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OSITION COMPRISING MOLOKHIA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IMPROVING GUT MICROBIOME OR FOR ALLEVIATING, PREVENTING, OR TREATING INTESTINAL INFLAMMATION, LEAKY GUT SYNDROME, OBESITY, OR METABOLIC DISEASE

09-04-2020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WO2020071667A1
Принадлежит: 한국식품연구원
Контакты:
Номер заявки: KR21-01-201975
Дата заявки: 19-09-2019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또는 장내 염증, 장누수증후군, 비만 또는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

본 발명은 몰로키아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또는 장기능 개선용 조성물, 몰로키아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장누수증후군, 비만 또는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몰로키아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장누수증후군, 비만 또는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2]

인체의 장관은 음식물의 소화, 흡수, 배설이라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장관 점막이 관내 미생물이나 이들의 부산물, 항원, 독소 등의 혈류로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어벽으로서의 면역학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즉, 장점막은 외부 물질을 차단하는 장벽인 동시에 이들을 통과, 흡수시키는 이중적인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장관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그 자체로 인체의 영양공급에 문제가 생길뿐만 아니라, 반복되는 변비,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이 일상생활을 크게 방해하기 때문에 장 건강은 매우 중요하다.

[3]

상기 장 건강에 있어서, 장관 내에 존재하는 장내 균총 환경은 매우 중요하다. 장내에는 400여종 이상의 세균이 대장 내용물 g당 100조 정도의 숫자로 서식하고 있다. 장내 균총은 유익균과 유해균으로 나뉘며,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익균이 많고 유해균이 적은 상태로 장내 균총을 유지시켜야 한다. 균총은 외부에서 유입된 음식물이나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 등 인체의 상태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유익균의 장내 증식을 촉진시키고 유해균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4]

장건강이 약해지면 다양한 질환들이 유발될 수 있다. 염증성 장질환은 장에 만성적으로 염증이 생기는 병으로 발병원인과 완치방법은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을 가르키는데,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은 설사나 복통, 메스꺼움, 발열, 식욕부진, 체중 감소, 피로감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크론병은 주로 소장과 대장에서 많이 발생하지만,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에서만 발명한다. 이외에 우리나라에 비교적 흔한 장형 베체트병도 이에 속한다.

[5]

이러한 염증성 장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약물로는 스테로이드성 면역억제제, 프로스타글란딘 (prostaglandins)의 생성을 차단하는 5-아미노살리실산 (5-aminosalicylic acid; 5-ASA) 계통 약물 (예, 설파살라진 등), 메살라진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은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효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복부허실 (fullness), 두통, 발진, 간질환, 백혈구 감소증, 무과립구증, 남성 불임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하기 때문에, 상기 치료제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6]

따라서,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다면, 보다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염증성 장질환 환자들을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부작용이 없는 치료제가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7]

비만은 과다한 체지방 축적으로 인해 건강에 위협을 주는 일종의 질병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국제비만전문위원회(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IOTF)의 보고에 의하면 세계인구의 1/4을 차지하는 약 17 억의 인구가 체중을 감량할 필요가 있다고 하여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게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8]

급증하는 생활습관병(성인병)의 30 ~ 60%가 비만에 기인하며 일본의 통계로는 5 Kg 체중을 감소시키는데 의료비가 2조엔 (한화 25조원)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와 있으며, 과체중, 비만의 출현율은 4 ~ 5인당 1명인데 금후에도 증가가 계속될 예상이다. 이런 경향은 미국, 유럽에서는 더욱 심각한 국가적 문제이며, 한국에서도 식생활이 서구화되어 소아비만 출현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생활이 윤택하여 고지방, 고칼로리 식사를 하는 기회는 많아졌으나 운동 부족 등 섭취한 에너지보다 소모하는 에너지가 현저히 작으므로 인해 비만자가 급증하고 있다. 또한, 젊은 여성은 미용효과를 위해, 결혼 후 여성들 또한 체중과다 내지 비만자가 많아 젊었을 때와 같은 몸매를 유지하기 위해 대단히 노력하고 있다.

[9]

항비만 소재로는 식욕억제제로 덱스플렌플루라민(Dexflenfluram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타이로신(Tyrosine)과 메싸이오닌(Methionine), 지방결합제 (흡수억제)로 올리스타트(Orlistat), 키토산, 지방연소제로 실부트라민(Silbutramine), 에페드린(Ephedrine), 카페인과 지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과실, L-카르니친, 장기능을 조절하는 식이섬유: 차천자피, 글루코만난 각락토만난, 혈당 안정화 기능을 하는 크롬피콜린산(Chromiumpicolinate)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소재들은 약효가 다소 인정되나, 일시적 체중감소, 신속한 체중손실, 약물들에 의한 심장, 혈압, 신경계에 대한 부작용이 있다.

[10]

몰로키아(Molokhia,학명 Corchorus olitorius L.)는 이집트가 원산지이고 일본에서는 모로헤이야(moloheiya) 혹은 jew's mellow로 부르는 피나무과의 1년초 녹황색 야채로서 지중해 연안에서 자생하는 식물이다. 열매는 4 월 상순에 열리고, 꽃이 달려 있지 않은 잎줄기 끝 10cm 정도에서 잘라 수확하고 있다. 몰로키아는 칼슘, 식이섬유, 비타민이나 미네랄을 균형있게 함유하고 있어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집트에서는 왕이 병들어 의사가 몰로키아 스프를 먹인 후 병이 낮게 되어 왕의 스프 또는 궁전 스프로 불려지게 될 정도로 수천년 전부터 "건강"에 붙는 야채로서 사람들에게 사랑받았고, 각종 효능이 뛰어난 야채로 널리 인식되고 보급되어 있다.

[11]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로부터 장내 미생물의 총균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프리바이오틱스, 또는 염증성 장질환, 장누수 증후군 개선, 예방 , 치료용 조성물, 또는 비만 혹은 대사성질환을 개선, 예방 ,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하였고,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몰로키아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을 확인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12]

본 발명의 목적은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프리바이오틱 조성물, 장건강 또는 장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13]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 장누수증후군, 비만 및 대사성질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14]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 장누수증후군, 비만 및 대사성질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15]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내 균총 개선하여 장건강 또는 장기능 개선용 의약 제조를 위한 몰로키아 추출물의 신규 용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16]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염증성 장질환, 장누수증후군, 비만 및 대사성질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질환 치료용 의약 제조를 위한 몰로키아 추출물의 신규 용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17]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내 유익균보다 장내 유해균의 생장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환자에게 유효량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을 개선하여 장건강 또는 장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18]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염증성 장질환 또는 장누수증후군 환자에게 유효량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장누수증후군의 치료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19]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만 혹은 대사성질환 환자에게 유효량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만 혹은 대사성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20]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건강 또는 장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21]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22]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은 프리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23]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프리바이오틱 활성은 장내 유익균의 증식 촉진하는 것일 수 있다.

[24]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장내 유익균은 비피도박테리움 속, 락토바실러스 속, 락토코쿠스 속 또는 박테로이데스 속 균주일 수 있다.

[25]

본 발명은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 장누수증후군, 비만 및 대사성질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26]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27]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면역 활성을 증가시키고, 염증 반응을 억제하며, 염증 세포의 활성화를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28]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IgA 발현을 증진시키고, IL-6의 발현과 LTB4 발현을 억제 또는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29]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염증성 장질환은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장형 베체트병, 감염성 장염, 허혈성 장질환 및 방사선 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환일 수 있다.

[30]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장누수증후군은 고지방 식이에 의해 유도된 것일 수 있다.

[31]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전지방세포 분화와 지방 축적을 억제하며, 체중과 체지방의 증가를 감소시키며, 혈청 내 엔도톡신,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고, 혈청 내 지방분화 관련 호르몬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32]

본 발명은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 장누수증후군, 비만 및 대사성질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33]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34]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품 조성물은 면역 활성을 증가시키고, 염증 반응을 억제하며, 염증 세포의 활성화를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35]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품 조성물은 IgA 발현을 증진시키고, IL-6의 발현과 LTB4 발현을 억제 또는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36]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염증성 장질환은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장형 베체트병, 감염성 장염, 허혈성 장질환 및 방사선 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환일 수 있다.

[37]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장누수증후군은 고지방 식이에 의해 유도된 것일 수 있다.

[38]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품 조성물은 전지방세포 분화와 지방 축적을 억제하며, 체중과 체지방의 증가를 감소시키며, 혈청 내 엔도톡신,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고, 혈청 내 지방분화 관련 호르몬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39]

본 발명은 장내 균총 개선하여 장건강 또는 장기능 개선용 의약 제조를 위한 몰로키아 추출물의 신규 용도에 관한 것이다.

[40]

본 발명은 염증성 장질환, 장누수증후군, 비만 및 대사성질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질환 치료용 의약 제조를 위한 몰로키아 추출물의 신규 용도에 관한 것이다.

[41]

본 발명은 장내 유익균보다 장내 유해균의 생장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환자에게 유효량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을 개선하여 장건강 또는 장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42]

본 발명은 염증성 장질환 또는 장누수증후군 환자에게 유효량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장누수증후군의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43]

본 발명은 비만 혹은 대사성질환 환자에게 유효량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만 혹은 대사성질환의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44]

본 발명의 장내 미생물 개선용 또는 프리바이오틱 조성물은 몰로키아로부터 식이섬유를 포함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장내 유익균들의 증식을 촉진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장내 유익균들의 유의적인 증진 효과를 통해 병원성균에 의한 장 감염을 개선하고, 억제하며, 예방할 수 있으며, 장내 균총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프리바이오틱 조성물은 장내 미생물, 장내 균총, 장내 환경 개선용으로 활용가능하며, 독성이 없으므로 식품의 형태로 섭취할 수 있다.

[45]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몰로키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염증을 억제하고 면역을 활성화시켜 염증성 장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장내 투과성을 강화하여 장누수증후군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다.

[46]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몰로키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상기 조성물은 전지방세포 분화와 지방 축적을 억제하며, 체중과 체지방의 증가를 감소시키며, 혈청 내 엔도톡신,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고, 혈청 내 지방분화 관련 호르몬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비만 뿐만 아니라 면역 활성도 증진시킴으로써 비만의 치료와 더불어 대사성질환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으므로 비만 혹은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능성 식품 및 약제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47]

도 1은 다양한 박테리아에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FOS(프락토 올리고당)을 처리하였을 때, 장내 유익균 활성(prebiotic activity score)을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A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ATCC 25302(T)(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tolerans)에 대한 것이고, 도 1B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도 1C는 락토코쿠스 락티스 NCDO604(T)(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도 1D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도 1E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도 1F는 비피도박테리움 브레이브(Bifidobacterium breve)에 대한 것이다.

[48]

도 2는 다양한 박테리아에 실시예 2의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 FOS(프락토 올리고당)을 처리하였을 때, 장내 유익균 활성(prebiotic activity score)을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ATCC 25302(T)(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tolerans)에 대한 것이고, 도 2B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도 2C는 락토코쿠스 락티스 NCDO604(T)(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에 대한 것이고, 도 2D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도 2E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도 2F는 비피도박테리움 브레이브(Bifidobacterium breve)에 대한 것이다.

[49]

도 3은 총 균에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FOS(프락토 올리고당)을 처리하였을 때, 장내 유익균 중 락토바실러스와 락토코쿠스에 대한 활성(prebiotic activity score)을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A)와 실시예 2의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 FOS(프락토 올리고당)을 처리하였을 때, 장내 유익균 중 락토바실러스와 락토코쿠스에 대한 활성(prebiotic activity score)을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B)이다.

[50]

도 4는 총 균에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FOS(프락토 올리고당)을 처리하였을 때, 장내 유익균 활성(prebiotic activity score)을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와 실시예 2의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 FOS(프락토 올리고당)을 처리하였을 때, 장내 유익균 활성(prebiotic activity score)을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는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의 총 균에 대한 장내 유익균 활성(prebiotic activity score)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며, 도 4B는 실시예 2의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의 총 균에 대한 장내 유익균 활성(prebiotic activity score)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다.

