상기 평행선 단부에 특정 질문이 기재된 질문 박스가 표시되며, 상기 점의 일부에 특정 경로로 표시된 점선이 일부 표시된 기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일부 표시된 점선의 단부에서 상기 일부 표시된 점선과 동일한 패턴의 경로를 갖도록 하는 완성 경로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으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부 상에서 상기 점선을 잇도록 선을 긋는 입력 정보와 상기 질문 박스에 기재된 특정 질문에 답을 입력받아 상기 점선에 이어지는 선과 상기 질문 박스에 답을 출력한다.

[46]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상기 기본 그림에서 일부 표시된 점선과 동일한 패턴의 경로를 갖도록 하는 완성 경로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기본 그림에서 일부 표시된 점선과 동일한 패턴의 경로를 갖도록 하는 완성 경로를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질문 박스에 입력한 정보와 정답 정보를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판단할 수 있다.

[47]

본 발명의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를 통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소정의 원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원본 그림이 가려지고 구역이 구분되어 있지 않은 신규 그림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원본 그림에 맞게 사용자로부터 구역을 입력받아 상기 신규 그림 상에 출력한다.

[48]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상기 원본 그림의 구역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신규 그림 상에 입력된 구역을 서로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를 통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일부는 완성되지 않아 점선으로 표시되고, 일부는 완성되어 실선으로 표시된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소정의 원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점선으로 표시된 상기 구역을 완성하도록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구역을 입력받아 상기 원본 그림 상에 출력한다.

[49]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상기 원본 그림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구역에 대한 완성 정보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원본 그림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구역에 대한 완성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를 통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구역별로 소정의 색이 칠해져 있는 소정의 원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원본 그림을 소정 구역마다 분할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분할된 원본 그림의 배치 정보를 입력받아 그림이나 글씨가 표시되어 있지 않으면서 구획 형성된 신규 그림 상에 출력한다.

[5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상기 원본 그림에서 복수개의 구역에 대한 배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원본 그림에서 복수개의 구역에 대한 배치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정확도 판단 후에 결과물에 대해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5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 그림을 보고 같은 색 칠하기 활동을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2의 화면에서는 원본 그림(201)이 좌측에 나타나 있으며 복사본 그림(202)이 우측에 나타나 있다. 그리고 화면의 하단에는 복사본 그림의 구역들에 선택가능한 색들이 예신되어 있다(203). 도 2의 원본 그림의 구역들에는 모두 각각 소정의 색이 칠해져 있으며, 복사본 그림에는 복수개의 일부 구역들에 색이 칠해져 있지 않은 것이 나타나 있다. 이러한 복사본 그림의 색이 칠해져 있지 않은 구역의 색 및 그 위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선택받은 위치의 구역에 해당 색을 칠하여 복사본 그림을 완성하게 된다. 그리고 원본 그림과 복사본 그림의 일치정도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뇌 활동 능력을 분석할 수 있게된다.

[5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 그림을 기억하여 색 칠하기 활동을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3의 (a)는 원본 그림(301)만이 출력되어 있는 화면을 보이고 있으며, (b)는 복사본 그림(302) 및 복사본 그림의 구역들에 선택 가능한 색이 예시(303)되어 있는 것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a)의 화면을 출력시키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 (b)의 화면을 출력시켜 사용자들이 상기 원본 그림에 대한 기억을 바탕으로 상기 복사본 그림의 각각의 구역들에 선택 가능한 색들 중 소정의 색을 선택하여 복사본 그림을 완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완성된 복사본 그림을 원본 그림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기억 능력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53]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과물에 대해 인지예방활동을 평가하는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컬러링 워크북 장치에 의한 인지예방활동에 대한 평가 목록은 ① 올해는 몇 년도 인지 아는지에 대한 평가, ② 지금 계절은 어떤 계절인지 아는지에 대한 평가, ③ 오늘은 몇일인지의 아는지에 대한 평가, ④ 오늘은 무슨 요일인지의 아는지에 대한 평가, ⑤ 지금은 몇 월인지 아는지에 대한 평가, ⑥ 이 곳은 무슨 시/군인지 아는지에 대한 평가, ⑦ 이 곳은 무슨 구/동/읍/면 인지 아는지에 대한 평가, ⑧ 이 곳은 몇 층인지 아는지에 대한 평가, ⑨ 이 곳은 어디인지 아는지에 대한 평가, ⑩ 불러드리는 세 가지 물건의 이름을 제대로 말하는지의 평가, ⑪ 말씀드리는 행동을 수행하는지의 평가, ⑫ 앞서 불러드렸던 세 가지 물건의 이름을 다시 말하는지의 평가, ⑬ 보여드리는 물건의 이름을 맞추는지의 평가로 세분화한다.