[51]

도 5는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 및 이눌린을 박테로이데스균에 처리하고, 이들의 장내 유익균 활성(prebiotic activity socre)을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박테로이데스 유니포르미스(Bacteroides uniformis)에 대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의 결과이고, 도 5B는 박테로이데스 유니포르미스(Bacteroides uniformis)에 대한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의 결과이고, 도 5C는 박테로이데스 오바투스(Bacteroides ovatus)에 대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의 결과이고, 도 5D는 박테로이데스 오파투스(Bacteroides ovatus)에 대한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52]

도 6은 고지방 식이를 진행한 마우스에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양성대조군인 가르시니아 구미 갓타 추출물(GG; Garcinia Gummi-gutta)을 투여하였을 때, 유해 효소 활성(harmful enzyme activity of the intestinal microflora)을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는 β-glucuronidase 활성에 대한 결과이고, 도 6B는 β-glucosidase 활성에 대한 결과이고, 도 6C는 tryptophanase 활성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53]

도 7은 몰로키아 각 부위별 추출물(실시예 1, 비교예 1, 2)를 각각 처리한 RAW 264.7 세포에서의 NO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54]

도 8은 정상 사료군(NC), 양성 대조군(GC), 제1실험군(WEML50) 및 제2실험군(WEML100)에 대한 혈청 내 IgA의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55]

도 9는 정상 사료군(NC), 고지방 식이군(HF), 양성 대조군(GC), 제1실험군(WEML50) 및 제2실험군(WEML100)에 대한 혈청 내 사이토카인 IL-6 발현양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56]

도 10은 정상 사료군(NC), 고지방 식이군(HF), 양성 대조군(GC), 제1실험군(WEML50) 및 제2실험군(WEML100)에 대한 혈청 내 사이토카인 leukotriene B4(LTB4) 발현양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57]

도 11은 정상 사료군(NC), 고지방 식이군(HFD), 양성 대조군(GC), 제1실험군(WEML50) 및 제2실험군(WEML100)에서의 FITC-dextran 검출농도를 시간에 따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58]

도 12는 도 7로부터 측정된 결과의 곡선아래 면적을 계산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59]

도 13은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및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 처리에 의한 3T3-L1 세포내 지질함량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Oil red O 염색결과이다.

[60]

도 14는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및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의 지방세포분화 억제효능을 실험한 결과이다.

[61]

도 15는 정상군(NC), 고지방 식이 대조군(HF), 비교예 3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50 mg/kg 투여한 양성 대조군(GC),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50 mg/kg 투여군(WEML50) 및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100 mg/kg 투여군(WEML100)에서의 시간별 체중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62]

도 16은 정상군(NC), 고지방 식이 대조군(HF), 비교예 3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50 mg/kg 투여한 양성 대조군(GC),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50 mg/kg 투여군(WEML50) 및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100 mg/kg 투여군(WEML100)에서 백색 부고환 지방 조직을 적출한 후, 무게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63]

도 17은 정상군(NC), 고지방 식이 대조군(HF), 비교예 3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50 mg/kg 투여한 양성 대조군(GC),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50 mg/kg 투여군(WEML50) 및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100 mg/kg 투여군(WEML100)으로부터 적출한 혈청 내 엔도톡신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64]

도 18은 정상군(NC), 고지방 식이 대조군(HF), 비교예 3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50 mg/kg 투여한 양성 대조군(GC),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50 mg/kg 투여군(WEML50) 및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100 mg/kg 투여군(WEML100)로부터 적출한 혈청 내 중성지방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65]

도 19는 정상군(NC), 고지방 식이 대조군(HF), 비교예 3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50 mg/kg 투여한 양성 대조군(GC),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50 mg/kg 투여군(WEML50) 및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100 mg/kg 투여군(WEML100)로부터 적출한 혈청 내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66]

도 20은 정상군(NC), 고지방 식이 대조군(HF), 비교예 3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50 mg/kg 투여한 양성 대조군(GC),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50 mg/kg 투여군(WEML50) 및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100 mg/kg 투여군(WEML100)으로부터 적출한 혈청 내 렙틴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67]

도 21은 정상군(NC), 고지방 식이 대조군(HF), 비교예 3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50 mg/kg 투여한 양성 대조군(GC),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50 mg/kg 투여군(WEML50) 및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100 mg/kg 투여군(WEML100)으로부터 적출한 혈청 내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68]

본 발명은 몰로키아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활성화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장건강 또는 장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69]

몰로키아(Molokhia-Corchorus olitorius L.)는 피나무과의 1년초 녹황색 야채로서 각종 영양이 풍부하여 "왕의 채소"라고 일컬어질 정도로 중동과 아프리카지역에서 영양가가 높고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인 채소로 인식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1980년대부터 몰로키아를 재배하기 시작하였고, 우리나라는 그 보다 후인 1995년경부터 일부 농가에서 소규모로 재배되고 있다. 몰로키아는 식이섬유, 비타민, 칼슘 등의 미네랄과 폴리페놀, 카로테노이드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70]

본 발명에서 'Prebiotic 또는 프리바이오틱' 이란, 체내에서 잘 소화되지 않는 식품 구성성분으로, 위장관 상부에서 가수분해나 흡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제한된 특정 공생박테리아의 생육 또는 활성에 자극을 주어 장내 균총을 숙주의 건강에 유익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물질이다. 구체적으로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증진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은 장내 미생물 또는 균총 개선용 조성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는 프로바이오틱스의 효능을 증감시키고 장건강을 개선하거나 장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 장내 미생물 또는 장내 균총 개선이란 장내 유익균의 생장은 촉진하고 장내 유해균의 생장은 억제하되, 장내 유익균과 유해균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71]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상기 조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몰로키아 추출물은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고분자 분획물,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정제할 수 있다.

[72]

상기 고분자 분획물은 바람직하게 몰로키아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추출물을 추출 용매를 이용해 얻은 후, 분자량 10 kDa 이상의 고분자 물질만 분리해 놓은 분획물일 수 있다.

[73]

또한 본 발명에서 '몰로키아 추출물'은 상기 몰로키아 잎을 물, 탄소수 1 내지 4 개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의한 추출물로서, 추출방법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은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몰로키아 주정 추출물일 수 있다.

[74]

또한,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은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을 가공하고, 이를 다시 물, 탄소수 1 내지 4 개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1회 이상 반복 추출한 것일 수 있다.

[75]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은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증진시키고, 이로 인한 장건강 또는 장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6]

상기 몰로키아는 몰로키아 잎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그늘이나,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한 후, 파쇄시키거나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 기간은 상기 몰로키아 내에 수분함량이 20% 미만인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77]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하는' 또는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의 장내 유익균 증식 증진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78]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상기 장내 유익균은 기존에 숙주의 장내에서 서식하는 유익균 및 섭취되어 장에 도달하였을 때 장내 환경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균주를 의미한다.

[79]

이들은 위산과 담즙산에서 살아남아 소장까지 도달하여 장에서 증식하고 정착하며, 장관 내에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고, 독성이 없으며 비병원성인 조건을 만족하는 균을 의미한다. 즉,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로 이해될 수 있다.

[80]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때, 상기 조성물이 장내 균총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81]

상기 장내 유익균은 비피도박테리움 속, 류코노스톡 속, 페디오코쿠스 속, 웨이셀라 속, 스트렙토코커스 속, 락토바실러스 속, 락토코쿠스 속 및 박테로이데스 속 균주일 수 있고,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ATCC 25302(T)(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toleran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코쿠스 락티스 NCDO604(T)(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도박테리움 브레이브(Bifidobacterium breve), 박테로이데스 유니포르미스(Bacteroides uniformis) 및 박테로이데스 오바투스(Bacteroides ovat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또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일 수 있다.

[82]

유산균은 당류를 영양원으로 하여 에너지를 생성하고 최종 생산물로 유산을 만들어 내는 미생물의 총칭이다. 유산균이 장 건강에 좋은 이유는 유산균이 생성하는 유산이 웰치균 같이 유해한 균들이 살지 못하도록 산성 환경을 만들기 때문이다.

[83]

장 속에서 유산균의 활동이 왕성해 유산이 많이 생성되면 장내 환경이 산성화되고 그 결과 사람에게 유해한 균들의 활동은 억제되는 것이다.

[84]

몸에 이상이 생기는 것은 몸속에 특정한 유해 미생물이 지나치게 득세하여 체내 균형을 무너뜨리는 경우다. 우리의 장 속에는 유해균과 유산균이 있는데 몸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산균의 비율이 중요하며, 실제 건강한 사람의 변을 조사하면 유산균의 비율이 높다고 한다. 이를 '장내 플로라'라고 하며 장내 세균의 균형을 나타내는 말이다.

[85]

대장균은 사람 및 동물의 장 속, 특히 대장에 많이 존재하는 세균의 하나이다. 대장균은 장 속에서는 병원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이 보통이지만, 장 이외의 부위에 들어가면 방광염, 신우염, 복막염, 패증 등을 일으킨다.

[86]

대장균은 인간 및 동물에서 배출된 분뇨 등에 의해 발생되므로 환경, 보건 측면에서 병원성균의 지표로서 이용되고 있다.

[87]

본 발명의 프리바이오틱 조성물은 장내 유익균의 영양원이 단일 제제에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섭취시 장내에 유익균의 대사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증진시켜주며, 이와는 반대로 대장균의 생육은 억제시켜 활생 효과가 용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88]

[89]

본 발명은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활성화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장건강 또는 장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90]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은 장내 미생물 또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는 프로바이오틱스의 효능을 증감시키고 장건강을 개선하거나 장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 장내 미생물 또는 장내 균총 개선이란 장내 유익균의 생장은 촉진하고 장내 유해균의 생장은 억제하되, 장내 유익균과 유해균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91]

본 발명에서 '분획물'은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로, 즉,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은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정제할 수 있다.

[92]

상기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은 몰로키아 추출물을 분자량 10 kDa 이상으로 분획한 것으로, 전체 고분자 분획물 대비 중성 다당(neutral sugar) 60 내지 70 중량% 및 이외의 다당을 잔여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단백질은 1 내지 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93]

상기 중성 다당은 람노오스, 푸코오스, 아라비노오스, 자일로스,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및 글루코오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94]

본 발명의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은 (a) 몰로키아를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95]

(b) 상기 추출물에서 한외여과 또는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자량 10 kDa 이상의 고분자 분획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96]

본 발명에서 몰로키아는 건조되지 않은 것 또는 건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분쇄된 것 또는 분말화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97]

상기 몰로키아를 물, 탄소수 1 내지 4 개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의한 추출물로서, 추출방법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은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에탄올 수용액, 예를 들어 몰로키아 주정 추출물일 수 있다.

[98]

또한,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은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을 가공하고, 이를 다시 물, 탄소수 1 내지 4 개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1회 이상 반복 추출한 것일 수 있다.

[99]

상기 (a) 단계 후에,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을 90 내지 110 ℃에서 10 내지 60분 동안 가열시키는 공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열로 인해 가용성 다당 성분의 용출을 증가시키며, 일부 불순물로 포함되어 있는 고분자 단백질을 변성 및 침전시킴으로써 원심분리에 의한 고분자 분획물 획득 및 순도를 증진시킨다.

[100]

상기 (a) 단계를 거쳐 수득한 몰로키아 추출물은 중성다당의 비율이 현저하게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방법에 따라 추출된 몰로키아 추출물은 다당 분획물을 다량 포함하고 있다.

[101]

또한, 상기 (a) 단계 이후에, 몰로키아 추출물을 원심분리, filtration 등 공지의 혼합물로부터 고형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원심분리에 의할 수 있다.

[102]

다음으로, 상기 (b) 단계에서는 한외여과 또는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filtrat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자량 10 kDa 이상의 분획물을 회수하는 것일 수 있다.

[103]

상기 분획물을 수득하는 방법은 분자량을 기준으로 정제하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한외여과 또는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이다. 또한, 최종 다당 분획물의 형태는 추출물, 농축물, 분말 등일 수 있다.

[104]

상기 최종 고분자 분획물에 50~10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을 첨가하여 저분자 물질 및 불순물을 제거하여 다당을 정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105]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로 추출하여 얻은 몰로키아 추출물을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분자량 10 kDa 이상인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106]

본 명세서에서 용어 '분획물'은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분획물뿐만 아니라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의 가공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107]

또한, 본 발명의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은 분자량 10 kDa 이상의 중성다당 60~70 중량%와 이외의 다당 잔여량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여과 과정을 통해 10 kDa 분자량 이하의 배당체(저분자 물질)는 배제한 것일 수 있다.

[108]

프리바이오틱에서 유산균의 증식을 증진하는 것은 주로, 단당류에 의한 것이라 알려져 있었다. 허나 본 발명의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은 분자량 10 kDa 이하의 저분자 물질(배당체)가 제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장내 유익균에 대하여 증식 증진 효능 또는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락토코쿠스 락티스 NCDO604(T)(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ATCC 25302(T)(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toleran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에 대해서는 프락토 올리고당(FOS) 및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에 비해서 0.4~1.6 정도 더 높은 prebiotic activity score를 달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2).

[109]

본 발명의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의 광의로는 몰로키아를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제형화된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 몰로키아 다당 분획물, 몰로키아 고분자 가공물, 예컨대, 몰로키아 고분자 분말도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비록 본 발명에서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로 실험을 진행하긴 하였으나, 몰로키아 고분자 가공물과 같은 형태로도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예상 가능할 것이다.

[110]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란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예로, 상기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은 10 내지 150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의 농도로 사용된다.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은 천연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111]

[112]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몰로키아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건강 개선용 또는 장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113]

본 발명에서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은 장내 유익균의 증진을 촉진함으로써, 장건강을 개선하거나 장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

[114]

본 발명은 장내 유익균(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ATCC 25302(T)(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toleran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코쿠스 락티스 NCDO604(T)(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도박테리움 브레이브(Bifidobacterium breve), 박테로이데스 유니포르미스(Bacteroides uniformis) 및 박테로이데스 오바투스(Bacteroides ovatu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증식을 증진시키고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대장균(Escherichia coli)의 증식을 억제시키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장건강 및 장기능 개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115]

특히,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경우에는 종래 프락토 올리고당보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또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을 현저히 증진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의 경우에는 종래 프락토 올리고당보다 락토코쿠스 락티스 NCDO604(T)(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ATCC 25302(T)(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toleran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에 대해 현저히 높은 활성을 달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116]

즉,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을 장건강을 개선하거나 장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장내 유익균에 처리하였을 때, 상기 장내 유익균의 증식이 증진되었으므로 장건강 또는 장기능 개선, 억제 또는 예방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117]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유효성분인 몰로키아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 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118]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119]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120]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121]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122]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123]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 g/㎏이다.

[124]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125]

또 다른 예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몰로키아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은 장건강 또는 장기능 개선, 억제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126]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등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127]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알코올 음료류, 과자류, 다이어트바, 유제품, 육류, 초코렛,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128]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몰로키아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129]

본 발명은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또는 장기능의 개선, 억제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몰로키아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몰로키아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환제, 정제, 캡슐제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130]

[131]

또한, 본 발명은 장건강 또는 장기능의 개선, 억제 또는 예방용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몰로키아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몰로키아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은 장건강 또는 장기능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132]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유효량의 몰로키아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건강 또는 장기능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133]

또한 본 발명은 장내 유익균보다 장내 유해균의 생장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환자에게 유효량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을 개선하여 장건강 또는 장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134]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135]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해당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유효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장건강 또는 장기능 정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몰로키아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0.001 g/kg 내지 10 g/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36]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몰로키아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137]

[138]

본 발명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장누수증후군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139]

몰로키아(Molokhia-Corchorus olitorius L.)는 피나무과의 1년초 녹황색 야채로서 각종 영양이 풍부하여 "왕의 채소"라고 일컬어질 정도로 중동과 아프리카지역에서 영양가가 높고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인 채소로 인식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1980년대부터 몰로키아를 재배하기 시작하였고, 우리나라는 그 보다 후인 1995년경부터 일부 농가에서 소규모로 재배되고 있다. 몰로키아는 식이섬유, 비타민, 칼슘 등의 미네랄과 폴리페놀, 카로테노이드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40]

본 발명에서 '장누수 증후군' 또는 'leaky gut syndrome; LGS'이란, 장점막세포는 일정한 세포 사이의 간극을 유지하다가 소화 흡수 과정이 일어나는 동안 어떠한 자극이나 손상이 가해지면서 세포 사이의 틈으로 고분자 물질이 왕복할 수 있는 장점막 투과성이 증가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장벽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혈액 내 고분자 물질이 장관내 관강으로 누수되거나 관강 내의 고분자 물질이 직접 혈액으로 들어가는 현상(새는 장 상태; leaky gut)으로 인해 유발되는 증상을 총괄하여 의미한다. 상기 증상들은 노화, 알레르기, 다발성 외상, 류마티스 관절염, 염증성 대장질환, 만성피로 증후군, 과민성 증후군 등의 다양한 임상적 상태로 나타난다. 또한 장점막 투과성의 증가나 장점막의 손상으로 인해 병원체, 항원, 부패물질 등이 장점막 내로 유입되어 염증반응이 일어나고 내독소가 혈류로 유입되어 장내세균 전위(bacterial translocation), 장관내독소혈증(intestinal endotoxemia) 등을 야기하여 각종 염증반응 및 면역 반응이 나타나게 된다.

[141]

이러한, 장누수 증후군은, 특이한 증상 없이 다양하고 광범위하며 모호한 증상을 호소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여러 가지 질환에서 공통적으로 호소하는 증상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특이점이 있다.

[142]

상기 장누수 증후군을 일으키는 정확한 원인이 밝혀진 바는 없으나 현재까지 진통제로 쓰이는 비스테로이드성항염증제재(non-steroidal antiin ammatory drugs, NSAID)를 오래 쓴 경우, 항생제와 스테로이드를 쓴 경우, 항암요법으로 항암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 장관 정상세균총의 조성의 변화가 초래 되었을 때, 곰팡이의 장관 내 번식, 과량의 음식의 섭취, 부패한 음식의 섭취나 중금속이나 독성물질을 섭취 했을 때, 지나치게 자극적인 음식물의 섭취나 특정음식물에 과민반응이 있는 경우, 알코올의 과량복용, 다발성 외상, 급 ㅇ 만성 정신적 스트레스에 노출 되었을 때나 만성적인 장관의 세균, 기생충, 이스트 등의 감염 등을 들 수 있다.

[143]

구체적으로 상기 장누수 증후군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다양한 원인에 의해 장관의 투과성이 증가되는 것을, 개선, 예방, 완화, 억제 및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 조성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는 장 투과성이 증가되어 혈액 내 고분자 물질이 장관내 관강으로 누수되거나 관강 내의 고분자 물질이 지접 혈액으로 들어가, 다양한 질환이 유발되는 장누수 증후군을 개선, 예방,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다. 장누수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란 장정막 세포 간극이 느슨해져 고분자 물질이 왕복할 수 있는 장점막 투과성이 증가되는 현상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144]

상기 염증성 장질환은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장형 베체트병, 감염성 장염, 허혈성 장질환 및 방사선 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환일 수 있다.

[145]

본 발명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고지방 식이를 장기간 투여하였을 때, 사이토카인 IL-6와 같은 염증 인자가 증가되고, 염증 세포의 활성화가 증가하였음을 볼 수 있다. 이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장내 염증을 유도하며, 곧 장염이 유도되게 된다.

[146]

이때, 몰로키아 추출물을 병용투여하면 면역 활성은 증가되고, 염증 반응을 억제되며, 염증 세포의 활성화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은 염증성 장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147]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IgA 발현을 증진시키고, IL-6의 발현과 LTB4 발현을 억제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48]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추출 원재료에 추출 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조추출물뿐만 아니라 조추출물의 가공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몰로키아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149]

또한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상기 조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몰로키아 추출물은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고분자 분획물,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정제할 수 있다.

[150]

상기 고분자 분획물은 바람직하게 몰로키아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추출물을 추출 용매를 이용해 얻은 후, 분자량 10 kDa 이상의 고분자 물질만 분리해 놓은 분획물일 수 있다.

[151]

또한 본 발명에서 '몰로키아 추출물'은 상기 몰로키아 잎을 물, 탄소수 1 내지 4 개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의한 추출물로서, 추출방법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은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몰로키아 주정 추출물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152]

또한,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은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을 가공하고, 이를 다시 물, 탄소수 1 내지 4 개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1회 이상 반복 추출한 것일 수 있다.

[153]

상기 몰로키아는 몰로키아의 잎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그늘이나,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한 후, 파쇄시키거나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 기간은 상기 몰로키아 내에 수분함량이 20% 미만인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154]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하는' 또는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의 염증성 장질환 또는 장누수 증후군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은 천연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몰로키아 추출물의 양적 상한 및 하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155]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때, 상기 조성물이 고지방 식이를 장기간 투여하였을 때 IgA 발현을 증진시키고, IL-6의 발현과 LTB4 발현을 억제 또는 감소시켜, 염증성 장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장투과성을 억제 및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156]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등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157]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후술하는 하기 약학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알코올 음료류, 과자류, 다이어트바, 유제품, 육류, 초코렛,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158]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몰로키아 추출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159]

본 발명은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장누수증후군 개선, 억제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몰로키아 추출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몰로키아 추출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환제, 정제, 캡슐제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160]

또 다른 예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장누수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인 몰로키아 추출물 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161]

상기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학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162]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163]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164]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165]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166]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 g/㎏이다.

[167]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168]

또한, 본 발명은 염증성 장질환 또는 장누수증후군 치료용 의약 제조를 위한 몰로키아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몰로키아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은 장질환 또는 장누수증후군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169]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유효량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장누수증후군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염증성 장질환 또는 장누수증후군 환자에게 유효량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장누수증후군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170]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171]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해당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유효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염증성 장질환의 증상 정도, 장누수증후군에 대한 장투과성 정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몰로키아 추출물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0.001 g/㎏ 내지 10 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72]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고, 바람직하는 경구, 복강 내에 투여할 수 있다.

[173]

[174]

본 발명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혹은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혹은 대사성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175]

몰로키아(Molokhia-Corchorus olitorius L.)는 피나무과의 1년초 녹황색 야채로서 각종 영양이 풍부하여 "왕의 채소"라고 일컬어질 정도로 중동과 아프리카지역에서 영양가가 높고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인 채소로 인식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1980년대부터 몰로키아를 재배하기 시작하였고, 우리나라는 그 보다 후인 1995년경부터 일부 농가에서 소규모로 재배되고 있다. 몰로키아는 식이섬유, 비타민, 칼슘 등의 미네랄과 폴리페놀, 카로테노이드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 몰로키아 잎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176]

본 발명에서 '비만'이란, 단순히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것이 아니라 체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겉으로 정상체중으로 보여도 체지방 비율이 높으면 비만이라고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보통 비만을 판정하는 방법은 체질량지수 (BMI)를 이용하게 되는데 23~24.9인 경우에 과체중, 25~29.9까지를 경도비만으로 판정하며, 30~34.9는 중등도비만, 35 이상일 경우는 고도비만으로 판정하고 있다. 비만은 한가지 원인보다는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데, 서구화된 식습관을 포함하여 잘못된 식습관과 활동량 감소, 정서적 요인, 유전적 요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렇게 발생한 비만은 결국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등 만성질환의 발생 위험을 높이게 된다.

[177]

본 발명에서 '대사성질환'이란, 비만과 밀접하게 연관성이 있거나, 비만에 기인하는 상태 또는 질환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지방간, 제2형 당뇨,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 및 동맥경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178]

본 발명에서 지방간(fatty liver)은 간의 지방대사 장애로 지방이 간세포에 과도한 양으로 축적되는 상태 또는 질환을 의미한다.

[179]

본 발명에서 고지혈증은 혈액 중에 지방 성분, 특히 콜레스테롤(cholesterol)과 중성 지방(triglyceride)의 농도가 정상 수치에 비해 높은 상태 또는 질환을 의미하며, 혈액 중의 지질 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모든 상태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된다.

[180]

본 명세서에서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은 동맥벽이 두꺼워지고 탄력성이 감소하여 체내의 장기 및 조직으로의 혈액 순환이 저하되는 상태 또는 질환을 의미하며, 지방, 콜레스테롤 등 기타 물질이 동맥내벽에 침착되어 플라크(plaque)를 형성하여 내강이 좁아짐으로써 혈액 순환이 저하되는 상태 또는 질환을 의미하는 "아테롬성 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을 포함하는 의미를 가진다. 동맥경화증은 체내 어느 부위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심장내 혈관에서 발생하는 경우에는 협심증, 심근경색 등 관상동맥질환이 유발되며, 뇌에서 발생하는 뇌경색이 유발될 수 있으며, 신장에서 일어나는 경우에는 신부전증 등이 유발될 수 있다.