[54]

1) 시간지남력 평가

[55]

'모르겠다'라고 하였을 때 틀렸다고 바로 채점하기 보다는 추측해서 대답할 수 있도록 대답을 유도하며, 두 가지 이상의 대답을 하였을 때 그 중에 정답이 있을 경우 한가지만을 고르도록 지시하여야 한다.

[56]

평가 문항 ①은 연도 인지 평가로, 해당 연도만 정답으로 하며 '기해년' 등과 같은 대답은 오답으로 처리하고, 정확하게 4자리 숫자로 대답하여야 정답으로 인정하며, 4자리를 모두 답하지 않는 경우 구체적으로 대답하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평가 문항 ②는 계절 인지 평가로, 3, 4, 5월을 봄이라 하고 6, 7, 8월을 여름, 9, 10, 11월을 가을, 12, 1, 2월을 겨울이라 할 때, 간절기의 경우 최대 2주의 간격 내에서 앞으로의 계절이나 지나간 계절을 이야기하여도 정답이라고 한다. 평가 문항 ③은 날짜(일) 인지 평가로, 음력을 사용하는 경우에 실제와 맞으면 정답이라고 한다. 평가 문항 ④는 요일 인지 평가로, 요일에 대한 개념을 도와줄 때에는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의 요일을 모두 보기로 내어주어야 하며, 특정 요일을 언급하지 않는다. 평가 문항 ⑤ 는 월 인지 평가로, 음력을 사용하는 경우, 실제와 맞으면 정답으로 하고, 숫자가 아니더라도 정월, 동짓달 등으로 대답하여도 정답으로 간주한다.

[57]

2) 장소지남력 평가

[58]

평가 문항 ⑥ 및 ⑦은 지리적 위치 인지 평가로, 검사를 시행하는 행정구역 순서에 따라 높은 행정구역에서부터 차례로 물어본다. (예) 검사하는 장소가 '서울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 한양대학교 한양종합기술연구원 B234호'라고 한다면, 6번문제를 '시', 7번문제를 '구'로 물어본다. (예) 검사하는 장소가 '강원도 춘천시 효자동 춘천정신보건센터'라면, 6번문제를 '도',“7번문제를 '시'로 묻는다. 그리고 '도'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였다면 해당 도가 아닌 다른 도를 두 개 정도 설명하고, 북도와 남도를 정확하게 구분하여 대답하여야 정답으로 인정하며 구분하지 않고 답할 경우에는 확인하여아 한다. 평가 문항 ⑧은 층수 인지 평가로, 정확하게 답한 경우를 정답으로 하며 두 개를 답한 경우 하나만 고르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평가 문항 ⑨는 장소명 인지 평가로, 정확한 이름이 아니더라도 통상적으로 허용되는 부분적인 이름은 정답으로 인정한다. (예) '한양대학교”가 정확한 이름이지만 '한양대, 한양대학'은 맞는 것으로 한다. (예) '행당 0동 경로당'을 '행당동경로당'으로 대답하면 정답으로 한다.