[181]

구체적으로 상기 비만 혹은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다양한 원인에 의해 체중 또는 체지방이 증가되는 것을, 개선, 예방, 완화, 억제 및 치료하는 조성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고지방 식에 의해 유발된 비만 혹은 대사성질환을 개선, 예방,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다.

[182]

본 발명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고지방 식이를 장기간 투여하였을 때, 체중과 체지방이 증가하였음을 볼 수 있다. 이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방세포의 분화와 지방 축적을 유도하고, 체중과 체지방의 함량을 증가시키며, 혈청 내 엔도톡신,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농도뿐만 아니라 지방분화 관련 호르몬의 발현을 높여, 비만 혹은 대사성질환을 유도하게 된다.

[183]

이때, 몰로키아 추출물을 병용투여하면 전지방세포 분화와 지방 축적을 억제하며, 체중과 체지방의 증가를 감소시키며, 혈청 내 엔도톡신,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고, 혈청 내 지방분화 관련 호르몬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은 비만 혹은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184]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추출 원재료에 추출 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조추출물뿐만 아니라 조추출물의 가공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몰로키아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185]

또한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상기 조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몰로키아 추출물은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고분자 분획물,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정제할 수 있다.

[186]

상기 고분자 분획물은 바람직하게 몰로키아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추출물을 추출 용매를 이용해 얻은 후, 분자량 10 kDa 이상의 고분자 물질만 분리해 놓은 분획물일 수 있다.

[187]

또한 본 발명에서 '몰로키아 추출물'은 상기 몰로키아 잎을 물, 탄소수 1 내지 4 개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의한 추출물로서, 추출방법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은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몰로키아 주정 추출물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188]

또한,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은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을 가공하고, 이를 다시 물, 탄소수 1 내지 4 개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1회 이상 반복 추출한 것일 수 있다.

[189]

상기 몰로키아는 몰로키아의 잎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그늘이나,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한 후, 파쇄시키거나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 기간은 상기 몰로키아 내에 수분함량이 20% 미만인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190]

몰로키아의 다른 부위에 비해 몰로키아 잎을 사용한 것이, 고지방 식이를 장기간 투여하였을 때 전지방세포 분화와 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체중과 체지방의 증가를 감소시키며, 혈청 내 엔도톡신,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고, 혈청 내 지방분화 관련 호르몬의 발현을 억제함에 있어서 1.5~2.5배 더 우수하므로, 몰로키아의 다른 부위에 비해 몰로키아 추출물은 비만 혹은 대사성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다.

[191]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하는' 또는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의 비만 혹은 대사성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은 천연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몰로키아 추출물의 양적 상한 및 하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192]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혹은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용 식품 조성물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후술하는 하기 약학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알코올 음료류, 과자류, 다이어트바, 유제품, 육류, 초코렛,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193]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몰로키아 추출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194]

본 발명은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혹은 대사성질환 개선, 억제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몰로키아 추출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몰로키아 추출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환제, 정제, 캡슐제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195]

또 다른 예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혹은 대사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인 몰로키아 추출물 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196]

상기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학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197]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198]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199]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200]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201]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 g/㎏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g/kg 내지 10 g/kg의 용량으로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202]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203]

또한, 본 발명은 비만 또는 대사성질환의 치료용 의약 제조를 위한 몰로키아 추출물의 신규 용도를 제공한다.

[204]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유효량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만 혹은 대사성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만 혹은 대사성질환 환자에게 유효량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만 혹은 대사성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205]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206]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해당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유효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체중, 체지방, 혈청 내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또는 비만정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몰로키아 추출물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0.001 g/㎏ 내지 10 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g/kg 내지 10 g/kg의 용량으로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207]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고, 바람직하는 경구, 복강 내에 투여할 수 있다.

[208]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209]

[210]

실시예 1.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211]

강원도 홍천에서 재배한 국내산 몰로키아 잎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몰로키아 잎을 50 ℃ 건조 오븐에서 건조한 다음 분쇄기로 1.0 ㎜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여 몰로키아 잎 분말을 준비하였다.

[212]

몰로키아 잎 분말 5 g에 20 배 부피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가하고 80 ℃ 에서 3 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여 열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열수 추출물을 여과한 후,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고, 72 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수득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은 WME (Water-soluble moroheiya extract) 또는 WEML(Water-soluble extract from molokhia leaves)로 기재하였다.

[213]

[214]

실시예 2.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

[215]

강원도 홍천에서 재배한 국내산 몰로키아 잎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몰로키아 잎을 50 ℃ 건조 오븐에서 건조한 다음 분쇄기로 1.0 ㎜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여 몰로키아 잎 분말을 준비하였다.

[216]

몰로키아 잎 분말 100 g에 20 배 부피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가하고 80 ℃의 온도에서 3 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여 열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열수 추출물을 여과한 다음,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를 이용하여 추출액의 1/10이 되도록 감압농축하고, 감압농축된 열수 추출물의 4배 부피(v/v)의 80% ethanol(주정)을 가하여 24시간 침전시켰다. 침전시킨 후 원심분리(6000 rpm, 635×g, 30분) 하여 침전물을 얻었으며 여기에 소량의 증류수를 가하여 침전물을 재용해하고 투석막(MW cut off 12,000,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을 이용하여 2~3일간 투석을 행하여 저분자물질을 제거하였으며 72시간 동결건조하여,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을 얻었다. 상기 방법으로 수득한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은 HME(High-molecular fraction from moroheiya extract) 또는 HFML(High-molecular fraction from molokhia leaves)라고 명명하였다.

[217]

[218]

비교예 1. 몰로키아 혼합 추출물

[219]

몰로키아 잎 분말 대신에 몰로키아 잎, 줄기의 혼합분말(1:1 중량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모두 동일하게 하여 몰로키아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20]

[221]

비교예 2. 몰로키아 줄기 추출물

[222]

몰로키아 잎 분말 대신에 몰로키아 줄기 분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모두 동일하게 하여 몰로키아 줄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23]

[224]

비교예 3.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225]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은 인도 Unicon Natural Products PVT사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은 HCA을 600 mg/g 이상으로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였다.

[226]

[227]

<시험예>

[228]

시험예 1. 실시예 1의 열수 추출물과 실시예 2의 고분자 분획물의 구성당 분석

[229]

구성당 분석은 Albersheim 등의 방법을 일부 변형하여 가수분해 후 각 구성당을 알디톨 아세테이트(alditol acetate)와 aldonolactone로 유도체화 하여 GC(Gas Chromatography ACME-6100, Young-Lin Co. Ltd. Anyang, Kore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시료를 2 M TFA(trifluroacetic acid) 중에서 121℃, 1.5 hr 반응시켜 가수분해한 후, 1 ㎖의 1 M NH4OH (ammonia solution)에 용해하여 10 ㎎의 NaBH4로 4 hr 환원시켰다. Acetic acid를 적당량 가하여 잔존 NaBH4를 제거한 후, 메탄올을 가하며 반복 건조함으로써 과량으로 가해진 아세트산을 제거하여 각 구성당에 상당하는 알디톨(alditol)로 전환하였다.

[230]

중성당의 구성을 알기 위해 각각의 알디톨(alditol)에 1 ㎖의 아세트산 무수물(acetic anhydride)을 가하여 121℃에서 30 min 동안 반응시켜 알디톨 아세테이트(alditol acetate)로 전환시켰으며 이를 클로로포름/H2O 2상 용매계로 분리하여 추출하고, 추출물은 건조 후 소량의 아세톤에 용해하여 GC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231]

[232]

단백질 정량은 Bradford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BSA(Bovine Serum Albumin, sigma aldrich)를 표준품으로 사용하여 1 ㎎/㎖를 최고 농도로 하여 일정배수로 희석하였다. Bradford시약 980 ㎕에 표준품과 시료를 각각 20 ㎕를 가하여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9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단백질 정량은 BSA에 대한 양으로 환산하였다.

[233]

총당은 phenol-sulfuric acid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시료용액 0.5 mL에 동량의 5% phenol 용액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진한 황산(98%, v/v) 2.5 mL를 가하여 상온에서 20분간 반응시켜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당의 정량은 glucose 표준품(sigma aldrich)을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여 이에 대한 양으로 환산하였다.

[234]

[235]

그 결과, 몰로키아 잎으로부터 열수 추출물 및 주정 추출물의 주요성분 함량 등의 이화확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하기 표 1과 같았다.

[236]

구분실시예 1(WME)실시예 2(HME)
Extraction yield (%)49.351.89
Chemical composition (%)
Neutral sugar(중성당)39.43±0.5061.40±4.61
Protein(단백질)0.55±0.351.47±0.22
총 식이섬유 (중량%)0.10.05
불활성 식이섬유 (중량%)0.01-

[237]

* 상기 chemical component의 함량비(%)는 건조 샘플 내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238]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은 수율이 49.35%로 높게 나타났으며, 단백질 함량은 0.55 중량%였고, 중성당 함량은 39.43 중량%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해,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의 수율은 1.89%로 낮게 나타났으나, 중성당 함량은 61.40 중량%로 확인되었다. 결국 실시예 2의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HME)의 대부분은 당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39]

몰로키아 중, 장건강 또는 장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식이섬유의 경우,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및 실시예 2의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40]

[241]

시험예 2. 실시예 1의 열수 추출물과 실시예 2의 고분자 분획물의 장내 유익균 증식 활성 분석

[242]

장내 유익균 활성 측정용 균주의 분리 및 동정

[243]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및 실시예 2의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의 프리바이오틱 활성 수치(Prebiotic activity score) 분석을 위하여, 장내 유익균을 확보하였다. 이는 장내 유익균으로 알려진 것들을 선별하였다. 균들은 발효 인간 장내와 전통식품(된장, 김치 등)로부터 분리하거나 생물자원센터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244]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ATCC 25302(T)(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toleran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코쿠스 락티스 NCDO604(T)(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도박테리움 브레이브(Bifidobacterium breve), 박테로이데스 유니포르미스(Bacteroides uniformis), 박테로이데스 오바투스(Bacteroides ovatus)와 대장균(Escherichia coli)를 확보하였다.

[245]

상기 락토바실러스 및 락토코쿠스 균주는 MRS 배지를, 비피도박테리움 균주는 BL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였고, 박테로이데스 균주는 BHI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였으며, pH 6.5 ㅁ 0.2, 온도 37℃ 및 48시간 정치 배양시켰으며, 산소 요구성은 통성혐기성이고 동결건조보존 또는 세포현탁액 동결을 통해 균주를 보존하였다.

[246]

대장균 활성 측정용 균주의 분리 및 동정

[247]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및 실시예 2의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의 프리바이오틱 활성 수치(Prebiotic activity score) 분석을 위하여, 대장균을 생물자원센터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248]

장내 유익균 및 대장균 활성 측정용 균주 배양

[249]

상기 분리 및 동정된 균주의 배양을 위하여, 유산균은 Lactobacilli MRS agar와 Lactobacilli MRS broth를 사용하였고, 비피도박테리움 균주는 BL agar와 BL broth를 사용하였다. 박테로이데스 균주는 BHI agar와 BHI broth를 사용하였으며, 대장균은 Tryptic soy agar와 Tryptic soy broth를 사용하였다. 상기 배지는 Difco사에서 구입하였다.

[250]

상기 균주의 콜로니를 각각의 균주에 해당하는 아가 배지에 도말하고, 37 ℃에서 24 시간동안 1차 배양한 뒤, 다시 액체 배지 10 ㎖에 접종하여 37 ℃에서 24 시간동안 2차 배양하였다. 600 ㎚에서 흡광도가 2.0이 되었을 때, 본 배양 배지에 1%(v/v) 접종하였다. 본 배양은 M9 minimal medium(MB cell) 배지를 사용하였고, 상기 M9 배지는 glucose 2 g/L, CaCl2 0.015 g/L, MgSO4 0.5 g/L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251]

[252]

시험예 2-1.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에 대한 장내 유익균 활성(prebiotic activity score) 분석

[253]

상기 수득한 균을, 각각 10 ㎎/㎖ 글루코스를 함유한 M9 배지에 1%(v/v) 첨가하여, 대조군을 제조하였다.

[254]

또한, 상기 수득한 균을, 각각 10 ㎎/㎖ 프락토 올리고당(Fructooligosaccharides, FOS) 함유한 M9 배지에 1%(v/v) 첨가하였고, 박테로이데스균은 10 ㎎/㎖ 이눌린(inulin)을 함유한 M9 배지에 1%(v/v) 첨가하여 양성 대조군을 제조하였다.

[255]

상기 수득한 균을, 각각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10 ㎎/㎖을 함유한 M9 배지에 1%(v/v) 첨가하여, 실험군을 제조하였다.

[256]

각각의 군은 균을 접종하고 바로(0 시간), 24시간이 지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들 값을 아래의 식 1에 대입하여 장내 유익균 활성(prebiotic activity score) 수치를 얻었다.

[257]

[식 1]

[258]

[259]

상기 식에서,

[260]

*) probiotic log O.D on the prebiotic at 24 h는 양성 대조군 또는 실험군에 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 및 박테로이데스균을 접종하고 24시간이 지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이다.

[261]

*) probiotic log O.D. on the prebiotic at 0 h는 양성 대조군 또는 실험군에 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 및 박테로이데스균을 접종하고 24시간이 지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이다.

[262]

*) probiotic log O.D. on glucose at 24h는 글루코스 대조군에 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 및 박테로이데스균을 접종하고 24시간이 지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이다.

[263]

*) probiotic log O.D. on glucose at 0h은 글루코스 대조군에 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 및 박테로이데스균을 접종하고 0시간이 지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이다.

[264]

*) enteric log O.D on the prebiotic at 24 h는 양성 대조군 또는 실험군에 대장균을 접종하고 24시간이 지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이다.

[265]

*) enteric log O.D. on the prebiotic at 0 h는 양성 대조군 또는 실험군에 대장균을 접종하고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이다.

[266]

*) enteric log O.D. on glucose at 24h는 글루코스 대조군에서 대장균을 접종하고 24시간이 지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이다.

[267]

*) enteric log O.D. on glucose at 0h은 글루코스 대조군에서 대장균을 접종하고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이다.

[268]

[269]

도 1은 다양한 박테리아에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FOS(프락토 올리고당)을 처리하였을 때, 장내 유익균 활성(prebiotic activity score)을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A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ATCC 25302(T)(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tolerans)에 대한 것이고, 도 1B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도 1C는 락토코쿠스 락티스 NCDO604(T)(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도 1D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도 1E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도 1F는 비피도박테리움 브레이브(Bifidobacterium breve)에 대한 것이다.

[270]

도 3A는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의 총 균에 대한 장내 유익균 중에서 락토바실러스와 락토코쿠스에 대한 활성(prebiotic activity score)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고, 도 4A는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의 총 균에 대한 장내 유익균 활성(prebiotic activity score)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다.

[271]

도 5A와 5C는 박테로이데스균에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이눌린을 처리하였을 때, 장내 유익균 활성(prebiotic activity score)을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박테로이데스 유니포르미스(Bacteroides uniformis)에 대한 것이고, 도 5C는 박테로이데스 오바투스(Bacteroides ovatus)에 대한 것이다.

[272]

각 균주들에 종래 프리바이오틱인 프락토 올리고당 또는 이눌린과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을 투여하고, prebiotic activity score를 확인하였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은 대다수의 장내 유익균에 대해 종래 프리바이오틱 프락토 올리고당과 비교하여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대장균에 대해 활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부분 대조군보다 모든 유익균의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최대 3~6 배).

[273]

본 발명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와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에 대해 가장 높은 prebiotic activity score(각각 1.610, 1.316)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종래 프리바이오틱스로 널리 알려진 프락토 올리고당(각각 1.139, 0.781)보다 더 높은 활성(최대 0.5 배 증가함)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은 양성대조군인 FOS와 유사하거나 그 이상의 활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대조군에 비해서는 모두 높은 활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중에서도 본 발명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와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에 대하여, 종래 프리바이오틱(프락토 올리고당)보다 더 높은 prebiotic activity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274]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혐기성 균주인 비피도박테리움을 제외한 락토바실러스와 락토코쿠스에 대한 활성을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은 FOS와 유사한 수준의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체적인 장내 유익균에 대한 prebiotic activity를 비교한 결과,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은 1.046으로 FOS 군에 비해 약간(0.039) 낮았으나,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는 약 5배 정도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275]

도 5A와 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박테로이데스 유니포르미스(Bacteroides uniformis)와 박테로이데스 오바투스(Bacteroides ovatus)에서는 각각 prebiotic activity score가 0.86, 1.00을 나타내었으며, 이눌린과 유사하거나 그 이상의 활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박테로이데스 오바투스 균주에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경우보다 약 10배 정도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276]

[277]

시험예 2-2.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에 대한 장내 유익균 활성(prebiotic activity score) 분석

[278]

상기 수득한 균을, 각각 10 ㎎/㎖ 글루코스를 함유한 M9 배지에 1%(v/v) 첨가하여, 대조군을 제조하였다.

[279]

또한, 상기 수득한 균 중에서 락토바실러스, 락토코쿠스, 비피도박테리움 균은, 각각 10 ㎎/㎖ 프락토 올리고당(Fructooligosaccharides, FOS) 함유한 M9 배지에 1%(v/v) 첨가하였고, 박테로이데스균은 10 ㎎/㎖ 이눌린(inulin)을 함유한 M9 배지에 1%(v/v) 첨가하여 양성 대조군을 제조하였다.

[280]

상기 수득한 균을, 각각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실시예 2) 10 ㎎/㎖을 함유한 M9 배지에 1%(v/v) 첨가하여, 실험군을 제조하였다.

[281]

각각의 군은 균을 접종하고 바로(0 시간), 24시간이 지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들 값을 아래의 식 1에 대입하여 장내 유익균 활성(prebiotic activity score) 수치를 얻었다.

[282]

[식 1]

[283]

[284]

상기 식에서,

[285]

*) probiotic log O.D on the prebiotic at 24 h는 양성 대조군 또는 실험군에서 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 및 박테로이데스균을 접종하고 24시간이 지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이다.

[286]

*) probiotic log O.D. on the prebiotic at 0 h는 양성 대조군 또는 실험군에 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 및 박테로이데스균을 접종하고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이다.

[287]

*) probiotic log O.D. on glucose at 24h는 글루코스 대조군에 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 및 박테로이데스균을 접종하고 24시간이 지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이다.

[288]

*) probiotic log O.D. on glucose at 0h은 글루코스 대조군에 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 및 박테로이데스균을 접종하고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이다.

[289]

*) enteric log O.D on the prebiotic at 24 h는 양성 대조군 또는 실험군에 대장균을 접종하고 24시간이 지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이다.

[290]

*) enteric log O.D. on the prebiotic at 0 h는 양성 대조군 또는 실험군에 대장균을 접종하고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이다.

[291]

*) enteric log O.D. on glucose at 24h는 글루코스 대조군에 대장균을 접종하고 24시간이 지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이다.

[292]

*) enteric log O.D. on glucose at 0h은 글루코스 대조군에 대장균을 접종하고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이다.

[293]

[294]

도 2는 다양한 박테리아에 실시예 2의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 FOS(프락토 올리고당)을 처리하였을 때, 장내 유익균 활성(prebiotic activity score)을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ATCC 25302(T)(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tolerans)에 대한 것이고, 도 2B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도 2C는 락토코쿠스 락티스 NCDO604(T)(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에 대한 것이고, 도 2D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도 2E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도 2F는 비피도박테리움 브레이브(Bifidobacterium breve)에 대한 것이다.

[295]

도 3B는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의 총 균에 대한 장내 유익균 활성(prebiotic activity score)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실시예 2의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의 총 균에 대한 장내 유익균 활성(prebiotic activity score)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다.

[296]

도 5A와 5C는 박테로이데스균에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 이눌린을 처리하였을 때, 장내 유익균 활성(prebiotic activity score)을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B는 박테로이데스 유니포르미스(Bacteroides uniformis)에 대한 것이고, 도 5D는 박테로이데스 오바투스(Bacteroides ovatus)에 대한 것이다.

[297]

각 균주들에 종래 프리바이오틱인 프락토 올리고당 또는 이눌린과 실시예 2의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을 투여하고, prebiotic activity score를 확인하였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 대다수의 장내 유익균에 대해 종래 프리바이오틱 프락토 올리고당과 비교하여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대부분 대조군보다 모든 유익균의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대장균에 대해 활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최대 3~6 배).

[298]

본 발명의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은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와 비교하였을 때 대다수의 유익균에 대해서 유사한 수준의 활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였으나, 락토코쿠스 락티스 NCDO604(T)(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에 대해 1.904로 FOS 군에 비해서는 약 1.17 정도 높고, 열수 추출물에 비해서는 1.6 정도 더 높은 활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에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ATCC 25302(T)(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toleran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역시, 본 발명의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이 FOS 군에 비해, 0.4~1.17 가량 더 높은 prebiotic activity score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은 몰로키아 추출물에 비해 유산균군의 prebiotic activity를 현저히 더 증가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99]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혐기성 균주인 비피도박테리움을 제외한 락토바실러스와 락토코쿠스에 대한 활성을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은 FOS보다 1.5 배 이상 증가한 prebiotic activity score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300]

나아가 전체적인 장내 유익균에 대한 prebiotic activity를 비교한 결과,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은 1.046으로 FOS 군에 비해 약간(0.039) 낮았으나,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는 현저히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301]

총 유익균에 대한 prebiotic activity를 비교한 결과, 몰로키아 열수추출물과 고분자 분획물 모두 FOS와 유사한 효능이 확인되었고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이 열수 추출물에 비해 높은 prebiotic activity 스코어가 확인되었다.

[302]

상술한 결과들을 종합하면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의 경우에는 통성혐기성균주인 락토바실러스, 락토코쿠스 등의 유익균에 대하여 prebiotic activity를 증가시키는 능력이 FOS에 비해 1.5 배 이상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의 경우 고분자 분획물 이외의 부분을 포함하므로 통성혐기성균주인 락토바실러스, 락토코쿠스 등의 유익균에 대해서는 FOS와 평이한 수준의 prebiotic activity만을 나타내나, 비피도박테리아를 비롯한 총 장내 유익균에 대해서는 FOS(양성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의 효과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고분자 분획물에 이외의 성분이 혼합될 경우, 이들 간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인해 통성혐기성균주인 락토바실러스, 락토코쿠스 등의 유익균에 대한 증식과 증진 효과가 낮아지는 것으로 여겨지며, 원하는 목적이나 얻고자하는 효과에 따라 열수 추출물과 고분자 분획물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303]

도 5B와 5D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박테로이데스 유니포르미스(Bacteroides uniformis)와 박테로이데스 오바투스(Bacteroides ovatus)에서는 각각 prebiotic activity score가 1.22, 1.18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이눌린 군에 비해 약 1.25, 2.31배 높은 prebiotic activity score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304]

[305]

시험예 3. 실시예 1의 열수 추출물의 유해 효소 활성 분석

[306]

시험예 3-1. 실험 동물

[307]

우선, 6주령의 수컷 C57BL/6J mouse 45 마리를 중앙실험동물을 통해 구입하였다. 상기 실험동물은 다음과 같이 다섯 그룹으로 분리하였다. 각 그룹당 9마리의 실험동물을 사용하였고, 8주간의 식이를 진행한 후 유해 효소 활성 저해 효능을 평가하였다.

[308]

정상 사료군(NC): 정상 사료(AIN-93G)를 먹이고, vehicle만을 경구투여 한 실험군;

[309]

고지방 식이군(HF): 고지방(60% kcal fat) 사료를 먹이고, vehicle만을 경구투여 한 실험군;

[310]

가르시니아 투여군(GG): 고지방 사료를 먹이고, 가르시니아 추출물 50 mg/kg을 경구투여 한 실험군;

[311]

몰로키아 추출물 50 mg/kg 투여군(WME50): 고지방 사료를 먹이고, 몰로키아 열수추출물 50 mg/kg을 경구투여 한 실험군;

[312]

몰로키아 추출물 100 mg/kg 투여군(WME100): 고지방 사료를 먹이고, 몰로키아 열수추출물 100 mg/kg을 경구투여 한 실험군으로 구성하였다.