[59]

3) 기억력 평가

[60]

'모르겠다'라고 하였을 때 틀렸다고 바로 채점하기 보다는 추측해서 대답할 수 있도록 대답을 유도하며, 두 가지 이상의 대답을 하였을 때 그 중에 정답이 있을 경우 한가지만을 고르도록 지시하여야 한다. 평가 문항 ⑩은 기억등록 인지 평가로, '끝까지 듣고'를 강조하여 반드시 세 단어를 불러주고 따라하도록 해야 하고, 첫 응답으로만 정답을 평가하시면 되며, 성공적으로 따라 말한 단어수로 채점한다 (3점 만점). 그리고 첫 응답에서 모든 물건이름을 말하지 못한 경우 평가 문항 ⑫의 기억회상 평가를 위해 다시 세 단어를 불러주고 기억하도록 반복한다. 이 과정은 총 3회까지 시행하도록 한다. 반복 시도에서 첫 응답보다 많은 단어 수를 말했더라도 점수에 반영하지 않는다. 평가 문항 ⑫는 기억회상 인지 평가로, 평가 문항 ⑩번에서 불러준 세 단어를 회상하는 것이며, 성공적으로 회상한 단어 수로 채점한다. (3점 만점)

[61]

4) 실행능력 평가

[62]

평가 문항 ⑪은 3단계 명령 수행 평가로, 지시를 반복하지 않으며, 옆에서 도와주면 안된다.

[63]

5) 언어능력 평가

[64]

평가 문항 ⑬은 물건 이름대기 평가로, 사투리로 대답하여도 확인하여 맞으면 정답으로 한다.

[65]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과물에 대해 조형활동 및 운동활동을 평가하는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컬러링 워크북 장치에 의한 조형 활동 평가 목록은 ① 해당 활동을 비교적 잘 수행하였는지의 정도 평가, ② 칸에 맞추어 색칠을 하였는지의 정도 평가, ③ 색을 구분하여 사용하였는지의 정도 평가, ④ 색을 다양하게 사용하였는지의 정도 평가, ⑤ 각각의 그림을 구분할 수 있는지의 정도 평가, ⑥ 구분한 그림을 보기와 일치시킬 수 있는지의 정도 평가, ⑦ 형태차이를 이해할 수 있는지의 정도 평가 및 ⑧ 색채도구를 이용한 활동을 비교적 잘 수행하였는지의 정도 평가로 세분화한다.

[66]

1) 수행력 평가

[67]

평가 문항 ①은 교재활동수행에 대한 평가로, 전반적인 활동 수행 능력을 평가한다. 한편 각각의 평가에서 1점에 가까울수록 낮은 평가이며, 5점까지의 단계를 교재 수행능력에 따라 평가자가 판단하여 체크하게 된다. 평가 문항 ⑧은 교구활동수행에 대한 평가로,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다'라고 하였을 때 바로 방법을 알려주기 보다는 추측하여 행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지시하면서 진행한다. 그리고 앞에서 교구사용법을 시연하고 놀이 방법을 설명하고, 사용자가 따라할 수 있도록 옆에서 지켜본 후 평가한다.

[68]

2) 실행능력 평가

[69]

평가 문항 ②는 절제에 대한 평가로, 칸에 맞추어 색칠하자고 말한 뒤 그림이 그려진 아웃라인에 맞추어 칠을 잘 하는지 보고 평가하게 된다.

[70]

3) 시공간구성능력 평가

[71]

평가 문항 ③은 색의 구분에 대한 평가로, 그림이 그려진 공간의 입체감을 잘 이해하였는지 평가하고, 사물과 사물 간의 분리를 이해하였는지 평가하며, 한 사물 내에서 빛과 조명을 이용한 명암차이를 이해하고 있는지 평가하게 된다.

[72]

4) 색채활용력 평가

[73]

평가 문항 ④는 색채활용에 대한 평가로, 단색이 아닌 여러 색을 이용하여 그림을 꾸밀 수 있는지 판단하고, 비록 한 색깔만 고집한다고 해도 다색 사용을 강요하지 않고 차분히 이유를 물어보는 과정이다.