[313]

시험예 3-2. 유해 효소 활성 분석

[314]

8주의 식이 기간이 끝나고, 각 군 별로 mouse의 신선한 분변을 수득하였다. 얻어진 분변 1 g은 차가운 생리식염수에 현탁하여 침전물을 수득하였고, 이를 0.1 M potassium phosphate buffer에 현탁하여 효소액으로 사용하였다. β-glucuronidase 활성 분석은 효소액 100 μL,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 380 μL, 기질인 ρ-nitrophenyl-β-glucuronide 20 μL를 60분간 37℃에서 반응시킨 후 0.5 N NaOH 500 μL를 가하고 3,000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취해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표준곡선은 ρ-nitrophenol을 이용하였다. β-glucosidase 활성 분석은 효소액 50 μL,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 350 μL, 기질인 ρ-nitrophenyl-β-glucopyranoside 100 μL를 60분간 37℃에서 반응시킨 후 0.5 N NaOH 400 μL를 가하고 3,000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취해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표준곡선은 ρ-nitrophenol을 이용하였다. Trytophanase 활성 분석은 complete reaction mixture(4% pyridoxal 5-phosphate, 20% bovine serum albumin in 0.1M bicine, pH 8.0), 0.02M tryptophan 0.2 mL, 효소액 0.1 mL을 60분간 37℃에서 반응시킨 후 color reagent(ρ-dimethyl aminobenzaldehyde 14.7 g, 95% ethanol 948 mL, CH2SO4 52 mL) 2 mL을 가하여 반응을 종료하였다. 3,000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해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표준곡선은 indole을 이용하였다.

[315]

[316]

도 6은 고지방 식이를 진행한 마우스에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양성대조군인 가르시니아 구미 갓타 추출물(GG; Garcinia Gummi-gutta)을 투여하였을 때, 유해 효소 활성(harmful enzyme activity of the intestinal microflora)을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는 β-glucuronidase 활성에 대한 결과이고, 도 6B는 β-glucosidase 활성에 대한 결과이고, 도 6C는 tryptophanase 활성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유해한 장내미생물에 의해 생성되는 유해효소는 독소들이 위장관 내에 침투가 되는 것을 돕기 때문에 이를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β-glucuronidase 활성은 몰로키아 열수추출물 50, 100 mg/kg의 농도를 투여하였을 때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약 60, 56%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양성대조군보다도 약 21, 14% 정도 활성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β-glucosidase 활성은 몰로키아 열수추출물 50, 100 mg/kg의 농도를 투여하였을 때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약 58, 51%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양성대조군보다도 약 40, 29% 정도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tryptophanase 활성은 몰로키아 열수추출물 50, 100 mg/kg의 농도를 투여하였을 때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약 63, 41% 정도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양성대조군과도 유사한 효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17]

상술한 결과를 종합하면 몰로키아 열수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고지방식이만을 진행한 군에 비하여 유해효소를 억제하는 효능을 가진 것이 확인되었으며, 가르시니아(양성대조군)와도 유사하거나 더 높은 억제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318]

[319]

시험예 4. 몰로키아 부위별 추출물의 염증 억제 효능

[320]

몰로키아 각 부위별 추출물(실시예 1, 비교예 1, 2)의 NO 생성 억제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RAW 264.7 세포(1 × 106/mL)를 DMEM에서 먼저 배양하고 LPS(1 ㎍/mL)와 함께 몰로키아 각 부위별 추출물 5 ㎍/ml 또는 10 ㎍/ml를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자극하였다. NO의 농도는 Griess 시약(Sigma, USA)을 이용하여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세포 배양액 상층액 내의 아질산염 양을 측정함으로써 조사하였다. 배양된 RAW 264.7 세포는 150 μL의 세포 배양액 상층액과 150 μL Griess 시약을 혼합하여 1,000 × g로 10분간 원심분리하였고, 이어서 상온에서 10분간 배양하였다. 흡광도는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측정하였으며,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을 통해 형성된 검량선(calibration curve)을 기준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PBS 완충액만을 처리한 세포이다.

[321]

[322]

도 7은 몰로키아 각 부위별 추출물(실시예 1, 비교예 1, 2)를 각각 처리한 RAW 264.7 세포에서의 NO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323]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몰로키아 부위별 추출물의 NO 생성 활성은 몰로키아 잎 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산화질소(nitric oxide, NO)는 인체 내의 혈압조절, 신경전달, 그리고 면역과정의 항상성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NO는 미생물 감염을 막는 인체 방어기전에 필수적인 내인성물질로 알려져 있다(Bogdan, 2001). 따라서, LPS와 같은 염증매개 물질이 처리하였을 때, 몰라키아 부위 중에서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이 대식세포에서 NO 생산을 가장 크게 증가시켰으므로, 면역활성 증진에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324]

[325]

시험예 5.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과 실시예 2의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의 수율, 당과 단백질 함량 분석

[326]

중성당 분석은 Albersheim 등의 방법을 일부 변형하여 가수분해 후 각 구성당을 알디톨 아세테이트(alditol acetate)와 aldonolactone로 유도체화 하여 GC(Gas Chromatography ACME-6100, Young-Lin Co. Ltd. Anyang, Kore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시료를 2 M TFA(trifluroacetic acid) 중에서 121℃, 1.5 hr 반응시켜 가수분해한 후, 1 ㎖의 1 M NH4OH (ammonia solution)에 용해하여 10 ㎎의 NaBH4로 4 hr 환원시켰다. Acetic acid를 적당량 가하여 잔존 NaBH4를 제거한 후, 메탄올을 가하며 반복 건조함으로써 과량으로 가해진 아세트산을 제거하여 알디톨(alditol)로 전환하였다. 상기 알디톨(alditol)에 1 ㎖의 아세트산 무수물(acetic anhydride)을 가하여 121℃에서 30 min 동안 반응시켜 알디톨 아세테이트(alditol acetate)로 전환시켰으며 이를 클로로포름/H2O 2상 용매계로 분리하여 추출하고, 추출물은 건조 후 소량의 아세톤에 용해하여 GC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327]

단백질 정량은 Bradford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BSA(Bovine Serum Albumin, sigma aldrich)를 표준품으로 사용하여 1 ㎎/㎖를 최고 농도로 하여 일정배수로 희석하였다. Bradford시약 980 ㎕에 표준품과 시료를 각각 20 ㎕를 가하여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9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단백질 정량은 BSA에 대한 양으로 환산하였다.

[328]

총당은 phenol-sulfuric acid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시료용액 0.5 mL에 동량의 5 % phenol 용액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진한 황산 (98%, v/v) 2.5 mL를 가하여 상온에서 20분간 반응시켜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당의 정량은 glucose 표준품(sigma aldrich)을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여 이에 대한 양으로 환산하였다.

[329]

총 폴리페놀 함량은 gallic acid(sigma aldrich)를 이용하여 Folin Denis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330]

구성당의 경우, 시료의 당사슬을 단당으로 가수분해 한 후 HPAEC-PAD(high-performance anion-exchange chromatography-pulsed amperometric detector)를 사용하였으며, 데이터는 Chromelon 6.80 소프트웨어 (Dionex)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준용액으로 단당류(fucose, rhamnose, arabinose, galactose, glucose, xylose)를 사용하였다.

[331]

[332]

그 결과,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및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의 주요성분 함량 등의 이화확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하기 표 2와 같았다.

[333]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의 열수 추출물 및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에 대한 주요성분 함량 등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하기 표 2와 같았다.

[334]

구분실시예 1(WEML)실시예 2(HEML)
Extraction yield (%)29.981.90
Chemical composition (%)
Protein(단백질)2.8 ± 0.13.2 ± 0.7
Neutral sugar(중성당)67.6 ± 2.047.1 ± 1.3
Uronic acid(우론산)18.8 ± 0.844.7 ± 1.3
KDO-liked material(KDO 유사물질)0.5 ± 0.31.4 ± 1.0
polyphenol(폴리페놀)12.2 ± 0.23.6 ± 0.8
Component sugar (PMP) (Mole %)
Rhamnose(람노오스)10.1 ± 0.122.4 ± 0.5
Fucose(푸코오스)-0.3 ± 0.1
Arabinose(아라비노오스)4.0 ± 0.05.3 ± 0.0
Xylose(자일로스)1.2 ± 0.11.2 ± 0.0
Mannose(만노오스)2.2 ± 0.00.3 ± 0.0
Galactose(갈락토오스)8.5 ± 0.011.5 ± 0.2
Glucose(글루코오스)40.9 ± 0.22.1 ± 0.0
Glucuronic acid(글루쿠론산)9.0 ± 0.120.1 ± 0.1
Galacturonic acid(갈락투론산)10.9 ± 0.028.5 ± 0.7

[335]

* 상기 chemical component의 함량비(%)는 건조 샘플 내의 중량%를 나타낸 것이다.

[336]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은 수율이 29.98%로 나타났으며, 단백질 함량은 2.8 중량%, 중성당 함량은 67.6 중량%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의 대부분은 당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37]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의 구성당을 분석한 결과, 주요 구성당은 글루코오스(40.9%)였으며, 갈락투론산, 람노오스, 글루쿠론산 및 갈락토오스가 각각 10.9, 10.1, 9.0, 8.5 Mole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아라비노오스, 만노오스, 자일로스는 각각 4.0, 2.2, 1.2 Mole %로 미량 존재하고 있었다.

[338]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의 추출수율은 1.9%이고 단백질 함량은 3.2%, 중성당 함량은 47.1%, 우론산이 44.7%로 우론산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주요 구성당은 galacturonic acid, rhamnose, glucuronic acid가 각각 28.5, 22.4, 20.1%로 검출되었으며, galactose, arabinose, glucose, xylose, fucose, mannose가 각각 11.5, 5.3, 2.1, 1.2, 0.3, 0.3%로 검출되었다.

[339]

[340]

시험예 6.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의 염증 관련 인자 분석

[341]

1) 실험동물

[342]

우선, 6주령의 수컷 C57BL/6J mouse 45 마리를 중앙실험동물을 통해 구입하였다. 상기 실험동물은 다음과 같이 다섯 그룹으로 분리하였다. 각 그룹당 9마리의 실험동물을 사용하였고, 8주간의 식이를 진행한 후 장관 면역 조절 효능을 평가하였다.

[343]

- 정상 사료군(NC): 정상 사료(AIN-93G)를 먹이고, vehicle만을 경구투여 한 실험군

[344]

- 고지방 식이군(HFD): 고지방(60% kcal fat) 사료를 먹이고, vehicle만을 경구투여 한 실험군

[345]

- 양성 대조군(GC): 고지방 사료를 먹이고,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50 ㎎/㎏을 경구투여 한 실험군

[346]

- 제1실험군(WEML50): 고지방 사료를 먹이고,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50 ㎎/㎏을 경구투여 한 실험군

[347]

- 제2실험군(WEML100): 고지방 사료를 먹이고,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100 ㎎/㎏을 경구투여 한 실험군으로 구성하였다.

[348]

이때, 상기 고지방 자료는 Lard를 첨가하여 열량을 60 cal%를 증가시킨 Modified AIN 76A purified rodent diet(60 cal% fat)를 사용하였다.

[349]

2) 분석

[350]

8주의 식이 기간이 끝나고, 분석하기 6시간 전부터 각 그룹의 실험동물을 절식시켰다. 다음, 실험동믈을 마취시키고 복부를 개복하였다. 멸균 주사기를 사용하여 하대정맥에서 채혈한 후, 헤파린으로 처리된 멸균튜브에 보관하였다. 수득한 혈액은 원심분리(12,000 ×g, 10분, 4℃)하여 상등액을 취해 분석에 사용하였다. 혈중 immunoglobulin A, IL-6, leukotriene B4 농도는 각각 Mouse IgA ELISA kit(Abcam, ab157717), Mouse IL-6 Quantikine ELISA kit(R&D systems, M6000B), LTB4 Parameter Assay Kit(R&D systems, KGE006B)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351]

3) 분석결과

[352]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에 대한 장내 염증 관련 지표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8 내지 10에 나타내었다.

[353]

도 8은 정상 사료군(NC), 양성 대조군(GC), 제1실험군(WEML50) 및 제2실험군(WEML100)에 대한 혈청 내 IgA의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 사료군(NC)에서는 혈중 IgA 농도가 16.25 ㎍/㎖이였으나, 양성 대조군(GC)에서는 26.17 ㎍/㎖로 장내 면역 활성이 증진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을 50 ㎎/㎏ 농도로 경구 투여한 제1실험군에서는 22.09 ㎍/㎖의 IgA가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을 100 ㎎/㎏ 농도로 경구 투여한 제2실험군에서는 26.33 ㎍/㎖ IgA가 검출되었다.

[354]

종합하면,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역시 양성 대조군(GC)와 같이 장내 면역활성을 증진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실시예 1)의 투여 농도가 증가할수록 장내 면역활성 또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한 바, 본 발명에 따른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은 장내 면역활성을 증진시켜 염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355]

[356]

도 9는 정상 사료군(NC), 고지방 식이군(HF), 양성 대조군(GC), 제1실험군(WEML50) 및 제2실험군(WEML100)에 대한 혈청 내 사이토카인 IL-6 발현양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357]

IL-6은 염증성 장질환에서 증가한다고 알려진 대표적인 사이토카인이다. 본 발명에서는 8주간의 장기적인 고지방 식이를 통해 염증성 장질환을 유도하는 한편,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을 혼합 투여하여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8주간의 고지방 식이를 통해 염증성 장질환이 유도된 고지방 식이군(HF)은 12.37 pg/㎖로 IL-6의 농도가 크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고지방 식이와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로 병용 투여한 제1, 제2실험군의 경우, 각각 3.41 pg/㎖과 1.32 pg/㎖의 IL-6이 검출되었다. 이는 염증성 장질환에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병용 투여한 양성 대조군(GC)에서의 IL-6(2.89 pg/㎖) 농도와 정상 사료군(NC)(2.78 pg/㎖)보다도 낮은 수치이다. 즉,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은 정상 사료군 또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보다 IL-6 생성을 현저히 억제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은 장내 염증반응을 억제하여 염증성 장질환에 대한 개선,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의 경우 섭취시 구강건조증, 현기증, 두통 또는 설사 등의 다양한 부작용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은 일상적으로 섭취가능한 식품으로써 알려진 부작용이 없을뿐만 아니라 세포 독성 실험에서도 전혀 독성이 검출되지 않은 안정한 물질이라는 점에서 큰 강점을 갖는다.

[358]

[359]

도 10은 정상 사료군(NC), 고지방 식이군(HF), 양성 대조군(GC), 제1실험군(WEML50) 및 제2실험군(WEML100)에 대한 혈청 내 사이토카인 leukotriene B4(LTB4) 발현양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360]

leukotriene B4(LTB4)는 면역세포에서 염증반응을 유발하여 염증성 세포의 활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장기간의 고지방 식이로 염증성 장질환이 유도된 실험동물로부터 LTB4 농도를 측정하여 염증 정도를 분석하였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지방 식이를 통해 염증성 장질환이 유도된 경우 1357 pg/㎖로, LTB4 농도가 정상 사료군(NC)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고지방 식이와 병행 투여한 양성 대조군(GC)에서는 LTB4 농도가 976 pg/㎖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361]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을 고지방 식이와 병행 투여한 제1, 제2실험군 역시 LTB4 농도가 각각 1165 pg/㎖, 1025 pg/㎖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362]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은 양성 대조군 및 정상 사료군과 유사한 정도의 LTB4 농도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이를 통해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과 동등한 정도의 LTB4 생성 억제 효과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63]

비록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제1, 2실험군이 양성 대조군보다 LTB4 농도의 감소량이 적었으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의 경우 각종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 본원발명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은 매우 안정한 물질로, 세포 독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현저한 염증억제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64]

본 발명에 따른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은 염증세포의 활성을 억제시켜 염증성 장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LTB4 생성에 대해서, 정상 사료군 수준으로 억제시키는 현저한 활성까지 얻기 위해서는 상기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이 100 ㎎/㎖ 농도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65]

[366]

시험예 7.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의 장누수 증후군(leaky gut syndrome)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

[367]

1) 실험동물

[368]

우선, 6주령의 수컷 C57BL/6J mouse 45 마리를 중앙실험동물을 통해 구입하였다. 상기 실험동물은 다음과 같이 다섯 그룹으로 분리하였다. 각 그룹당 9마리의 실험동물을 사용하였고, 8주간의 식이를 진행한 후 장누수 증후군에 대한 개선, 예방 및 치료 효능을 평가하였다.

[369]

- 정상 사료군(NC): 정상 사료(AIN-93G)를 먹이고, vehicle만을 경구투여 한 실험군

[370]

- 고지방 식이군(HFD): 고지방(60% kcal fat) 사료를 먹이고, vehicle만을 경구투여 한 실험군

[371]

- 양성 대조군(GC): 고지방 사료를 먹이고,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50 ㎎/㎏을 경구투여 한 실험군

[372]

- 제1실험군(WEML50): 고지방 사료를 먹이고,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50 ㎎/㎏을 경구투여 한 실험군

[373]

- 제2실험군(WEML100): 고지방 사료를 먹이고,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100 ㎎/㎏을 경구투여 한 실험군으로 구성하였다.

[374]

2) 분석

[375]

8주의 식이 기간이 끝나고, 분석하기 6시간 전부터 각 그룹의 실험동물을 절식시켰다. 각 실험동물들로부터 장 투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멸균생리식염수에 녹인 FITC-dextran 400 mg/kg body weight을 경구투여한 후 0, 2, 4시간 뒤에 미정맥 채혈을 진행하였다. 얻어진 100 μL의 혈액을 원심분리(12,000 ×g, 10 min, 4 ℃)하여 상등액을 취하였고 이를 microplate reader기를 이용하여 여기파장(excitation wavelength)은 485 nm, 방출파장(emission wavelength)은 535 nm로 설정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는 FITC-dextran의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농도를 산출하였고, 시간대 별 FITC-dextran 농도를 곡선아래면적(AUC, area under the curve)로 나타내었다.

[376]

3) 분석결과

[377]

도 11은 정상 사료군(NC), 고지방 식이군(HFD), 양성 대조군(GC), 제1실험군(WEML50) 및 제2실험군(WEML100)에서의 FITC-dextran 검출농도를 시간에 따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도 11로부터 측정된 결과의 곡선아래 면적을 계산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378]

도 11,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 사료군(NC)(normal control)을 100%로 하였을 때, 고지방 식이를 통해 장누수 증후군이 야기된 고지방 식이군(HFD)은 399.61%였고, 양성 대조군(GC)는 271.71%로 검출되었다. 즉 고지방 식이가 제공되었어도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이 병용 투여되면 장 투과성이 억제됨을 알 수 있다.

[379]

그러나,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이 병용 투여된 제1, 2실험군에서는 각각 280.18%, 206.06%로 측정된 바, 이는 정상 사료군과 상당히 유사한 수치까지 장투과성이 억제 및 감소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열수 추추출물이 100 ㎎/㎏ 이상 투여된 것이 가장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380]

제1, 제2실험군은 고지방 식이군(HFD)에 비해, 장투과성이 각각 2배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은 장누수 증후군에 대해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381]

[382]

시험예 8. 전지방 세포 분화 억제 및 지방 축적 억제 효능 분석

[383]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과 실시예 2의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로부터 비만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384]

(1) 세포 배양

[385]

실험을 위해 3T3-L1 전지방세포를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로부터 분양받았으며,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1%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strptomycin)(Gibco BRL, Grand Island, NY, USA)가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DCRT Media(Gibco BRL))을 사용하여 37 ℃, 5% CO2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수의 증식에 따른 과밀도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성장배지의 교환을 매 48시간마다 실시하여 적정 수의 세포를 유지하였다.

[386]

(2) 분화유도

[387]

3T3-L1 세포를 0.8×105 cells/well의 밀도로 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였으며, 48시간 주기로 0.05% Trypsin-EDTA를 사용하여 계대배양 하였다. 지방세포로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MDI(0.5 mM 3-이소부틸-1-메틸잔틴(3-isobutyl-1-methylxanthin, IBMX), 1 μM 덱타메타손(dexamethasone), 10 μg/mL 인슐린(insulin)) 및 10 부피%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 첨가된 DMEM 분화배지에 48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10 μg/mL 인슐린만을 포함하는 배지(DMEM)로 2일마다 고체해주면서 분화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계속 배양하였다. adipogenesis의 진행과정에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과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배지를 교환할때마다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50 μg/ml(WEML-50)과 100 μg/ml(WEML-100), 실시예 2의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 50 μg/ml(HFML-50)과 100 μg/ml(HFML-100) 및 비교예 3의 가르니시아 캄보지아 추출물 50 μg/ml(GC-50)과 100 μg/ml(GC-100)을 함께 처리하였다.

[388]

배지를 교환시, 추출물이 아닌 지질 축적 유도 인자인 MDI(0.5 mM 3-이소부틸-1-메틸잔틴(IBMX), 1 μM 덱타메타손, 10 μg/mL 인슐린)을 함께 처리한 것을 대조군(C)으로 하였고,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고 10 μg/mL 인슐린만을 포함하는 배지(DMEM)만 처리한 것을 정상군(NC)으로 하였다.

[389]

(3) Oil Red O 염색과 정량

[390]

지방세포 분화가 완료된 8일째, 각각의 세포를 회수하고, 이로부터 adipogenesis 억제활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각 지방세포로 분화된 3T3-L1 세포의 지방축적량을 Oil Red O 염색법을 통해 정량 분석하기 위하여, PBS로 세척하고, 3.7% 포르말린(formalin)으로 10분간 고정하고 60%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로 수세한 후, 각 웰을 완전히 건조하였다. oil red O 염색약을 실온에서 20분간 처리한 뒤 증류수로 4회 세척한 다음, 각 군에서 분화된 3T3-L1 지방세포의 지방구(lipid droplet)의 수와 크기를 현미경(Eclipse ti, Nikon)을 통해 관찰하였다. 정량적 분석을 위해 100% 이소프로판올을 이용하여 지방을 추출한 후 96 웰 플레이트에 200 ㎕씩 옮겨서 ELISA reader로 5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대조군의 흡광도 값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391]

(4)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지방구 생성에 미치는 몰로키아 추출물의 영향

[392]

3T3-L1 지방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의 분화과정에 나타나는 lipid droplet 생성이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 처리에 의해 억제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393]

도 13은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및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 처리에 의한 3T3-L1 세포내 지질함량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Oil red O 염색결과이다. 도 14는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및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의 지방세포분화 억제효능을 실험한 결과이다.

[394]

도 13 및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질축적을 유도한 대조군(C)보다 WEML군 또는 HFML군에서 모두 지방합성이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WEML-100군에서 지방세포 분화와 지방생성을 억제시키는 효능이 가장 뛰어났다.

[395]

도 14에 따르면, 지질축적을 유도한 대조군(C)에 비해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비교예 3)을 처리한 GC-50군은 약 10.3%의 지방 축적 억제력을 나타내었으며, WEML-50군과 WEML-100군은 각각 9.1%, 21.2%의 지방 축적 억제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HFML-50군과 HFML-100군은 각각 15.2%, 26.1%의 지방 축적 억제력을 나타내었다. 종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몰로키아 추출물뿐만 아니라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은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 및 지방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이는 종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과 동등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의 경우 인체 내에서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실적용에 한계가 있지만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 또는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은 생체 내 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므로 활용에 한계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396]

[397]

시험예 9.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의 염증 관련 인자 분석

[398]

(1) 실험동물 및 식이

[399]

무균 환경에서 사육된 6주령의 수컷 C57BL/6J계 마우스 45마리를 (주)중앙실험동물에서 구입하였으며, 마우스 사육조건은 온도 22 ± 2 ℃, 습도는 40-60%로 유지하였고, 명암 주기(Light and dark cycle)는 12시간 간격으로 조절하였다.