[74]

5) 판단력 평가

[75]

평가 문항 ⑤는 인지판단에 대한 평가로, 1월부터 12월까지의 그림을 서로 다른 그림이라고 구분할 수 있는지 평가하고, 같은 달 내에서 두 그림을 놓고 서로 다른 부분이 있는지 비교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예컨대, 3월의 비슷한 두 그림을 보여준 후 왼쪽의 그림과 오른쪽의 그림을 비교하여 서로 다른 부분을 찾을 수 있는지 평가하는 것이다. 평가 문항 ⑦은 판단 이해에 대한 평가로, 기준이 되는 형태와 보기로 주어진 형태들을 비교하여 다른 부분이 무엇인지 찾아낼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컬러링 워크북 장치에 의한 운동 활동 평가 목록은 ① 해당 활동을 비교적 잘 수행하였는지의 정도 평가, ② 활동지시를 잘 이해하였는지의 정도 평가, ③ 지시에 맞는 올바른 행동을 수행하였는지의 정도 평가, ④ 지시한 단어를 올바르게 발음하였는지의 정도 평가, ⑤ 교구 사용 설명을 정확히 이해하였지의 정도 평가, ⑥ 교구의 형태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었지의 정도 평가, ⑦ 교구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였는지의 정도 평가 및 ⑧ 활용도구를 이용한 활동을 비교적 잘 수행하였는지의 정도 평가로 세분화한다.

[76]

1) 수행력 평가

[77]

평가 문항 ①은 전체 운동 활동 수행 평가로, 전반적인 운동 활동 수행 능력을 평가하며, 1점에 가까울수록 낮은 평가이며, 5점까지의 단계를 지시 사항 수행능력에 따라 평가자가 판단하여 체크한다. 평가 문항 ③은 지시 활동 수행 평가로,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다' 라고 하였을 때 바로 방법을 알려주기 보다는 추측하여 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지시한다. 평가 문항 ⑧은 교구 활동 수행 평가로, 전반적인 운동 지시 활동 수행 능력을 평가하고, 1점에 가까울수록 낮은 평가이며, 5점까지의 단계를 지시 사항 수행능력에 따라 평가자가 판단하여 체크한다.

[78]

2) 실행능력 평가

[79]

평가 문항 ④는 기억회상 평가로, 앞에서 단어를 발음해 주고 그 단어를 기억하여 올바르게 발음 하는지 지켜본다.

[80]

3) 시공간구성능력 평가

[81]

평가 문항 ⑦은 실행 평가로, 교구의 특성을 이해하고 올바른 의도로 교구활동을 실행하는지 지켜본다.

[82]

4) 판단력 평가

[83]

평가 문항 ②는 활동의 이해 평가로, 활동에 관하여 설명한 후 의도를 말하면 잘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평가 문항 ⑤는 판단 이해 평가로, 교구를 사용해야 하는 타이밍이나 유의사항 등을 잘 전달하고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평가 문항 ⑥은 구분 평가로, 여러 개의 구성품으로 구성된 교구의 경우 각 구성품의 형태와 의도, 사용법을 구분하여 알고있는지 확인한다.

[84]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본 그림에서 사물의 이름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원본 그림(301')의 상단에 사물(302')이 다수 표시되어 있고, 사물(302')의 하단에 해당 사물(302')마다 이름을 기재할 수 있는 칸(303')이 다수 표시되어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해당 사물(302')의 이름을 마이크를 통해 입력한 후 칸(303')에 기재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한 원본 그림의 사물 이름과 실제 사물 이름의 일치정도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뇌 활동 능력을 분석할 수 있게된다.

[85]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그림에서 점선을 따라 그리면서 질문에 대답하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7에 의하면, 배경 그림(401)은 하단 우측에 배치되고, 캐릭터 그림(402)은 상단 좌측에 배치되며, 배경 그림(401)과 캐릭터 그림(402)이 선(403)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때, 배경 그림(401)과 캐릭터 그림(402)을 연결하는 선(403)은 곡선(좌측 도면) 또는 직선(우측 도면) 등으로 구현된다. 그리고 선(403)의 도중에는 특정 질문이 기재된 질문 박스(404)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질문 박스(404)에 기재된 질문은 일예로 "올해는 몇 년도 입니까" 또는 "오늘은 몇 월 입니까" 또는 "오늘은 며칠입니까" 또는 "오늘의 요일은 무엇입니까"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캐릭터 그림(402)에서부터 배경 그림(401)까지 선(403)을 따라 그리면서 해당 질문 박스(404)에 기재된 질문을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한 선(403)과 점선의 일치도 및 질문의 답이 정답인지일치정도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뇌 활동 능력을 분석할 수 있게된다.

[86]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그림에서 점선을 따라 그리면서 연산하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8에 의하면, 배경 그림(501)은 하단 우측에 배치되고, 캐릭터 그림(502)은 상단 좌측에 배치되며, 배경 그림(501)과 캐릭터 그림(502)이 선(503)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때, 배경 그림(501)과 캐릭터 그림(502)을 연결하는 선(503)은 직선 등으로 구현된다. 그리고 선(503)의 도중에는 특정 질문이 기재된 질문 박스(504)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소정의 캐릭터 그림(502)에 기준값을 표시하고, 질문 박스(504)마다 연산 숫자를 표시하여 해당 질문 박스(504)에 기재된 연산 숫자를 기준값에서 연산한 후 질문 박스(504)에 암산 결과를 기재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한 질문의 답이 정답인지 일치정도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뇌 활동 능력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87]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그림에서 미로를 그리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9에 의하면, 하단에 배경 그림(601)이 배치되고, 캐릭터 그림(602)이 상단에 배치되며, 배경 그림(601)과 캐릭터 그림(602)이 미로(603)의 입구 및 출구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캐릭터 그림(602) 측에 위치된 미로(603)의 입구에서 배경 그림(601)이 위치된 출구까지 선을 그어 미로(603)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한 미로(603)의 입구에서 출구까지 긋는 선과 정답과의 일치정도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뇌 활동 능력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88]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원본 그림과 복사본 그림의 틀린 그림을 찾고, 찾은 그림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10의 (a)는 원본 그림(701)이 상단 좌측에 표시되어 있고, 복사본 그림(702)이 상단 우측에 표시되어 있으며, (b)는 원본 그림(701)에 표시된 사물에 해당 또는 표시되지 않은 사물이 하단 중앙에 표시되어 있다. 이처럼, 원본 그림(701)과 복사본 그림(702)을 서로 비교한 후 복사본 그림(702)에서 원본 그림(701)과의 틀린 부분의 그림을 찾고, 복사본 그림(702)에서 찾은 틀린 그림과 대응되는 캐릭터 그림을 선택하며, 또 그 선택한 캐릭터 그림의 이름이 뭔지 마이크를 통해 말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복사본 그림(702)에서 원본 그림(701)과 복사본 그림(702)의 틀린 부위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고, 틀린 부위에 대한 그림 선택이 완료되면 정답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뇌 활동 능력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89]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림에서 양쪽의 캐릭터 그림이 같도록 선을 그리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좌측에 캐릭터 그림(703)이 표시되고, 우측에 캐릭터 그림(704)이 표시되며, 좌측 캐릭터 그림(703)과 우측 캐릭터 그림(704)의 대향 부위에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점이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좌측 캐릭터 그림(703)과 동일한 캐릭터 그림을 우측 캐릭터 그림(704)에서 찾아 동일한 그림끼리 선을 긋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같은 그림을 찾아 선을 그으면 정답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뇌 활동 능력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90]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그림에서 공란에 맞게 그림을 붙여 완성하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12에 의하면, 기본 그림(802)은 그림의 일부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미표시 부분(802)이 구현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사용자가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기본 그림(802)의 미표시 부분에 스티커 형태로 붙여 완성할 수 있도록 기본 그림(802)과 별도로 사물이 출력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한 기본 그림(802)의 미표시 부분(803)에 별도 그림의 대응 부분을 붙여 정답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뇌 활동 능력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91]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본 그림과 동일한 그림을 복사본 그림에서 찾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색이 칠해져 있는 그림이 있는 원본 그림(901)이 상단에 배치되고, 원본 그림(901)과 동일한 그림과 동일하지 않은 다수의 그림이 순차 배치되면서 검은색으로 칠해져 있는 그림자 형태의 복사본 그림(902)이 하단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원본 그림(901)과 맞는 그림을 복사본 그림(902) 중 어느 하나와 맞도록 복사본 그림(902)에서 선택하게 된다. 