[400]

상기 마우스를 9마리씩 5군으로 나누고, 실험식이를 공급하여 8주간 사육하였다. 실험식이는 고지방 사료(high fat diet)로, Lard를 첨가하여 열량을 60 cal%를 증가시킨 Modified AIN 76A purified rodent diet(60 cal% fat)를 자유급식하였으며, 정상군(NC), 고지방 식이 대조군(HF), 비교예 3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50 mg/kg 투여한 양성 대조군(GC),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50 mg/kg 투여군(WEML50) 및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100 mg/kg 투여군(WEML100)으로 실험군을 나누어 실험하였다. 물과 실험식이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실험기간 동안의 체중 증가량은 실험식이를 시작한 날을 기준으로 8주간 1주일 간격으로 오전 10시에 체중을 측정하였다. 상기 비교예 3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과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은 각각 멸균식염수에 용해하여 경구투여하였다.

[401]

(2) 혈액과 장기의 채취

[402]

실험이 종료되고, 실험동물을 12시간 절식을 시킨 후, 아이프란액을 이용하여 마취하고 복부와 흉강을 절개하여 간문맥에서 채취한 혈액을 응고시킨 후 혈청을 분리하여 혈청지질 및 비만관련 호르몬의 농도를 분석하는데 이용하였다. 각각의 실험동물로부터 백색 부고환 지방조직 및 기타 장기를 적출하여 생리 식염수를 이용해 혈액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무게를 측정한 후, -80 ℃에서 분석시까지 보관하였다.

[403]

(3) 체중 변화 및 체지방량 분석

[404]

도 15는 정상군(NC), 고지방 식이 대조군(HF), 비교예 3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50 mg/kg 투여한 양성 대조군(GC),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50 mg/kg 투여군(WEML50) 및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100 mg/kg 투여군(WEML100)에서의 시간별 체중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6은 정상군(NC), 고지방 식이 대조군(HF), 비교예 3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50 mg/kg 투여한 양성 대조군(GC),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50 mg/kg 투여군(WEML50) 및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100 mg/kg 투여군(WEML100)에서 백색 부고환 지방 조직을 적출한 후, 무게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405]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군(NC)에 비하여, 고지방 식이 대조군(HF)는 체중(11.9 g 증가)이 유의적으로 높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 3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군은 고지방 식이 대조군(HF)이 비하여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고지방 식이를 하면서 가르니시아 캄보지아 추출물(비교예 3) 50 mg/kg을 경구투여한 군(GC)은 고지방 식이 대조군(HF)에 비해 26.9% 체중이 감소하였고, 고지방 식이를 하면서 몰로키아 추출물 50 mg/kg 투여군(WEML50)과 100 mg/kg 투여군(WEML100)은 고지방 식이 대조군(HF)에 비해 각각 24.5% 및 35.9% 체중이 감소하였다. 특히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이 100 mg/kg 경구투여된 WEML-100군은 양성대조군(GC군)에 비하여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406]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실험군에서 적출한 백색 부고환 지방량은 정상군(NV)에 비해 고지방 식이 대조군(HF)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투여한 WEML-50군과 WEML-100군은 고지방 식이 대조군(HF)에 비하여 백색 부고환 지방조직의 무게가 약 10.5%, 1.8%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은 지방 조직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고, 체중 감량뿐만 아니라 체지방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407]

(4) 혈장 지질함량 분석

[408]

혈청의 엔도톡신,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주)신양화학의 혈액분석용 키트를 이용하여 효소법으로 분석하였다. 중성지방은 Tiglyzyme-V, 총 콜레스테롤은 Cholestezyme-V로 분석하였다. Pierce™ LAL Chromogenic Endotoxin Quantitation Kit(Thermo scientific)를 이용하여 마우스 혈청 내 Endotoxin양을 확인하였다.

[409]

도 17은 정상군(NC), 고지방 식이 대조군(HF), 비교예 3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50 mg/kg 투여한 양성 대조군(GC),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50 mg/kg 투여군(WEML50) 및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100 mg/kg 투여군(WEML100)으로부터 적출한 혈청 내 엔도톡신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8은 정상군(NC), 고지방 식이 대조군(HF), 비교예 3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50 mg/kg 투여한 양성 대조군(GC),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50 mg/kg 투여군(WEML50) 및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100 mg/kg 투여군(WEML100)로부터 적출한 혈청 내 중성지방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9는 정상군(NC), 고지방 식이 대조군(HF), 비교예 3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50 mg/kg 투여한 양성 대조군(GC),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50 mg/kg 투여군(WEML50) 및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100 mg/kg 투여군(WEML100)로부터 적출한 혈청 내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410]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엔도톡신은 정상군(NC)에 비해 고지방 식이 대조군(HF)에서 106.3% 증가하였으나, WEML-50군 및 WEML-100군은 고지방 식이 대조군(HF)에 비해 각각 42.7%, 52.3% 감소하였으므로,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은 혈청 내 엔도톡신의 농도를 감소시켜 비만을 억제함과 동시에 비만으로 인해 유도되는 염증도 예방하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411]

도 18 및 19에 따르면,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은 정상군(NC)에 비해 고지방 식이 대조군(HF)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WEML-50군 및 WEML-100군은 고지방 식이 대조군(HF)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은 고지방 식이와 병용투여됨에도 불과하고, 정상군(NC)과 유사한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을 나타내었는 바, 비만 억제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412]

(5) 혈장 중 지방분화 관련 호르몬(렙틴, 인슐린)

[413]

혈청내 지방분화 관련 호르몬인 렙틴(mouse leptin ELISA kit, R&D systems, Minneapolis, USA)과 인슐린(mouse insulin ELISA kit, ALPCO, New Hampshire, USA)의 농도를 ELISA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414]

도 20은 정상군(NC), 고지방 식이 대조군(HF), 비교예 3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50 mg/kg 투여한 양성 대조군(GC),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50 mg/kg 투여군(WEML50) 및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100 mg/kg 투여군(WEML100)으로부터 적출한 혈청 내 렙틴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1은 정상군(NC), 고지방 식이 대조군(HF), 비교예 3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50 mg/kg 투여한 양성 대조군(GC),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50 mg/kg 투여군(WEML50) 및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 100 mg/kg 투여군(WEML100)으로부터 적출한 혈청 내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415]

도 20 및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렙틴은 지방조직에서 생성되어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혈중 농도가 체지방량에 비례하여 식욕을 억제하고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켜 에너지 대사 및 체중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렙틴 농도가 고지방 식이 대조군(HF) 대비 GC군, WEML-50군, WEML-100군에서 각각 31.8%, 2.1%, 20.0% 감소하였다. 또한, 혈청 내 인슐린 농도를 측정한 결과, 고지방 식이 대조군(HF) 대비 GC군, WEML-50군 및 WEML-100군은 각각 32.3%, 9.5%, 46.5% 감소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은 혈청 내 렙틴 및 인슐린 농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체지방량의 감소와 연관되어 있다.

[416]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추출물은 앞선 결과들을 종합하였을 때, 50 mg/kg 이상 사용되면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나, 100 mg/kg 이상 일 때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보다 바람직), 10 g/kg 이상의 농도로 사용되면 효과의 증가가 없으므로, 100 내지 10,000 mg/kg의 농도로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417]

[418]

하기에 본 발명의 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419]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420]

실시예 1에서 얻은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또는

[421]

실시예 2에서 얻은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 500 mg

[422]

유당 100 mg

[423]

탈크 10 mg

[424]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425]

[426]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427]

실시예 1에서 얻은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또는

[428]

실시예 2에서 얻은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 300 mg

[429]

옥수수전분 100 mg

[430]

유당 100 mg

[431]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432]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433]

[434]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435]

실시예 1에서 얻은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또는

[436]

실시예 2에서 얻은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 200 mg

[437]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438]

락토오스 14.8 mg

[439]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440]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441]

[442]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443]

실시예 1에서 얻은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또는

[444]

실시예 2에서 얻은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 600 mg

[445]

만니톨 180 mg

[446]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447]

Na2HPO4,12H2O 26 mg

[448]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449]

[450]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451]

실시예 1에서 얻은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또는

[452]

실시예 2에서 얻은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 4 g

[453]

이성화당 10 g

[454]

만니톨 5 g

[455]

정제수 적량

[456]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g으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457]

[458]

제제예 6. 과립제의 제조

[459]

실시예 1에서 얻은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또는

[460]

실시예 2에서 얻은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 1,000 mg

[461]

비타민 혼합물 적량

[462]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463]

비타민 E 1.0 mg

[464]

비타민 B1 0.13 mg

[465]

비타민 B2 0.15 mg

[466]

비타민 B6 0.5 mg

[467]

비타민 B12 0.2 ㎍

[468]

비타민 C 10 mg

[469]

비오틴 10 ㎍

[470]

니코틴산아미드 1.7 mg

[471]

엽산 50 ㎍

[472]

판토텐산 칼슘 0.5 mg

[473]

무기질 혼합물 적량

[474]

황산제1철 1.75 mg

[475]

산화아연 0.82 mg

[476]

탄산마그네슘 25.3 mg

[477]

제1인산칼륨 15 mg

[478]

제2인산칼슘 55 mg

[479]

구연산칼륨 90 mg

[480]

탄산칼슘 100 mg

[481]

염화마그네슘 24.8 mg

[482]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과립제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과립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483]

[484]

제제예 7. 기능성 음료의 제조

[485]

실시예 1에서 얻은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또는

[486]

실시예 2에서 얻은 몰로키아 고분자 분획물; 1,000 mg

[487]

구연산 1,000 mg

[488]

올리고당 100 g

[489]

매실농축액 2 g

[490]

타우린 1 g

[491]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492]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493]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biotic composition, a composition for improving gut microorganisms, a composition for improving gut health or gut function, a composition for alleviating,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or leaky gut syndrome, or a composition for alleviating,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or metabolic disease, which each comprise a molokhia extract or a molokhia polymer fraction as an active ingredient to induce the proliferation of beneficial intestinal bacteria and to improve, prevent, or treat gut heath or gut function. In addition, the composition comprising a molokhia extract or a molokhia polymer fraction as an active ingredient can alleviate, prevent, or treat bowel disease or leaky gut syndrome. Moreover,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olokhia extract or a molokhia polymer fraction as an active ingredient that improves immunological activity as well as having anti-obesity activity, thereby not only treating obesity, but also alleviating,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induced metabolic diseases and as such, is very advantageous.

[2]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건강 또는 장기능 개선용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건강 또는 장기능 개선용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은 프리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건강 또는 장기능 개선용 조성물.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바이오틱 활성은 장내 유익균의 증식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건강 또는 장기능 개선용 조성물.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내 유익균은 비피도박테리움 속, 락토바실러스 속, 락토코쿠스 속 또는 박테로이데스 속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건강 또는 장기능 개선용 조성물.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 장누수증후군, 비만 및 대사성질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면역 활성을 증가시키고, 염증 반응을 억제하며, 염증 세포의 활성화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IgA 발현을 증진시키고, IL-6의 발현과 LTB4 발현을 억제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장질환은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장형 베체트병, 감염성 장염, 허혈성 장질환 및 방사선 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누수증후군은 고지방 식이에 의해 유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전지방세포 분화와 지방 축적을 억제하며, 체중과 체지방의 증가를 감소시키며, 혈청 내 엔도톡신,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고, 혈청 내 지방분화 관련 호르몬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 장누수증후군, 비만 및 대사성질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몰로키아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면역 활성을 증가시키고, 염증 반응을 억제하며, 염증 세포의 활성화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IgA 발현을 증진시키고, IL-6의 발현과 LTB4 발현을 억제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장질환은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장형 베체트병, 감염성 장염, 허혈성 장질환 및 방사선 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누수증후군은 고지방 식이에 의해 유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전지방세포 분화와 지방 축적을 억제하며, 체중과 체지방의 증가를 감소시키며, 혈청 내 엔도톡신,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고, 혈청 내 지방분화 관련 호르몬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장내 균총 개선하여 장건강 또는 장기능 개선용 의약 제조를 위한 몰로키아 추출물의 용도.

염증성 장질환, 장누수증후군, 비만 및 대사성질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질환 치료용 의약 제조를 위한 몰로키아 추출물의 용도.

장내 유익균보다 장내 유해균의 생장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환자에게 유효량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을 개선하여 장건강 또는 장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염증성 장질환 또는 장누수증후군 환자에게 유효량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장누수증후군의 치료방법.

비만 혹은 대사성질환 환자에게 유효량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만 혹은 대사성질환의 치료방법.