도 13의 (b)에 의하면, 다수의 그림으로 구성된 원본 그림(903)이 상단에 배치되고, 원본 그림(903)의 그림자에 해당하는 맞는 그림과 맞지 않은 그림이 각각 동시에 배치된 복사본 그림(904)이 하단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원본 그림(903)의 그림자에 맞는 복사본 그림(904)을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본 그림(901)과 맞는 그림자 그림을 복사본 그림(902)에서 찾고 정답 정보와 비교 분석하고, 원본 그림(903)의 그림자와 일치하도록 복사본 그림(904)에서 그림자를 찾고 정답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뇌 활동 능력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92]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그림에서 일부 표시된 점선을 동일한 패턴으로 완성시키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소정의 캐릭터 그림(1002)이 평행한 선(1001) 상에 각각 표시되고, 그 사이에 1열 또는 2열 종대의 점(1003)이 설정 간격마다 표시되고, 평행한 선(1001)의 단부에 특정 질문이 기재된 질문 박스(1005)가 표시되며, 점(1003)의 일부에 특정 경로로 표시된 점선(1004)이 일부 표시된 기본 그림으로 구성된다. 이때, 도 14의 (a)는 1열 종대로 배치된 점(1003)의 사이에 파형 형상의 선(1001)이 일부 표시되어 사용자가 파형 형상과 동일한 패턴을 갖도록 선(1001)을 마무리 짓게 된다. 그리고 도 14의 (b)는 2열 종대로 배치된 점(1003)의 사이에 코일 형상의 선(1001)이 일부 표시되어 사용자가 코일 형상과 동일한 패턴을 갖도록 선(1001)을 마무리 짓게 된다. 그리고 도 14의 (c)는 수평선과 수직선의 연속 배열에 의한 지그재그 형상의 패턴을 갖도록 마무리 짓게 되고, 도 14의 (d)는 사선의 연속 배열에 의한 지그재그 형상의 패턴을 갖도록 마무리 짓게 된다. 이때, 질문 박스(1005)에 기재된 질문은 일예로 "이 곳은 무슨 시입니까" 또는 "이곳은 무슨 구역입니까" 또는 "이곳은 몇 층입니까" 또는 "이곳은 어디입니까"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표시된 점선(1004)의 패턴에 맞게 새로운 선을 긋고 정답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뇌 활동 능력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93]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본 그림을 기억하고 신규 그림 상에 따라 그리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화면 좌측에 외곽선을 갖는 그림이 그려진 원본 그림(1101)이 표시되고, 화면 우측에 그림이 나타나 있지 않은 신규 그림(1102)이 표시되어 있다. 이처럼 원본 그림(1101) 화면을 출력시키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 원본 그림(1101)을 안 보이게 한 상태에서 신규 그림(1102)의 화면을 출력시켜 사용자들이 원본 그림(1101)에 대한 기억을 바탕으로 신규 그림(1102)에 그리도록 한다. 이렇게 완성된 신규 그림(1102)을 원본 그림(1101)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기억 능력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94]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원본 그림에서 미완성 부분을 완성하기 위해 선을 그리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16에 의하면, 원본 그림(1201)에 일부는 완성되지 않아 점선으로 표시되고, 일부는 완성되어 실선으로 표시된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도록 그림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본 그림(1201)에서의 미완성 부분에 선을 그어 원본 그림(1201)을 완성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본 그림(1201)의 미완성 부분을 완성한 경우 이를 완성 부분과 비교하고 그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뇌 활동 능력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95]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원본 그림을 분할한 후 신규 화면에 동일하게 맞추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이다. 도 17에 따르면, 좌측은 그림이 그려져 있는 원본 그림(1301)이고, 우측은 그림이 그려져 있지 않으면서 설정 간격마다 선이 그려진 신규 그림(1302)이며, 중간은 원본 그림(1301)에 절개선을 그어 각각이 분리되도록 한 절개 그림(1301-1)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한 절개 그림(1301-1)의 분할 구역을 신규 그림(1302)의 대응 부분에 결합시켜 원본 그림(1301)과 신규 그림(1302)을 동일하게 완성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한 절개 그림(1301-1)의 분할 구역 배치 위치와 원본 그림(1301)의 대응 여부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뇌 활동 능력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96]

한편 도 18을 참조하면, 각각의 활동을 묶어 주별 및 매달 별로 수행 가능하며, 해당 결과에 따라 인지예방활동, 조형활동 및 운동활동 등으로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통해 평가를 할 수도 있다.

[97]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98]

[부호의 설명]

[99]

100 : 컬러링 워크북 제공 장치, 101 : 입력부, 102 : 출력부,

[100]

103 : 기준데이터 관리부, 104 : 개인정보 관리부,

[101]

105 : 워크북 컬러 발생부, 106 :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

[102]

107 :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 108 : 분석부, 109 : 평가부

[103]

201, 301, 301', 701, 901, 903, 1101, 1201, 1301 : 원본 그림,

[104]

202, 302, 702, 902, 904 : 복사본 그림,

[105]

203, 303 : 선택 가능한 색들의 예시,

[106]

302': 사물, 303': 칸, 401, 501, 601 : 배경 그림,

[107]

402, 502, 602, 703, 704, 1002 : 캐릭터 그림, 403, 503 : 선,

[108]

404, 504 : 질문 박스, 603 : 미로, 801 : 기본 그림,

[109]

802 : 미표시 부분, 1001 : 팽행한 선, 1003 : 점,

[110]

1004 : 점선, 1102, 1302 : 신규 그림, 1301-1 : 절개 그림.



[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ing workbook program and a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program is stored. Comprised are: a first step of providing a predetermined original drawing, which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is colored with a predetermined color for each section, to a user by means of an output unit; a second step of outputting a duplicate drawing, which is the same design as the original drawing an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of which some sections among the plurality of sections are not colored, and providing same to the user; and a third step of receiving a section and a predetermined color, for the section of the duplicate drawing, selected by the user, coloring the selected section with the selected color and outputting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s can be provided with a coloring workbook via a computer program or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thus can experience a coloring workbook activity quickly and easily.

[2]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는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구역별로 소정의 색이 칠해져 있는 소정의 원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1단계;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는 상기 원본 그림과 동일한 형태이며,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되 상기 복수개의 구역 중 일부 구역에는 색이 칠해져 있지 않은 복사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2단계;

입력부는 상기 복사본 그림의 구역별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소정의 색 및 구역을 입력받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선택된 구역에 상기 선택된 색을 칠하여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단계는

워크북 컬러 발생부가 상기 원본 그림의 각 구역별로 미리 정하여진 순서 또는 랜덤으로 색을 변경하여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가 상기 원본 그림을 일정 시간 동안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시킨 후 상기 원본 그림을 출력부에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

제1항에 있어서,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사본 그림의 구역별로 선택한 색 및 구역의 위치와, 원본 그림의 색 및 구역의 위치를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판단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정확도 판단 후에 결과물에 대해 평가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개인정보 관리부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성명, 나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더 포함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

제1항에 있어서,

입력부가 상기 원본 그림의 구역별로 표시된 사물의 이름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는 소정의 배경 그림과, 상기 배경 그림 상에 합치되는 소정의 캐릭터 그림을 점선으로 연결한 통합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1단계;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는 상기 점선 상에 특정 질문이 기재된 질문 박스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2단계;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부 상에서 점선을 따라 그리는 입력 정보와 상기 질문 박스에 기재된 특정 질문에 답을 입력받아 상기 점선 상에 표시되는 선과 상기 질문 박스에 답을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소정의 캐릭터 그림에 기준값을 표시하고, 상기 질문 박스마다 연산 숫자를 표시하여 해당 질문 박스에 기재된 연산 숫자를 상기 기준값에서 연산한 후 상기 질문 박스에 암산 결과를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점선 상에 표시되는 선과 상기 질문 박스에 답을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는 소정의 캐릭터 그림이 평행한 선 상에 각각 표시되고, 그 사이에 점이 설정 간격마다 표시되고, 상기 평행선 단부에 특정 질문이 기재된 질문 박스가 표시되며, 상기 점의 일부에 특정 경로로 표시된 점선이 일부 표시된 기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1 단계;

입력부는 상기 일부 표시된 점선의 단부에서 상기 일부 표시된 점선과 동일한 패턴의 경로를 갖도록 하는 완성 경로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제2단계;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부 상에서 상기 점선을 잇도록 선을 긋는 입력 정보와 상기 질문 박스에 기재된 특정 질문에 답을 입력받아 상기 점선에 이어지는 선과 상기 질문 박스에 답을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는 일부는 완성되지 않아 점선으로 표시되고, 일부는 완성되어 실선으로 표시된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소정의 원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1단계;

입력부는 상기 점선으로 표시된 상기 구역을 완성하도록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구역을 입력받아 상기 원본 그림 상에 출력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는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구역별로 소정의 색이 칠해져 있는 소정의 원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1단계;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는 상기 원본 그림을 소정 구역마다 분할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2단계;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분할된 원본 그림의 배치 정보를 입력받아 그림이나 글씨가 표시되어 있지 않으면서 구획 형성된 신규 그림 상에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방법.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구역별로 소정의 색이 칠해져 있는 소정의 원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원본 그림과 동일한 형태이며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되 상기 복수개의 구역 중 일부 구역에는 색이 칠해져 있지 않은 복사본 그림을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 및

상기 복사본 그림의 구역별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소정의 색 및 구역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구역에 상기 선택된 색을 칠하여 출력부로 출력하는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원본 그림의 각 구역별로 미리 정하여진 순서 또는 랜덤으로 색을 변경하여 이를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에 제공하는 워크북 컬러 발생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는

상기 원본 그림을 일정 시간 동안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시킨 후 상기 원본 그림을 출력부에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사본 그림의 구역별로 선택한 색 및 구역의 위치와 원본 그림의 색 및 구역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양자를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판단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부에 의한 정확도 판단 후에 결과물에 대해 평가하는 평가부를 더 포함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

소정의 배경 그림과, 상기 배경 그림 상에 합치되는 소정의 캐릭터 그림을 점선으로 연결한 통합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점선 상에 특정 질문이 기재된 질문 박스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부 상에서 점선을 따라 그리는 입력 정보와 상기 질문 박스에 기재된 특정 질문에 답을 입력받아 상기 점선 상에 표시되는 선과 상기 질문 박스에 답을 출력하는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를 포함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는

상기 소정의 캐릭터 그림에 기준값을 표시하고, 상기 질문 박스마다 연산 숫자를 표시하여 해당 질문 박스에 기재된 연산 숫자를 상기 기준값에서 연산한 후 상기 질문 박스에 암산 결과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점선 상에 표시되는 선과 상기 질문 박스에 답을 출력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

소정의 캐릭터 그림이 평행한 선 상에 각각 표시되고, 그 사이에 점이 설정 간격마다 표시되고, 상기 평행선 단부에 특정 질문이 기재된 질문 박스가 표시되며, 상기 점의 일부에 특정 경로로 표시된 점선이 일부 표시된 기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일부 표시된 점선의 단부에서 상기 일부 표시된 점선과 동일한 패턴의 경로를 갖도록 하는 완성 경로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부 상에서 상기 점선을 잇도록 선을 긋는 입력 정보와 상기 질문 박스에 기재된 특정 질문에 답을 입력받아 상기 점선에 이어지는 선과 상기 질문 박스에 답을 출력하는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를 포함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

일부는 완성되지 않아 점선으로 표시되고, 일부는 완성되어 실선으로 표시된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소정의 원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점선으로 표시된 상기 구역을 완성하도록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구역을 입력받아 상기 원본 그림 상에 출력하는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를 포함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구역별로 소정의 색이 칠해져 있는 소정의 원본 그림을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원본 그림을 소정 구역마다 분할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분할된 원본 그림의 배치 정보를 입력받아 그림이나 글씨가 표시되어 있지 않으면서 구획 형성된 신규 그림 상에 출력하는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를 포함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워크북 작성부로부터 상기 원본 그림에서 복수개의 구역에 대한 배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원본 그림에서 복수개의 구역에 대한 배치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판단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컬러링 워크북 제공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